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라노 지하철 2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라노 지하철 2호선은 1969년 개통된 밀라노 지하철의 노선으로, 카이아초-카시나 고바 구간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현재 총 40.4km, 35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노선은 카시나 고바에서 파마고스타까지 이어지는 주 노선을 중심으로 북쪽, 북동쪽, 남동쪽, 남쪽에 지선이 존재한다. 현재 ET245형, 메네기노 (900계), 레오나르도 (570계, 5000계) 차량이 운행 중이며, 과거에는 100/200계, 300/400계, 500계, 800계 등 다양한 차량이 운행되었다. 콜로뇨에서 비메르카테까지의 연장 계획이 있었으나, 예산 부족으로 중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밀라노 지하철 노선 - 밀라노 지하철 4호선
밀라노 지하철 4호선은 로렌테지오 지역과 리나테 공항을 연결하며 밀라노 시내를 관통하는 지하철 노선으로, 2022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어 2024년 현재 13개 역이 개통되었고 ATM-Webuild 컨소시엄이 건설, 무인 자동 열차 시스템을 사용한다. - 밀라노 지하철 노선 - 밀라노 지하철 1호선
밀라노 지하철 1호선은 밀라노에서 가장 먼저 개통된 지하철 노선으로, 세스토산조반니에서 출발하여 밀라노 도심을 지나 두 개의 지선으로 나뉘며 두오모, 카도르나 역 등 주요 지점을 연결하고, 현재 몬차 베톨라 구간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 196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여천선
여천선은 전라남도 여수시에 있는 한국철도공사 소속의 총 11.6km의 화물 철도 노선이며, 1969년 개통되어 호남정유 인입선으로 건설되었고, 현재는 화물 전용선으로 운영된다. - 196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베이징 지하철 1호선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은 베이징 시내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간선 노선으로, 1971년 개통 이후 2021년 8호선과의 직결 운행을 시작했으며, 현재 미래 개발 계획이 진행 중이다. - 밀라노 지하철 2호선 - 비모드로네역
비모드로네역은 1900년 개통된 이탈리아 철도역으로, 현재 승차권 자동판매기는 없으며 역 근처에 버스 정류장이 있다. - 밀라노 지하철 2호선 - 산탐브로조역
산탐브로조역은 장애인 접근 시설, 에스컬레이터, 자동 판매기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춰 승객의 안전과 편의를 제공한다.
밀라노 지하철 2호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노선 체계 | 밀라노 지하철 |
노선 상태 | 운영 중 |
노선 지역 | 이탈리아, 밀라노 |
기점 | 아비아테그라소 역/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룸 역 |
종점 | 제사테 역/콜로뇨 노르드 역 |
역 수 | 35개 |
노선 길이 | 39.4 km |
일일 승객 수 | 360,000명 (2012년) |
개통일 | 1969년 9월 27일 |
운영 기관 | 아지엔다 트라스포르티 밀라네시 (ATM) |
차량 | 안살도브레다 메네기노/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철화 방식 | 직류 1500V 가공 전차선 |
명칭 | |
이탈리아어 | Linea 2 |
별칭 | 리네아 베르데 (Linea Verde, 녹색 선) |
2. 역사
1969년 9월 27일, 밀라노 지하철 2호선의 첫번째 구간인 '카이아초' - '카시나 고바' 구간이 개통되었다.
2호선의 도시 연결 구간은 원래 고속 트램노선인 '리네 첼레리 델라다' (아다 고속선/Linee celeri dell'Addait)의 일부로 지어졌는데, 이 노선은 1968년 개통되어 '치미아노'에서 '고르곤촐라'까지 운행하였다. 몇 년 뒤 1972년 이 구간은 새롭게 생긴 지하철 노선 (2호선)에 포함되었다. 이후 1985년에는 고르곤촐라 역에서 현재 종착역인 제사테 역까지 연장되기도 했다.
2005년 3월과 2011년 2월에는 각각 남부의 아비아테그라소,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룸 역으로 향하는 두 개의 지선이 개통되었다.
개통 날짜 | 구간 |
---|---|
1969년 9월 27일 | 카이아초 - 카시나 고바 |
1970년 4월 27일 | 카이아초 - 첸트랄레 |
1971년 7월 12일 | 첸트랄레 - 포르타 가리발디 |
1972년 12월 4일 | 카시나 고바 - 고르곤촐라 |
1978년 3월 3일 | 포르타 가리발디 - 카도르나 |
1981년 6월 7일 | 카시나 고바 - 콜로뇨 노르드 |
1983년 10월 30일 | 카도르나 - 포르타 제노바 |
1985년 4월 13일 | 고르곤촐라 - 제사테, 포르타 제노바 - 로몰로 |
1994년 11월 1일 | 로몰로 - 파마고스타 |
2005년 3월 17일 | 파마고스타 - 아비아테그라소 |
2011년 2월 20일 | 파마고스타 - 밀라노피오리 포룸 |
2. 1. 초기 개통 및 확장
1969년 9월 27일, 밀라노 지하철 2호선의 첫 번째 구간인 '카이아초' - '카시나 고바'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1970년 4월 27일 카이아초-첸트랄레, 1971년 7월 12일 첸트랄레-포르타 가리발디 구간이 차례로 개통되었다.2호선의 도시 연결 구간은 원래 고속 트램 노선인 '리네 첼레리 델라다' (아다 고속선/Linee celeri dell'Addait)의 일부로 1968년 '치미아노'에서 '고르곤촐라'까지 운행하였으나, 1972년 이 구간은 2호선에 포함되었다. 1985년에는 고르곤촐라 역에서 제사테 역까지 연장되었다.
1978년 3월 3일 가리발디-카도르나 구간이 개통되었고, 1983년 10월 30일 카도르나 - 포르타 제노바 구간이 개통되었다. 1981년 6월 7일에는 카시나 고바-콜로뇨 노르드 구간이 개통되었다. 1985년 4월 13일에는 고르곤촐라-제사테, 포르타 제노바-로몰로 구간이, 1994년 11월 1일에는 로몰로-파마고스타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5년 3월과 2011년 2월에는 각각 남부의 아비아테그라소,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룸 역으로 향하는 두 개의 지선이 개통되었다.
개통 날짜 | 구간 |
---|---|
1969년 9월 27일 | 카이아초 - 카시나 고바 |
1970년 4월 27일 | 카이아초 - 첸트랄레 |
1971년 7월 12일 | 첸트랄레 - 포르타 가리발디 |
1972년 12월 4일 | 카시나 고바 - 고르곤촐라 |
1978년 3월 3일 | 포르타 가리발디 - 카도르나 |
1981년 6월 7일 | 카시나 고바 - 콜로뇨 노르드 |
1983년 10월 30일 | 카도르나 - 포르타 제노바 |
1985년 4월 13일 | 고르곤촐라 - 제사테, 포르타 제노바 - 로몰로 |
1994년 11월 1일 | 로몰로 - 파마고스타 |
2005년 3월 17일 | 파마고스타 - 아비아테그라소 |
2011년 2월 20일 | 파마고스타 - 밀라노피오리 포룸 |
2. 2. 남부 지선 개통
2005년 3월과 2011년 2월에는 남부의 아비아테그라소,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룸 역으로 향하는 두 개의 지선이 개통되었다.
밀라노 지하철 2호선은 40.4km 길이이며 35개의 역을 가지고 있다. 카시나 고바에서 파마고스타까지 이어지는 중앙 구간을 가지고 있고, 양쪽 끝에서 분기된다. 북쪽 지선은 콜로뇨 수드에서 콜로뇨 노르드까지, 북동쪽 지선은 비모드론에서 제사테까지, 남동쪽 지선은 아비아테그라소 역, 남쪽 지선은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노르드에서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럼까지 운행한다.
3. 노선
역 이름 환승 등급 지선 개통 제사테 지상 제사테 지선 1985년 4월 13일 카시나 안토니에타 고르곤졸라 1972년 12월 4일 빌라 폼페아 부세로 카시나 데 페키 빌라 피오리타 체르누스코 술 나빌리오 카시나 부로나 비모드론 콜로뇨 노르드 지상 콜로뇨 노르드 지선 1981년 6월 7일 콜로뇨 센트로 콜로뇨 수드 카시나 고바 지상 주 노선 1969년 9월 27일 크레센차고 치미아노 우디네 지하 람브라테 FS S9 피올라 로레토 M1 카이아초 첸트랄레 FS M3 1970년 4월 27일 조이아 1971년 7월 12일 가리발디 FS M5 모스코바 1978년 3월 3일 란차 카도르나 FN M1 산탐브로조 M4 1983년 10월 30일 산타고스티노 포르타 제노바 FS 로몰로 S9 1985년 4월 13일 파마고스타 1994년 11월 1일 피아차 아비아테그라소 지하 피아차 아비아테그라소 지선 2005년 3월 17일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노르드 지상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럼 지선 2011년 2월 20일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럼
3. 1. 지선
밀라노 지하철 2호선은 40.4km 길이의 노선이며 35개의 역을 가지고 있다. 카시나 고바에서 파마고스타까지 이어지는 중앙 구간을 가지고 있으며, 양쪽 끝에서 분기된다. 북쪽 지선은 콜로뇨 수드에서 콜로뇨 노르드까지, 북동쪽 지선은 비모드론에서 제사테까지, 남동쪽 지선은 아비아테그라소 역, 남쪽 지선은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노르드에서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럼까지 운행한다.
역 이름 | 환승 | 등급 | 지선 | 개통 |
---|---|---|---|---|
제사테 | 지상 | 제사테 지선 | 1985년 4월 13일 | |
카시나 안토니에타 | ||||
고르곤졸라 | 1972년 12월 4일 | |||
빌라 폼페아 | ||||
부세로 | ||||
카시나 데 페키 | ||||
빌라 피오리타 | ||||
체르누스코 술 나빌리오 | ||||
카시나 부로나 | ||||
비모드론 | ||||
콜로뇨 노르드 | 지상 | 콜로뇨 노르드 지선 | 1981년 6월 7일 | |
콜로뇨 센트로 | ||||
콜로뇨 수드 | ||||
카시나 고바 | 지상 | 주 노선 | 1969년 9월 27일 | |
크레센차고 | ||||
치미아노 | ||||
우디네 | 지하 | |||
람브라테 FS | S9 | |||
피올라 | ||||
로레토 | M1 | |||
카이아초 | ||||
첸트랄레 FS | M3 | 1970년 4월 27일 | ||
조이아 | 1971년 7월 12일 | |||
가리발디 FS | M5 | |||
모스코바 | 1978년 3월 3일 | |||
란차 | ||||
카도르나 FN | M1 | |||
산탐브로조 | M4 | 1983년 10월 30일 | ||
산타고스티노 | ||||
포르타 제노바 FS | ||||
로몰로 | S9 | 1985년 4월 13일 | ||
파마고스타 | 1994년 11월 1일 | |||
피아차 아비아테그라소 | 지하 | 피아차 아비아테그라소 지선 | 2005년 3월 17일 | |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노르드 | 지상 |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럼 지선 | 2011년 2월 20일 | |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럼 |
3. 2. 역 목록
밀라노 지하철 2호선은 총 40.4km 길이의 35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시나 고바에서 파마고스타까지 이어지는 중앙 구간을 중심으로, 양쪽 끝에서 분기된다.역 이름 | 환승 | 등급 | 지선 | 개통 |
---|---|---|---|---|
제사테 | 지상 | 제사테 지선 | 1985년 4월 13일 | |
카시나 안토니에타 | ||||
고르곤졸라 | 1972년 12월 4일 | |||
빌라 폼페아 | ||||
부세로 | ||||
카시나 데 페키 | ||||
빌라 피오리타 | ||||
체르누스코 술 나빌리오 | ||||
카시나 부로나 | ||||
비모드론 | ||||
콜로뇨 노르드 | 지상 | 콜로뇨 노르드 지선 | 1981년 6월 7일 | |
콜로뇨 센트로 | ||||
콜로뇨 수드 | ||||
카시나 고바 | 지상 | 주 노선 | 1969년 9월 27일 | |
크레센차고 | ||||
치미아노 | ||||
우디네 | 지하 | |||
람브라테 FS | S9 | |||
피올라 | ||||
로레토 | ||||
카이아초 | ||||
첸트랄레 FS | 1970년 4월 27일 | |||
조이아 | 1971년 7월 12일 | |||
가리발디 FS | ||||
모스코바 | 1978년 3월 3일 | |||
란차 | ||||
카도르나 FN | ||||
산탐브로조 | 1983년 10월 30일 | |||
산타고스티노 | ||||
포르타 제노바 FS | ||||
로몰로 | S9 | 1985년 4월 13일 | ||
파마고스타 | 1994년 11월 1일 | |||
피아차 아비아테그라소 | 지하 | 피아차 아비아테그라소 지선 | 2005년 3월 17일 | |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노르드 | 지상 |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럼 지선 | 2011년 2월 20일 | |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럼 |
북쪽 지선은 콜로뇨 수드에서 콜로뇨 노르드까지, 북동쪽 지선은 비모드론에서 제사테까지 운행한다. 남동쪽 지선은 아비아테그라소 역까지, 남쪽 지선은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노르드에서 아사고 밀라노피오리 포럼까지 운행한다.
4. 운행 차량
밀라노 지하철 2호선의 운행 차량에는 두 종류가 있다. 1969년 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ET245형 차량은 시내와 교외 구간에 따라 두 가지 버전으로 나뉜다. 시내용 차량은 객차당 8개의 출입문과 일반적인 수의 좌석을, 교외용 차량은 객차당 6개의 출입문과 더 많은 좌석을 갖추고 있었다. 초기 ET245형 열차는 여전히 운행 중이며, 일부는 최근 몇 년 동안 갱신되었다.
두 번째 운행 유형은 안살도브레다에서 제작한 메네기노 (900계) 차량이다. 2009년 4월에 첫 번째 차량이 도입되었으며 15개 편성이 운행중이다. 2015년에는 레오나르도 (570계, 5000계)가 도입되었으며, 42개 편성이 운행중이다. 이 두 새로운 시리즈는 2020년까지 다른 모든 차량을 대체하여 퇴역시킬 예정이다.
과거에는,
- '''100/200계''': 1호선 임시 차량. 1969년에 운행 시작. 1970년부터 운행 중단.
- '''500계''' 와 '''800계''' 도시 간 노면 전차 차량: 1972년부터 운행 중단. 치미아노-고르곤졸라 구간에서만 운행.
- '''300계''': 3도어 차량 (중간차는 2100계). 1970년에 운행 시작. 2018년부터 운행 중단.
- '''400계''': 3도어 차량 (중간차는 2500계). 1970년에 운행 시작. 2018년부터 운행 중단.
- '''300계''': 4도어 차량 (중간차는 2110계). 1985년에 운행 시작. 2020년부터 운행 중단.
- '''500계''' Inverter: 4도어 차량 VVVF 인버터 차량 (중간차는 3000계). 1987년에 운행 시작. 2002년 철수. 2002년에 운전 재개, 2019년부터 운행 중단.
4. 1. 현재 운행 차량
밀라노 지하철 2호선의 운행 차량에는 두 종류가 있다. 1969년 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ET245형 차량은 시내와 교외 구간에 따라 두 가지 버전으로 나뉜다. 시내용 차량은 객차당 8개의 출입문과 일반적인 수의 좌석을, 교외용 차량은 객차당 6개의 출입문과 더 많은 좌석을 갖추고 있었다. 초기 ET245형 열차는 여전히 운행 중이며, 일부는 최근 몇 년 동안 갱신되었다.두 번째 운행 유형은 안살도브레다에서 제작한 메네기노 (900계) 차량이다. 2009년 4월에 첫 번째 차량이 도입되었으며 15개 편성이 운행중이다. 2015년에는 레오나르도 (570계, 5000계)가 도입되었으며, 42개 편성이 운행중이다. 이 두 새로운 시리즈는 2020년까지 다른 모든 차량을 대체하여 퇴역시킬 예정이다.
1970년부터 300/400 시리즈 열차가 인도되면서, 1호선에서 이전된 100/200 시리즈 열차는 다시 1호선으로 이동했다. 1985년에는 300 시리즈를 개선하여 4개의 출입문을 갖춘 350 시리즈가 도입되었다. 1987년에는 3호선 8000 시리즈에 장착될 새로운 GTO–VVVF 인버터를 테스트하기 위한 500 시리즈가 도입되었다.
4. 2. 과거 운행 차량
밀라노 지하철 2호선은 개통 초기 1호선에서 이전된 100/200 시리즈 열차로 임시 운행했다. 1969년에 운행을 시작하여 1970년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1972년까지는 500계와 800계 도시 간 노면 전차 차량이 치미아노-고르곤졸라 구간에서만 운행되었다.1970년부터 300/400 시리즈 열차가 인도되면서 100/200 시리즈 열차는 다시 1호선으로 이동했다. 3개의 출입문을 가진 300/400 시리즈 열차는 1970년에서 1981년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1985년에는 이전의 300 시리즈를 개선하여 3개 대신 4개의 출입문을 갖춘 350 시리즈가 도입되었다. 350 시리즈 열차는 1985년과 1991년 사이에 2차례에 걸쳐 생산되었다. 3도어 차량인 300계(중간차 2100계)와 400계(중간차 2500계)는 1970년에 운행을 시작하여 2018년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4도어 차량인 300계(중간차 2110계)는 1985년에 운행을 시작하여 2020년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1969년 노선 개통과 함께 도입된 ET245형 열차는 2호선에서 처음 운행된 차량이다. ET245형은 도시 및 교외 노선에 따라 두 가지 버전으로 제공되었는데, 전자는 객차당 8개의 출입문과 일반 좌석을, 후자는 객차당 6개의 출입문과 더 많은 좌석을 갖추고 있었다. 초기 ET245형 열차는 여전히 노선에서 운행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최근 몇 년 동안 갱신되었다.
1987년에는 3개의 실험 열차로 구성된 500 시리즈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3호선 8000 시리즈에 장착될 새로운 GTO–VVVF 인버터를 테스트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4도어 VVVF 인버터 차량인 500계(중간차 3000계)는 1987년에 운행을 시작하여 2002년 철수했다가, 2002년에 운전을 재개하여 2019년부터 운행이 중단되었다.
5. 연장 계획
콜로뇨 역에서 북쪽 비메르카테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있다.[7][2] 이 구간은 엑스포 개최 전인 2015년까지 완료될 예정이었으나, 예산 부족으로 공사가 중단되었다.[8]
참조
[1]
뉴스
Area C rilancia i mezzi pubblici è boom di passeggeri sul metrò
http://milano.repubb[...]
2012-10-28
[2]
웹사이트
UrbanFile - Milano | Prolungamento M2 a Vimercate
http://www.urbanfile[...]
2011-06-26
[3]
웹사이트
Metropolitane a Milano - Metropolitana Milanese
http://www.metropoli[...]
[4]
서적
イタリア2013
昭文社
[5]
뉴스
Area C rilancia i mezzi pubblici è boom di passeggeri sul metrò
http://milano.repubb[...]
2012-09-19
[6]
웹인용
Schema rete
http://www.atm-mi.it[...]
ATM - Azienda Trasporti Milanesi
2011-10-19
[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urbanfile[...]
2011-06-26
[8]
뉴스
Vimercate, "Tante firme per far partire la metropolitana"
http://www.ilgiorno.[...]
Il Giorno
2011-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