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타 (우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스타는 로스코스모스가 설계한 소행성 탐사선으로, 베가 계획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프랑스와 러시아가 협력하여 렌더와 로버, 열기구를 제작할 계획이었으나, 다른 임무와 소련의 붕괴로 인해 개발이 중단되었다. 베스타 계획이 취소된 후, 2011년 포보스 그룬트가 대체 계획으로 발사되었지만 남태평양에 추락했다. 베스타는 소행성 탐사 임무를 위해 설계되었으며, 다양한 과학 장비를 탑재하고, 궤도 및 기술 사양에 대한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결국 취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프랑스 관계 - SÉCAM
SECAM은 프랑스에서 개발된 아날로그 컬러 텔레비전 방송 방식으로, PAL에 비해 수직 색 해상도가 낮고 아날로그 편집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프랑스의 옛 식민지, 일부 동유럽 국가, 소련 등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사용 국가가 크게 감소하였다. - 소련-프랑스 관계 - 노르망디-네만
노르망디-네만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자유 프랑스군 소속으로 동부 전선에서 활약하며 네만강 점령 전투 공로로 명칭을 얻은 전투 비행 부대로, 소련으로부터 야코블레프 전투기를 지원받고 훈련하여 실전에 투입되었으며, 양국으로부터 훈장을 수여받고 전후에도 존속하다 해체 후 재편성되었다. - 소행성 탐사선 - 니어 슈메이커
존스홉킨스 대학교 응용물리학 연구소에서 개발한 최초의 로봇 소행성 탐사선인 NEAR 슈메이커는 지구 근접 소행성 433 에로스를 탐사하며 크기, 형태, 질량, 밀도, 구성, 지표 및 내부 구조, 자기장 정보를 수집하고 소행성 마틸다에 대한 근접 통과 관측을 수행하여 16만 장 이상의 이미지와 과학 데이터를 얻었으며, 소행성 궤도를 도는 최초의 탐사선이 되어 태양계 형성 연구에 기여했다. - 소행성 탐사선 - 뉴 허라이즌스
뉴 허라이즌스는 NASA의 뉴 프런티어 계획 탐사선으로, 명왕성과 카이퍼 벨트를 탐사하며 명왕성의 표면, 지형, 대기 등을 조사하고 카이퍼 벨트 천체 아로코스의 근접 관측을 통해 초기 태양계 형성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제공했으며, 플루토늄-238을 동력원으로 2030년대까지 탐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취소된 우주선 - 마리너 마크 II
마리너 마크 II에 대한 정보가 현재 제공되지 않아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 취소된 우주선 - 파이어니어 H
파이어니어 H는 파이어니어 10호와 11호의 예비 부품으로 제작되었으나 NASA의 승인 실패로 발사되지 못하고 현재는 파이어니어 10호 복제품으로 박물관에 전시된, 태양 관측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었던 우주 탐사선이다.
베스타 (우주선) | |
---|---|
베스타 계획 | |
임무 유형 | 충돌 탐사, 샘플 리턴 미션, 궤도 탐사 |
운영 기관 | IKI |
계약 기관 | IKI |
웹사이트 | 베스타 프로젝트 |
제안 연도 | 1994년 |
발사 예정 연도 | 1992년, 1994년, 1996년 중 하나 |
발사 장소 | 바이코누르 |
질량 | ~ ( 침투기 포함) |
전력 | 350 W |
궤도 및 접근 천체 | |
화성 플라이바이 | 제안됨 |
소행성 플라이바이 | 여러 날짜 및 천체 제안됨 |
소행성 충돌체 | 여러 날짜 및 천체 제안됨 |
접근 천체 | 5 아스트라이아, 53 칼립소, 187 람버타, 453 테아, 엥케 혜성 |
목표 천체 | 5 아스트라이아, 53 칼립소, 187 람버타, 453 테아, 엥케 혜성 |
2. 역사와 제작 배경
로스코스모스는 베가 계획을 바탕으로 탐사선을 설계했으며, CNES와 협력하여 프랑스는 랜더, 러시아는 로버와 열기구 개발을 맡는 계획을 세웠다.[9][10] 이후 화성과 금성을 거쳐 여러 천체를 탐사하는 계획이 제출되었으나, 다른 임무 때문에 개발이 늦춰졌다.[11][12] 소련의 붕괴로 계획은 취소되었고,[13][14][15] 대체 계획으로 2011년 발사된 포보스 그룬트는 남태평양에 추락했다.[16][17][18][19][20]
2. 1. 계획 초기
로스코스모스는 탐사선의 디자인 및 형태를 베가 계획을 기초로 하여 설계했다.[9] 이후 CNES와 계약을 맺으며 프랑스는 랜더를, 러시아는 로버와 열기구를 만드는 계획이 확정되었다.[10] 6개월 뒤 화성과 금성을 스윙바이하여 5 아스트라이아, 53 칼립소, 187 람버타, 453 테아, 엥케 혜성 등에서 목표 5개를 선출하여 통과하는 계획을 USSR에 제출했다.[11] 그렇지만 다른 임무 때문에 개발이 지연되었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간 개발 단계에 도달하였으나, 소련의 붕괴로 취소되었다.[13][14][15]2. 2. 소련 붕괴와 계획 취소
러시아 연방 우주국은 베가 계획을 기초로 하여 탐사선의 디자인 및 형태를 설계하였다.[9] 이후 프랑스 국립 우주 연구 센터와 계약을 맺고 프랑스는 랜더를, 러시아는 로버와 열기구를 만드는 계획이 확정되었다.[10] 6개월 뒤 화성과 금성을 스윙바이하여 5 아스트라이아, 53 칼립소, 187 람버타, 453 테아, 엥케 혜성 등 5개 목표 지점을 통과하는 계획을 소련 과학 아카데미에 제출했다.[11] 그러나 다른 임무 때문에 개발이 지연되었다.[12] 중간 개발 단계에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의 붕괴로 인해 계획은 취소되었다.[13][14][15] 이후 베스타 계획을 대체하기 위해 2011년 포보스 그룬트가 발사되었으나, 남태평양에 추락했다.[16][17][18][19][20]프랑스와 소련 관계의 변화, 포보스 임무의 부분적 실패, 재정적 어려움, 그리고 소련의 해체 등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 프로젝트가 계획 단계를 넘어서지 못하게 하였다.
3. 탐사선 설계
로스코스모스는 탐사선의 디자인 및 형태를 베가 계획을 기초로 하여 설계하였다.[9] 이후 프랑스 국립 우주 연구 센터와 계약을 맺고, 프랑스는 랜더를, 러시아는 로버와 열기구를 만드는 계획이 확정되었다.[10] 1985년경 베스타 계획은 소행성 임무는 변경 없이 화성 탐사 임무로 변경되었다. 각 탐사선은 서로 다른 종류의 소행성을 포함하여 4개의 작은 천체를 방문, 소행성의 다양성을 대표하는 샘플을 제공하고, 하나 또는 두 개의 혜성도 방문할 예정이었다. 최소한 하나의 아폴로-아모르 소행성을 방문하는 것도 우선적으로 고려되었다.
3. 1. 과학 장비
예비 연구에 따르면 최소한 다음과 같은 과학 장비가 포함될 예정이었다.장비 종류 | 상세 내용 |
---|---|
광각 카메라 | ~6.5° 시야각, 512×512 픽셀 CCD |
협각 카메라 | ~0.5° 시야각, 512×512 픽셀 CCD - 3.9 arcsec/픽셀 |
근적외선 분광계 | 0.5–5 μm 사이에서 λ/Δλ = 50, 픽셀당 5 아크분 측정 |
추가 가능한 장비는 다음과 같다.
장비 종류 | 상세 내용 |
---|---|
UV 분광계 | 혜성 근접 비행 중 영상 촬영용 |
레이더 고도계/복사계 | |
먼지 감지기 | |
이온 또는 중성 기체 감지기 |
탑재 메모리는 약 240 Mb였다. 가장 가까이 접근했을 때 (500km) 촬영한 이미지의 해상도는 10 m/픽셀이 될 수 있었다. 최악의 경우 다운링크 속도는 600 비트/초였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심우주망 (DSN)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과학 탑재체는 약 100kg이었다.
3. 2. 기술 사양
기본 탑재 예정 장비 | 추가 가능 장비 |
---|---|
탑재 메모리는 약 240Mb였다. 가장 가까이 접근했을 때 (~500km) 촬영한 이미지의 해상도는 10m/픽셀이 될 수 있었다. 최악의 경우 다운링크 속도는 600 비트/초였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심우주망 (DSN)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과학 탑재체는 약 100kg이었다. 탐사선의 건조 질량은 750kg이었고, 750kg의 추진제를 탑재했으며, 아마도 500kg의 관통자도 탑재했을 것이다. 20m2의 태양 전지판은 350W의 전력을 공급했다.
DSN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면 베스타 탐사선의 움직임에 대한 도플러 추적을 통해 접근한 천체의 질량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렇지 못할 경우, 또 다른 가능성으로 시험 질량을 방출하고 표적 소행성 근처에서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방법이 고려되었다.
탐사선의 구조는 통신 위성(INMARSAT)에서 파생되었으며, 필요한 질량, 부피 및 델타-v 능력을 갖추고 있었다 (3축 안정화, 과학 장비를 위한 2개의 자유도를 가진 지향 플랫폼 포함).
3. 3. 질량 결정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심우주망(DSN)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면, 베스타 탐사선의 움직임에 대한 도플러 추적을 통해 접근한 천체의 질량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렇지 못할 경우, 또 다른 가능성이 고려되었는데, 시험 질량을 방출하고 표적 소행성 근처에서의 움직임을 관찰하는 것이다.4. 궤도
화성 중력 보조는 가능한 궤도를 제한하며, 소행성 관통 장치는 목표 소행성의 접근 속도(4km/s 미만)에 제한을 둔다.[1] 두 번의 화성 중력 보조를 이용하는 3가지 궤도가 설계되었고[1], 한 번의 화성 스윙바이도 가능하지만, 두 번의 중력 보조는 우주선의 질량 예산을 30% 증가시키고, 소행성대로의 이동 시간을 1.8년 더 늘린다.
4. 1. 가능한 궤도
화성 중력 보조는 가능한 궤도를 제한한다. 또한 소행성 관통 장치는 목표 소행성의 접근 속도(4km/s 미만)에도 제한을 둔다.[1]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번의 화성 중력 보조를 이용하는 3가지 가능한 궤도가 설계되었다.[1]
한 번의 화성 스윙바이도 가능하지만, 두 번의 중력 보조는 우주선의 질량 예산을 30% 증가시키고, 소행성대로의 이동 시간을 1.8년 더 늘린다. 다음은 1994년 발사 시기를 위한 궤도이다.
궤도 | 내용 |
---|---|
궤도 1 | |
궤도 2 | |
궤도 3 |
5. 지원, 개발, 투자
주어진 원본 소스만으로는 '베스타 (우주선)'의 '지원, 개발, 투자'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제공된 소스는 러시아 연방 우주국(Roscosmos)과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우주 연구소(IKI)에 대한 정보만 포함하고 있으며, 베스타 우주선과의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습니다. 따라서 베스타 우주선의 지원, 개발, 투자에 대한 내용은 이 소스에서 확인할 수 없습니다.
6. 계획 취소
로스코스모스는 베가 계획을 바탕으로 탐사선의 디자인 및 형태를 설계했다.[9] 이후 CNES와 계약을 맺으면서 프랑스는 랜더를, 러시아는 로버와 열기구를 만드는 계획이 확정되었다.[10] 6개월 뒤, 화성과 금성을 스윙바이하여 5 아스트라이아, 53 칼립소, 187 람버타, 453 테아, 엥케 혜성 등 5개의 목표 지점을 통과하는 계획이 소련에 제출되었다.[11] 그러나 다른 임무로 인해 개발이 지연되었다.[12] 중간 개발 단계까지 도달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련의 붕괴로 인해 계획이 취소되었다.[13][14][15] 이후 베스타 계획이 취소되면서, 대체 계획으로 2011년 포보스 그룬트가 발사되었으나 남태평양에 추락했다.[16][17][18][19][20]
프랑코-소련 관계 변화, 포보스 임무의 부분적 실패, 재정적 어려움, 소련 해체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이 프로젝트가 계획 단계를 넘어서지 못하게 막았다.
참조
[1]
서적
Russian planetary exploration : history, development, legacy, prospects
https://www.worldcat[...]
Springer
2007-01-01
[2]
웹인용
Vesta project
http://www.russiansp[...]
2018-10-09
[3]
문서
Gaddis, 2005, p.256–257.
[4]
웹인용
"[란코프] 소련 붕괴의 원인"
https://www.rfa.org/[...]
2014-10-23
[5]
웹인용
Vesta project
http://www.russiansp[...]
2018-10-09
[6]
웹인용
Vesta project
http://www.russiansp[...]
2018-10-09
[7]
웹인용
Vesta project
http://www.russiansp[...]
2018-10-09
[8]
웹인용
Vesta project
http://www.russiansp[...]
2018-10-09
[9]
웹인용
Vesta project
http://www.russiansp[...]
2018-10-09
[10]
웹인용
Vesta project
http://www.russiansp[...]
2018-10-09
[11]
웹인용
Vesta project
http://www.russiansp[...]
2018-10-09
[12]
웹인용
Vesta project
http://www.russiansp[...]
2018-10-09
[13]
웹인용
Vesta project
http://www.russiansp[...]
2018-10-09
[14]
문서
Gaddis, 2005, p.256–257.
[15]
웹인용
"[란코프] 소련 붕괴의 원인"
https://www.rfa.org/[...]
2014-10-23
[16]
웹인용
Vesta project
http://www.russiansp[...]
2018-10-09
[17]
뉴스
"Russia's failed Phobos-Grunt space probe heads to Earth"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1-14
[18]
뉴스
Russian space probe crashes into Pacific Ocean
http://www.foxnews.c[...]
Fox News Channel
2012-01-15
[19]
뉴스
"Did a U.S. radar mistakenly send Russia's $170m Mars probe into the Pacific?"
http://www.dailymail[...]
Daily Mail
2012-01-18
[20]
뉴스
"Russia asks if US radar ruined Phobos-Grunt space probe"
http://www.msnbc.msn[...]
msnbc.com
2012-0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