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버클리 DB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클리 DB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BSD 프로젝트에서 시작된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이다. 1991년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넷스케이프의 요청으로 슬리피캣 소프트웨어가 설립되어 개발 및 판매를 담당했다. 2006년 오라클이 슬리피캣 소프트웨어를 인수하여 Oracle Berkeley DB로 브랜드가 변경되었으며, 현재 C, Java, XML 세 가지 에디션으로 제공된다. 라이선스 정책 변화를 겪었으며, 특히 GNU AGPL로의 변경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미쳤다. 버클리 DB는 ACID 트랜잭션, 잠금, 백업 및 복제 기능을 지원하며, 다양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서 활용되었으나, 2013년 이후 사용량이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키-값 데이터베이스 - Memcached
    Memcached는 웹사이트의 데이터베이스 부하를 줄여 응답 시간을 개선하는 분산 메모리 객체 캐싱 시스템으로, 키-값 연관 배열 형태로 RAM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빠른 접근성을 제공한다.
  • 키-값 데이터베이스 - LevelDB
    LevelDB는 구글에서 개발한 오픈 소스 키-값 저장소로, 키와 값을 임의의 바이트 배열로 저장하고 키 순서로 데이터를 정렬하여 관리하며, 쓰기 일괄 처리, 정/역방향 반복, 스내피 압축을 지원하여 구글 크롬, Riak, 비트코인 코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마리아DB 10.0에서는 쿼리 가능한 스토리지 엔진을 제공한다.
  •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 - SQLite
    SQLite는 D. 리처드 히프가 설계한 서버리스 구조의 임베디드 SQL 데이터베이스 엔진으로, 별도의 DBMS 없이 프로그램에 통합되어 작동하며 전체 데이터베이스를 단일 파일로 저장하는 특징이 있고, 다양한 운영체제와 환경에서 널리 사용된다.
  • 임베디드 데이터베이스 - DBM (컴퓨팅)
    DBM은 1979년 켄 톰프슨이 개발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으로, 기본 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해시 함수를 통해 빠른 검색을 지원하며, 다양한 후속 구현체가 존재한다.
  • 데이터베이스 엔진 - 파일메이커
    파일메이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및 공유를 위한 소프트웨어로, FileMaker Pro를 통해 커스텀 앱을 제작하고 FileMaker Server로 LAN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 및 백업하며, FileMaker Go 앱과 FileMaker WebDirect를 통해 모바일 및 웹 브라우저에서 데이터베이스 솔루션을 활용하고 Claris Connect로 엔터프라이즈 앱과의 데이터 통합을 지원한다.
  • 데이터베이스 엔진 - MyISAM
    MyISAM은 MySQL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스토리지 엔진으로, 데이터 파일, 인덱스 파일, 테이블 정의 파일로 구성되어 읽기 작업에 최적화되었으나 트랜잭션과 외래 키를 지원하지 않아 데이터 무결성 유지가 어렵고, 현재는 InnoDB 엔진으로 대체되었지만 MariaDB에서는 개선 작업이 지속되고 있다.
버클리 DB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개요
개발자슬리피캣 소프트웨어
이후 오라클
저자Margo Seltzer
Keith Bostic (Sleepycat Software 소속)
라이선스듀얼 라이선스 (GNU Affero General Public License 및 proprietary license) (버전 6.x 이상 기준)
슬리피캣 라이선스 (버전 2.0-5.x)
4-clause BSD 라이선스 (버전 1.x) / JE는 아파치 라이선스 버전 2.0 하에서 라이선스됨.
웹사이트Oracle Berkeley DB
플랫폼Windows
Unix-like
프로그래밍 언어C
출시일1994년
최신 버전 출시일2020년 5월 29일
최신 버전18.1.40
크기약 1244 kB (Windows x86 컴파일 기준)

2. 역사

버클리 DB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BSD 운영 체제의 일부로 개발되기 시작했다.[5] 이는 BSD 개발자들이 기존 AT&T 유닉스 코드를 대체하는 과정에서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데이터베이스였다.[26][6] 1991년 처음 출시되어 4.4BSD에 포함되었으며, 이후 1996년 넷스케이프의 요청을 계기로 개발자들이 슬리피캣 소프트웨어를 설립하여 상업적인 개발과 지원을 시작했다.[7] 2006년 2월에는 오라클이 슬리피캣 소프트웨어를 인수하여 현재는 'Oracle Berkeley DB'라는 이름으로 제공되고 있다.[27]

버클리 DB는 버전에 따라 주요 기능이 발전해왔다.


  • 1.x: 키/값 데이터 저장을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소"(DS) 기능에 중점.
  • 2.x: 데이터 동시 접근을 위한 잠금 시스템 추가 ("동시 데이터 저장소", CDS).
  • 3.x: 트랜잭션 및 복구를 위한 로깅 시스템 추가 ("트랜잭션 데이터 저장소", TDS).
  • 4.x: 로그 레코드 복제를 통한 분산 고가용성 기능 추가 ("고가용성", HA).

이러한 발전 과정에서 API나 로그 형식에 일부 변경이 있었지만, 데이터베이스 형식 자체는 거의 변경되지 않았으며, HA 버전은 이전 버전 로그 레코드를 처리하여 온라인 업그레이드를 지원한다.

라이선스 정책에도 변화가 있었다. 초기에는 BSD 라이선스나 슬리피캣 공용 라이선스와 같은 오픈 소스 라이선스로 배포되었으나,[10][11] 오라클 인수 이후 6.0.21 버전부터는 GNU AGPL v3 라이선스로 변경되었다.[8][9] AGPL 외에 상용 라이선스를 구매할 수 있는 듀얼 라이선스 정책도 제공된다.

또한, 버클리 DB는 역사적인 유닉스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인 dbm, ndbm, hsearch와의 호환성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다.[12]

2. 1. BSD 프로젝트 기원

버클리 DB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에서 개발한 BSD 운영 체제의 일부로 시작되었다. BSD는 버클리 대학교의 유닉스 운영 체제 버전이다. 1986년 4.3BSD 이후, BSD 개발자들은 BSD가 기반으로 했던 기존 AT&T 유닉스 코드를 제거하거나 대체하는 작업을 진행했다.[26][5]

이 과정에서 기존 유닉스 데이터베이스 패키지를 다시 작성해야 할 필요성이 생겼다. 마고 셀처와 오잔 이이트[6]는 AT&T 특허 제약에서 자유로운 새로운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했는데, 이는 기존의 dbm 라이브러리보다 성능이 뛰어난 디스크 기반 해시 테이블이었다. 버클리 DB는 1991년에 처음 출시되었고, 이후 4.4BSD 버전에 포함되었다.

1996년, 넷스케이프LDAP 서버[7]넷스케이프 브라우저에서 사용하기 위해 당시 버전 1.86이었던 버클리 DB 라이브러리의 개선과 확장을 요청했다. 이 요청은 개발자들이 슬리피캣 소프트웨어를 설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슬리피캣 소프트웨어는 2006년 2월 오라클에 인수되었고,[27] 이후 버클리 DB는 'Oracle Berkeley DB'라는 이름으로 오라클 제품군의 일부가 되었다.

2. 2. 슬리피캣 소프트웨어

1996년 넷스케이프는 버클리 DB 개발자들에게 LDAP 서버[7]넷스케이프 브라우저에서 사용하기 위해 버전 1.86 라이브러리를 개선하고 확장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요청은 슬리피캣 소프트웨어의 설립으로 이어졌으며[26], 이 회사는 이후 버클리 DB의 개발과 판매를 담당했다. 슬리피캣 소프트웨어 시절 버클리 DB는 OSIFSF가 승인한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인 슬리피캣 공용 라이선스로 배포되었다.[10][11] 2006년 2월, 슬리피캣 소프트웨어는 오라클에 인수되었고[27], 버클리 DB는 ''Oracle Berkeley DB''라는 이름으로 오라클 제품군의 일부가 되었다.

2. 3. 오라클 인수

1996년 넷스케이프는 버클리 DB의 개발자들에게 LDAP 서버[7]넷스케이프 브라우저에서 사용하기 위해 라이브러리를 개선하고 확장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요청은 버클리 DB의 개발 및 상업화를 담당하는 회사인 슬리피캣 소프트웨어의 설립으로 이어졌다.

2006년 2월, 오라클은 슬리피캣 소프트웨어를 인수했다.[27] 인수 이후 버클리 DB는 ''Oracle Berkeley DB''로 브랜드명이 변경되었으며, 오라클의 제품군 중 하나가 되었다.

2. 4. 라이선스 정책의 변화

버클리 DB는 초기에 4-clause BSD 라이선스 (버전 2.0 이전) 및 OSIFSF이 승인한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인 슬리피캣 공용 라이선스로 배포되었다.[10][11] 이 라이선스 조건과 함께 완전한 소스 코드, 빌드 스크립트, 테스트 스위트, 설명서가 제공되어 수많은 자유 및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6.0.21 (오라클 12c) 릴리스부터 모든 버클리 DB 제품의 라이선스가 GNU AGPL v3로 변경되었다.[8][9][24] AGPL 라이선스 외에도 오라클에서 별도의 상용 독점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구매하여 재배포할 수 있는 듀얼 라이선스 정책을 제공한다.[23] GNU AGPL의 조건을 준수하기 어렵거나 슬리피캣 공용 라이선스가 적용된 이전 버전을 사용하고 싶지 않은 경우 이 상용 라이선스를 선택할 수 있다.

2013년에 기존의 슬리피캣 공용 라이선스에서 AGPL로 오픈 소스 라이선스를 변경한 결정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버클리 DB는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되므로, 이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역시 AGPL 호환 라이선스를 따라야 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많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 및 개발자들이 이러한 라이선스 변경을 수용하기 어려워했으며, 일부는 버클리 DB의 대안을 찾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데비안 리눅스는 LMDB를 대안으로 채택하고 버클리 DB 사용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기로 결정했다.[25]

3. 아키텍처

버클리 DB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보다 상당히 단순한 아키텍처를 가지고 있다. SQLite나 LMDB처럼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기반으로 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접근을 지원하지 않는다. 프로그램은 프로세스 내 API 호출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한다. 오라클은 버클리 DB에 SQLite 버전을 포함시켜 11g R2 릴리스에서 인기 있는 SQLite API를 기반으로 SQL 지원을 추가했다(저장소로 버클리 DB를 사용한다).[13]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프로그램은 레코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다. 버클리 DB는 레코드 데이터에 어떠한 제약도 두지 않으며, 레코드와 키 모두 최대 4GB까지 가능하다.

버클리 DB는 ACID 트랜잭션, 세분화된 잠금, 핫 백업 및 복제와 같은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지원한다. 오리지널 버클리 DB는 유닉스에 오랫동안 포함되어 있던 dbm에서 발전한 애플리케이션 내장형 데이터베이스이다. dbm과 마찬가지로 SQL과 같은 데이터 조작 언어를 갖지 않고,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접근은 모두 서브루틴 호출을 통해 수행한다. 그러나 dbm과는 달리 데이터 조작 기능에 트랜잭션이나 복제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X/Open XA 등)가 갖춰져 있는 것이 특징이며, 잠금 및 온라인 백업 기능도 갖는다.

버클리 DB 본체가 지원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C 및 C++뿐이지만, Perl, Python, Tcl 외에도 많은 언어에 바인딩이 제공되어 있어, 이를 통해 쉽게 사용할 수 있다.

4. 특징

버클리 DB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보다 상당히 단순한 아키텍처를 가지고 있다. SQLite나 LMDB처럼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하지 않으며, 네트워크 접근을 지원하지 않는다. 프로그램은 프로세스 내 API 호출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한다.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는 프로그램은 레코드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법을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으며, 버클리 DB는 레코드 데이터에 어떠한 제약도 두지 않는다. 레코드와 키는 모두 최대 4GB까지 가능하다.

버클리 DB는 ACID 트랜잭션, 세분화된 잠금, 핫 백업 및 복제와 같은 주요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지원한다. 이는 유닉스에 오랫동안 포함되어 있던 dbm에서 발전한 애플리케이션 내장형 데이터베이스로, dbm과 마찬가지로 SQL과 같은 데이터 조작 언어를 갖지 않고 서브루틴 호출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한다. 그러나 dbm과는 달리 데이터 조작 기능에 트랜잭션이나 복제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X/Open XA 등)가 갖춰져 있는 것이 특징이며, 잠금 및 온라인 백업 기능도 갖는다.

오라클은 버클리 DB에 SQLite 버전을 포함시켜 11g R2 릴리스에서 SQLite API를 기반으로 SQL 지원을 추가했다(저장소로 버클리 DB를 사용한다).[13] 버클리 DB는 소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아니다.

4. 1. 제품군

"버클리 DB"라는 이름은 오라클(Oracle Corporation)에서 세 가지 다른 제품에 사용하고 있으며, 그중 하나만 원래의 버클리 DB(BDB)이다.[14]

  • '''버클리 DB''': C로 구현된 오리지널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로, 이 문서의 주제이다.
  • '''버클리 DB 자바 에디션'''(Berkeley DB Java Editioneng):[15] 자바만을 사용하여 구현된 순수 자바 라이브러리이다. C 라이브러리를 모델로 설계되었지만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자바 실행 환경만 있으면 프로세서나 OS에 관계없이 이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데이터베이스 기능은 오리지널 버클리 DB와 거의 동일하다.
  • '''버클리 DB XML'''(Berkeley DB XML Editioneng):[16] XQuery 및 XPath를 사용한 XML 문서 검색에 특화된 C++ 프로그램이다. 백엔드로 오리지널 버클리 DB를 사용하며, 레거시 버전의 C 데이터베이스 라이브러리를 포함한다.


이 세 종류의 버클리 DB는 모두 오픈 소스로 공개되어 있지만, 용도에 따라 오픈 소스 라이선스[28]와 상업용 라이선스를 선택할 수 있는 듀얼 라이선스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버클리 DB 제품군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아니다.

4. 2. 지원 언어

''버클리 DB'' 본체가 직접 지원하는 프로그래밍 언어CC++이다. 하지만 Perl, Python, Tcl을 비롯한 여러 언어에 대해 바인딩이 제공되어, 이 언어들을 통해서도 버클리 DB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5. 활용 사례

버클리 DB(BDB)는 과거 데이터 저장 솔루션으로 매우 폭넓게 채택되었으나, 2013년 이후 라이선스 정책 변경 등의 요인으로 사용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일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와 운영 체제, 프로그래밍 언어 등에서 데이터 관리 목적으로 활용되거나 지원되고 있다.[17][18][19][20][21][22] 구체적인 사용 사례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1.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버클리 DB(BDB)는 한때 매우 널리 사용되었으나, 라이선스 정책 변경 등의 이유로 2013년부터 사용량이 줄어드는 추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데이터 저장을 위해 버클리 DB를 사용하는 주목할 만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는 다음과 같다.

버클리 DB를 사용하는/사용했던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설명비고
보고필터(Bogofilter)자유/오픈 소스 스팸 필터. 기본적으로 단어 목록 저장에 사용.[17]
시타델/UX(Citadel/UX)협업 소프트웨어. 1980~90년대 게시판 시스템 플랫폼 시타델의 후속 버전.
Sendmail1983년 출시된 자유/오픈 소스 MTA.
스팸어쌔신(Spamassassin)자유/오픈 소스 스팸 방지 애플리케이션.
글러스터FS(GlusterFS)분산 파일 시스템.
KDevelop통합 개발 환경(IDE).
OpenLDAPLDAP 프로토콜의 자유/오픈 소스 구현.
아파치 서브버전(Apache Subversion)버전 관리 시스템.
RPM 패키지 관리자리눅스 배포판용 패키지 관리 시스템.
MySQL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버전 5.1부터 지원 중단.
Movable Type블로그 소프트웨어.버전 4.0부터 지원 중단.



또한 (Perl)이나 파이썬과 같은 오픈 소스 프로그래밍 언어는 여전히 이전 버전의 버클리 DB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운영 체제 측면에서는, 프리BSD(FreeBSD)와 오픈BSD(OpenBSD)가 암호 프로그램 등에서 사용되는 ''dbopen()''[18][19] 시스템 호출을 지원하기 위해 버클리 DB 1.8x 버전을 포함하고 있다.[20] 리눅스 배포판 중 데비안(Debian) 기반[21] 및 페도라(Fedora)[22] 등은 버클리 DB 5.3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5. 2. 과거에 사용했던 소프트웨어


  • MySQL: 버전 5.1부터 버클리 DB 지원을 중단했다.
  • Movable Type: 버전 4.0부터 버클리 DB 지원을 중단했다.

6. 라이선스

버클리 DB는 초기 버전(2.0 이전)에서는 4-clause BSD 라이선스를 따랐다. 이후 슬리피캣 소프트웨어가 개발을 주도하면서 OSIFSF이 승인한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인 슬리피캣 공용 라이선스로 배포되었다.[10][11]

버전 6.0.21 (오라클 12c) 릴리스부터는 GNU AGPL v3 라이선스로 변경되었다.[8][9] 현재 버클리 DB V2.0 이상은 이중 라이선스 정책을 채택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다음 두 가지 라이선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23][24]

# 오라클 상용 라이선스

# GNU AGPL v3

2013년에 이루어진 라이선스 변경(슬리피캣 라이선스에서 AGPL로)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 버클리 DB는 라이브러리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AGPL 호환 라이선스를 따라야만 했다. 이로 인해 많은 오픈 소스 및 모든 클로즈드 소스 애플리케이션이 라이선스를 변경해야 했지만, 많은 개발자와 오픈 소스 운영 체제 배포판은 이를 받아들이기 어려워했다. 당시에는 버클리 DB의 대안들도 다수 존재했으며, 예를 들어 데비안 리눅스는 LMDB를 대안으로 채택하고 버클리 DB 사용을 점진적으로 중단하기로 결정했다.[25]

GNU AGPL의 조건을 따르기를 원치 않거나 슬리피캣 공용 라이선스가 적용된 이전 버전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오라클로부터 별도의 독점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를 구매하여 재배포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Oracle Berkeley DB Downloads https://www.oracle.c[...] 2020-09-27
[2] 문서 Berkeley DB Reference Guide: What is Berkeley DB not? http://doc.gnu-darwi[...] 2013-09-18
[3] 웹사이트 Major Release: Berkeley DB 12gR1 (12.1.6.0) https://oss.oracle.c[...] 2021-04-11
[4] 웹사이트 Debian, Berkeley DB, and AGPLv3 https://lwn.net/Arti[...] 2013-07-10
[5] 간행물 Berkeley DB http://www.usenix.or[...] 2009-10-20
[6] 간행물 A New Hashing Package for UNIX http://www.eecs.harv[...] 2009-10-20
[7] 뉴스 A Berkeley DB primer http://searchenterpr[...] 2008-12-28
[8] 문서 '[Berkeley DB Announce] Major Release: Berkeley DB 12gR1 (12.1.6.0)' https://oss.oracle.c[...] 2013-07-05
[9] 웹사이트 Snapshot of the 6.0.19 source at the time https://build.opensu[...] 2013-06-13
[10] 웹사이트 The Sleepycat License http://www.opensourc[...] Open Source Initiative 2008-12-28
[11] 웹사이트 Licenses http://www.fsf.org/l[...] Free Software Foundation 2008-12-28
[12] 웹사이트 Compatibility with historic UNIX interfaces https://docs.oracle.[...] 2019-11-20
[13] 웹사이트 Twitter / Gregory Burd: @humanications We didn't r ... https://twitter.com/[...]
[14] 웹사이트 Oracle Berkeley DB Downloads: Latest Production Releases https://www.oracle.c[...]
[15] 웹사이트 Oracle Berkeley DB Java Edition https://www.oracle.c[...]
[16] 웹사이트 Berkeley DB XML https://www.oracle.c[...]
[17] 웹사이트 bogofilter -- Fast Bayesian Spam Filter Code (Git) https://sourceforge.[...] 2024-05-17
[18] 웹사이트 dbopen(3) https://man.freebsd.[...] 2023-04-18
[19] 웹사이트 OpenBSD manual pages https://man.openbsd.[...] 2023-04-18
[20] 웹사이트 pwd_mkdb(8) https://man.openbsd.[...] 2023-04-18
[21] 웹사이트 Debian -- Details of package libdb5.3 in sid https://packages.deb[...] 2023-04-18
[22] 웹사이트 Overview - rpms/libdb https://src.fedorapr[...] 2023-04-18
[23] 웹사이트 Download, license and sales information http://www.oracle.co[...] 2017-11-30
[24] 웹사이트 Major Release: Berkeley DB 12gR1 (12.1.6.0) https://oss.oracle.c[...] 2013-07-15
[25] 간행물 New project goal: Get rid of Berkeley DB (post jessie) https://lists.debian[...] Debian 2014-06-19
[26] 문서 BSDの歴史
[27] 문서 Oracle® Buys Open Source Software Company Sleepycat http://www.oracle.co[...]
[28] 문서 Open Source License for Berkeley DB http://www.oracle.co[...]
[29] 웹인용 Oracle Berkeley DB Downloads https://www.oracle.c[...] 2020-09-27
[30] 문서 Berkeley DB Reference Guide: What is Berkeley DB not? http://doc.gnu-darwi[...] 2013-09-18
[31] 문서 Berkeley DB Reference Guide: Database limits http://doc.gnu-darwi[...] 2013-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