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빛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별빛은 별에서 나오는 빛으로, 천문학 연구, 문화적 현상, 군사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망원경을 이용한 관측과 측정을 통해 별의 밝기, 분광학적 특성을 분석하며, 별빛 분광학은 별의 구성 성분, 온도, 밀도 등을 파악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별빛은 야간 촬영 및 천체 사진술의 주요 대상이며, 우주 먼지에 의해 편광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별빛의 편광 관측은 은하 자기장 연구에 활용되며, 원편광 현상도 관찰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원 - 발광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LED)는 전기에너지를 빛으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이며, 낮은 소비전력과 긴 수명을 바탕으로 조명,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광원 - 초신성
초신성은 항성의 폭발적 최후 단계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중원소를 우주에 퍼뜨리는 현상으로, 천문학 발전에 기여했고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최근 초기 우주에서 발생한 초신성 발견으로 항성 진화 및 우주론 연구에 기여하고 있다. - 관측천문학 - 천정
천정은 관측자의 머리 바로 위 천구상의 점으로, 천정각 측정의 기준 방향으로 사용되며, 태양의 위치, 기블라 관측, 천정 망원경, 천체항해, 그리고 지심 천정과 측지 천정의 구분에 활용된다. - 관측천문학 - 달의 위상
달의 위상은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면서 태양과의 상대적 위치 변화에 따라 삭, 상현달, 망, 하현달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약 29.5일의 주기로 변화하고 달력, 전통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별빛 | |
---|---|
별빛 | |
![]() | |
특성 | |
구성 요소 | 전자기 복사 가시광선 자외선 적외선 |
스펙트럼 | 별의 스펙트럼 |
색 | 별의 색깔 |
관측 | |
측정 | 광도 스펙트럼 |
망원경 | 천체망원경 |
활용 | |
천문학 | 항성 천문학 분광학 |
기타 | |
관련 주제 | 밤하늘 대기 산란 |
2. 관측
별빛 관측은 망원경을 통해 이루어지며, 광도측정과 별 분광학 등 다양한 천문학 분야의 기초가 된다.[1][5] 히파르코스는 최초로 별의 밝기를 등급으로 분류한 천문학자로, 육안 관측을 통해 별들을 6개의 등급으로 나누었다.[2] 그는 가장 밝은 별을 1등급, 가장 희미한 별을 6등급으로 분류했다.
별빛은 시, 천문학, 군사 전략 등 인간 문화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미쳤다.[1][4] 미국 육군은 1950년대부터 별빛 조준경을 개발하여 야간 작전 능력을 향상시켰다.[4] 이는 별빛, 달빛, 식물의 형광 등을 증폭시켜 어둠 속에서도 시야를 확보하는 기술이다.
관측 가능한 우주에서 별빛의 평균 색상은 우주 라테라는 황백색 계열이다. 별빛 조도는 인간 눈의 최소 조도(~0.1 mlx)와 일치하며, 달빛은 인간 눈의 최소 색상 시각 조도(~50 mlx)와 일치한다.[7][8]
2. 1. 분광학
별빛 분광학은 1814년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에 의해 개척되었다.[5] 별빛은 연속 스펙트럼, 선 스펙트럼, 흡수 스펙트럼의 세 가지 주요 스펙트럼 유형으로 구성된다.[6]2. 2. 오래된 별빛
2014년에 확인된 가장 오래된 별 중 하나는 SMSS J031300.36−670839.3이다. 이 별은 태양계에서 6,000광년 떨어져 있으며, 138억 년 전에 탄생한 것으로 추정된다.[9][25] 이는 우주의 나이와 거의 같은 나이이다. 지구를 비추는 별빛에는 이 별로부터의 빛도 포함된다.[9][25]3. 촬영
야간 촬영에는 주로 별빛으로 조명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포함된다.[10] 밤하늘을 직접 촬영하는 것은 천체 사진술의 일부이기도 하다.[11] 다른 사진술과 마찬가지로 과학적 탐구 및/또는 여가 활동에 사용될 수 있다.[12][13] 피사체에는 야행성 동물이 포함된다.[11] 많은 경우 별빛 사진술은 달빛의 영향을 이해해야 할 필요성과도 중복될 수 있다.[11]
4. 편광
별빛은 성간 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면서 부분적으로 선형 편광되는 현상을 보인다. 데이비스-그린스타인 메커니즘에 따르면, 은하 자기장에 의해 성간 먼지 입자들이 정렬되고 회전하면서 별빛이 편광된다. 이러한 편광 방향을 관측하여 은하 자기장의 구조를 연구할 수 있다.[14] 1,000 파섹 떨어진 별의 경우 편광도는 약 1.5%이다.
초기형 별에서 나오는 빛은 본질적인 편광이 거의 없다. Kemp 등은 태양의 광학 편광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선형 편광 및 원편광 비율 모두에 대해 매우 낮은 상한값()을 발견했다.[16]
4. 1. 원편광
성간 매질은 비편광된 빛을 원편광으로 만들 수 있다. 이는 시선 방향에 따라 꼬인 입자 정렬이나 여러 구름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게 성운과 같은 천체에서는 복잡한 굴절률을 가진 성간 물질 입자에 의해 선형 편광된 빛이 원편광으로 변환되는 현상이 관측된다.[18][19] 광학적으로 두꺼운 별 주위 환경에서는 다중 산란으로 인해 더 큰 원편광이 생성될 수 있다.[18]일반적으로 별빛에서는 훨씬 작은 비율의 원편광이 발견된다. Serkowski, Mathewson 및 Ford는[15] UBVR 필터에서 180개 별의 편광을 측정했고, R 필터에서 최대 원편광 비율 를 발견했다.
성간 매질은 광학적으로 얇기 때문에 킬로파섹 거리의 기둥을 통과하는 별빛은 약 1등급의 소광을 겪으며, 광학 깊이는 ~ 1이다. 이는 평균적으로 별빛 광자가 하나의 성간 입자에서 산란되며, 다중 산란은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측적으로,[14] 선형 편광 비율 p ~ 0.015는 단일 산란에서 나타나며, 다중 산란에 의한 원편광은 에 비례하므로, 원편광 비율은 로 예상할 수 있다.
성간 매질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정렬된 길쭉한 성간 입자로부터 순차적인 산란을 통해 비편광된 빛으로부터 원편광을 생성할 수 있다. 은하 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시선 방향을 따라 꼬인 입자 정렬이 발생하거나, 시선이 여러 구름을 통과할 수 있다. 이러한 메커니즘에서 예상되는 최대 원편광 비율은 이며, 여기서 는 선형 편광 빛의 비율이다.
광학적으로 두꺼운 별 주위 환경은 성간 매질보다 훨씬 큰 원편광을 생성할 수 있다. 별 근처에서 광학적으로 두꺼운 비대칭 별 주위 먼지 구름에서 다중 산란을 통해 선형 편광된 빛이 원편광이 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romance of modern astronomy
https://archive.org/[...]
J.B. Lippincott
1911
[2]
간행물
Astronomy
https://d3bxy9euw4e1[...]
Rice University
2016
[3]
서적
Wells Hawks Skinner – Studies in literature and composition for high schools, normal schools, and ...
https://archive.org/[...]
1897
[4]
뉴스
"How the Army Learned to See in the Dark" by Mort Schultz
https://books.google[...]
Popular Mechanics
1969-01
[5]
서적
The Analysis of Starlight: One Hundred and Fifty Years of Astronomical Spectroscopy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6]
서적
Starlight: An Introduction to Stellar Physics for Amateu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7]
웹사이트
Radiometry and photometry in astronomy
http://stjarnhimlen.[...]
[8]
간행물
IEE Reviews
https://books.google[...]
1972
[9]
웹사이트
Ancient Star May Be Oldest in Known Universe
https://www.space.co[...]
2014-02-10
[10]
서적
Sierra Starlight: The Astrophotography of Tony Rowell
https://books.google[...]
Heyday
2018-04-02
[11]
서적
Scientific Photography and Applied Imaging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5-10-23
[12]
서적
Scientific Photography and Applied Imaging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5-10-23
[13]
서적
Scientific Photography and Applied Imaging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5-10-23
[14]
논문
Statistical Properties of Galactic Starlight Polarization
[15]
논문
Wavelength dependence of interstellar polarization and ratio of total to selective extinction
[16]
논문
The optical polarization of the Sun measured at a sensitivity of parts in ten million
[17]
논문
Interstellar Circular Polarization: Data for Six Stars and the Wavelength Dependence
[18]
논문
Interstellar circular polarization
[19]
논문
Discovery of interstellar circular polariz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rab nebula
[20]
논문
Circular polarization in T Tauri stars. II - New observations and evidence for multiple scattering
[21]
논문
Infrared Circular Polarization of NML Cygni and VY Canis Majoris
[22]
논문
Polarimetry of young stellar objects - III. Circular polarimetry of OMC-1
[23]
논문
Circular Polarization of the Nightsky Radiation
[24]
서적
The romance of modern astronomy
https://archive.org/[...]
J.B. Lippincott
1911
[25]
웹사이트
Ancient Star May Be Oldest in Known Universe
https://www.space.co[...]
2021-09-23
[26]
서적
Wells Hawks Skinner – Studies in literature and composition for high schools, normal schools, and ...
https://archive.org/[...]
1897
[27]
뉴스
"How the Army Learned to See in the Dark" by Mort Schultz
https://books.google[...]
Popular Mechanics
1969-01
[28]
서적
Sierra Starlight: The Astrophotography of Tony Rowell
https://books.google[...]
Heyday
2018-04-02
[29]
서적
Scientific Photography and Applied Imaging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5-10-23
[30]
서적
Scientific Photography and Applied Imaging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5-10-23
[31]
서적
Scientific Photography and Applied Imaging
https://books.google[...]
CRC Press
2015-10-23
[32]
논문
The optical polarization of the Sun measured at a sensitivity of parts in ten million
[33]
논문
Interstellar Circular Polarization: Data for Six Stars and the Wavelength Dependence
[34]
논문
Interstellar circular polarization
[35]
논문
Discovery of interstellar circular polariza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rab nebula
[36]
논문
Circular polarization in T Tauri stars. II - New observations and evidence for multiple scattering
[37]
논문
Infrared Circular Polarization of NML Cygni and VY Canis Majoris
[38]
논문
Polarimetry of young stellar objects - III. Circular polarimetry of OMC-1
[39]
논문
Circular Polarization of the Nightsky Radiation
[40]
서적
文部省 学術用語集 天文学編(増訂版)
文部省、日本天文学会
1994-11-15
[41]
서적
The Analysis of Starlight: One Hundred and Fifty Years of Astronomical Spectroscopy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42]
서적
Starlight: An Introduction to Stellar Physics for Amateur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3]
서적
Astronomy
OpenStax College, Rice University,Open Textbook Library
[44]
APOD
Cosmic Latte: The Average Color of the Universe
2020-12-27
[45]
논문
Statistical Properties of Galactic Starlight Polarization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2002-01-10
[46]
논문
Wavelength dependence of interstellar polarization and ratio of total to selective extinction
American Astronomical Society
[47]
서적
Keith Robinson - Starlight: An Introduction to Stellar Physics for Amateurs
http://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