미클롱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클롱섬은 생피에르 미클롱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바스크어 '미셸'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지질학적으로 복잡한 역사를 가지며, 북대서양 기후와 래브라도 해류의 영향을 받아 시원하고 안개 낀 날씨가 많다. 미클롱-랑글라드 마을을 포함하여 약 627명이 거주하며, 연안 어업에 종사하는 바스크인, 브르타뉴인, 노르만인, 아카디아인의 후손들이 주를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섬 - 일디외섬
일디외섬은 프랑스 서부에 위치하며 신석기 시대 유적과 바이킹 침략, 예술가들의 영감, 필리프 페탱의 유배 등 다양한 역사를 거쳐 현재 페리와 항공편으로 접근 가능한 해양성 기후를 보이는 섬이다. - 프랑스의 섬 - 몽생미셸섬
몽생미셸 섬은 프랑스 노르망디 지역에 위치한 바위 섬으로, 조수 간만의 차에 따라 섬이 되기도 하고 육지와 연결되기도 하며, 8세기 초 예배당 건설을 시작으로 수도원이 건립되었고, 1979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생피에르 미클롱 - 생피에르 미클롱의 문장
생피에르 미클롱의 문장은 파란 방패에 그랑드 에르민호를 묘사한 노란색 배가 있고, 해군 왕관과 섬 주민들의 기원을 나타내는 세 개의 사각형 깃발로 장식된 생피에르 미클롱의 상징이다. - 생피에르 미클롱 - 생피에르 미클롱의 기
생피에르 미클롱의 기는 생피에르 미클롱의 공식적인 상징으로 사용되지만, 디자인, 역사, 사용 현황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부족하다. - 북대서양의 섬 - 루케이언 제도
루카야 군도는 바하마와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를 아우르는 넓은 지역으로, 다양한 섬과 얕은 뱅크들로 이루어져 풍부한 해양 생태계를 지니고 있으며, 루카야인들이 거주했던 역사를 지니고 있으나 해수면 상승과 생태계 위협에 직면해 있다. - 북대서양의 섬 - 군뱌르나르스케르
미클롱섬 | |
---|---|
지리 정보 | |
위치 | 대서양 |
기본 정보 | |
섬 이름 | 미클롱 섬 |
프랑스어 이름 | Île Miquelon |
지리 | |
면적 | 205 |
행정 | |
국가 | 프랑스 |
![]() |
2. 지명 유래
1579년 보르도에서 출판된, 뉴펀들랜드 섬으로 향한 바스크인 선장 마르틴 오야르사발의 항해 기록에는 'Micquelle'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한다.[1][2] 이후 1625년 맨슨 지도에서는 'Micklon'으로 표기되었다.
미클롱은 복잡한 지질학적 역사를 가지고 있다. 유체 역학적 흐름과 해수면 변동이 퇴적물에 영향을 미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비교적 안정적인 해안선이 형성되었다. 약 300년 전에는 그랑미클롱과 랑글라드를 가로막는 장벽이 폐쇄되는 중요한 사건이 있었다.[8]
미클롱섬의 기후는 주로 북대서양의 영향을 받으며, 래브라도 해류의 영향을 받는다. 1년 중 약 6개월 동안 풍속이 60km/h를 초과할 정도로 바람이 강하다. 여름은 비교적 시원하고 안개가 자주 낀다. 연평균 기온은 5.5°C이다.[9]
미클롱섬은 군도에서 가장 넓은 면적(205km2)을 가지고 있지만, 섬 북부의 미클롱-랑글라드 마을 인구는 627명이다. 주민들은 주로 연안 어업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다. 주민 대부분은 바스크인, 브르타뉴인, 노르만인 또는 아카디아인의 후손이다. 아카디아인들은 대추방 시기에 섬으로 이주해 왔다.
[1]
웹사이트
Encyclopédie de Saint-Pierre et Miquelon
http://www.grandcolo[...]
이 지명은 언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바스크어에서는 Mikelune, 브레통어에서는 Mikelon, 노르만어에서는 Miquelon으로 불린다.[3]
가장 유력한 설은 '미클롱(Miquelon)'이 바스크어로 '미셸(Michel)'을 의미하는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것이다. 바스크어로는 '미켈(Mikel)'로 번역된다.[4][5][6][7] 이러한 주장은 샹플랭의 지도에 미클롱과 랑글라드(Langlade)가 표시되어 있고, 바스크 섬(Île aux Basques)이라는 지명이 함께 나타나는 점 등으로 뒷받침된다. 또한, 1697년경 항해했던 바스크인 선장 마르틴 사피안(Martin Sapiain)이 생피에르(Saint-Pierre), 포르투나(Fortuna), 미켈레 포르투(Miquele Portu)를 언급한 기록은 마르틴 오야르사발의 기록을 보강한다.
일부에서는 '위대한 미셸'을 뜻하는 스페인어 이름 '미겔론(Miguelón)'의 철자에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3. 지질
4. 기후
5. 인구
6. 갤러리
참조
[2]
서적
Les voyages aventureux du Capitaine Martin de Hoyarsal, habitant du çubiburu
Bordeaux, France
1579
[3]
간행물
Toponymie ancienne et origine des noms Saint-Pierre, Miquelon et Langlade, Le Marin du Nord
https://www.cnrs-scr[...]
Société canadienne pour la recherche nautique
1997
[4]
웹사이트
The Basques of Saint Pierre and Miquelon
http://www.buber.net[...]
2006-04-30
[5]
웹사이트
Agence de tourisme
http://www.st-pierre[...]
[6]
논문
Toponymie ancienne et origine des noms Saint-Pierre, Miquelon et Langlade
1997
[7]
웹사이트
Prénoms basques
http://abarka.free.f[...]
[8]
웹사이트
Évolution géologique détaillée
http://www.spm-ct975[...]
2019-11-08
[9]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Coastal Landform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6-11-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