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밀착은 부모가 자녀의 독립을 방해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자녀의 질병, 트라우마, 학교 문제 등에서 비롯될 수 있다. 밀착된 가족은 과도한 간섭과 통제, 개인의 자율성 부족, 감정적 의존성을 특징으로 하며, 자녀는 부모의 기대를 충족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는다. 이로 인해 공의존, 사회불안, 낮은 자아존중감 등 정서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의 정체성 혼란, 타인과의 경계 부재, 역할 혼란 등의 징후가 나타난다. 치료는 구성원 간의 경계를 명확히 하고, 개인의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밀착에 대한 정의는 문화적 차이를 보이며,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상호작용 방식을 병리화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인 커뮤니케이션 - 사회교환이론
사회교환이론은 사회적 행동을 경제적 교환으로 간주하며, 개인들이 보상과 비용을 평가하여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사회학 및 심리학 이론으로, 호혜성, 사회 침투, 형평성 등의 개념을 통해 대인 관계, 경영, 직장, 온라인 네트워킹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대인 커뮤니케이션 - 귀인 이론
귀인 이론은 개인이 타인이나 사건의 원인을 내적 또는 외적 요인으로 설명하는 심리학 이론이며, 귀인 편향은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의미한다. - 심리요법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 관리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인식, 평가, 대처 과정을 포함하며, 다양한 스트레스 모델과 측정 방법, 그리고 여러 환경에서의 스트레스 유형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개인 맞춤형 기법과 전문가의 도움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 심리요법 - 실존적 위기
실존적 위기는 삶의 의미와 목적 상실에서 비롯되는 내적 갈등으로, 개인의 의미 추구와 무의미한 세상 사이의 모순으로 이해되며, 심리 치료뿐 아니라 조직의 존립 위협에도 적용될 수 있고, 다양한 해결 방안이 모색된다.
밀착 |
---|
2. 원인
밀착의 원인은 부모가 무의식적으로 자녀의 분리를 방해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자녀에게 질병, 정신적 트라우마, 학교 문제 등이 발생하면 부모는 자녀를 보호하려 한다. 자녀가 성장하면서 부모는 자녀가 다시 약해질 것을 걱정하면서도 보호자 역할을 내려놓으려 노력한다. 이러한 행동은 부모가 자신의 부모로부터 본받은 것일 수 있으며, 공포에서 비롯되어 여러 세대에 걸쳐 전염될 수 있다. 불안의 근원은 다음과 같다.[24]
- 자녀가 성장하여 자신을 떠나거나 버릴 것이라는, 혼자 남는 것에 대한 두려움
- 아이에게 쓸모없거나 무가치한 존재가 되는 것에 대한 두려움 (낮은 자부심에서 비롯)
- 자녀가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사람이 되는 것을 두려워하여 자신에게 의존하게 함
- 양육자 혹은 부모로서의 역할이 소멸될 것에 대한 두려움, 이로 인해 느끼게 될 자신의 정체성 소멸, 공허감에 대한 두려움
- 자녀 양육이라는 삶의 목적이 사라지면서 느끼는 무목적성에 대한 두려움
3. 진단 기준
- 자율적인 행동, 자기만의 일, 독특한 선택은 배신으로 간주된다.
- 가족 구성원 전체가 서로의 삶에 과도하게 간섭하며, 사생활이 거의 없다.
- 가족 구성원에게 '아니오'라고 말하는 것이 부끄럽거나 거절당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 부모 중 한 명 혹은 둘 다 자녀를 통제하려 하거나 자녀에게 엄격하다.
- 자녀는 부모가 원하는 사람이 되려고 하며, 진정한 자아가 되는 것은 허락되지 않는다.
- 가족이 각자의 의견을 내어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주체로서 단일한 결정을 내린다.
- 가족 구성원 중 한 명이 불안, 분노, 우울을 느끼면 모두 같이 느낀다.
- 아버지나 어머니를 돌봐야 하거나, 아버지나 어머니의 부모 역할을 해야 한다고 느끼는 부모화 현상을 경험한다.
- 자신의 실패나 성공이 가족의 가치감과 직결된다.
- 평등과 존경이 아니라 힘과 복종을 기반으로 가족이 존재한다.
4. 정서적 문제
부모로부터 독립되지 않아 명확한 자아감과 정체성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다음과 같은 정서상의 문제가 보인다.[25]
- 공의존
- 사회불안
- 독이 되는/학대적 관계
- 우울
- 공허감
- 애정결핍
- 애정이 결여된/건전치 못한 친구 관계
- 과도한 감정이입
- 낮은 자아존중감
5. 징후
밀착된 가족에서 자란 자녀는 성인이 된 이후 대인관계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들에 직면하게 된다.[26]
- 주변 사람들을 구해야 한다고 느낀다.
- 동시에 누군가가 자신을 구해주길 바란다.
- 타인의 감정, 습관, 선택에 대한 책임을 진다.
- 자신의 감정과 타인의 감정을 구분하지 못한다.
- 자신이나 친한 사람에게 개인적인 공간을 주려 한다.
- 파트너가 자신에 대한 계약을 이행 완료한 후 사라지면 자신은 아무것도 아닐 것이라고 느낀다.
- 타인의 삶에 쉽게 휘말리게 된다.
- 친한 사람이 혼자서 따로 일을 하길 바라면 배신감을 느낀다.
- 타인에게 얼마나 쓸모있는지를 자신의 가치 기준으로 삼는다.
- 집착을 돌봄으로 착각한다.
- 자기 자신이 누군지 모른다. 자아감이 약하다.
- 타인과 함께 있으면 자기 정체성을 잃는다.
- 가족, 친구, 연인, 배우자 외에 다른 관심사나 취미가 없다.
- 내가 아닌 타인이 내 감정을 책임지게 한다.
정서적, 신체적 경계(바운더리)가 결여되어 있다.[27]
- 자신에게 가장 좋은 게 무엇인지 혹은 무엇을 원하는지 모른다. 항상 타인을 기쁘게 하거나 돌보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 타인의 행복과 복지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 대화를 하지 않거나 휴가를 같이 보내지 않는 등 부모와의 접촉을 피할 때, 취업을 위해 멀리 이사가야 할 때, 죄책감을 느끼거나 수치스러워한다.
- 부모의 자존심이 자녀의 성공과 성취를 방해하는 것 같다.
- 부모가 자녀의 삶을 다 알려고 한다.
- 부모의 삶이 자녀의 삶의 중심에 있다.
- 부모가 자녀의 꿈을 지지하지 못하고 자녀에게 해야 할 일만을 부과한다.
- 가족 구성원 간에 개인적 경험과 느낌을 과도하게 공유함으로써, 비현실적인 기대, 건강치 못한 의존, 역할 혼란을 형성한다.
- 부모가 아이를 친구로 생각하고 정서적 지지를 받기 위해 아이에게 의지하며, 적절치 못한 개인 정보를 공유한다.
- 자녀는 부모의 기대를 충족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나, 부모가 원치 않기에 자신의 목표를 버릴 수도 있다.
- 갈등을 피하려 하며 '아니오'라고 할 줄 모른다.
- 자신이 누군지에 대한 감각이 약하다.
- 타인의 감정을 흡수하여 타인의 문제를 고쳐야 한다고 생각한다.
6. 치료
치료의 기본 원칙은 구성원 간 경계(바운더리)를 명확히 하고, 세대를 각자의 분리된 칸으로 분리시키며, 개입과 분리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다.[28][29] 동시에 치료자는 본인이 가족 하위체계에 밀착되는 것, 즉 '도와주는 치료사/애정결핍의 내담자' 형태의 무의식적 밀착을 주의해야 한다.[30][31]
다음은 몇 가지 실천 방법이다.[32]
# 자기만의 관심사를 찾는다.
# 경계를 설정하고 '아니오'라고 말한다.
# 혼자 있는 연습을 한다.
# 관련 서적을 읽고 성격진단검사를 받는다.
# 자기애 방법을 익힌다.
7. 비판
밀착은 경험과 개념화 방식에 따라 문화적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10] 페미니스트 가족 치료 비평가들은 밀착 개념 자체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제시하기도 했다.[11][12][13]
7. 1. 문화적 차이
집단주의적인 문화와 개인주의적인 문화의 문화적 기대에 따라 "밀착"이 어떻게 경험되고 개념화되는지에 대한 중요한 문화적 차이가 존재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영국에서 "밀착된" 성인이 이탈리아의 성인보다 더 심한 우울증을 경험했다.[10]또한, 페미니스트 가족 치료 비평가들은 밀착의 개념 자체가 "여성이 선호하는 상호작용 방식을 병리적 또는 기능 부전으로 규정하는 일반적인 관행에 기여하는, 전형적인 남성적 자아 및 관계 기준을 반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1][12][13] 이러한 비판적 페미니스트 전통의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가장 강한 가족 결속력을 가진 젊은 여성들이 "밀착"으로 병리화될 수 있는 행동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높은 사회적 자존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14]
7. 2. 페미니즘적 관점
페미니스트 가족 치료 비평가들은 밀착 개념 자체가 "여성이 선호하는 상호작용 방식을 병리적 또는 기능 부전으로 규정하는 일반적인 관행에 기여하는, 전형적인 남성적 자아 및 관계 기준을 반영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11][12][13] 이러한 비판적 페미니스트 전통의 경험적 연구에 따르면, 가장 강한 가족 결속력을 가진 젊은 여성들이 "밀착"으로 병리화될 수 있는 행동을 보임에도 불구하고 가장 높은 사회적 자존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14]참조
[1]
서적
Family Therapy: An Overview
2008
[2]
서적
Peoplemaking
1983
[3]
서적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1997
[4]
서적
Iron John
1991
[5]
서적
[6]
서적
Reclaiming Virtue
2009
[7]
서적
[8]
서적
Own Your Own Life
1977
[9]
서적
I Don't Want to Talk About It
1997
[10]
논문
Cohesion and enmeshment revisited: differentiation, identity, and well-being in two european cultures
https://doi.org/10.1[...]
2006
[11]
논문
Psychological separation of older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from their parents: An investigation of gender differences
1995
[12]
서적
Women in families: 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
Norton
1989
[13]
논문
Enmeshment, fusion or relatedness?: a conceptual analysis
https://doi.org/10.1[...]
1988
[14]
논문
Family factors predicting social self-esteem in young adults
2008
[15]
서적
Family Therapy: An Overview
2008
[16]
서적
Peoplemaking
1983
[17]
서적
Internal Family Systems Therapy
1997
[18]
서적
Iron John
1991
[19]
서적
Family Therapy: An Overview
2008
[20]
서적
Reclaiming Virtue
2009
[21]
서적
Reclaiming Virtue
2009
[22]
서적
Own Your Own Life
1977
[23]
서적
I Don't Want to Talk About It
1997
[24]
웹사이트
13 Signs You’re Suffering From Toxic FamilyEnmeshment
https://lonerwolf.co[...]
[25]
웹사이트
13 Signs You’re Suffering From Toxic Family Enmeshment
https://lonerwolf.co[...]
[26]
웹사이트
13 Signs You’re Suffering From Toxic Family Enmeshment
https://lonerwolf.co[...]
[27]
웹사이트
The Enmeshed Family System: What It Is and How to Break Free
https://blogs.psychc[...]
2019-10-28
[28]
서적
Families and how to survive them
1993
[29]
서적
Family Therapy: An Overview
2008
[30]
서적
Families and how to survive them
1993
[31]
서적
Jung and Searles
1993
[32]
웹사이트
13 Signs You’re Suffering From Toxic Family Enmeshment
https://lonerwolf.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