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마어 대명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마어 대명사는 미얀마어에서 사용되는 대명사 체계에 대해 다루는 문서이다. 버마어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는 경어법을 사용하며, 이는 한국어, 일본어 등 다른 아시아 언어와 유사하다. 문법적으로는 주어 대명사에 주격 조사가 붙고 목적어 대명사 뒤에 목적격 조사가 붙는 형태를 보인다. 버마어는 1인칭, 2인칭, 3인칭 대명사를 포함한 다양한 인칭 대명사를 사용하며, 친족어, 종교적 대명사 등 특수한 상황에서 사용되는 대명사도 존재한다. 또한, 구어체에서는 소유격이 축약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지시 대명사와 재귀 대명사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버마어 - 미얀마 언어 위원회
미얀마 언어 위원회는 미얀마어의 발전, 보존, 표준화를 목표로 설립된 기관으로, 사전 편찬, 용어 및 번역 자료 출판, 교육 자료 개발 등의 사업을 통해 미얀마어와 문화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한다. - 버마어 - 버마 문자
버마 문자는 미얀마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쓰이는 문자로, 기본 자음 33개와 촉음 기호 4개를 바탕으로 음절을 구성하며, 11세기경부터 사용된 기록이 있고, 음운 변화에 따라 수정되어 19세기에 표준 톤 표기가 정착되었으며, 모음, 성조, 받침 표기, 숫자, 구두점 체계에서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미얀마어 외 몬어, 샨어 표기에도 쓰인다.
버마어 대명사 | |
---|---|
대명사 | |
언어 | 버마어 |
인칭 | |
1인칭 단수 | 기본형: 응아 공손형: 쩌또 (남성), 쩌마 (여성) |
2인칭 단수 | 기본형: 닝 공손형: 킨뱌 (남성), 신 (여성) |
3인칭 단수 | 투 |
1인칭 복수 | 기본형: 응아또 공손형: 쩌또또 (남성), 쩌마또 (여성) |
2인칭 복수 | 기본형: 닝또 공손형: 킨뱌또 (남성), 신또 (여성) |
3인칭 복수 | 투또 |
기타 | |
지시대명사 | 디 (이) 호 (저) |
의문대명사 | 베두 (누구) |
2. 문법 표지
미얀마어는 이 지역의 다른 언어들과 비교했을 때, 정교한 조사 체계를 가지고 있다. 주어 대명사는 문장의 앞에 위치하지만, 명령문과 구어체 미얀마어에서는 일반적으로 생략된다. 문법적으로 볼 때, 주격 조사(구어체: က /ɡa̰/, 문어체: သည် /θì/)는 주어 대명사에 붙지만, 구어체에서는 생략되는 경우가 많다. 목적격 조사(구어체: ကို /ɡò/, 문어체: အား /á/)는 목적어 대명사 바로 뒤에 붙는다.
미얀마어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에 따라 언어 표현이 달라지는 대명사 회피 현상을 보인다.[1] 이는 태국어, 베트남어, 한국어, 일본어 등 주요 아시아 언어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지역적 특징이다.[1] 미얀마어는 직접적으로 상대방에게 말을 거는 대신 지위, 친족 용어, 호칭 등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부정적 정중함"을 사용한다.[1][2]
미얀마어는 화자와 청자의 관계를 반영하는 실용적이고 사회적인 관계를 암호화하는 다양한 대명사를 사용한다. 정중한 표현으로는 남성이 자신을 낮추는 짜노/ကျွန်တော်my (/tɕənɔ̀/, 왕의 노예), 여성이 자신을 낮추는 짜마/ကျွန်မmy (/tɕəma̰/, 여성 노예) 등이 있다.[2] 상대방을 높이는 표현으로는 밍/မင်းmy (/mɪ́ɴ/, 주인, 어른), 킨뱌/ခင်ဗျားmy (/kʰəmjá/, 주인, 어른),[3] 신/ရှင်my (/ʃɪ̀ɴ/, 통치자, 주인) 등이 있다.[2]
3. 경어
높임말이 필요하거나 거리가 있는 화자에게는 3인칭을 사용하며, 이때 화자는 자신을 하인이라는 뜻으로 낮추고, 상대방을 주인님이라는 뜻으로 높여 말하는 등 예의를 중시한다. 예를 들어, 나이 많은 사람은 구어 대화에서 자신을 ("숙모") 또는 ("숙부")라고 지칭할 수 있는 반면, 젊은 사람은 ("아들") 또는 ("딸")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미얀마어는 문법적으로 불완전하지만 사회 내에서 화자와 청자 사이의 복잡한 관계에 따라 고도로 표시되는 개방형 대명사로 구성된 계층적인 대명사 체계를 가지고 있다.[2] 이러한 특징은 태국어와 베트남어와 같은 다른 저지대 본토 동남아시아 언어에서도 볼 수 있다.[2] 버마어 사용 지역에서 논농사의 만연은 사회가 계층적으로 더 구조화됨에 따라 버마어의 계층적 대명사 발달에 영향을 미쳤다.[2]
4. 인칭 대명사
높임말이 필요하거나 거리가 있는 화자에게는 3인칭을 사용한다. 이때 본인을 3인칭으로 낮춰 부르며 이때 쓰이는 인칭대명사는 자신을 하인이라는 뜻으로 낮추며 상대방을 주인님이라는 뜻으로 높일 만큼 예의를 중시한다.IPA 버마어 인칭 발언수준 비고 /ŋà/ 1인칭 구어체 친구 혹은 손아래사람 /tɕənɔ̀/ 1인칭 문어체 used by males /tɕəma̰/ 1인칭 문어체 used by females // 1인칭 구어체 /tɕouʔ/ 1인칭 구어체 /nɪ̀ɴ/ 2인칭 구어체 친구 혹은 손아래사람 /mɪ́ɴ/ 2안칭 구어체 친구 혹은 손아래사람 /ɲí/ 2인칭 구어체 친구나 손아래 사람에게 말함(여성) /tɔ̀/ 2인칭 구어체 여성 화자 /kʰəmjá/ 2인칭 문어체 남성 화자 /ʃɪ̀ɴ/ 2인칭 문어체 여성 화자 /(ə)θìɴ/ 2인칭 문어체 /θù/ 3인칭 /θí̃/ 3인칭 /ʧʰíɴ/ 3인칭
== 기본 인칭 대명사 ==
버마어는 고대 버마어에서 유래한 "진정한" 대명사를 가지고 있지만, 친밀한 상황이나 지위가 낮은 사람에게만 사용된다. 1인칭 대명사 응아/ငါmy (/ŋà/, 나)와 2인칭 대명사 닝/နင်my (/nɪ̀ɴ/, 너)는 친밀한 관계에서만 사용된다.인칭 용법 어휘 IPA 어원 용법 주석 1인칭 정중 짜노/ကျွန်တော်my /tɕənɔ̀/ 왕실 노예 남성이 사용 짜마/ကျွန်မmy /tɕəma̰/ 여성 노예 여성이 사용 비공식 응아/ငါmy /ŋà/ 프로토 티베트-버마어에서 유래 동등하거나 하위의 사람에게 말할 때 사용 쪼웃/ကျုပ်my /tɕouʔ/ 쩌노웃/ကျွန်ုပ်my의 축약형. 작은 노예 2인칭 정중 킨뱌/ခင်ဗျားmy /kʰəmjá/ 떠킨버야/သခင်ဘုရားmy의 축약형, 주인님 남성이 사용 신/ရှင်my /ʃɪ̀ɴ/ 지배자, 주인 여성이 사용 비공식 닝/နင်my /nɪ̀ɴ/ 프로토 티베트-버마어에서 유래 동등하거나 하위의 사람에게 말할 때 사용 밍/မင်းmy /mɪ́ɴ/ 주인 동등하거나 하위의 사람에게 말할 때 사용, 일반적으로 남성 화자가 사용 니/ညည်းmy /ɲí/ 비공식 같은 나이 또는 더 어린 여성에게 여성이 사용 3인칭 rowspan="3" | 뚜/သူmy /θù/ 띤/သင်းmy /θí̃/ 문어체에서만 사용 친/ချင်းmy /ʧʰíɴ/
== 친족어 ==
버마어에서는 일상 대화에서 1인칭, 2인칭, 3인칭 대명사 대신 친족어를 자주 사용한다.[4] 이러한 친족어의 사용은 화자와 청자 간의 친밀도와 연령 관계를 나타낸다.[5] 여성 화자들은 '형'(이고/အစ်ကိုmy > 꼬꼬/ကိုကိုmy)과 '남동생'(마웅/မောင်my > 마웅마웅/မောင်မောင်my)에 대한 친족어를 중복하여 애정 표현으로 사용하는 반면, 남성 화자들은 그렇지 않다.[5]용어 상호 용어 사용 참고 아퐈/အဖွားmy 따/သားmy 따미/သမီးmy 고령 여성에게 사용 아포/အဖိုးmy 고령 남성에게 사용 어메/အမေmy 부모와 나이가 비슷하고 친밀한 여성에게 사용 이마/အစ်မmy 니/ညီmy 니마/ညီမmy 부모보다 어리고 자신보다 나이 많은 여성에게 사용 이고/အစ်ကိုmy 부모보다 어리고 자신보다 나이 많은 남성에게 사용; 여성이 애정 표현으로도 사용 니마/ညီမmy 이고/အစ်ကိုmy 이마/အစ်မmy 자신보다 어린 여성에게 사용 마웅/မောင်my 자신보다 어린 남성에게 사용 (여성 화자); 여성이 애정 표현으로도 사용
== 종교적 대명사 ==
불교 승려와 대화할 때는 그들의 지위(와/ဝါmy)에 따라 특별한 대명사를 사용한다. 승려를 가리키는 말로는 bhun: bhun:/ဘုန်းဘုန်းmy (phun: kri:/ဘုန်းကြီးmy, "승려"에서 유래), chara dau/ဆရာတော်my (왕실 스승), a.hrang bhu.ra:/အရှင်ဘုရားmy (각하) 등이 있다.
승려가 자신을 가리킬 때는 ta. pany. tau/တပည့်တော်my (왕실 제자) 또는 da. ka/ဒကာmy (기증자)와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인칭 단수 (비격식) 단수 (격식) 1인칭 ta.pany. do/တပည့်တော်my da. ka/ဒကာmy 2인칭 bhun: bhun:/ဘုန်းဘုန်းmy
(u:) pasang:/(ဦး)ပဉ္စင်းmya.hrang bhu.ra:/အရှင်ဘုရားmy
chara dau/ဆရာတော်my
== 축약형 발음 규칙 ==
버마어는 양층언어로서 문어체와 구어체가 달리 존재한다. 일반 구어에서는 소유격이 축약형이 되는데 그 뿌리가 되는 대명사가 저평형성조일 때이다. 단, 이 현상은 문어체 현상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6]
구어체 버마어는 소유격을 나타내기 위해 저음에서 유도된 쉰 목소리 음으로의 변화라는 형태의 음절 조화를 보인다.[6] 이 현상은 문어체 버마어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예는 다음과 같다:4. 1. 기본 인칭 대명사
버마어는 고대 버마어에서 유래한 "진정한" 대명사를 가지고 있지만, 친밀한 상황이나 지위가 낮은 사람에게만 사용된다. 1인칭 대명사 ငါ (/ŋà/, 나)와 2인칭 대명사 နင် (/nɪ̀ɴ/, 너)는 친밀한 관계에서만 사용된다. 복수형은 တို့ (tui) 또는 구어체로 ဒို့ (dui')를 붙여 만든다.
인칭 | 용법 | 어휘 | IPA | 어원 | 용법 주석 |
---|---|---|---|---|---|
1인칭 | 정중 | 짜노/ကျွန်တော်my | 왕실 노예 | 남성이 사용 | |
짜마/ကျွန်မmy | 여성 노예 | 여성이 사용 | |||
쩌노웃/ကျွန်ုပ်my | 작은 노예 | ||||
မိမိ | 프로토 티베트-버마어에서 유래 | ||||
비공식 | 응아/ငါmy | 프로토 티베트-버마어에서 유래 | 동등하거나 하위의 사람에게 말할 때 사용 | ||
쪼웃/ကျုပ်my | ကျွန်ုပ်의 축약형. 작은 노예 | ||||
တို့ | |||||
ကိုယ် | 프로토 티베트-버마어에서 유래, 몸 | ||||
2인칭 | 정중 | 킨뱌/ခင်ဗျားmy | သခင်ဘုရား의 축약형, 주인님 | 남성이 사용 | |
신/ရှင်my | 지배자, 주인 | 여성이 사용 | |||
(어)띤/(အ)သင်my | 승려, 존경받는 사람 | ||||
လူကြီးမင်း | 어른 주인 | ||||
비공식 | 닝/နင်my | 프로토 티베트-버마어에서 유래 | 동등하거나 하위의 사람에게 말할 때 사용 | ||
밍/မင်းmy | 주인 | 동등하거나 하위의 사람에게 말할 때 사용, 일반적으로 남성 화자가 사용 | |||
니/ညည်းmy | 비공식 | 같은 나이 또는 더 어린 여성에게 여성이 사용 | |||
또/တော်my | 왕족 | 여성이 사용 | |||
3인칭 | rowspan="3" | | 뚜/သူmy | |||
띤/သင်းmy | 문어체에서만 사용 | ||||
친/ချင်းmy |
4. 2. 친족어
버마어에서는 일상 대화에서 1인칭, 2인칭, 3인칭 대명사 대신 친족어를 자주 사용한다.[4] 이러한 친족어의 사용은 화자와 청자 간의 친밀도와 연령 관계를 나타낸다.[5] 여성 화자들은 '형'(အစ်ကို > ကိုကို)과 '남동생'(မောင် > မောင်မောင်)에 대한 친족어를 중복하여 애정 표현으로 사용하는 반면, 남성 화자들은 그렇지 않다.[5]용어 | 상호 용어 | 사용 참고 |
---|---|---|
아퐈/အဖွားmy | 따/သားmy 따미/သမီးmy | 고령 여성에게 사용 |
아포/အဖိုးmy | 고령 남성에게 사용 | |
어도/အဒေါ်my 안띠/အန်တီmy | 부모와 나이가 비슷한 여성에게 사용 | |
울레/ဦးလေးmy 안께/အန်ကယ်my | 부모와 나이가 비슷한 남성에게 사용 | |
어메/အမေmy | 부모와 나이가 비슷하고 친밀한 여성에게 사용 | |
아페/အဖေmy | 부모와 나이가 비슷하고 친밀한 남성에게 사용 | |
이마/အစ်မmy | 니/ညီmy 니마/ညီမmy | 부모보다 어리고 자신보다 나이 많은 여성에게 사용 |
이고/အစ်ကိုmy | 부모보다 어리고 자신보다 나이 많은 남성에게 사용; 여성이 애정 표현으로도 사용 | |
니마/ညီမmy | 이고/အစ်ကိုmy 이마/အစ်မmy | 자신보다 어린 여성에게 사용 |
니/ညီmy | 자신보다 어린 남성에게 사용 (남성 화자) | |
마웅/မောင်my | 자신보다 어린 남성에게 사용 (여성 화자); 여성이 애정 표현으로도 사용 |
4. 3. 종교적 대명사
불교 승려와 대화할 때는 그들의 지위(와/ဝါmy)에 따라 특별한 대명사를 사용한다. 승려를 가리키는 말로는 bhun: bhun:/ဘုန်းဘုန်းmy (phun: kri:/ဘုန်းကြီးmy, "승려"에서 유래), chara dau/ဆရာတော်my (왕실 스승), a.hrang bhu.ra:/အရှင်ဘုရားmy (각하) 등이 있다.승려가 자신을 가리킬 때는 ta. pany. tau/တပည့်တော်my (왕실 제자) 또는 da. ka/ဒကာmy (기증자)와 같은 용어를 사용한다.
인칭 | 단수 (비격식) | 단수 (격식) |
---|---|---|
1인칭 | ta.pany. do/တပည့်တော်my | da. ka/ဒကာmy |
2인칭 | bhun: bhun:/ဘုန်းဘုန်းmy (u:) pasang:/(ဦး)ပဉ္စင်းmy | a.hrang bhu.ra:/အရှင်ဘုရားmy chara dau/ဆရာတော်my |
4. 4. 축약형 발음 규칙
버마어는 양층언어로서 문어체와 구어체가 달리 존재한다. 일반 구어에서는 소유격이 축약형이 되는데 그 뿌리가 되는 대명사가 저평형성조일 때이다. 단, 이 현상은 문어체 현상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6]구어체 버마어는 소유격을 나타내기 위해 저음에서 유도된 쉰 목소리 음으로의 변화라는 형태의 음절 조화를 보인다.[6] 이 현상은 문어체 버마어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예는 다음과 같다:
- ငါ (ŋà/ငါmy) + ရဲ့ (jɛ̰/ရဲ့my) = ငါ့ (ŋa̰/ငါ့my, 나의)
- နင် (nɪ̀ɴ/နင်my) + ရဲ့ (jɛ̰/ရဲ့my) = နင့် (nɪ̰ɴ/နင့်my, 너의)
- သူ (θù/သူmy) + ရဲ့ (jɛ̰/ရဲ့my) = သူ့ (θṵ/သူ့my, 그/그녀의)
이 축약은 일부 저음 명사에서도 발생하여 소유격 명사를 만든다(예: 또는 , 각각 "어머니의"와 "버마의").
5. 지시 대명사
버마어 지시 대명사는 지시 형용사와 동일하지만, 지시 대명사는 단독으로 쓰이고 지시 형용사는 명사를 수식한다. 가장 일반적인 지시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이들은 주로 무생물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며, 대부분 명사 또는 명사구를 참조한다. 지시 대명사는 이전의 대상을 나타내기 위해 (대명사 + 명사구)의 형태를 취한다.
의미 | 고어체 | 구어체 |
---|---|---|
"이것"(대명사) | 이/ဤmy i | 디/ဒီmy di |
새니/သည်my sany | ||
아 니/အနှီmy a hni | ||
"저것"(대명사) | 토/ထိုmy htui | 호/ဟိုmy hui |
얘응/ယင်းmy yang: | ||
레 까웅/၎င်းmy le kaung: | ||
아 나/အနှာmy a hna |
예를 들어, 마웅 띳 륀은 파칸(Phakant)에서 태어났습니다./မောင်သစ်လွင်သည် ဖားကန့်မြို့တွင်မွေးဖွားခဲ့သည်။my 그 도시는 '비취의 땅'으로도 불립니다./ထိုမြို့ကို ကျောက်စိမ်းမြို့တော်ဟုလည်းခေါ်သည်။my 위의 예문에서 지시 대명사 토/ထိုmy "그것"은 명사 묘/မြို့my "도시"와 함께 사용되어 파칸/ဖားကန့်မြို့my을 가리킨다.
6. 재귀 대명사
미얀마어에는 두 가지 형태의 재귀 대명사가 있다. 문어 형태는 미 미/မိမိmy이며, 종종 꼬/ကိုယ်my와 함께 사용되어 '자기 자신'을 뜻하는 미 미 꼬/မိမိကိုယ်my로 쓰인다. 구어 형태는 꼬/ကိုယ်my이며, 직접목적어와 대명사와 함께 사용된다. (즉, 투 꼬 투/သူ့ကိုယ်သူmy '자기 자신' 또는 꼬 꼬 꼬/ကိုယ့်ကိုယ်ကိုmy '자기 자신')
참조
[1]
웹사이트
Chapter Politeness Distinctions in Pronouns
https://wals.info/ch[...]
2024-12-07
[2]
논문
How Society Shapes Language: Personal Pronouns in the Greater Burma Zone
https://www.degruyte[...]
2017-03-01
[3]
문서
From Burmese သခင်ဘုရား, lit. "lord master"
[4]
웹사이트
Linguistics of the Tibeto-Burman Area
http://sealang.net/s[...]
2024-12-07
[5]
논문
Sibling Terms as Used by Marriage Partners
https://www.jstor.or[...]
1969
[6]
서적
17 Typological profile of Burmic languages
https://www.degruyte[...]
De Gruyter Mouton
2024-12-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