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이노케라톱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이노케라톱스는 2003년 빅토르 테레셴코와 블라디미르 R. 알리파노프에 의해 명명된 각룡류 공룡의 한 속이다. 척추뼈를 기반으로 명명되었으며, 프로토케라톱스와는 다르고 우다노케라톱스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바이노케라톱스는 백악기에 북아메리카와 아시아에서 번성했던 초식 공룡으로, 척추뼈를 통해 분류되며, 다른 각룡류처럼 양치류, 소철류, 침엽수 등을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3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에우사우로스파르기스
    에우사우로스파르기스는 트라이아스기에 살았던 멸종된 해양 파충류 속으로, 넓게 확장된 등과 배, 작은 머리, 긴 꼬리를 가지며, 유럽 지역에서 화석이 발견되었고, 사우로프테리지아의 자매군으로 여겨졌으나 계통 발생 위치에 대한 다양한 가설이 제시되고 있다.
  • 2003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시조류
    시조류는 고생대 석탄기에 북아메리카에서 서식한 바라놉스과의 파충류로, 잘 발달된 다리를 이용해 빠른 달리기가 가능했으며 육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각룡하목 - 바가케라톱스
    바가케라톱스는 백악기에 몽골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작은 크기의 원시각룡 공룡으로, 부리와 뿔이 없고 어금니와 비슷한 이빨을 가졌으며 초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각룡하목 - 프시타코사우루스
    프시타코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 아시아에 살았던 앵무새 부리 모양의 특징을 가진 조반류 공룡 속으로, 다양한 종과 풍부한 화석 자료를 통해 생태 및 진화 연구에 기여한다.
  • 백악기 후기 아시아의 공룡 - 바가케라톱스
    바가케라톱스는 백악기에 몽골 고비 사막에서 발견된 작은 크기의 원시각룡 공룡으로, 부리와 뿔이 없고 어금니와 비슷한 이빨을 가졌으며 초식성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백악기 후기 아시아의 공룡 - 벨로키랍토르
    벨로키랍토르는 백악기 후기 동아시아에 서식한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의 공룡으로, 날렵한 몸놀림과 낫 모양의 발톱을 이용해 사냥했으며, 깃털 공룡이었고, 프로토케라톱스와 싸우는 화석을 통해 생태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지만, 영화 쥬라기 공원의 묘사는 실제와 차이가 있다.
바이노케라톱스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학명Bainoceratops efremovi
바이노케라톱스속 (Bainoceratops)
Bainoceratops efremovi
지질 시대백악기 후기,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파충강
아강이궁아강
하강지배파충하강
상목공룡상목
†조반목
미분류 아목신조반류
아목†주식두아목
하목†각룡하목
?렙토케라톱스과

2. 역사

빅토르 테레셴코와 블라디미르 R. 알리파노프는 2003년 몇 개의 등쪽 척추뼈를 기반으로 ''바이노케라톱스 에프레모비''(Bainoceratops efremovi)를 명명했다. 이들은 ''바이노케라톱스''의 척추뼈가 ''프로토케라톱스''와는 다르며, ''우다노케라톱스''와 더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고 보았다.[1] 2006년 북아메리카 고생물학자 피터 마코비키와 마크 A. 노렐은 ''바이노케라톱스''가 ''프로토케라톱스''와 동의어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그들은 ''바이노케라톱스''를 ''프로토케라톱스''와 구분하는 데 사용된 대부분의 특징이 ''프로토케라톱스''를 포함한 다른 케라톱스과 공룡에게서 발견되며, ''P. 앤드루시''(P. andrewsi)의 종내 변동 범위 안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2] 2007년 브렌다 J. 치네리와 존 R. 호너는 ''세라시놉스''를 설명하면서 ''바이노케라톱스''를 비롯한 여러 의심스러운 속들이 다른 잘 알려진 속의 변종이거나 미성숙 표본일 수 있다고 판단하여 계통 발생 분석에서 제외했다.[3]

3. 분류

바이노케라톱스는 각룡류(케라톱시아/Κερατοψιαgrc, 그리스어로 뿔 달린 얼굴이라는 의미) 에 속한다. 각룡류는 앵무새 같은 부리를 가지고 백악기북아메리카아시아에서 살던 초식성 공룡이다.

바이노케라톱스의 표본은 척추뼈로만 구성되어 있다. 척추뼈를 보면 프로토케라톱스와 다르며 우다노케라톱스 치조비와 더 가까운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바이노케라톱스는 부리를 특징으로 하는 각룡류에 속하는 초식 공룡의 한 클레이드에 분류된다.

바이노케라톱스의 유일한 표본인 홀로타입은 척추이다. 이 부분만으로도 충분히 원시케라톱스과와는 구별되며, 우다노케라톱스(렙토케라톱스과)와 더 가깝다고 여겨진다.

3. 1. 척추의 특징

바이노케라톱스의 유일한 표본인 홀로타입은 척추이다. 이 부분만으로도 충분히 원시케라톱스과와는 구별되며, 우다노케라톱스(렙토케라톱스과)와 더 가깝다고 여겨진다.

4. 식성

바이노케라톱스는 다른 각룡류와 마찬가지로 초식성이었을 것이다. 백악기 동안 속씨식물은 "지리적으로 제한된 지역에만 분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들 공룡은 당시에 번성했던 식물인 양치류, 소철류, 그리고 침엽수 등을 먹었던 것으로 보인다. 날카로운 부리를 가지고 잎을 뜯어먹었을 것이다.

참조

[1] 논문 Bainoceratops efremovi, a New Protoceratopid Dinosaur (Protoceratopidae, Neoceratopsia) from the Bain-Dzak Locality (South Mongolia) https://www.research[...] 2003
[2] 논문 Yamaceratops dorngobiensis, a New Primitive Ceratopsian (Dinosauria: Ornithischia) from the Cretaceous of Mongolia https://digitallibra[...] 2006
[3] 논문 A new neoceratopsian dinosaur linking North American and Asian taxa https://www.academia[...]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