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립 대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립 대학은 국가 또는 지방 정부가 설립하고 운영하는 고등 교육 기관을 의미한다. 이집트의 알 아즈하르 대학교와 같이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 중 하나가 공립으로 시작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서울대학교가 최초의 국립 대학으로 설립되었다. 공립 대학은 각 국가의 교육 제도와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해 왔으며, 일반적으로 사립 대학보다 학비가 저렴하고 입학 경쟁이 치열하다.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 전 세계적으로 운영되며, 각 지역의 사회, 경제, 문화 발전에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립 대학 - 옥스퍼드 대학교
최종 편집 지시사항 * 답변을 마크다운 형태로 작성하십시오. * ``` 핵변수:** * **해당 소집한장의 설명:** * [정확성] **"개요" 섹션 내용만 정확하게 반영:** 요약문은 "개요" 섹 * [핵심] 다음 내용을 포함하십시오. * [정확성] 답변을 할 때, "개요" 섹션 내용만 반영하십시오. **개요" 섹션만 사용하고, 추가적인 답변을 하지 마십시오. **[출표본] ** **[결정사항]** ``` **[답변]** "해당 문서의 요약 정보를 한 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영국의 옥스퍼드 대학교는 1096년부터 시작되었으며, 1248년 국왕의 허가를 받은 국립 대학교로, 여러 칼리지와 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문적 성과와 오랜 역사를 자랑합니다. " - 공립 대학 - 리즈 대학교
리즈 대학교는 1904년 영국 왕실 칙허로 설립된 연구 중심 공립 대학교로, 리즈 의학교와 요크셔 과학대학이 통합되어 잉글랜드 리즈에 위치하며, 러셀 그룹 등 여러 학술 단체의 회원이자 인문과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명문 대학이다.
공립 대학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유형 | 대학교 |
설립 주체 | 정부 또는 지방 정부 |
특징 | |
재정 | 공공 자금 지원 |
운영 | 공공 기관에 의해 운영 및 관리 |
학비 | 사립 학교보다 저렴한 학비 |
입학 | 입학 요건을 갖춘 모든 학생에게 개방 |
목적 | 지역 사회의 교육 수요 충족 연구 및 지역 사회 봉사 제공 |
역사 | |
기원 | 중세 시대 유럽의 대학교 설립에서 기원 미국에서는 모릴 토지 보조법으로 설립 촉진 |
19세기 | 사범학교 및 기술학교로 시작 지역 사회의 특정 요구 충족 목표 |
20세기 | 급속한 성장 및 확장을 경험 연구 및 전문 분야에 중점 |
장점 및 단점 | |
장점 | 낮은 학비 정부 지원으로 안정적인 재정 다양한 학문 분야 제공 지역 사회에 대한 접근성 용이 |
단점 | 예산 제약 대규모 강의 보조금 부족 |
기타 | |
다른 이름 | 국립대학 (일부 국가) |
관련 기관 | 교육부 고등교육 기관 |
2. 국가별 공립 대학
[1]
웹사이트
Public Universities in South Africa
https://web.archive.[...]
2022-12-14
이집트에서는 970년에 알 아즈하르 대학교가 마드라사로 설립되어 1961년에 국립대학교가 되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등 교육 기관 중 하나이다. 20세기 이집트는 정부 보조금이 지원되는 저렴한 수업료를 제공하는 여러 국립대학교를 설립하였는데, 여기에는 1908년 카이로 대학교, 1912년 알렉산드리아 대학교, 1928년 아시우트 대학교, 1957년 아인 샴스 대학교, 1959년 헬완 대학교, 1963년 베니수에프 대학교, 1974년 자가지그 대학교, 1976년 벤하 대학교, 1989년 수에즈 운하 대학교 등이 포함된다.
케냐에서는 교육부가 모든 국립 대학교를 관리한다. 학생들은 8-4-4 교육 과정을 마치고 C+ 이상의 성적을 받으면 입학할 수 있으며, 케냐 대학교 및 대학 중앙 배치 서비스(Kenya Universities and Colleges Central Placement Service)가 설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는다. 학생들은 고등 교육 대출 위원회(Higher Education Loan Board)로부터 저금리 대출을 받을 자격도 있다.
나이지리아에서는 연방 정부와 주 정부 모두 국립 대학교를 설립할 수 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학교 협회(Universities South Africa) 회원인 국립 대학교 26개가 있으며,[1] 이들은 종합대학교 또는 전통대학교로 분류된다.
튀니지에서는 고등교육과학연구부가 국립대학교들을 관리하며, 튀니지 바칼로레아를 취득한 학생들의 입학을 보장한다. 학생들은 정부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지원하며,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아시아 지역의 공립 대학은 각 국가의 교육 제도와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하게 발전해 왔다.
대한민국의 경우,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적 고등 교육 기관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1946년 서울대학교가 최초의 국립 대학으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각 지역에 거점 국립대학교들이 설립되어 국가 주도의 고등 교육 체계가 확립되었다. 대한민국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통해 대학 입시를 관리하며, 이는 공립 대학 입학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국가 주도로 제국대학을 설립하며 고등 교육 체계를 발전시켰다. 현재 일본의 국립 대학은 도쿄 대학, 교토 대학 등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중심 대학으로 성장했다. 일본은 대학 입시에서 센터 시험과 각 대학별 본고사를 통해 학생을 선발하며, 공립 대학은 일반적으로 사립 대학보다 학비가 저렴하고 입학 경쟁이 치열하다.
중화인민공화국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을 받아 고등 교육 체제를 개편했다. 덩샤오핑 시대의 개혁개방 정책 이후 대학 교육이 양적으로 크게 확대되었으며, 985 공정, 211 공정 등 국가 주도의 대학 지원 정책을 통해 일부 대학을 집중적으로 육성했다. 베이징 대학, 칭화 대학 등은 세계적인 수준의 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의 대학 입시는 가오카오를 통해 이루어지며, 공립 대학은 사립 대학보다 학비가 저렴하고 입학 경쟁이 치열하다.
인도는 카스트 제도와 영국의 식민지배 등 복잡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독립 이후 인도 정부는 고등 교육 기회 확대를 위해 노력해 왔으며, 인도 공과대학교(IIT) 등 세계적인 수준의 공과대학을 육성했다. 인도는 대학 입시에서 JEE 등 다양한 시험을 활용하며, 공립 대학은 사립 대학보다 학비가 저렴하고 입학 경쟁이 치열하다.
베트남은 프랑스 식민지배와 베트남 전쟁의 영향으로 고등 교육 발전이 늦어졌으나, 1986년 도이머이 정책 이후 교육 개혁을 추진하여 고등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베트남 국가대학 등 주요 공립 대학들은 국가 발전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베트남은 대학 입시에서 전국 단위 시험을 실시하며, 공립 대학은 사립 대학보다 학비가 저렴하다.
필리핀은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지배를 거치면서 서구식 교육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필리핀 대학교(UP)는 필리핀 최고의 국립 대학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필리핀의 대학 입시는 각 대학별로 자체 시험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공립 대학은 사립 대학보다 학비가 저렴하다.
방글라데시에는 40개의 국립대학교가 있으며,[2] 이 대학교들은 1973년에 설립된 방글라데시 대학교 지원 위원회(University Grants Commission)의 감독을 받는다.
다른 항목 보기
브루나이의 대학교 대부분은 국립대학교이다.
중국에서는 거의 모든 대학교와 연구기관이 공립이다. 일반적으로 성 정부가 공립 대학교를 운영하지만, 일부는 직할시 정부가 관리하거나 중앙정부인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가 직접 관리하는 국립 대학교이다. 사립 4년제 대학도 있지만, 주로 민간 기업이 후원하는 전문대학이며, 일반적으로 학사 학위를 수여할 수 없다. 공립 대학교는 국내외적으로 더 높은 평판을 누리는 경향이 있다.[3][4][5]
홍콩 대학교 보조위원회는 홍콩의 국공립 대학교 8곳에 자금을 지원하며, 홍콩예술학교 또한 홍콩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다. 사립대학교는 4곳이 있다.
인도의 대학교 대부분과 거의 모든 연구기관은 국립 대학이다. 일부 사립 학부 대학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은 국립 대학교와 제휴한 공과대학이며, 국가 또는 주 정부의 일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인도에는 원격 교육을 제공하는 "개방형" 국립 대학교인 인디라 간디 국립 원격 대학교도 있으며, 현재 400만 명이 넘는 학생을 보유한 세계 최대 규모의 대학교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정부가 각 주에 있는 국립 대학교들을 지원하며, 자금은 교육, 문화, 연구, 기술부(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Research, and Technology)와 주 정부 및 시 정부를 통해 조달된다.
이란의 일부 국립대학교는 수업료가 없는 프로그램과 수업료가 있는 프로그램을 모두 제공하며, 국영 대학교는 매우 선별적이고 경쟁이 치열하다.
다른 항목 보기
이스라엘에는 9개의 공식 대학교, 수십 개의 대학, 그리고 약 12개의 외국 대학교 분교가 있으며, 이스라엘 고등교육위원회는 이 모든 기관을 학문적으로 감독한다. 이스라엘에서는 대학만이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다.
일본에서 공립대학은 광역자치단체 또는 기초자치단체에 의해 운영된다. (문부과학성)은 공립대학이 "지역에서 고등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사회의 지적, 문화적 기반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고 하며,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한다.[6] 이는 국립대학이 연구 중심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2010년에는 95개의 공립대학에 12만 7,872명의 학생이 재학했는데, 이는 일본의 86개 국립대학과 597개의 사립대학과 비교된다. 1980년에는 일본에 공립대학이 34개에 불과했으나, 이후 많은 공립대학이 새로 설립되었다. 2003년 7월부터 공립대학은 지방자치단체 독립행정기관법에 따라 법인화될 수 있으며,[7] 문부과학성은 이러한 공립대학의 법인화를 통해 지역 사회에 더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한민국에서 고등교육법에 따라 국립대학과 공립대학으로 구분된다. 국립대학은 대한민국 중앙정부가 설립, 운영하는 대학이며, 공립대학은 지방자치단체가 설립, 운영하는 대학이다.
일반적으로 기초자치단체인 일반시가 설립한 공립대학은 없으며, 광역시나 도와 같은 광역자치단체가 설립한 대학이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공립대학으로는 서울특별시가 설립한 서울시립대학교가 있다.
강원도가 설립한 강원도립대학교, 경상남도가 설립한 경남도립거창대학과 경남도립남해대학, 경상북도가 설립한 경북도립대학교, 전라남도가 설립한 전남도립대학교, 충청남도가 설립한 충남도립대학교, 충청북도가 설립한 충북도립대학교 등이 있다. 이들 대학은 해당 광역자치단체의 재정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지역 주민들에게 고등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부분의 국립 대학교는 국립대학이다. 국립대학교는 29개, 특수대학교는 18개, 교육대학교는 10개가 있다. 이 외에도 국립전문대학 2개와 원격 교육을 제공하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있다.
키르기스스탄의 대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키르기스스탄의 마나스 대학교는 준학사 학위, 학사 학위,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제공하는 국립 고등 교육 기관이다.[8]
마카오대학교, 마카오폴리텍대학교, 마카오관광대학교는 마카오의 공립 대학교들이다.
말레이시아에는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지만 자체적으로 운영되는 20개의 국립대학교가 있다.
트리부반 대학교는 네팔의 첫 번째 국립 대학교였다. 6개의 다른 연구소를 통해 운영되며 다양한 대학과 제휴하고 있다. 정부 지원을 받는 푸르반찰 대학교와 포카라 대학교가 있다.
파키스탄의 대학교 목록
파키스탄에는 76개의 사립대학교와 비교하여 107개의 국립대학교가 있다.[9] 펀자브 대학교 (University of the Punjab)가 가장 큰 국립대학교이며, 그 다음으로 카라치 대학교 (University of Karachi)가 있다. 국립대학교들은 파키스탄 고등교육위원회 (Higher Education Commission)의 지도와 인정을 받는다.
필리핀에는 필리핀 고등교육위원회가 관리하는 500개가 넘는 국립 고등교육기관이 있다. 이 중 436개는 국립대학교 및 전문대학교이고, 31개는 지방대학교 및 전문대학교이며, 소수의 커뮤니티 칼리지가 있다. 2008년 필리핀 의회는 공화국 법률 제9500호를 통과시켜 다른 모든 국립대학교 및 전문대학교와 구별하기 위해 필리핀대학교를 국립대학교로 선포했다. 다른 주목할 만한 국립대학교 및 전문대학교로는 필리핀폴리테크닉대학교, 필리핀기술대학교, 필리핀사범대학교, 바탕가스국립대학교, 민다나오국립대학교가 있다.
싱가포르에는 6개의 자율적인 국립 대학교가 있다. 여기에는 1905년에 설립된 싱가포르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1981년에 설립된 난양이공대학교(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2000년에 설립된 싱가포르경영대학교(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2009년에 설립된 싱가포르 기술디자인대학교(Singapore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Design)과 싱가포르 기술대학교(Singapore Institute of Technology), 그리고 2017년에 설립된 싱가포르사회과학대학교(Singapore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가 포함된다.
스리랑카에는 17개의 국립대학교가 있다. 대부분의 국립대학교는 학부 배치 및 교직원 임용을 담당하는 대학교육위원회를 통해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다.[10] 주요 대학으로는 1942년에 설립된 페라데니야 대학교와 1921년에 설립된 콜롬보 대학교가 있다. 스리랑카에는 또한 국방부가 운영하는 합동군사대학교인 존 코텔라왈라 장군 국방대학교가 있다.
타이완의 대학교 목록
타이완의 150개 대학교 중 3분의 1이 국립대학교이다. 타이완 정부는 국립대학교에 자금을 지원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사립대학교보다 절반 이하의 등록금을 낸다. 1980년대 이전에 설립된 10개의 국립대학교는 타이완에서 가장 명문으로 여겨진다.
19세기 후반 태국에서는 중앙 정부의 전문 인력 수요가 높았다. 1899년, 국왕은 왕궁 북쪽 문 근처에 문관 양성 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 졸업생들은 왕실 시종이 되어 전통적으로 마하타이부(Mahattai Ministry) 또는 다른 정부 부처에 진출했다. 2019년 기준으로 태국에는 19개의 국립 대학교가 있다.
베트남의 대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오스트리아에서는 대부분의 대학교가 국립대학교이다. 주 정부가 수업료를 규제하여 모든 국립대학교의 비용이 동일하다. 의학 등 일부 학문 분야를 제외하고, 마투라 시험에 합격한 모든 오스트리아인은 어떤 국립대학교에든 입학할 권리가 있다. 지원자가 많은 학과의 경우, 특히 생물학, 화학, 물리학과 같은 이공계열 학과는 1학년 또는 입학 전에 학생들이 통과해야 하는 추가 입학 시험이 도입되었다. 사립대학교는 1999년부터 존재했지만, 국립대학교보다 입학이 쉽다고 여겨지며 따라서 명성이 덜하다.
1990년 고등교육이 국가 정부의 통제에서 3개의 지역 사회의 통제로 이관될 때까지, 벨기에의 모든 공립 대학교는 국가 정부의 법률에 따라 운영되었다. 결과적으로, 플랑드르, 프랑스, 그리고 독일 공동체는 어떤 고등 교육 기관이 학위를 수여하고 구성하는지를 결정한다.
1970년대까지 벨기에는 두 개의 국립 대학교가 있었다: 1817년에 설립된 리에주 대학교(ULiège)와 겐트 대학교(UGent). 이들은 종종 두 개의 역사적인 국립 대학교로 불린다. 1965년, 소규모의 전문적인 단과대 공립 기관들이 대학교로 인정받았는데, 여기에는 수의학부와 젬블루 농생명공학대학교가 포함되며, 현재는 모두 리에주 대학교의 일부이다.
벨기에 국가는 더 큰 기관과 합병된 더 작은 공립 대학교들을 설립했는데, 여기에는 1965년 몽스에 설립된 공립 대학교가 포함되며, 이는 2009년 몽스 대학교의 일부가 되었다. 1971년 앤트워프에 설립된 국립 대학교는 현재 앤트워프 대학교의 일부이다. 하셀트 대학교는 림뷔르크 주가 관리하는 국립 공립 기관으로 시작되었다. 마찬가지로, 룩셈부르크 주는 아를롱에 있는 국립 공립 대학교를 관리했는데, 이는 2004년 ULiège의 일부가 되었다.
1891년 이후, 사립 대학교들은 점차 국가로부터 인정받고 자금을 지원받게 되었다. 대부분 가톨릭계인 일부 사립 기관들은 국가 자금을 지원받는 것에도 불구하고 행정적으로 국가로부터 자유롭다는 의미에서 자유 기관이라고 불린다. 2022년 현재, 지역 사회는 동일한 규칙과 법률을 따르는 모든 공인 대학교(공립 및 사립)에 자금을 지원한다.
크로아티아의 대부분의 공립 대학은 국가에서 운영한다.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매년 100유로 미만의 행정 수수료만 내면 된다. 그러나 한 해에 여러 과목에서 낙제한 학생들은 해당 과목을 재수강해야 하며, 이 경우 부분 또는 전액의 수업료를 지불해야 한다.
덴마크의 대학교 및 대학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덴마크의 대학교는 거의 대부분이 국립대학교이며, 사립대학교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 덴마크 학생들은 대학교에 무료로 다닌다.
핀란드의 대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
핀란드의 모든 대학교는 국립대학교이며 수업료가 무료이다.
프랑스의 대부분의 대학교와 그랑제콜(''grandes écoles'')은 공립이며, 연간 1,000유로 미만의 매우 저렴한 수업료를 부과한다. 주요 예외는 준사립 그랑제콜(예: HEC, EMLyon 또는 INSEAD)이다.
프랑스 교육법전(Code de l'éducation) 제L731-14조는 "사립 고등 교육 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대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없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릴 가톨릭 대학교(Université catholique de Lille) 또는 리옹 가톨릭 대학교(Catholic University of Lyon)와 같이 많은 사립 기관들이 마케팅 명칭으로 '대학교'를 사용하고 있다.
독일의 고등 교육 기관 대부분은 주가 운영하는 공립이다. 모든 교수는 공무원 신분이다. 공립 대학교는 일반적으로 사립 대학교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 1972년부터 1998년까지 공립 대학교는 수업료가 무료였지만, 일부 주에서는 그 이후로 저렴한 수업료를 도입했다.
헌법에 따르면, 고등 교육 기관(HEI)에는 대학교, 기술대학교 및 전문 기관이 포함된다. HEI 학부 과정은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며 수업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HEI 대학원 과정의 4분의 1은 수업료가 무료이다. 개별 평가 후, 그리스 학생의 30%는 수업료 없이 모든 법정 대학원 과정에 등록할 수 있다. 1926년 국립 기관으로 설립된 아테네 아카데미는 그리스에서 가장 권위 있는 연구 기관이다.
그리스에서는 사립 고등 교육 기관이 운영될 수 없으며, 그리스 정부는 이들을 학위 수여 기관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아일랜드에서는 거의 모든 대학교, 기술대학, 대학, 그리고 일부 3차 교육기관이 국립 기관이다. 정부는 학부생 교육 비용을 부담하지만, 학생들은 약 3,000 유로를 부담해야 한다. 아일랜드 국립대학과 같은 사립 고등 교육 기관도 몇 곳 있지만, 어떤 사립 기관도 대학 지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전문 분야에 특화되어 있다.
이탈리아의 대학교는 대부분 국립대학교이며, 법적으로 기관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이탈리아 정부는 대학 재정의 상당 부분을 지원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비교적 저렴한 수업료를 납부한다. 수업료는 학생의 가정 재산, 전공, 시험 성적 등을 고려하여 각 대학교에서 개별적으로 책정한다. 소득이 낮은 우수한 학생들을 위해 일부 장학금이 제공되지만, 그 규모는 제한적이다. 유럽의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이탈리아 대학의 연구 분야는 민간 자금 지원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네덜란드의 대학교 목록도 참고하라.
네덜란드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는 대부분의 국립 대학교에 자금을 지원한다. 네덜란드 국민과 유럽 연합 국가 국민은 첫 학사 또는 석사 학위에 대해 매년 등록금을 납부하는데, 2015년에는 1,951 유로였다.[11] 유럽 연합 외 국가 학생과 두 번째 학사 또는 석사 학위를 이수하려는 학생은 법정 수업료를 납부한다. 이 법정 수업료는 학사 과정의 경우 연간 7,000 유로에서 의학 석사 과정의 경우 30,000 유로까지 다양하다. 교육부는 사립 기관을 포함한 모든 대학교를 감독한다.
노르웨이의 대학교는 대부분 국립대학교로, 국가의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다.
폴란드에서는 국립대학교가 의회 법률에 의해 설립된다. 정부는 국립대학교 학생들의 모든 수업료와 기타 비용을 지불한다. 반면 사립대학교는 사립 시민, 단체 또는 회사가 운영하며 학생들에게 직접 수업료를 부과한다. 이러한 기관들은 일반적으로 국립대학교보다 낮게 평가된다.2. 1. 아프리카
아프리카의 공립 대학 현황은 다음과 같다.
나이지리아나이지리아의 모든 대학교는 정부가 소유하고 운영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프리카 공화국에는 23개의 공립 고등 교육 기관이 있으며, 전통적인 대학과 종합대학(전통적인 대학과 기술대학의 특징을 결합한 대학)으로 나뉜다.
케냐케냐에는 30개의 공립 대학이 있다. 케냐의 대학들은 주로 영어로 교육을 진행한다.
이집트이집트에는 전국에 12개의 공립 대학이 있다. 이집트의 공립 대학들은 아랍어를 주된 교육 언어로 사용하며, 일부 학과는 영어로 수업을 제공한다. 특히 카이로 대학교, 알렉산드리아 대학교, 아인 샴스 대학교 등은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며, 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높은 명성을 얻고 있다.
2. 1. 1. 이집트
이집트에서는 970년에 알 아즈하르 대학교가 마드라사로 설립되었다. 1961년에 공식적으로 국립대학교가 되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등 교육 기관 중 하나이다. 20세기 이집트는 정부 보조금이 지원되는 저렴한 수업료를 제공하는 여러 국립대학교를 설립하였는데, 여기에는 1908년 카이로 대학교, 1912년 알렉산드리아 대학교, 1928년 아시우트 대학교, 1957년 아인 샴스 대학교, 1959년 헬완 대학교, 1963년 베니수에프 대학교, 1974년 자가지그 대학교, 1976년 벤하 대학교, 1989년 수에즈 운하 대학교 등이 포함된다.
2. 1. 2. 케냐
케냐에서는 교육부가 모든 국립 대학교를 관리한다. 학생들은 8-4-4 교육 과정을 마치고 C+ 이상의 성적을 받으면 입학할 수 있다. 케냐 대학교 및 대학 중앙 배치 서비스(Kenya Universities and Colleges Central Placement Service)가 매년 설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학생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아 대학 또는 대학 수업료의 일부를 정부가 지원받는다. 학생들은 고등 교육 대출 위원회(Higher Education Loan Board)로부터 저금리 대출을 받을 자격도 있으며, 고등 교육을 마친 후 대출금을 상환해야 한다.
2. 1. 3. 나이지리아
나이지리아에서는 연방 정부와 주 정부 모두 국립 대학교를 설립할 수 있다.
2. 1. 4.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아프리카 공화국에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학교 협회(Universities South Africa) 회원인 국립 대학교 26개가 있다.[1] 이들은 종합대학교 또는 전통대학교로 분류된다.
2. 1. 5. 튀니지
튀니지에서는 고등교육과학연구부가 국립대학교들을 관리하며, 튀니지 바칼로레아를 취득한 학생들의 입학을 보장한다. 학생들은 정부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교 목록을 작성하며,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이 우선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대학교들은 바칼로레아 성적에 따라 학생들의 순위를 매긴다.
2. 2. 아시아
아시아 지역의 공립 대학은 각 국가의 교육 제도와 역사적 배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대한민국의 경우,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적 고등 교육 기관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1946년 서울대학교가 최초의 국립 대학으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각 지역에 거점 국립대학교들이 설립되어 국가 주도의 고등 교육 체계가 확립되었다. 대한민국은 대학수학능력시험이라는 표준화된 시험을 통해 대학 입시를 관리하며, 이는 공립 대학 입학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화 과정에서 국가 주도로 제국대학을 설립하며 고등 교육 체계를 발전시켰다. 현재 일본의 국립 대학은 도쿄 대학, 교토 대학 등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 중심 대학으로 성장했다. 일본은 대학 입시에서 센터 시험과 각 대학별 본고사를 통해 학생을 선발하며, 공립 대학은 일반적으로 사립 대학보다 학비가 저렴하고 입학 경쟁이 치열하다.
중화인민공화국은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을 받아 고등 교육 체제를 개편했다. 덩샤오핑 시대의 개혁개방 정책 이후 대학 교육이 양적으로 크게 확대되었으며, 985 공정, 211 공정 등 국가 주도의 대학 지원 정책을 통해 일부 대학을 집중적으로 육성했다. 베이징 대학, 칭화 대학 등은 세계적인 수준의 대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중국의 대학 입시는 가오카오라는 전국 단위 시험을 통해 이루어지며, 공립 대학은 사립 대학보다 학비가 저렴하고 입학 경쟁이 치열하다.
인도는 카스트 제도와 영국의 식민지배 등 복잡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독립 이후 인도 정부는 고등 교육 기회 확대를 위해 노력해 왔으며, 인도 공과대학교(IIT) 등 세계적인 수준의 공과대학을 육성했다. 인도는 대학 입시에서 JEE 등 다양한 시험을 활용하며, 공립 대학은 사립 대학보다 학비가 저렴하고 입학 경쟁이 치열하다.
베트남은 프랑스 식민지배와 베트남 전쟁의 영향으로 고등 교육 발전이 늦어졌으나, 1986년 도이머이 정책 이후 교육 개혁을 추진하여 고등 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베트남 국가대학 등 주요 공립 대학들은 국가 발전에 필요한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베트남은 대학 입시에서 전국 단위 시험을 실시하며, 공립 대학은 사립 대학보다 학비가 저렴하다.
필리핀은 스페인과 미국의 식민지배를 거치면서 서구식 교육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필리핀 대학교(UP)는 필리핀 최고의 국립 대학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고 있다. 필리핀의 대학 입시는 각 대학별로 자체 시험을 실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공립 대학은 사립 대학보다 학비가 저렴하다.
이처럼 아시아 각국의 공립 대학은 각국의 역사와 사회, 정치적 상황, 그리고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발전과 경제 성장에 대한 열망을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다.
2. 2. 1.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에는 40개의 국립대학교가 있다.[2] 이 대학교들은 정부가 1973년에 설립한 방글라데시 대학교 지원 위원회(University Grants Commission)의 감독을 받는다.
2. 2. 2. 브루나이
다른 항목 보기
브루나이의 대학교 대부분은 국립대학교이다.
2. 2. 3. 중화인민공화국
중국에서는 거의 모든 대학교와 연구기관이 공립이다. 일반적으로 성 정부가 공립 대학교를 운영한다. 하지만 일부는 직할시 정부가 관리하거나 중앙정부인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가 직접 관리하는 국립 대학교이다. 사립 4년제 대학도 있지만, 주로 민간 기업이 후원하는 전문대학이다. 사립 대학교는 일반적으로 학사 학위를 수여할 수 없다. 공립 대학교는 국내외적으로 더 높은 평판을 누리는 경향이 있다.[3][4][5]
2. 2. 4. 홍콩
홍콩 대학교 보조위원회는 홍콩의 국공립 대학교 8곳에 자금을 지원한다. 홍콩예술학교 또한 홍콩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다. 사립대학교는 4곳이 있는데, 홍콩 메트로폴리탄 대학교, 홍콩 수이엔 대학교, 홍콩 항생 대학교, 그리고 세인트 프랜시스 대학교가 있다.
2. 2. 5. 인도
인도의 대학교 대부분과 거의 모든 연구기관은 국립 대학이다. 일부 사립 학부 대학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은 국립 대학교와 제휴한 공과대학이다. 사립학교는 국가 또는 주 정부의 일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인도에는 원격 교육을 제공하는 "개방형" 국립 대학교인 인디라 간디 국립 원격 대학교도 있다. 재학생 수를 기준으로 현재 400만 명이 넘는 학생을 보유한 세계 최대 규모의 대학교이다.
2. 2. 6.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에서는 정부가 각 주에 있는 국립 대학교들을 지원한다. 자금은 교육, 문화, 연구, 기술부(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Research, and Technology)와 주 정부 및 시 정부를 통해 조달된다.
2. 2. 7. 이란
이란의 일부 국립대학교는 수업료가 없는 프로그램과 수업료가 있는 프로그램을 모두 제공한다. 국영 대학교는 매우 선별적이고 경쟁이 치열하다.
2. 2. 8. 이스라엘
다른 항목 보기
이스라엘에는 9개의 공식 대학교, 수십 개의 대학, 그리고 약 12개의 외국 대학교 분교가 있다. 이스라엘 고등교육위원회는 이 모든 기관을 학문적으로 감독한다. 이스라엘에서는 대학만이 박사 학위를 수여할 수 있다.
2. 2. 9. 일본
일본에서 공립대학은 광역자치단체 또는 기초자치단체에 의해 운영된다. (문부과학성)은 공립대학이 "지역에서 고등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사회의 지적, 문화적 기반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고 하며, "지역의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평가한다.[6] 이는 국립대학이 연구 중심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2010년에는 95개의 공립대학에 12만 7,872명의 학생이 재학했는데, 이는 일본의 86개 국립대학과 597개의 사립대학과 비교된다. 1980년에는 일본에 공립대학이 34개에 불과했으나, 이후 많은 공립대학이 새로 설립되었다. 2003년 7월부터 공립대학은 지방자치단체 독립행정기관법에 따라 법인화될 수 있다.[7] 문부과학성은 이러한 공립대학의 법인화를 통해 지역 사회에 더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 2. 10.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 고등교육법에 따라 국립대학과 공립대학으로 구분된다. 국립대학은 대한민국 중앙정부가 설립, 운영하는 대학이며, 공립대학은 지방자치단체가 설립, 운영하는 대학이다.
일반적으로 기초자치단체인 일반시가 설립한 공립대학은 없으며, 광역시나 도와 같은 광역자치단체가 설립한 대학이 대부분이다. 대표적인 공립대학으로는 서울특별시가 설립한 서울시립대학교가 있다.
강원도가 설립한 강원도립대학교, 경상남도가 설립한 경남도립거창대학과 경남도립남해대학, 경상북도가 설립한 경북도립대학교, 전라남도가 설립한 전남도립대학교, 충청남도가 설립한 충남도립대학교, 충청북도가 설립한 충북도립대학교 등이 있다. 이들 대학은 해당 광역자치단체의 재정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지역 주민들에게 고등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부분의 국립 대학교는 국립대학이다. 국립대학교는 29개, 특수대학교는 18개, 교육대학교는 10개가 있다. 이 외에도 국립전문대학 2개와 원격 교육을 제공하는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있다.
2. 2. 11.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의 대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키르기스스탄의 마나스 대학교는 준학사 학위, 학사 학위,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제공하는 국립 고등 교육 기관이다.[8]
2. 2. 12. 마카오
마카오대학교, 마카오폴리텍대학교, 마카오관광대학교는 마카오의 공립 대학교들이다.
2. 2. 13.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에는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지만 자체적으로 운영되는 20개의 국립대학교가 있다.
2. 2. 14. 네팔
트리부반 대학교는 네팔의 첫 번째 국립 대학교였다. 6개의 다른 연구소를 통해 운영되며 다양한 대학과 제휴하고 있다. 정부 지원을 받는 푸르반찰 대학교와 포카라 대학교가 있다.
2. 2. 15. 파키스탄
파키스탄의 대학교 목록
파키스탄에는 76개의 사립대학교와 비교하여 107개의 국립대학교가 있다.[9] 펀자브 대학교 (University of the Punjab)가 가장 큰 국립대학교이며, 그 다음으로 카라치 대학교 (University of Karachi)가 있다. 국립대학교들은 파키스탄 고등교육위원회 (Higher Education Commission)의 지도와 인정을 받는다.
2. 2. 16. 필리핀
필리핀에는 필리핀 고등교육위원회가 관리하는 500개가 넘는 국립 고등교육기관이 있다. 이 중 436개는 국립대학교 및 전문대학교이고, 31개는 지방대학교 및 전문대학교이며, 소수의 커뮤니티 칼리지가 있다. 2008년 필리핀 의회는 공화국 법률 제9500호를 통과시켜 다른 모든 국립대학교 및 전문대학교와 구별하기 위해 필리핀대학교를 국립대학교로 선포했다. 다른 주목할 만한 국립대학교 및 전문대학교로는 필리핀폴리테크닉대학교, 필리핀기술대학교, 필리핀사범대학교, 바탕가스국립대학교, 민다나오국립대학교가 있다.
2. 2. 17. 싱가포르
싱가포르에는 6개의 자율적인 국립 대학교가 있다. 여기에는 1905년에 설립된 싱가포르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1981년에 설립된 난양이공대학교(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2000년에 설립된 싱가포르경영대학교(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2009년에 설립된 싱가포르 기술디자인대학교(Singapore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Design)과 싱가포르 기술대학교(Singapore Institute of Technology), 그리고 2017년에 설립된 싱가포르사회과학대학교(Singapore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가 포함된다.
2. 2. 18. 스리랑카
스리랑카에는 17개의 국립대학교가 있다. 대부분의 국립대학교는 학부 배치 및 교직원 임용을 담당하는 대학교육위원회를 통해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는다.[10] 주요 대학으로는 1942년에 설립된 페라데니야 대학교와 1921년에 설립된 콜롬보 대학교가 있다. 스리랑카에는 또한 국방부가 운영하는 합동군사대학교인 존 코텔라왈라 장군 국방대학교가 있다.
2. 2. 19. 타이완
타이완의 대학교 목록
타이완의 150개 대학교 중 3분의 1이 국립대학교이다. 타이완 정부는 국립대학교에 자금을 지원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사립대학교보다 절반 이하의 등록금을 낸다. 1980년대 이전에 설립된 10개의 국립대학교는 타이완에서 가장 명문으로 여겨진다. 그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고등교육을 위해 국립대학교를 선택한다.
2. 2. 20. 태국
19세기 후반 태국에서는 중앙 정부의 전문 인력 수요가 높았다. 1899년, 국왕은 왕궁 북쪽 문 근처에 문관 양성 학교를 설립했다. 이 학교 졸업생들은 왕실 시종이 되어 전통적으로 마하타이부(Mahattai Ministry) 또는 다른 정부 부처에 진출했다. 2019년 기준으로 태국에는 19개의 국립 대학교가 있다.
2. 2. 21. 베트남
베트남의 대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2. 3. 유럽
2. 3. 1. 오스트리아
오스트리아에서는 대부분의 대학교가 국립대학교이다. 주 정부가 수업료를 규제하여 모든 국립대학교의 비용이 동일하다. 의학 등 일부 학문 분야를 제외하고, 마투라 시험에 합격한 모든 오스트리아인은 어떤 국립대학교에든 입학할 권리가 있다. 지원자가 많은 학과의 경우, 특히 생물학, 화학, 물리학과 같은 이공계열 학과는 1학년 또는 입학 전에 학생들이 통과해야 하는 추가 입학 시험이 도입되었다. 사립대학교는 1999년부터 존재했지만, 국립대학교보다 입학이 쉽다고 여겨지며 따라서 명성이 덜하다.
2. 3. 2. 벨기에
1990년 고등교육이 국가 정부의 통제에서 3개의 지역 사회의 통제로 이관될 때까지, 벨기에의 모든 공립 대학교는 국가 정부의 법률에 따라 운영되었다. 결과적으로, 플랑드르, 프랑스, 그리고 독일 공동체는 어떤 고등 교육 기관이 학위를 수여하고 구성하는지를 결정한다.
1970년대까지 벨기에는 두 개의 국립 대학교가 있었다: 1817년에 설립된 리에주 대학교(ULiège)와 겐트 대학교(UGent). 이들은 종종 두 개의 역사적인 국립 대학교로 불린다. 1965년, 소규모의 전문적인 단과대 공립 기관들이 대학교로 인정받았는데, 여기에는 수의학부와 젬블루 농생명공학대학교가 포함되며, 현재는 모두 리에주 대학교의 일부이다.
벨기에 국가는 더 큰 기관과 합병된 더 작은 공립 대학교들을 설립했는데, 여기에는 1965년 몽스에 설립된 공립 대학교가 포함되며, 이는 2009년 몽스 대학교의 일부가 되었다. 1971년 앤트워프에 설립된 국립 대학교는 현재 앤트워프 대학교의 일부이다. 하셀트 대학교는 림뷔르크 주가 관리하는 국립 공립 기관으로 시작되었다. 마찬가지로, 룩셈부르크 주는 아를롱에 있는 국립 공립 대학교를 관리했는데, 이는 2004년 ULiège의 일부가 되었다.
1891년 이후, 사립 대학교들은 점차 국가로부터 인정받고 자금을 지원받게 되었다. 대부분 가톨릭계인 일부 사립 기관들은 국가 자금을 지원받는 것에도 불구하고 행정적으로 국가로부터 자유롭다는 의미에서 자유 기관이라고 불린다. 2022년 현재, 지역 사회는 동일한 규칙과 법률을 따르는 모든 공인 대학교(공립 및 사립)에 자금을 지원한다.
2. 3. 3. 크로아티아
크로아티아의 대부분의 공립 대학은 국가에서 운영한다.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매년 100유로 미만의 행정 수수료만 내면 된다. 그러나 한 해에 여러 과목에서 낙제한 학생들은 해당 과목을 재수강해야 하며, 이 경우 부분 또는 전액의 수업료를 지불해야 한다.
2. 3. 4. 덴마크
덴마크의 대학교 및 대학 목록 문서를 참고하라.
덴마크의 대학교는 거의 대부분이 국립대학교이며, 사립대학교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 덴마크 학생들은 대학교에 무료로 다닌다.
2. 3. 5. 핀란드
핀란드의 대학교 목록 문서를 참고.
핀란드의 모든 대학교는 국립대학교이며 수업료가 무료이다.
2. 3. 6. 프랑스
프랑스의 대부분의 대학교와 그랑제콜(''grandes écoles'')은 공립이며, 연간 1,000유로 미만의 매우 저렴한 수업료를 부과한다. 주요 예외는 준사립 그랑제콜(예: HEC, EMLyon 또는 INSEAD)이다.
프랑스 교육법전(Code de l'éducation) 제L731-14조는 "사립 고등 교육 기관은 어떠한 경우에도 대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없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릴 가톨릭 대학교(Université catholique de Lille) 또는 리옹 가톨릭 대학교(Catholic University of Lyon)와 같이 많은 사립 기관들이 마케팅 명칭으로 '대학교'를 사용하고 있다.
2. 3. 7. 독일
독일의 고등 교육 기관 대부분은 주가 운영하는 공립이다. 모든 교수는 공무원 신분이다. 공립 대학교는 일반적으로 사립 대학교보다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 1972년부터 1998년까지 공립 대학교는 수업료가 무료였지만, 일부 주에서는 그 이후로 저렴한 수업료를 도입했다.
2. 3. 8. 그리스
헌법에 따르면, 고등 교육 기관(HEI)에는 대학교, 기술대학교 및 전문 기관이 포함된다. HEI 학부 과정은 정부가 자금을 지원하며 수업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HEI 대학원 과정의 4분의 1은 수업료가 무료이다. 개별 평가 후, 그리스 학생의 30%는 수업료 없이 모든 법정 대학원 과정에 등록할 수 있다. 1926년 국립 기관으로 설립된 아테네 아카데미는 그리스에서 가장 권위 있는 연구 기관이다.
그리스에서는 사립 고등 교육 기관이 운영될 수 없으며, 그리스 정부는 이들을 학위 수여 기관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는 대한민국 헌법에서 명시적으로 사립학교 설립과 운영의 자유를 보장하는 것과 대조적이며, 교육의 공공성을 강조하는 그리스의 헌법 정신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무상 교육 정책은 저소득층 학생들의 고등 교육 접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이는 사회적 불평등 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 3. 9. 아일랜드
아일랜드에서는 거의 모든 대학교, 기술대학, 대학, 그리고 일부 3차 교육기관이 국립 기관이다. 정부는 학부생 교육 비용을 부담하지만, 학생들은 약 3,000 유로를 부담해야 한다. 아일랜드 국립대학과 같은 사립 고등 교육 기관도 몇 곳 있지만, 어떤 사립 기관도 대학 지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전문 분야에 특화되어 있다.
2. 3. 10. 이탈리아
이탈리아의 대학교는 대부분 국립대학교이며, 법적으로 기관 자율성을 가지고 있다. 이탈리아 정부는 대학 재정의 상당 부분을 지원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비교적 저렴한 수업료를 납부한다. 수업료는 학생의 가정 재산, 전공, 시험 성적 등을 고려하여 각 대학교에서 개별적으로 책정한다. 소득이 낮은 우수한 학생들을 위해 일부 장학금이 제공되지만, 그 규모는 제한적이다. 유럽의 다른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이탈리아 대학의 연구 분야는 민간 자금 지원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2. 3. 11. 네덜란드
네덜란드의 대학교 목록도 참고하라.
네덜란드 교육부(Ministry of Education)는 대부분의 국립 대학교에 자금을 지원한다. 네덜란드 국민과 유럽 연합 국가 국민은 첫 학사 또는 석사 학위에 대해 매년 등록금을 납부하는데, 2015년에는 1,951 유로였다.[11] 유럽 연합 외 국가 학생과 두 번째 학사 또는 석사 학위를 이수하려는 학생은 법정 수업료를 납부한다. 이 법정 수업료는 학사 과정의 경우 연간 7,000 유로에서 의학 석사 과정의 경우 30,000 유로까지 다양하다. 교육부는 사립 기관을 포함한 모든 대학교를 감독한다.
2. 3. 12. 노르웨이
노르웨이의 대학교는 대부분 국립대학교로, 국가의 재정적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이는 노르웨이 정부가 고등교육에 대한 접근성을 확보하고, 국민들의 교육 수준 향상을 위해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참고로 이미지는 노르웨이 대학교가 아닌 폴란드의 대학교 이미지입니다. 관련 이미지를 추가할 필요가 있습니다.)
2. 3. 13. 폴란드
폴란드에서는 국립대학교가 의회 법률에 의해 설립된다. 정부는 국립대학교 학생들의 모든 수업료와 기타 비용을 지불한다. 반면 사립대학교는 사립 시민, 단체 또는 회사가 운영하며 학생들에게 직접 수업료를 부과한다. 이러한 기관들은 일반적으로 국립대학교보다 낮게 평가된다. 루블린 요한 바오로 2세 가톨릭 대학교와 같이 소수의 사립대학교는 수업료를 부과하지 않는다.
2. 3. 14. 포르투갈
포르투갈에는 13개의 국립대학교, 1개의 대학교 연구소, 그리고 1개의 원격대학교가 있다. 포르투갈의 국립기관이 제공하는 포르투갈의 고등교육은 무료가 아니며 학생들은 수업료를 지불해야 한다. 하지만 수업료는 사립대학보다 낮다. 2022년 기준으로 국립대학에서 법적으로 허용되는 최고 수업료는 연간 €697이다.[12] 국립대학에는 포르투갈에서 가장 선별적이고 엄격한 고등 교육 기관 중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
분류:포르투갈의 대학교
2. 3. 15. 러시아
러시아에는 수천 개의 대학교에서 약 750만 명의 학생이 공부하고 있다. 1755년에 설립된 모스크바 국립대학교는 국립 연구 대학교이며 러시아에서 가장 권위 있는 대학교이다.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는 1724년에 설립된 국립 대학교로, 러시아 연방 정부가 관리한다.
2. 3. 16. 세르비아
세르비아에서는 대학생의 85% 이상이 국립대학교에서 공부한다.[13] 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연간 100유로 미만의 행정비만 지불한다. 그러나 한 해에 여러 과목에서 낙제하여 재수강해야 하는 학생은 연간 500유로에서 2000유로의 부분 또는 전액 등록금을 지불해야 한다.[14] 사립대학교는 1989년부터 세르비아에 존재했지만, 일반적으로 국립대학교보다 학문적 엄격성이 떨어져 평판이 좋지 않다. 이는 대한민국의 상황과 유사하게, 국공립 대학의 학문적 권위가 더 높게 평가받는 경향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2. 3. 17. 스페인
스페인의 74개 대학교 중 54개는 공립대학교이며, 소재지 자치 지역의 재정 지원을 받는다. 대학교 재정 지원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중앙 정부는 모든 공립대학교에 대해 동일한 수업료를 책정하며, 이는 사립대학교보다 훨씬 낮다. 2010년 기준으로 법적으로 허용되는 최고 수업료는 학점당 14.97 유로이며, 평균 60학점의 정규 과정의 경우 연간 약 900 유로에 해당한다.[15] 사립대학교의 수업료는 연간 18,000 유로에 달할 수 있다.
공립대학교는 국가 소유이지만 상당한 자율성과 자치권을 부여받는다. 그러나 공립대학교는 자산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으며 스페인 행정법의 적용을 받는다. 공립대학교 관리자, 강사 및 교수는 종신 재직권이 아닌 공무원 신분을 부여받는다. 스페인 공무원은 예외적이고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해고될 수 없다. 연구비는 자치 지역 또는 중앙 정부에서 배정되며, 전자의 경우 자치 지역마다 지원 금액과 조건이 크게 다르다.
2. 3. 18. 스웨덴
스웨덴의 대학교 대부분은 국립대학교이다. 스웨덴의 교육은 무료이기 때문에 스웨덴 대학교에서는 수업료를 내지 않는다.
2. 3. 19. 튀르키예
튀르키예에는 2016년을 기준으로 118개의 국립대학교, 5개의 기술대학교, 2개의 기술대학, 1개의 미술대학교를 포함하여 총 183개의 대학교와 학원이 있다.[16] 튀르키예의 고등 교육 기관은 YÖK가 관할한다. 65개의 사립 재단 대학교 중 7개는 2년제 교육기관이다. 또한, 4개의 군사학교와 1개의 경찰학교를 포함한 특수 기관도 있다.
2. 3. 20.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우크라이나 영토에는 910개의 고등 교육 기관이 있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수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대학생 수는 오히려 증가하여 1990/1991학년도에는 881,000명이었던 학생 수가 2007/2008학년도에는 240만 명으로 늘어났다.
1834년에 설립되어 키이우에 위치한 키이우 타라스 셰우첸코 국립대학교(Taras Shevchenko National University of Kyiv)는 우크라이나에서 가장 명망 높은 대학교 중 하나이다. 하르키우 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Kharkiv)는 1804년 하르키우에 설립되었으며, 이후 동유럽에서 가장 큰 대학교 중 하나로 성장했다.
2. 3. 21. 영국
영국에서 정부는 대학교를 소유하지 않지만, 대학교가 교육 또는 연구를 위해 자금위원회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으면 공립으로 간주된다. 학위 수여권과 대학교(University) 또는 대학(University college) 명칭 사용권은 국왕의 특별 의회가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의 기관에 대해 부여하고, 학생청이 잉글랜드의 기관에 대해 부여한다.[17] 모든 대학교는 자율적이며 법적으로 국가로부터 독립적이지만, 여전히 정부의 규제를 받는다. 규제 정도는 국가별로, 그리고 대학교의 헌법 형태와 공공 자금 지원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영국의 대부분의 대학교는 학생청(잉글랜드), 웨일스 고등교육 자금위원회, 경제부(북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자금위원회로부터 일괄 지원금을 통해 공공 자금을 지원받는다. 영국에는 일괄 지원금을 받지 않는 정식 사립대학교가 6개 있으며, 모두 잉글랜드에 있다(영국의 사립대학교). 일괄 지원금을 받는 대학교 및 기타 고등 교육 기관은 2010년 평등법 및 2000년 정보 공개법(스코틀랜드 기관의 경우 2002년 스코틀랜드 정보 공개법)에 따라 공공 기관으로 취급된다. 또한 1998년 인권법에 따라 공공 기관으로 간주될 가능성이 높다.[18][19][20] 고등 교육 법인으로 설립된 대학교는 공공 자금을 지원받지 않더라도 일부 목적을 위해 공공 기관으로 간주된다.[21]
잉글랜드의 대학교가 공공 자금을 지원받는 경우, 정부는 수업료를 규제한다. 대부분의 대학교(고등 교육 법인으로 설립되지 않은 대학교)는 공공 기관으로서의 지위를 박탈당하게 된다. 2012년 이후 대학교에 대한 직접적인 정부 자금 지원은 감소했다.[25]
영국 내 4개 국가 각각은 고등 교육에 대해 이양 사항으로 책임을 지며, 거주 학생에 대한 지원 방식이 다르다.
런던 대학교는 1836년 시험 위원회로 설립된 이후 1900년까지 정부의 통제를 받았다.
2019년까지 공공 자금을 지원받는 대학교의 관리 문서는 국왕의 특별 의회의 허가를 받아야만 수정할 수 있었다. 잉글랜드의 대부분의 공공 자금 지원 대학교의 경우, 2017년 고등 교육 및 연구법은 국왕의 특별 의회 감독을 학생청의 공공 이익 거버넌스 규정으로 대체했다. 그러나 1992년 이전에 대학교 부문에 있었던 거의 모든 잉글랜드 기관에 대해 국왕의 특별 의회 감독은 계속된다.[36][37]
2. 4. 북아메리카
캐나다의 경우, 토론토 대학교와 같이 세계적으로 명성이 높은 공립 대학교가 다수 존재한다. 토론토 대학교는 와 같이 아름다운 캠퍼스를 자랑하며, 높은 교육 수준과 연구 성과로 유명하다. 미국의 경우, 주립 대학 시스템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캘리포니아 대학교 시스템(UC 시스템)이나 주립대학 시스템(CSU 시스템)과 같이 규모가 크고 다양한 전문 분야를 갖춘 공립 대학들이 있다. 이러한 미국 공립 대학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학비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진학하고 있으며, 사회 이동성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러나 최근 미국에서는 공립 대학의 재정난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학비 인상과 교육의 질 저하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는 미국의 사회 경제적 불평등 심화와 관련된 문제이기도 하다. 멕시코를 포함한 중남미 국가들은 미국과 캐나다에 비해 공립 대학 시스템이 상대적으로 덜 발달되어 있으며, 자원 부족과 정치적 불안정으로 인해 교육의 질이 낮은 경우도 있다. 그러나 최근 중남미 국가들에서도 교육 개혁을 통해 공립 대학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2. 4. 1. 캐나다
캐나다에서 교육은 각 주의 헌법적 책임이다. 주 정부는 토론토 대학교를 옥스브리지 모델을 바탕으로 설립했으며, 앨버타 대학교와 매니토바 대학교는 미국 주립 대학교의 패턴을 따랐다.
캐나다의 많은 오래된 대학교들은 맥길 대학교와 같이 사적으로 기부금을 받았거나, 마운트 앨리슨 대학교(캐나다 연합 교회), 라발 대학교(가톨릭), 세인트 메리 대학교(가톨릭), 퀸즈 대학교(장로교), 댈하우지 대학교(비종파), 세인트 프랜시스 자비에르 대학교(가톨릭), 맥마스터 대학교(침례교), 오타와 대학교(가톨릭)와 같이 교단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들 대학교는 20세기에 공립으로 전환되어 세속화되었다. 현재 모든 주요 캐나다 대학교는 공립으로 운영되지만, 입학, 수업료, 운영에 대한 결정권을 가진 제도적 자치권을 유지한다.
2. 4. 2. 코스타리카
코스타리카의 국립 대학교에는 코스타리카 대학교, 국립대학교, 국립원격대학교, 국립기술대학교 및 코스타리카 기술원이 있다.
2. 4. 3. 멕시코
멕시코에는 공립 및 사립 대학교가 있으며, 비용, 학업 성취도 및 조직 측면에서 다양한 차이가 있다. 가장 명망 있고 규모가 큰 대학교인 멕시코 국립 자치 대학교(UNAM)는 공공 자금으로 운영되며 사실상 무료이며 정부로부터 독립적이다. 국립 폴리테크닉 연구소는 연방 정부가 관리하는 공립 대학교이다. 여러 주립 공립 대학교는 UNAM과 유사한 자치 모델을 따르고 있으며, 여기에는 과달라하라 대학교(Universidad de Guadalajara)와 누에보레온 자치 대학교(Universidad Autónoma de Nuevo León)가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주립 대학교는 공공 자금을 그다지 많이 받지 못하기 때문에 수업료가 더 높다.
2. 4. 4. 파나마
파나마에는 파나마 대학교(University of Panama)와 파나마 기술대학교(Technological University of Panama)를 포함한 5개의 국립대학교가 있다. 국립대학교는 국가에서 자금을 지원하며, 수업료는 없거나 4년에 약 1,500달러 정도로 매우 저렴하다. 국립대학교는 국가의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운영된다. 국립대학교는 무료 또는 저렴한 비용 때문에 명문으로 여겨지지만, 이는 학생들의 합격과 유지를 위한 재정적 유인책을 제거하는 결과를 낳는다.
2. 4. 5. 미국
미국에서는 거의 모든 공립 대학교가 주 정부에 의해 설립 및 운영되며, 각 주로부터 보조금을 받는다. 이들 대학교는 종종 많은 학생 수, 광범위한 시설 및 큰 예산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수십 년 동안 공립 대학교에 대한 지원이 감소하여 많은 공립 대학교가 사립 기부금을 모으거나 수업료와 기타 비용을 인상해야 했다. 공립 대학교에서 주 정부의 지원 비율은 1974년 78%에서 2000년 43%로 감소했다.[38] 주 정부는 일반적으로 주외 학생에게 더 높은 수업료를 부과하는데, 이는 주내 학생 또는 그 부모가 이전에 주 세금을 납부하여 대학교를 지원했기 때문이다.
미국 최초의 공립 대학교는 1785년에 설립된 조지아 대학교와 1789년에 설립된 채플 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이다. 1801년에 설립된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는 가장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지원받은 공립 대학교이다. 1804년에 설립된 오하이오 대학교는 지속적으로 운영되는 가장 오래된 공립 대학교이다. 빈센스 대학교는 1801년에 설립되었고 지속적으로 운영되어 왔으나, 1806년까지는 공립 기관이 아니었고 1889년 이후로 주로 2년제 기관이었다. 테네시 대학교는 1794년에 설립되었지만 1807년까지 주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지 못했고 1809년부터 1820년까지 문을 닫았다. 윌리엄 앤드 메리 대학교, 채플 힐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조지아 대학교, 사우스캐롤라이나 대학교는 남북 전쟁 중에 문을 닫았다. 1693년에 설립된 윌리엄 앤드 메리 대학교와 1766년에 설립된 럿거스 대학교는 9개의 식민지 시대 대학 중 두 곳이었다. 두 대학교 모두 20세기까지 사립 대학교였으며, 윌리엄 앤드 메리 대학교는 1908년에, 럿거스 대학교는 1945년에 공립 대학교가 되었다.
모든 주에는 최소한 하나의 공립 대학교가 있으며, 가장 큰 주에는 30개가 넘는 공립 대학교가 있다. 이는 부분적으로 1862년 모릴 토지 교부법의 결과인데, 이 법은 농업 및 기계 기술 분야의 연구를 강조하는 공립 대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적격 주에 연방 토지를 판매할 수 있도록 했다.[39] 이 토지의 상당 부분은 아메리카 원주민 부족의 땅에서 나왔다.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 아이오와 주립 대학교, 뉴저지 주립 럿거스 대학교, 그리고 미주리 대학교는 초기 토지 교부 대학이었다.[40] 남부 주를 대상으로 한 1890년 농업 대학법은 주에 있는 기존의 토지 교부 기관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제외된 경우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위한 토지 교부 대학교를 설립하도록 규정했다.[39][40] 1964년 시민권법, 1965년 고등 교육법, 그리고 1972년 교육 개정법은 여성, 소수 민족, 저소득층 지원자에게 공립 대학교의 접근성을 더욱 높였다.[41]
많은 미국 공립 대학교는 종종 사범학교 또는 사범대학으로 불리는 교원 양성 기관으로 시작하여 결국 종합 대학교로 확장되었다. 예로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애리조나 주립 대학교, 위스콘신 대학교 밀워키, 그리고 미주리 주립 대학교가 있다. 아메리카 원주민이 운영하는 공립 부족 대학 및 대학교도 있으며, 지방 정부가 소유주 또는 거버넌스의 일부인 일부 대학도 있다. 예를 들어 뉴욕 시립 대학교와 퀸시 칼리지가 있다. 연방 정부가 설립한 공립 대학교에는 미국 군사 사관학교(미국 국방부에서 관리)와 인디언 국립 하스켈 대학교(인디언 사무국이 관할)가 있다. 워싱턴 D.C. 대학교는 워싱턴 D.C.의 공립 대학교이며, 워싱턴 D.C. 자치 정부가 의회로부터 위임받은 권한에 따라 감독한다. 워싱턴 D.C.의 사립 대학교도 연방 정부의 허가를 받았지만 공립 대학교는 아니다.
역사적으로 미국의 많은 명문 대학교는 사립 대학교이며, 가장 주목할 만한 예로 아이비리그가 있다. 그러나 일부 공립 대학교는 매우 명문이고 선발이 까다롭다. 일부는 퍼블릭 아이비로 불릴 수도 있다. 많은 대학교가 미국 대학 협회의 회원이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는 종종 순위에서 세계 10위권 대학교 및 미국 최고의 공립 대학교로 선정된다.[42][43][44] 자유교양대학도 여러 곳 있는데, 공립 자유교양대학 협의회 회원들이 그 예시이다.
미국의 커뮤니티 칼리지는 일반적으로 공립 대학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2년제 대학 후 교육 과정인 준학사 학위를 제공한다. 반면에 대학교의 학사 학위는 4년제 대학 후 교육 과정이다. 21세기에 일부 커뮤니티 칼리지는 특히 응용 직업 중심 과목에서 학사 학위 프로그램을 추가했다.
2. 5. 오세아니아
2. 5. 1.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에는 43개의 대학교가 있으며, 그중 37개가 국립대학교이다.[45] 8대 명문대학 연합에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가장 오래된 국립대학교 중 일부가 포함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퀸즐랜드 대학교, 시드니 대학교, 멜버른 대학교,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애들레이드 대학교, 서호주 대학교,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교, 모내쉬 대학교가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기술 네트워크는 이전의 기술 대학으로부터 성장한 국립 대학교 네트워크로, RMIT 대학교, 퀸즐랜드 기술대학교, 커틴 대학교, 시드니 기술대학교, 남호주 대학교가 포함된다. 이러한 이전 기술 대학들은 당시 고용, 교육 및 훈련 장관이었던 존 도킨스가 실시한 개혁으로 인해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에 대학교 지위를 얻었다. 혁신적인 연구 대학 오스트레일리아는 여러 국립 연구 중심 기관을 대표하며, 대부분의 회원은 1960년대와 1970년대에 설립되었다. 이 그룹에는 찰스 다윈 대학교, 제임스 쿡 대학교, 그리피스 대학교, 라 트로브 대학교, 플린더스 대학교, 머독 대학교, 웨스턴 시드니 대학교가 포함된다.
지역 대학 네트워크에는 센트럴 퀸즐랜드 대학교, 서던 크로스 대학교, 페더레이션 대학교, 남퀸즐랜드 대학교, 선샤인 코스트 대학교, 뉴잉글랜드 대학교 (오스트레일리아), 찰스 스터트 대학교를 포함한 7개의 오스트레일리아 지역 국립 대학교가 포함된다. NUW 연합은 뉴사우스웨일스주에 있는 세 개의 국립 대학교, 즉 뉴캐슬 대학교,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울롱공 대학교로 구성된다.
2. 5. 2. 뉴질랜드
뉴질랜드의 8개 대학교는 모두 국립대학교이다. 오타고 대학교(University of Otago)는 1869년 주 법령에 의해 설립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1870년부터 1961년까지 뉴질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New Zealand)는 오클랜드(Auckland), 웰링턴(Wellington), 크라이스트처치(Christchurch), 더니든(Dunedin)에 있는 구성 단과대학들을 가진 사실상 하나의 대학교 구조였다. 1961년 뉴질랜드 의회는 오클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Auckland), 빅토리아 대학교(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캔터베리 대학교(University of Canterbury), 오타고 대학교(University of Otago)의 네 개 독립적인 대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구성 단과대학들을 해산했다. 이러한 변화는 또한 해밀턴에 새로운 대학교인 와이카토 대학교(University of Waikato)를 설립했다.
두 개의 전 농업대학인 매시 대학교(Massey University)와 링컨 대학교는 각각 1963년과 1990년에 대학교가 되었다. 오클랜드 기술대학교(Auckland University of Technology)는 1989년 교육법에 따른 국무회의 결정(Order in Council)에 따라 2000년에 설립되었다.[46]
2. 6. 남아메리카
아르헨티나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는 대표적인 공립 대학이다.
2. 6. 1. 아르헨티나
아르헨티나에서는 국립대학교, 즉 공립대학교는 국가 의회 법률에 의해 설립되었다. 코르도바 국립대학교와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처럼 국가보다 앞서 설립된 대학교는 예외로, 이들은 공법상의 법인이다. 아르헨티나 정부는 매년 국가 예산 법률을 통해 공립대학교에 대한 자금을 지원한다.
국립대학교는 모든 주에 위치하며, 전국의 학부생 80% 이상이 이들 대학교에 재학 중이다. 이들 대학교는 학생들에게 수업료가 무료이며, 대학 도서관의 도서 이용 또한 무료이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교재와 학습 자료는 직접 구매하며,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아르헨티나의 국립대학교는 전국 과학 연구의 50% 이상을 담당하고 있으며, 공공 및 민간 부문에 기술 지원을 제공한다.
2. 6. 2. 브라질
브라질에서는 연방 정부 또는 주 정부가 상파울루 대학교, 캄피나스 대학교, 리우그란데두술 연방 대학교, 리우데자네이루 연방 대학교, 미나스제라이스 연방 대학교, 바이아 연방 대학교 및 연방 교육원을 포함한 수백 개의 국립 대학교에 자금을 지원한다.
브라질 연방 헌법은 수업료나 입학금 없이 국립 대학교에 다닐 권리를 보장한다. 국립 대학교는 매년 수천 명의 지원자가 몰리기 때문에 입학 시험을 통과하는 것은 우수한 학생들만 가능하다. 입학 시험은 대학교별로 실시하는 베스티불라 시험이거나 전국 단위의 ENEM 시험이다. 2005년부터 브라질 정부는 저소득층 학생들이 사립 대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일부 수업료 지원을 제공하고 있다.
많은 국립 대학교에서는 중등 교육(고등학교)을 전액 국립 학교에서 이수한 학생들을 위한 50% 정도의 할당제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국립 대학교는 인종 할당제를 시행하는데, 보통 공립 고등학교 졸업생으로 제한된다. 일부 대학교는 할당제 대신 입학 시험에 가산점을 부여한다. 예를 들어 미나스제라이스 연방 대학교에서는 공립 고등학교 졸업생에게 시험 성적에 10%의 가산점을 부여하고, 흑인 또는 파르두(혼혈)임을 신고하는 공립학교 졸업생에게는 15%의 가산점을 부여한다.
국립 대학교는 브라질의 거의 모든 대학원 학위를 수여하는 기관으로, 각각 박사 학위와 석사 학위를 의미하는 도우토라도(doutorado)와 메스트라도(mestrado)를 포함한다. 국립 대학교 교수는 공무원으로, 종신 재직권을 가지며 공개 채용을 통해 임용되며, 국제 연구 논문 발표 실적이 중요한 기준이 된다. 국립 대학교 교수의 강의 부담은 일반적으로 적어 연구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국립 대학교 대학원 과정은 브라질 학술 연구의 주요 원천이다.
반면 대부분의 사립 대학교는 시간제 강사를 고용하고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게 수행하는 영리 기업이다. 맥켄지 장로교 대학교(상파울루)나 리우데자네이루 가톨릭 대학교와 같이 종교 단체와 연계된 비영리 사립 대학교는 주목할 만한 예외이다.
2. 6. 3. 칠레
칠레에서는 국립대학교가 사립대학교보다 비용이 저렴하지만 무료는 아니다. 칠레는 국내총생산(GDP)의 4%만 교육에 지출하는데, 이는 국제연합이 선진국에 권장하는 7%에 비해 낮은 수치이다. 그 결과 학생과 그 가족들은 공립대학교와 사립대학교 모두의 등록금의 75%를 부담해야 한다.
가장 명문 대학교는 국립대학교인 칠레대학교(Universidad de Chile)와 국립대학교 지원을 받는 사립대학교인 칠레 가톨릭대학교(Pontificia Universidad Católica de Chile), 콘셉시온 대학교(Universidad de Concepción), 산타마리아 공과대학교(Universidad Técnica Federico Santa María)이다. 칠레대학교는 칠레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기관이다.
2. 6. 4. 페루
역사적으로 페루의 많은 명문 대학교들은 국립대학교였으며, 산 마르코스 국립대학교가 대표적이다. 1551년 5월에 설립된 이 대학교는 페루 최고의 대학교이자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이다. 페루의 국립 공립대학교에 입학하려면 학생들은 입학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아야 한다.
2002년에 가장 명문인 국립대학교들이 모여 페루 대학교 전략 연합(Strategic Alliance of Peruvian Universities)을 결성했는데, 여기에는 산 마르코스 국립대학교, 라 몰리나 국립농업대학교, 국립공과대학교, 페데리코 비야레알 대학교, 그리고 칼라오 국립대학교가 포함되었다. 다른 국립 및 사립 대학교들은 준회원이나 자문 회원으로 참여했다.
3. 각주
참조
[2]
웹사이트
List of Public Universities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Best Chinese Universities Ranking
http://www.shanghair[...]
2024-12-07
[4]
뉴스
U.S. News Releases 2024-2025 Best Global Universities Rankings
https://www.usnews.c[...]
2024-06-25
[5]
웹사이트
ShanghaiRanking’s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2024 Press Release
http://www.shanghair[...]
2024-12-07
[6]
웹사이트
http://www.mext.go.j[...]
2011-09-07
[7]
웹사이트
FY2003 White Paper on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1.2.1.3]
http://www.mext.go.j[...]
2008-02-11
[8]
웹사이트
Kyrgyz-Turkish Manas University
https://web.archive.[...]
2015-04-18
[9]
웹사이트
Our Institutes
http://app.hec.gov.p[...]
[10]
웹사이트
Types of Universities and Institutions in Sri Lanka
https://www.k12acade[...]
2021-11-02
[11]
웹사이트
Collegegeld
https://web.archive.[...]
2015-12-29
[12]
웹사이트
Propinas
https://www.dges.gov[...]
2020-08-08
[13]
웹사이트
Уписани студенти, 2018/2019. школска година – Високо образовање
http://publikacije.s[...]
Statistical Office of Serbia
2019-06-25
[14]
뉴스
SKRIVENI TROŠKOVI STUDIRANJA Evo koliko samofinansirajuće studente stvarno KOŠTA GODINA
https://www.blic.rs/[...]
2017-06-10
[15]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1-09-27
[16]
웹사이트
Study In Turkey
https://web.archive.[...]
2020-02-11
[17]
웹사이트
The right to award UK degrees
https://www.qaa.ac.u[...]
Quality Assurance Agency
2018-12-28
[18]
웹사이트
What does the law say?
https://www.officefo[...]
Office for Students
2018-12-26
[19]
웹사이트
Freedom of expression: a guide for higher education providers and students' unions in England and Wales
https://www.equality[...]
Equality and Human Rights Commission
2019-07-14
[20]
웹사이트
Accessing official information
https://ico.org.uk/y[...]
Information Commissioner's Office
2018-12-26
[21]
웹사이트
Freedom of Information Act 2000
https://www.legislat[...]
2018-12-26
[22]
웹사이트
OFFA and £6000-9000 tuition fees
https://web.archive.[...]
Oxford Centre for Higher Education Policy Studies
2011-02-21
[23]
웹사이트
Public interest governance principles
https://www.officefo[...]
Office for Students
2018-12-26
[24]
웹사이트
About us
http://www.oiahe.org[...]
Office of the Independent Adjudicator
2018-12-26
[25]
뉴스
Taxpayer funding of universities 'to drop to 100 year low'
https://www.telegrap[...]
2012-01-06
[26]
웹사이트
Financial Statements 2013–14
http://www.herts.ac.[...]
University of Hertfordshire
2015-04-03
[27]
웹사이트
Annual Report and Financial Statements for the year ended 31 July 2018
https://www.ucl.ac.u[...]
UCL
2018-12-26
[28]
웹사이트
Annual Report and Financial Statements for the year ended 31 July 2014
https://web.archive.[...]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5-04-03
[29]
웹사이트
Financial Statements for the year ended 31 July 2014
http://www.dur.ac.uk[...]
Durham University
2015-04-03
[30]
PDF
Strategic Report and Financial Statements 2017–18
https://images.herts[...]
University of Hertfordshire
2018-12-26
[31]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32]
뉴스
BBC News – Scots universities set tuition fee rates
https://web.archive.[...]
2011-10-03
[33]
웹사이트
Wales unveils means-tested university grants of up to £11,000 a year
http://www.theguardi[...]
2022-12-17
[34]
서적
University of London and the World of Learning, 1836–1986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8-12-29
[35]
서적
The University of London, 1858–1900: The Politics of Senate and Convocation
https://books.google[...]
Boydell Press
2018-12-29
[36]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and Research Bill: Detailed Impact Assessment
https://www.gov.uk/g[...]
Department for Business, Innovation and Skills
2016-06-01
[37]
웹사이트
Higher education
https://privycouncil[...]
Privy Council
2022-12-21
[38]
서적
State Preferences for Higher Education Spending: A Panel Data Analysis, 1977–2001
Praeger Publishers
[39]
웹사이트
Morrill Act (1862)
https://www.archives[...]
2021-08-16
[40]
웹사이트
The Civil War: The Senate's Story
https://www.senate.g[...]
[41]
간행물
Future of Public Universities
https://library.cqpr[...]
2013-01-18
[42]
웹사이트
Top World University Rankings
https://www.usnews.c[...]
2016-09-09
[43]
웹사이트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 Academic Ranking of World Universities - 2017
http://www.shanghair[...]
[44]
뉴스
UC boasts the world's top public universities
https://www.universi[...]
2017-08-17
[45]
웹사이트
List of Australian Universities
https://www.studyaus[...]
[46]
웹사이트
New Zealand Legislation
https://web.archive.[...]
2015-03-18
[47]
웹사이트
公立大学について: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2022-01-28
[48]
웹사이트
[スキャナー]公立大学、全国に100校…若者引き留め期待で30年で2・5倍
https://www.yomiuri.[...]
2023-09-17
[49]
웹사이트
自治体に翻弄される「地方公立大学」の嘆き…“首都大学東京”は“東京都立大学”へ先祖返り
https://biz-journal.[...]
2020-02-11
[50]
웹사이트
公立大学の財政: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2020-02-11
[51]
웹사이트
ファクトブック
http://www.kodaikyo.[...]
2020-02-11
[52]
웹사이트
【大学受験】2020年度初年度納入金平均額、公立・私立大で上昇…旺文社
https://resemom.jp/a[...]
2022-01-28
[53]
웹사이트
【大学受験】2020年度初年度納入金平均額、公立・私立大で上昇…旺文社
https://resemom.jp/a[...]
2022-01-28
[54]
웹사이트
法人統合
https://www.osakafu-[...]
2018-06-07
[55]
웹사이트
公立大学基礎データ:文部科学省
https://www.mext.go.[...]
2022-01-28
[56]
뉴스
私大、公立化で経営改善/本紙調査 授業料下げ志願者増/税投入「延命」批判も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18-05-31
[57]
웹사이트
地方私大、公立化で再生狙う
https://www.nikkei.c[...]
2022-04-06
[58]
웹사이트
公立大学法人化に関する柏崎市長の判断を受けて | 新潟産業大学
https://www.nsu.ac.j[...]
2018-02-15
[59]
웹사이트
「公立化」求める姫路独協大学に 審議会は「公立化は困難」
https://sun-tv.co.jp[...]
2022-02-19
[60]
웹사이트
千葉科学大の公立化、運営する加計学園が銚子市に要請…開校時の建設費補助で市は深刻な財政危機に
https://www.yomiuri.[...]
2023-11-18
[61]
웹사이트
公立大学の新設抑制へ 文科省、質向上へ厳格審査
https://www.nikkei.c[...]
2023-09-16
[62]
일반
[63]
웹사이트
2022年度 学校推薦型入試一覧
https://www2.sundai.[...]
駿台予備学校(学校法人駿河台学園)
[64]
간행물
アメリカの州立大学 : その歴史とインディアナ大学の事例
https://nagano.repo.[...]
長野大学
1999-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