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겐 대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르겐 대학교는 노르웨이 베르겐에 위치한 공립 대학교로, 1946년에 설립되었다. 1825년 설립된 베르겐 박물관을 기원으로 하며, 7개의 학부와 도서관, 박물관을 갖추고 있다. 노르웨이에서 두 번째로 큰 대학교이며, 2만 명에 가까운 학생들이 재학 중이다. 해양 연구, 기후 및 에너지 전환, 세계적 과제를 핵심 연구 분야로 삼고 있으며,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 281위를 기록하는 등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르겐 - 베르겐 수족관
베르겐 수족관은 1960년 노르웨이 베르겐에 개관하여 300종 이상의 해양 생물을 전시하며 펭귄, 물개, 상어 등을 포함하고, 확장을 통해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며 해양 생물 보호와 생태계 보존을 위한 연구 활동에도 기여하는 연중무휴 수족관이다. - 노르웨이의 대학교 - 오슬로 대학교
오슬로 대학교는 1811년 설립이 결정되어 1813년 개교한 노르웨이의 국립 대학으로, 8개의 학부와 연구소를 운영하며 5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고,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대학이다. - 노르웨이의 대학교 - 스타방에르 대학교
스타방에르 대학교는 1969년 로갈란 지역 칼리지에서 출발하여 2005년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노르웨이의 대학교로, 6개의 단과대학과 국립 전문 센터, 고고학 박물관을 운영하며 석유 기술, 위험 관리 등 여러 분야에서 강세를 보이고 유럽 혁신 대학 컨소시엄 회원으로서 국제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 1946년 개교 - 용산고등학교
용산고등학교는 1946년에 개교한 대한민국의 남자 고등학교이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 학교였으나 광복 후 한국인 학교로 전환되었고, 농구와 필드하키가 유명하다. - 1946년 개교 - 육군사관학교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는 대한민국 육군 장교를 양성하는 4년제 군사 교육 기관으로, 1946년 개교하여 서울 노원구에 위치하며 지·인·용을 교훈으로 일반 학문, 군사학, 강도 높은 군사 훈련을 통해 정예 육군 장교를 양성하고, 1998년부터 여성 생도 입학을 허용하여 졸업생들은 소위로 임관한다.
베르겐 대학교 - [대학]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베르겐 대학교 |
현지 이름 | Universitetet i Bergen |
라틴어 이름 | Universitas Bergensis |
![]() | |
모토 | (정보 없음) |
설립 | 1946년 (1825년) |
유형 | 공립 대학 |
총장 | 마르가레트 하겐 |
학생 수 (2021년) | 19,641명 |
교직원 수 (2021년) | 4,215명 |
도시 | 베르겐 |
국가 | 노르웨이 |
캠퍼스 | 도심 |
소속 | ARQUS 얼라이언스 EUA 코임브라 그룹 위트레흐트 네트워크 |
웹사이트 | www.uib.no |
기타 정보 | |
대학 설치 년도 | 1825년 |
창립 년도 | 1946년 |
설치자 | 빌헬름 코렌 크리스티 |
2. 역사
이 대학교의 기원은 베르겐에 설립된 여러 과학 및 학술 기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153년 베르겐 대성당 학교 설립 이후 베르겐에서는 학문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1750년에는 세미나리움 프레데리시아눔(Seminarium Fredericianum)이, 1817년에는 노르웨이 왕립 해군사관학교(Royal Norwegian Naval Academy)가 설립되었다.[7] 1825년 빌헬름 프리만 코렌 크리스티(Wilhelm Frimann Koren Christie)와 야코브 노이만(Jacob Neumann)이 설립한 베르겐 박물관(Bergen Museum) (이후 베르겐 대학교 박물관(University Museum of Bergen)으로 개명)은 자연 과학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 및 교육의 장소가 되었으며, 미카엘 사르스(Michael Sars), 다니엘 코르넬리우스 다니엘센(Daniel Cornelius Danielssen), 프리드티오프 난센(Fridtjof Nansen)과 같은 저명한 연구자들이 활동하였다.[7]
1917년에는 베르겐 대학교 지구물리학 연구소(Geophysical Institute, University of Bergen)가, 1930년에는 크리스티안 미켈센 연구소(Chr. Michelsen Institute), 1936년에는 노르웨이 경제대학교(Norwegian School of Economics)가 설립되었고, 마침내 1946년 의회 법률에 의해 노르웨이의 두 번째 대학교로 정식 설립되었다.[8] 실제 학술 활동은 베르겐 대학교 박물관이 설립된 1825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2014년에 155위에 랭크되었다.
노르웨이 전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대학과 교환학생 협정을 맺고 있으며, 연간 2000명 이상의 비노르웨이인 유학생이 재학하는 노르웨이에서 손꼽히는 국제적인 대학교이다. 베르겐 대학교의 학생 수는 총 2만 명에 가까우며, 이는 베르겐 시 인구의 10%에 해당한다. 따라서 베르겐 시내에는 학생용 식당과 학생 단체 관련 상점, 체육관 등이 많이 있으며, 매일 활기가 넘친다.
2. 1. 설립 이전
이 대학교의 기원은 베르겐에 설립된 여러 과학 및 학술 기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153년 베르겐 대성당 학교 설립 이후 베르겐에서는 학문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1750년에는 세미나리움 프레데리시아눔(Seminarium Fredericianum)이, 1817년에는 노르웨이 왕립 해군사관학교(Royal Norwegian Naval Academy)가 설립되었다.[7] 1825년 빌헬름 프리만 코렌 크리스티(Wilhelm Frimann Koren Christie)와 야코브 노이만(Jacob Neumann)이 설립한 베르겐 박물관(Bergen Museum) (이후 베르겐 대학교 박물관(University Museum of Bergen)으로 개명)은 자연 과학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 및 교육의 장소가 되었으며, 미카엘 사르스(Michael Sars), 다니엘 코르넬리우스 다니엘센(Daniel Cornelius Danielssen), 프리드티오프 난센(Fridtjof Nansen)과 같은 저명한 연구자들이 활동하였다.[7]
베르겐은 1917년 베르겐 대학교 지구물리학 연구소(Geophysical Institute, University of Bergen), 1930년 크리스티안 미켈센 연구소(Chr. Michelsen Institute), 1936년 노르웨이 경제대학교(Norwegian School of Economics) 설립 등, 여러 고등 교육 및 연구 기관이 있는 도시가 되었고, 마침내 1946년에 대학교가 설립되었다.[8] 베르겐 대학교는 1946년 의회 법률에 의해 노르웨이의 두 번째 대학교로 설립되었다.[8]
2. 2. 설립과 발전
이 대학교의 기원은 베르겐에 설립된 여러 과학 및 학술 기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153년 베르겐 대성당 학교 설립 이후 베르겐에서는 학문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1750년에는 세미나리움 프레데리시아눔(Seminarium Fredericianum)이, 1817년에는 노르웨이 왕립 해군사관학교(Royal Norwegian Naval Academy)가 설립되었다. 1825년 빌헬름 프리만 코렌 크리스티(Wilhelm Frimann Koren Christie)와 야코브 노이만(Jacob Neumann)이 설립한 베르겐 박물관(Bergen Museum) (이후 베르겐 대학교 박물관(University Museum of Bergen)으로 개명)은 자연 과학을 전문으로 하는 연구 및 교육의 장소가 되었으며, 미카엘 사르스(Michael Sars), 다니엘 코르넬리우스 다니엘센(Daniel Cornelius Danielssen), 프리드티오프 난센(Fridtjof Nansen)과 같은 저명한 연구자들이 활동하였다.[7]
1917년에는 베르겐 대학교 지구물리학 연구소(Geophysical Institute, University of Bergen)가, 1930년에는 크리스티안 미켈센 연구소(Chr. Michelsen Institute), 1936년에는 노르웨이 경제대학교(Norwegian School of Economics)가 설립되었고, 마침내 1946년 의회 법률에 의해 노르웨이의 두 번째 대학교로 정식 설립되었다.[8] 실제 학술 활동은 베르겐 대학교 박물관이 설립된 1825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2014년에 155위에 랭크되었다.
노르웨이 전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여러 대학과 교환학생 협정을 맺고 있으며, 연간 2000명 이상의 비노르웨이인 유학생이 재학하는 노르웨이에서 손꼽히는 국제적인 대학교이다. 베르겐 대학교의 학생 수는 총 2만 명에 가까우며, 이는 베르겐 시 인구의 10%에 해당한다. 따라서 베르겐 시내에는 학생용 식당과 학생 단체 관련 상점, 체육관 등이 많이 있으며, 매일 활기가 넘친다.
3. 조직
베르겐 대학교는 선출직 총장이 있다. 현 총장은 마가렛 하겐(Margareth Hagen)이며, 2021년 8월 1일부터 4년 임기로 선출되었으며, 그 전에는 임시 총장직을 수행했다.[9]
이 대학교는 7개의 학부가 있으며, 가장 최근에 설립된 학부는 2017년에 설립된 미술, 음악 및 디자인 학부(The Faculty of Fine Art, Music and Design)이다.[10] 베르겐 대학교 도서관과 베르겐 대학교 박물관은 학부와 유사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대학 캠퍼스와 행정부는 니가르드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캠퍼스 지역은 종종 니가르드호이덴(Nygårdshøyden) 또는 간단히 호이덴(Høyden, "언덕"이라는 뜻)으로 불린다.
베르겐 대학교의 학부는 다음과 같다.
- 인문학부: 2007년 8월에 조직 및 명칭이 개정되었다.[24]
- 고고학, 역사, 문화 연구 및 종교학과 (AHKR)
- 외국어학과 (아랍어,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독일어 및 중국어 단일 과목 (IF)) [21]
- 언어학, 문학 및 미학 연구과 (LLE) (북유럽 문학, 비교 문학, 연극 연구, 디지털 문화, 언어학, 미술사, 고전학)
- 철학 및 1학기 연구과 (FOF)
- 과학과 인문학 연구 센터
- 여성 및 성 연구 센터
- 그리그 아카데미 – 음악과
- 초기 사피엔스 행동 연구 센터 (SapienCE)[22]
- 디지털 서사 연구 센터 (CDN)[23]
- 미술·음악·디자인 학부: 2017년 1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 이전의 그리그 아카데미 음악과와 베르겐 미술 디자인 아카데미로 구성된다.
- 미술 아카데미 - 현대미술과
- 그리그 아카데미 - 음악과
- 디자인과
- 법학부: 1980년 독립 학부로 설립되었으며, 1969년부터 본 대학교에서 법학 연구 및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오슬로 대학교, 트롬쇠 대학교와 함께 노르웨이에서 법학 교육을 제공하는 세 곳의 기관 중 하나이다. 법학 석사 학위를 위한 5년제 프로그램과 박사(PhD) 학위를 위한 3년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현재 약 19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 수학·자연과학부: 2023년 1월 1일 기준으로, 다음 7개 학과 등으로 구성된다.
- 생물과학과
- 화학과
- 지구과학과
- 정보학과
- 수학과
- 물리 및 기술학과
- 지구물리학 연구소 (Geophysical Institute)
- 마이클 사스 센터 (Michael Sars Centre)
- 비에르크네스 기후 연구 센터 (Bjerknes Centre for Climate Research)
- 베르겐 윤리 및 우선순위 설정 센터 (BCEPS)
- K.G. 젭센 심해 연구 센터 (K.G. Jebsen Centre for Deep Sea Research)
- 의학부: 2013년 1월부터 다음과 같은 학과 및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 생의학과
- 임상의학과
- 임상과학과
- 임상치의학과
- 국제보건 및 1차의료과
- 국제보건센터(Centre for International Health)
- 실험동물시설
- 치의학부
- 심리학부: 북유럽 국가 중 심리학 연구를 자체 학부에 배정한 유일한 기관이다. 1980년에 설립되었다.
- 사회심리과학과
- 건강증진 및 개발과
- 교육학과
- 임상심리학과
- 생물의학심리학과
- 위기심리센터
- SLATE: 학습 및 기술 과학 센터
- 노르웨이 도박 및 게임 연구 역량 센터
- 사회과학부
- 행정 및 조직이론학과
- 비교정치학과
- 경제학과
- 지리학과
- 정보과학 및 미디어학과
- 사회인류학과
- 사회학과
- 개발학 연구소
- 성별 연구 센터
- 중동 및 이슬람 연구 센터
- 예술학부
현지 학생(유럽 시민)은 대학 등록금 납부가 면제되지만, 학생복지단체 가입이 의무화되어 있다. 2006년 가을 현재, 해당 단체의 연회비는 800NOK이다.
3. 1. 학부
베르겐 대학교의 학부는 다음과 같다.
- 인문학부: 2007년 8월에 조직 및 명칭이 개정되었다.[24]
- 고고학, 역사, 문화 연구 및 종교학과 (AHKR)
- 외국어학과 (아랍어, 영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일본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독일어 및 중국어 단일 과목 (IF)) [21]
- 언어학, 문학 및 미학 연구과 (LLE) (북유럽 문학, 비교 문학, 연극 연구, 디지털 문화, 언어학, 미술사, 고전학)
- 철학 및 1학기 연구과 (FOF)
- 과학과 인문학 연구 센터
- 여성 및 성 연구 센터
- 그리그 아카데미 – 음악과
- 초기 사피엔스 행동 연구 센터 (SapienCE)[22]
- 디지털 서사 연구 센터 (CDN)[23]
- 미술·음악·디자인 학부: 2017년 1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 이전의 그리그 아카데미 음악과와 베르겐 미술 디자인 아카데미로 구성된다.
- 미술 아카데미 - 현대미술과
- 그리그 아카데미 - 음악과
- 디자인과
- 법학부: 1980년 독립 학부로 설립되었으며, 1969년부터 본 대학교에서 법학 연구 및 교육이 이루어져 왔다. 오슬로 대학교, 트롬쇠 대학교와 함께 노르웨이에서 법학 교육을 제공하는 세 곳의 기관 중 하나이다. 법학 석사 학위를 위한 5년제 프로그램과 박사(PhD) 학위를 위한 3년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현재 약 1900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다.
- 수학·자연과학부: 2023년 1월 1일 기준으로, 다음 7개 학과 등으로 구성된다.
- 생물과학과
- 화학과
- 지구과학과
- 정보학과
- 수학과
- 물리 및 기술학과
- 지구물리학 연구소 (Geophysical Institute)
- 마이클 사스 센터 (Michael Sars Centre)
- 비에르크네스 기후 연구 센터 (Bjerknes Centre for Climate Research)
- 베르겐 윤리 및 우선순위 설정 센터 (BCEPS)
- K.G. 젭센 심해 연구 센터 (K.G. Jebsen Centre for Deep Sea Research)
- 의학부: 2013년 1월부터 다음과 같은 학과 및 부서로 구성되어 있다.
- 생의학과
- 임상의학과
- 임상과학과
- 임상치의학과
- 국제보건 및 1차의료과
- 국제보건센터(Centre for International Health)
- 실험동물시설
- 치의학부
- 심리학부: 북유럽 국가 중 심리학 연구를 자체 학부에 배정한 유일한 기관이다. 1980년에 설립되었다.
- 사회심리과학과
- 건강증진 및 개발과
- 교육학과
- 임상심리학과
- 생물의학심리학과
- 위기심리센터
- SLATE: 학습 및 기술 과학 센터
- 노르웨이 도박 및 게임 연구 역량 센터
- 사회과학부
- 행정 및 조직이론학과
- 비교정치학과
- 경제학과
- 지리학과
- 정보과학 및 미디어학과
- 사회인류학과
- 사회학과
- 개발학 연구소
- 성별 연구 센터
- 중동 및 이슬람 연구 센터
- 예술학부
현지 학생(유럽 시민)은 대학 등록금 납부가 면제되지만, 학생복지단체 가입이 의무화되어 있다. 2006년 가을 현재, 해당 단체의 연회비는 800NOK이다.
3. 2. 부속 기관
4. 캠퍼스
베르겐 대학교의 캠퍼스는 베르겐 시내 여러 곳에 산재해 있다. 인문학부, 사회과학부, 법학부, 이학부 등의 캠퍼스는 시 중심부에서 도보 5~10분 거리에 흩어져 있으며, 시내의 일반적인 건물과 겉보기에는 다를 바 없는 캠퍼스도 있다. 반면 의학부, 예술학부 등의 건물은 시 외곽에 캠퍼스가 있다.
5. 학술 연구
베르겐 대학교는 세 가지 전략적 분야를 가지고 있다.[26][27][28]
- 해양 연구
- 기후 및 에너지 전환
- 세계적 과제
2008년 봄부터 2010년 가을에 걸쳐 우간다의 마케레레 대학교(Makerere University)와 노르웨이 국내에 있는 오슬로 대학교(University of Oslo), 동아프리카 사서·정보과학학교(EASLIS)와 함께 남수단에 있는 주바 대학교(University of Juba)의 서지 검색 전자화 등을 추진하는 “주바대학교 도서관 자동화 프로젝트”에 협력했다.[26]
2020년 12월 1일, 외국어학과 일본어학과의 해리 솔반(Harry Solvåg) 교수가 2020년도 외무대신 표창을 수상했다.[27][28]
5. 1. 연구 센터
5. 2. 국제 협력
베르겐 대학교는 2008년 봄부터 2010년 가을까지 우간다의 마케레레 대학교, 오슬로 대학교, 동아프리카 사서·정보과학학교(EASLIS)와 함께 남수단의 주바 대학교 도서관 전산화 사업인 "주바대학교 도서관 자동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26] 2020년 12월 1일, 외국어학과 일본어학과의 해리 솔반(Harry Solvåg) 교수가 2020년도 외무대신 표창을 받았다.[27][28]5. 3. 한국과의 관계
베르겐 대학교는 2020년 12월 1일, 외국어학과 일본어학과의 해리 솔반(Harry Solvåg) 교수가 2020년도 외무대신 표창을 수상했다.[27][28] 2008년 봄부터 2010년 가을에 걸쳐 우간다의 마케레레 대학교(Makerere University)와 노르웨이 국내에 있는 오슬로 대학교(University of Oslo), 동아프리카 사서·정보과학학교(EASLIS)와 함께 남수단에 있는 주바 대학교(University of Juba)의 서지 검색 전자화 등을 추진하는 “주바대학교 도서관 자동화 프로젝트”에 협력했다.[26]6. 저명한 동문
- 크누트 올라프 아마스(Knut Olav Åmås), 작가, 편집자, 정치인이다.
- 레이프 오베 안드네스(Leif Ove Andsnes), 피아니스트이자 실내악 연주자이다.
- 욘 포세(Jon Fosse), 작가이자 극작가이며, 202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라르스 굴레(Lars Gule), 철학자이자 사회 논평가이다.
- 무키사 키투이(Mukhisa Kituyi), 유엔무역개발회의 사무총장이다.
- 칼 오베 크나우스고르(Karl Ove Knausgård), 작가이다.
- 토르비외른 모르크(Torbjørn Mork), 노르웨이 보건 감독 위원회(Norwegian Board of Health Supervision) 이사였다.
- 모니카 멜란(Monica Mæland), 노르웨이 무역산업부 장관이다.
- 프레다 엔키로테(Freda Nkirote), 동아프리카 영국 연구소(British Institute in Eastern Africa, BIEA) 소장이자 범아프리카 고고학 협회(Pan-African Archaeological Association) 회장이다.
- 이셀린 뉘뵈(Iselin Nybø), 노르웨이 무역산업부 장관이다.
- 스베이누 뢰테바튼(Sveinung Rotevatn), 노르웨이 기후환경부 장관이다.
- 에르나 솔베르그(Erna Solberg), 노르웨이 총리이다.
- 한스-빌헬름 슈타인펠트(Hans-Wilhelm Steinfeld), 언론인이자 작가이다.
- 그레테 파티마 시에드(Grethe Fatima Syéd), 문학 학자, 번역가, 작가이다.
7. 평가
베르겐 대학교는 여러 세계 대학 평가에서 상위권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2023년 세계 대학 학술 순위(ARWU)에서는 301–400위권,[11] 2024년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281위,[12] 2024년 타임즈 고등교육 세계 대학 순위(THE)에서는 251–300위권,[13] 2023년 U.S. 뉴스 & 월드 리포트 최고 대학 순위에서는 199위[14]로 평가되었다.
2010년에는 타임즈 고등교육 세계 대학 순위에서 세계 135위,[15] 2015/16 QS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세계 181위,[16] 2010년 7월 웹오메트릭스 세계 대학 순위에서는 세계 148위[17]를 기록했다. '''URAP'''(대학 학술 성과 순위)는 2014/2015년 베르겐 대학교를 세계 219위로 평가했다.[18]
참조
[1]
웹사이트
Search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Om UiB
https://www.uib.no/o[...]
2023-05-27
[3]
웹사이트
– Det er ikke sikkert at vi får god kvalitet med fullt frislipp og jussutdanning på hvert nes
https://www.forskerf[...]
2021-06-12
[4]
간행물
Ride, ride ranking på Harvards fang
2019-09-01
[5]
뉴스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18: earth and marine sciences
https://www.theguard[...]
2021-07-13
[6]
웹사이트
Universitetet i Bergen blant de 10 beste på hav
https://khrono.no/un[...]
Khrono
2021-06-07
[7]
뉴스
Et tradisjonsrikt universitet
http://www.uib.no/ut[...]
2017-10-27
[8]
뉴스
Universitetet i Bergen er 70 år
http://www.uib.no/ak[...]
2017-11-13
[9]
웹사이트
Margareth Hagen is the winner of the rectorial election at UiB
https://www.academic[...]
2022-02-07
[10]
뉴스
Nytt fakultet for kunst, musikk og design fra 1. januar 2017
http://www.uib.no/fo[...]
2017-10-28
[11]
웹사이트
ARWU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3
http://www.shanghair[...]
2022-08-26
[12]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2024
https://www.topunive[...]
2023-06-19
[13]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imeshig[...]
2023-08-06
[14]
웹사이트
U.S. News Education: Best Global Universities 2022-23
https://www.usnews.c[...]
2023-11-23
[15]
웹사이트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s://www.timeshig[...]
2015-04-13
[16]
웹사이트
QS World University Rankings - Topuniversities
https://web.archive.[...]
2012-12-02
[17]
웹사이트
Ranking Web of World universities: Top World Ranking
https://web.archive.[...]
2012-02-19
[18]
웹사이트
URAP - University Ranking by Academic Academic Performance
https://web.archive.[...]
2021-03-29
[19]
웹사이트
How to finance your studies | Education | UiB
http://www.uib.no/ed[...]
Uib.no
2021-11-25
[20]
웹사이트
New Tuition Fees in Norway: A Guide for Non-EU Students
https://www.universi[...]
2023-03-27
[21]
웹사이트
Institutt for fremmedspråk | Universitetet i Bergen
https://www.uib.no/f[...]
Uib.no
2022-04-30
[22]
웹사이트
SAPIENCE
https://www.uib.no/e[...]
2024-02-11
[23]
웹사이트
Center for Digital Narrative
https://www.uib.no/e[...]
2024-02-11
[24]
웹사이트
Faculty of Humanities
https://www.uib.no/e[...]
2020-08-10
[25]
웹사이트
Plantsearch
http://www.irisbg.co[...]
irisbg.com
2015-08-07
[26]
웹사이트
JULAP Juba University Library Automation Project
http://www.varastoki[...]
2011-07-15
[27]
웹사이트
令和2年度外務大臣表彰(個人)|外務省
https://www.mofa.go.[...]
[28]
웹사이트
Foreign Minister’s Commendations for FY 2020 (Individuals) |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https://www.mofa.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