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머리치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머리치목은 조기어류에 속하는 물고기 분류군이다. 2023년 현재, 청어목 다음 분기군에 속하며 골표류와 자매군이다. 민머리치목은 민머리치과, 플라티트록테스과, 렙토킬리크티스과 등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민머리치목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lepocephaliformes |
명명자 | Marshall, 1962 |
속하는 종의 수 | 본문 참조 |
2. 하위 분류
- 민머리치과 (Alepocephalidae) - 민머리치
- 플라티트록테스과 (Platytroctidae)
- 렙토킬리크티스과 (Leptochilichthyidae)
- 알레포케팔루스과 (Alepocephalidae) - 과거 바틸라코니데과, 렙토킬리크티스과 포함.
- 플라티트로크투스과 (Platytroctidae) - 시어시과 포함.
3. 계통 분류
민머리치목의 계통 분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해왔다. 2016년 이전과 이후, 그리고 2023년 현재의 계통 분류가 각각 존재하며,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면 된다.
3. 1. 2016년 이전 계통 분류
2016년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8]{| class="wikitable"
|-
! 민머리치목
|-
|
{| class="wikitable"
|-
| 플라티트록테스과
|-
|
{| class="wikitable"
|-
| 바틸라코과
|-
| 민머리치과
|-
|
{| class="wikitable"
|-
| 렙토킬리크티스속
|-
|
{| class="wikitable"
|-
| 분지군 A (''Bathytroctes'', ''Narcetes'', ''Rinoctes'')
|-
|
분지군 B (Bajacalifornia, Bathyprion, Talismania) |
나머지 민머리치과 |
|}
|}
|}
|}
|}
|}
- 알레포케팔루스과(전형적인 민머리치) (과거의 바틸라코니데과, 렙토킬리크티스과 포함)
- 플라티트로크투스과(시어시과 포함)
3. 2. 2016년 이후 계통 분류
2016년 현재, 민머리치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8]과 |
---|
플라티트록테스과 |
바틸라코과영어 (바틸라코속) |
민머리치과 |
렙토킬리크티스속 |
분지군 A (Bathytroctes, Narcetes, Rinoctes) |
분지군 B (Bajacalifornia, Bathyprion, Talismania) |
나머지 민머리치과 |
- 알레포케팔루스과(이전의 바틸라코니데과, 렙토킬리크티스과 포함)
- 플라티트로크투스과 (이전의 시어시과 포함)
3. 3. 2023년 계통 분류
2023년 현재,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5][6][7]{| class="wikitable"
|-
! 조기어류
|-
|
{| class="wikitable"
|-
| 다기어목
|-
|
{| class="wikitable"
|-
| 철갑상어목
|-
! 신기어류
|-
|
{| class="wikitable"
|-
! 전골어류
|-
|
아미아목 |
레피소스테우스목 |
|-
! 진골어류
|-
|
{| class="wikitable"
|-
! 엘로포스테오글로소케팔라 (Eloposteoglossocephala)
|-
|
{| class="wikitable"
|-
! 골설어상목
|-
|
|-
! 당멸치상목
|-
|
{| class="wikitable"
|-
| 당멸치목
|-
|
{| class="wikitable"
|-
| 뱀장어목
|-
|
여을멸목 |
밑보리멸목 |
|}
|}
|}
|-
! 클루페오케팔라 (Clupeocephala)
|-
|
{| class="wikitable"
|-
! 오토케팔라 (Otocephala)
|-
|
{| class="wikitable"
|-
! 청어상목
|-
| 청어목
|-
|
{| class="wikitable"
|-
| 민머리치목
|-
! 골표상목
|-
|
{| class="wikitable"
|-
| 압치목
|-
|
{| class="wikitable"
|-
| 잉어목
|-
|
{| class="wikitable"
|-
| 카라신목
|-
|
|}
|}
|}
|}
|}
|-
| 신진골어류
|}
|}
|}
|}
|}
|}
3. 4. 세부 계통 분류 (2016년)
2016년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8]{| class="wikitable"
|-
! 민머리치목
|-
|
{| class="wikitable"
|-
| 플라티트록테스과
|-
|
{| class="wikitable"
|-
| 바틸라코과
|-
| 민머리치과
|-
|
{| class="wikitable"
|-
| 렙토킬리크티스속
|-
|
{| class="wikitable"
|-
| ''Bathytroctes'', ''Narcetes'', ''Rinoctes''
|-
|
Bajacalifornia, Bathyprion, Talismania |
나머지 민머리치과 |
|}
|}
|}
|}
|}
- 알레포케팔루스과(전형적인 민머리치) (과거의 바틸라코니데과, 렙토킬리크티스과 포함)
- 플라티트로크투스과(시어시과 포함)
참조
[1]
간행물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Living and Fossil Ray-Finned Fishes (Actinopterygii)
[2]
기타
The Emerging Phylogenetic Perspective on the Evolution of Actinopterygian Fishes
https://par.nsf.gov/[...]
[3]
간행물
Discovery of a colossal slickhead (Alepocephaliformes: Alepocephalidae): An active-swimming top predator in the deep waters of Suruga Bay, Japan
2021
[4]
간행물
Detection of the Largest Deep-Sea-Endemic Teleost Fish at Depths of Over 2,000 m Through a Combination of eDNA Metabarcoding and Baited Camera Observations
2022-07-01
[5]
기타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16
[6]
기타
Study Resolves 50-Year Dispute of Teleost Fishes Ancestral Lineage
https://www.fau.edu/[...]
[7]
기타
Genome structures resolve the early diversification of teleost fishes
https://hal.science/[...]
[8]
기타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Bony Fishes – Version 4
https://sites.google[...]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