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파르코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히파르코스는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 지리학자, 수학자이며, 니케아 출신으로 기원전 190년경에 태어나 기원전 127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삼각법의 아버지로 불리며, 별의 겉보기 등급을 1등성에서 6등성까지 분류하는 체계를 만들었고, 춘분점의 세차 운동을 발견했다. 또한 달의 운동과 태양년, 항성년의 길이를 연구하고, 바빌로니아 천문학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천문 관측 기구 및 지리 좌표계를 개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그의 저술은 직접적으로 많이 남아있지 않지만,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 등 후대의 기록을 통해 그의 업적을 확인할 수 있다. 그의 이름을 딴 히파르코스 위성, 달과 화성의 크레이터, 소행성이 있으며, 천문학자 기념비에 그의 부조가 새겨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도스의 과학자 - 포세이도니오스
포세이도니오스는 다재다능한 고대 그리스 스토아 학파 철학자로, 과학적 관찰과 철학적 사유를 통해 우주와 인간의 삶을 탐구하며 지리학, 천문학, 역사 분야에 기여했고, 로도스 학파를 이루어 폼페이우스, 키케로 등 유명한 로마인들을 제자로 배출했다. - 니카이아 출신 - 디오 카시우스
디오 카시우스는 22년에 걸쳐 80권의 《로마사》를 저술한 그리스계 로마인 역사가이며, 코모두스 황제 시대에 원로원 의원을 지내고 아프리카 속주와 판노니아 총독을 역임했으며, 그의 저서는 로마 제정 중기의 정치 상황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고대 로마의 천문학자 -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
가이우스 율리우스 히기누스는 스페인 또는 알렉산드리아 출신으로 추정되는 고대 로마의 학자이자 작가로, 노예 생활 후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팔라티누스 도서관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신화집》과 《천문시》를 통해 신화와 별자리에 대한 이야기를 전하고, 비록 비판도 있지만 고대 자료의 정보원으로 평가받으며, 그의 이름을 딴 달의 크레이터와 소행성도 존재한다. - 고대 로마의 천문학자 - 포세이도니오스
포세이도니오스는 다재다능한 고대 그리스 스토아 학파 철학자로, 과학적 관찰과 철학적 사유를 통해 우주와 인간의 삶을 탐구하며 지리학, 천문학, 역사 분야에 기여했고, 로도스 학파를 이루어 폼페이우스, 키케로 등 유명한 로마인들을 제자로 배출했다.
히파르코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와 업적
히파르코스는 비티니아의 니케아에서 태어났다. 정확한 생몰년도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프톨레마이오스의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147년부터 127년까지 천문 관측을 수행했으며, 일부는 로도스에서 이루어졌다. 기원전 162년 이전의 관측 기록도 그가 수행했을 가능성이 있다. 그의 출생년도는 대략 기원전 190년경으로 추정된다. 히파르코스는 기원전 127년 이후에도 생존했으며, 알렉산드리아와 바빌론에서 정보를 얻었지만, 방문 여부는 불확실하다. 그는 로도스 섬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2]
2세기와 3세기에 비티니아에서는 그의 이름을 새기고 천구를 들고 있는 그의 모습을 묘사한 기념 주화가 발행되었다.[2]
히파르코스는 적어도 14권의 책을 저술했지만, 현재 남아있는 것은 아라토스의 천문시에 대한 주석뿐이다. 히파르코스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는 스트라보, 플리니우스, 프톨레마이오스 등의 저술을 통해 알려져 있다. 유일하게 남아 있는 저술은 『에우독소스와 아라토스의 현상에 대한 주석』이다.[3] 그는 자신의 주요 저술 목록을 만들었는데, 여기에는 약 14권의 책이 언급되어 있었지만, 이 목록은 후대 저자들의 언급을 통해서만 알려져 있다.
히파르코스는 바빌로니아 천문학 지식을 체계적으로 활용한 최초의 인물로 여겨진다. 그는 황도를 360도로 나누는 전통을 계승했고, 바빌로니아 천문학의 ''큐빗'' 단위를 채택했다. 프란츠 크사베르 쿠글러는 프톨레마이오스가 히파르코스에게 귀속시킨 회합주기와 변칙주기가 이미 바빌로니아 역서에서 사용되었음을 증명했다. 히파르코스의 긴 교점 주기인 달 주기도 바빌로니아 기록에 나타난다.
2. 1. 주요 업적
히파르코스는 별의 겉보기 등급을 1등성부터 6등성까지 6단계로 분류했는데, 이는 오늘날에도 약간 변형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6] 그는 삼각법을 천문학에 도입하고 현(chord) 표를 작성하여 "삼각법의 아버지"로 불린다.[3]히파르코스는 춘분점 세차 운동을 발견했다.[55] 그는 이 현상에 대해 『지점 및 분점의 결정에 관하여』와 『1년의 길이에 관하여』라는 두 권의 책을 저술했는데, 이 책들은 모두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 언급되어 있다. 프톨레마이오스에 따르면, 히파르코스는 스피카와 레굴루스를 비롯한 밝은 별들의 경도를 측정하고, 이전의 티모카리스와 아리스틸루스의 측정 기록과 비교하여 스피카가 추분점 쪽으로 2° 이동했음을 알아냈다. 또한 태양년과 항성년의 길이를 비교하여 차이를 발견하고, 춘분점이 황도를 따라 이동하며 그 속도는 1세기에 1° 이상이라고 결론지었다.[55]

히파르코스는 메톤 주기를 개량했다. 그는 달의 운동을 연구했고,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이 이미 알고 있었던 달의 운동 주기에 대한 정확한 값을 확인했다. 히파르코스는 자신의 시대의 일식을 345년 전 바빌로니아 기록의 일식과 비교하여 계산을 확인했다.
히파르코스는 천문 계산과 관측을 위해 건루, 천구의, 아르밀라리 천구와 같은 다양한 기구들을 사용했다. 그는 여러 천문 기구의 발명 또는 개량으로 인정받고 있는데, 시네시우스에 따르면 최초의 '아스트로라비온'(astrolabion)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것은 아르밀라리 천구이거나 아스트롤라베의 전신이었을 수도 있다. 히파르코스는 아스트롤라베를 이용하여 고정된 별을 관측함으로써 최초로 지리적 위도와 시간을 측정할 수 있었다.

프톨레마이오스는 히파르코스와 유사한 기구인 '디오프트라'(dioptra)를 사용하여 태양과 달의 겉보기 지름을 측정했다고 언급한다. 히파르코스는 또한 적도환을 사용하여 태양 춘분점을 관측했다.
안티키테라 기계는 히파르코스의 이론에 기반하고 있다고 여겨지며, 그가 직접 이 장치를 발명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3. 수학적 업적
히파르코스는 삼각함수표를 작성하고, 입체투영을 고안하는 등 수학 분야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특히, 바빌로니아의 수학적 지식을 그리스에 도입하여 천문학과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히파르코스는 달의 운동을 연구하면서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이 이미 알고 있던 달의 운동 주기에 대한 정확한 값을 확인했다. 바빌로니아 시스템 B의 전통적인 평균 삭망월 값은 29.5305941...일인데, 이는 나중에 히브리력에서도 사용되었다. 바빌로니아인들은 또한 251 삭망월이 269 주극월과 거의 같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히파르코스는 이 주기의 17배에 해당하는 기간(4,267삭망월)을 사용했는데, 이 기간은 일식 주기와도 관련이 있으며, 정수에 가까운 햇수, 달수, 날짜 수를 가진다. 이 주기는 345년 간격의 모든 일식 쌍이 126,007일보다 약간 더 긴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여 삭망월 추정치의 정확도를 매우 높여준다.
히파르코스는 자신의 시대와 345년 전 바빌로니아 기록의 일식을 비교하여 계산을 확인했다.[55] 후대의 알비루니와 코페르니쿠스는 히파르코스가 사용한 4,267삭망월 주기가 실제 값보다 약간 더 길다는 것을 지적했지만, 현대 학자들은 히파르코스가 이 값을 자신의 관측으로 개선하기보다는 전통적인 값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했다고 본다. 현대의 역서와 하루 길이의 변화를 고려하면, 기원전 4세기와 히파르코스 시대의 삭망월 길이 오차는 매우 작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3. 1. 기하학과 삼각법
히파르코스는 달과 태양의 이심률을 계산하는 데 필요한 삼각함수표를 작성한 최초의 수학자로 알려져 있다.[55] 그는 원의 중심각에 대해 원과 각이 만나는 두 점 사이의 직선 거리(현)의 길이를 표로 만들었다. 이 표는 7.5° 간격으로 작성되었다. 현대적인 용어로, 반지름이 R인 원에서 중심각 θ에 대한 현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히파르코스의 현표는 현재 전해지지 않지만, 알렉산드리아의 테온이 쓴 ''알마게스트'' 제1권 10절에 대한 4세기 주석에서 ''Tōn en kuklōi eutheiōn'' (''원 안의 선들'')라는 제목으로 언급된다.
히파르코스는 피타고라스 정리와 아르키메데스에게 알려진 정리를 사용하여 현표를 구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정리라고 불리는 원순사각형의 변과 대각선 사이의 관계를 사용했을 수도 있는데, 이 정리에 대한 최초의 현존하는 증명은 ''알마게스트'' (I.10)에 있다.
입체투영은 시네시우스(서기 400년경)에 의해 히파르코스에게 귀속되었으며, 이 때문에 히파르코스가 입체투영을 발명했거나 적어도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55]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귀속이 불충분한 증거에 근거한다고 비판한다.
히파르코스가 구면삼각법을 알고 있었다는 증거는 여러 곳에서 나타나지만, 구면삼각법을 다룬 최초의 현존하는 문헌은 1세기에 알렉산드리아의 메넬라오스가 작성한 것이다.
3. 2. 바빌로니아 수학의 영향
히파르코스는 바빌로니아 천문학 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활용한 최초의 인물로 보인다. 기원전 4세기의 에우독소스와 기원전 3세기의 티모카리스와 아리스틸루스는 이미 황도를 60분으로 이루어진 360도로 나누었고, 히파르코스는 이 전통을 계승했다. 히파르코스는 또한 2° 또는 2.5°('큰 큐빗')에 해당하는 바빌로니아 천문학의 ''큐빗'' 단위(아카드어 ''ammatu'', 그리스어 πῆχυς ''pēchys'')를 채택했다.히파르코스는 아마도 바빌로니아 천문 관측 목록을 편찬했을 것이다. 천문학 역사가인 제럴드 J. 투머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 나오는 일식 기록 및 기타 바빌로니아 관측에 대한 지식이 히파르코스가 작성한 목록에서 유래했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프란츠 크사베르 쿠글러는 프톨레마이오스가 히파르코스에게 귀속시킨 회합주기와 변칙주기가 이미 바빌로니아 역서에서 사용되었으며, 특히 오늘날 "B 시스템"(때때로 키디누에게 귀속됨)이라고 불리는 텍스트 모음에서 사용되었음을 증명했다.
히파르코스의 긴 교점 주기인 달 주기(5,458개월 = 5,923개의 달 교점 주기)도 바빌로니아 기록에 몇 번 나타난다. 그러나 명시적으로 날짜가 기록된 유일한 태블릿은 히파르코스 이후의 것이므로, 전달 방향은 태블릿으로는 확정할 수 없다.
4. 천문학적 업적
히파르코스는 춘분점(춘분점과 추분점)이 매년 서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인 세차 운동을 발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발견은 기원전 146년부터 127년 사이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55] 그는 이 현상에 대해 『지점 및 분점의 결정에 관하여』와 『1년의 길이에 관하여』라는 두 권의 책을 저술했는데, 이 책들은 모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서 언급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에 따르면, 히파르코스는 스피카와 레굴루스를 비롯한 밝은 별들의 경도를 측정했다. 그는 자신의 측정 기록이 티모카리스와 아리스티루스가 앞서 측정한 기록과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고, 스피카가 상대 각도로 2°씩 추분점 쪽으로 이동했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태양년(태양이 춘분점으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과 항성년(태양이 특정 항성으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의 길이를 비교하여 이 둘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는 춘분점과 추분점이 황도를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며, 그 이동 속도는 1세기에 적어도 1°는 된다고 결론지었다.
4. 1. 달과 태양의 운동 이론
히파르코스는 달의 운동을 연구하고, 이전에 바빌로니아 천문학자들이 이미 알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달의 운동 주기에 대한 정확한 값을 확인했다. 바빌로니아 시스템 B의 전통적인 평균 삭망월 값은 29일; 31,50,8,20 (60진법) = 29.5305941...일이다. 이 값은 29일 + 12시간 + 시간으로 표현되며, 나중에 히브리력에서 사용되었다. 바빌로니아인들은 또한 251 삭망월 ≈ 269 주극월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히파르코스는 이 주기의 17배를 사용했는데, 이 간격은 일식 주기이기도 하며 정수에 가까운 연수(4,267삭망월: 4,573주극월: 4,630.53교점월: 4,611.98달 궤도: 344.996년: 344.982태양 궤도: 126,007.003일: 126,351.985자전)이기 때문이다.[4] 이 주기가 특별했던 이유는 345년 간격의 모든 일식 쌍이 약 ±시간의 좁은 범위 내에서 126,007일보다 약간 더 긴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여 (4,267로 나눈 후) 삭망월의 추정치가 1천만분의 1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때문이다.히파르코스는 자신의 시대의 일식을 345년 전 바빌로니아 기록의 일식과 비교하여 계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후대의 알비루니와 코페르니쿠스는 4,267삭망월 주기가 실제 일식 주기 값보다 약 5분 더 길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러나 바빌로니아인들의 시간 측정 방법에는 8분 이상의 오차가 있었다. 현대 학자들은 히파르코스가 일식 주기를 가장 가까운 시간으로 반올림하고, 전통적인 값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데 사용했다는 데 동의한다. 현대의 역서와 하루 길이의 변화를 고려하면, 기원전 4세기의 삭망월 길이 오차가 0.2초 미만이고, 히파르코스 시대에는 0.1초 미만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달의 운동이 균일하지 않고 속도가 변한다는 것은 오랫동안 알려져 있었다. 이는 달의 '이상'이라 불리며, 고유 주기인 삭망월을 가지고 반복된다. 그리스인들은 하늘의 기하학적 모형을 선호했다. 기원전 3세기 말, 페르가의 아폴로니우스는 달의 운동에 대한 두 가지 모형을 제안했다. 첫 번째 모형에서 달은 지구에서 떨어진 편심 위치에서 원을 따라 균일하게 움직인다. 두 번째 모형에서 달은 '주전원' 위에서 균일하게 움직이고, 주전원은 지구 주위의 '이심원' 위에서 움직인다. (이심원과 주전원 참조)
아폴로니우스는 이 두 모형이 수학적으로 동등하다는 것을 증명했다. 히파르코스는 이러한 궤도의 상대적 비율과 실제 크기를 결정하려고 시도한 최초의 천문학자이다. 히파르코스는 달의 이상의 특정 단계에서 달의 세 가지 위치를 이용하여 매개변수를 찾는 기하학적 방법을 고안했다. 그는 편심 모형과 주전원 모형에 대해 각각 이 작업을 수행했다. 히파르코스는 자신의 바빌로니아 월식 목록에서 월식을 사용하여 편심 모형을 적합시켰다. 그는 알렉산드리아에서 이루어진 월식 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주전원 모형을 적합시켰다.
- 편심 모형의 경우, 히파르코스는 이심원의 반지름과 이심원의 중심과 황도의 중심 사이의 거리의 비율을 3144 : 327으로 구했다.
- 주전원 모형의 경우, 이심원의 반지름과 주전원의 반지름의 비율을 3122 : 247로 구했다.
이러한 수치는 히파르코스의 계산 오류 때문일 수도 있다. 히파르코스는 일관성 없는 결과를 얻었고, 나중에 주전원 모형의 비율(3122 : 247)을 사용했는데, 이는 너무 작다.
히파르코스 이전에, 메톤과 에우크테몬은 아테네에서 지점을 관측했다.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도 그랬다고 전해지며, 히파르코스는 아르키메데스의 관측 기록도 가지고 있었다. 그는 하지를 몇 시간 이내의 정확도로 관측했지만, 춘분의 순간 관측은 더 간단했고, 그는 생애 동안 20번의 춘분 관측을 했다. 히파르코스는 경력 말기에 ''Peri eniausíou megéthous''("1년의 길이에 관하여")라는 제목의 책을 써서 자신의 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오래된 지점 관측을 사용하여 약 300년에 약 1일의 차이를 확인했다. 따라서 그는 태양년의 길이를 − 일(= 365.24666...일 = 365일 5시간 55분)로 설정했다. 이는 현대 추정치와 약 6분/년 정도의 차이가 있다.
메톤의 지점 관측과 그의 관측 사이에는 297년, 108,478일의 기간이 있었다. 이는 태양년이 365.24579...일임을 의미한다.
히파르코스는 또한 항성년의 값을 365 + + 일(= 365.25694...일 = 365일 6시간 10분)로 제시했다.
히파르코스 이전의 천문학자들은 계절의 길이가 같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히파르코스는 춘분과 하지의 관측을 수행했고, 봄은 94일, 여름은 92일 지속된다고 결정했다. 이것은 태양이 지구 주위를 일정한 속도로 원운동한다는 전제와 일치하지 않는다. 히파르코스의 해결책은 지구를 태양 운동의 중심에 두지 않고 중심에서 어느 정도 떨어진 곳에 배치하는 것이었다. 이 모델은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상당히 잘 설명했다. 오늘날 우리는 지구를 포함한 행성들이 태양 주위를 근사적으로 타원형 궤도로 운동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이것은 요하네스 케플러가 1609년에 그의 첫 두 개의 행성 운동 법칙을 발표할 때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4. 2. 별 목록과 세차 운동
히파르코스는 850개 이상의 별을 포함하는 별 목록을 작성했다.[5] 로마 자료에 따르면, 그는 과학 기구를 사용하여 약 850개 별의 위치를 측정하고, 이 목록을 바탕으로 천구의를 제작했다.히파르코스는 춘분점의 세차 운동을 발견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55] 그는 이 현상에 대해 『지점 및 분점의 결정에 관하여』와 『1년의 길이에 관하여』라는 두 권의 책을 저술했는데, 이 두 책은 모두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서 언급되고 있다. 프톨레마이오스에 따르면, 히파르코스는 스피카와 레굴루스를 비롯한 밝은 별들의 경도를 측정했다. 그 측정 기록이 티모카리스와 아리스티루스(Aristyllus)가 앞서 측정한 기록과 달랐기 때문에, 히파르코스는 스피카가 상대 각도로 2°, 추분점 쪽으로 이동했다고 결론지었다. 또한, 태양년(태양이 춘분점으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과 항성년(태양이 특정 항성으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의 길이를 비교하여, 이 둘이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는 춘분점과 추분점이 황도를 따라 서쪽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그 이동 속도는 1세기에 적어도 1°는 된다고 결론지었다.
4. 3. 천문 관측 기구
히파르코스는 맨눈 관측에 오랫동안 사용된 여러 천문 기구들을 발명하거나 개량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톨레마이스의 시네시우스(4세기)에 따르면 그가 최초의 '아스트로라비온'(astrolabion)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것은 아르밀라리 천구였을 수도 있고, 알렉산드리아의 테온이 언급한 평면 기구인 아스트롤라베의 전신이었을 수도 있다. 히파르코스는 아스트롤라베를 이용하여 고정된 별을 관측함으로써 최초로 지리적 위도와 시간을 측정할 수 있었다.[55] 이전에는 건루가 드리우는 그림자를 측정하거나, 일 년 중 가장 긴 낮의 길이를 기록하거나, '스카페'(scaphe)로 알려진 휴대용 기구를 사용하여 낮에 이러한 측정을 했다.프톨레마이오스는 (『알마게스트』 V.14) 히파르코스와 유사한 기구인 '디오프트라'(dioptra)를 사용하여 태양과 달의 겉보기 지름을 측정했다고 언급한다. 알렉산드리아의 파푸스는 (그 장에 대한 『알마게스트』 주석에서) 이 기구를 설명했고, 프로클루스도 (『가설설명』(Hypotyposis) IV)에서 설명했다. 그것은 4피트 길이의 자에 눈금이 새겨진 막대기로, 한쪽 끝에는 시야 구멍이 있고, 다른 쪽에는 태양이나 달의 원반을 정확하게 가릴 수 있도록 막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쐐기가 달려 있었다.
히파르코스는 또한 태양 춘분점을 관측했는데, 이는 적도환을 사용하여 할 수 있다. 태양이 적도(즉, 황도상의 춘분점 중 하나)에 있을 때는 그림자가 적도환 자체에 드리우지만, 태양이 적도의 남쪽이나 북쪽에 있을 때는 그림자가 적도환 반대쪽 위나 아래에 드리운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알마게스트』 III.1 (H195)) 알렉산드리아에서 히파르코스가 적도환을 설명한 내용을 인용한다.
5. 지리학적 업적
히파르코스는 구면각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지구 표면의 위치를 나타내는 문제에 접근했다. 디카이아르코스가 격자 시스템을 사용하긴 했지만, 히파르코스는 지구상의 장소의 위도와 경도를 결정하는 데 수학적 엄밀성을 적용한 최초의 인물이었다. 그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저서에 대한 비판서인 『에라토스테네스의 지리학에 대한 반박』을 3권으로 저술했다. 이 책은 스트라보의 저서를 통해 알려져 있는데, 스트라보는 자신의 저서 『지리학』에서 히파르코스를 비판하기도 했다. 히파르코스는 에라토스테네스가 언급한 위치와 거리에 대해 많은 세부적인 수정을 가했지만, 방법론에 큰 개선을 도입하지는 않았다. 다만, 월식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도시의 지리적 경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했다.[8] 월식은 지구의 절반에서 동시에 관측 가능하며, 월식이 관측될 때의 지역 시간 차이를 통해 장소 간의 경도 차이를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방법은 정확하게 수행된다면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당시 시간 측정의 정확도 한계 때문에 실용적이진 않았다.
히파르코스는 지리 이론과 방법론에서 세 가지 주요 혁신을 도입했다.[9]
첫째, 격자 좌표계를 사용하여 지리적 위도를 별 관측을 통해 결정한 최초의 인물이다. 이전에는 태양 고도만을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었다. 둘째, 먼 곳에서 동시에 관측한 월식을 통해 지리적 경도를 결정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셋째, "기후대 표"에서 수십 개 지역의 위도를 나열했다. 특히 아테네, 시칠리아, 인도 남단의 위도에 대한 에라토스테네스의 값을 개선했다.[58] 기후대의 위도를 계산할 때, 히파르코스는 황도 경사각에 대해 23°40′이라는 정확한 값을 사용했다. (기원전 2세기 후반의 실제 값은 약 23°43′). 다른 고대 저술가들은 24°라는 값을 사용했고, 프톨레마이오스조차 23°51′이라는 덜 정확한 값을 사용했다.[10]
히파르코스는 헬레니즘 시대에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졌던 대서양, 인도양, 카스피해가 단일 대양의 일부라는 견해에 반대했다. 동시에 그는 에쿠메네 즉, 사람이 거주하는 육지 부분의 경계를 적도와 북극권까지 확장했다.[60] 히파르코스의 사상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 반영되었다.
6. 유산
히파르코스의 업적은 프톨레마이오스의 알마게스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유럽우주국(ESA)의 히파르코스 우주 천문측량 임무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4] 공식 명칭은 고정밀 시차 수집 위성(High Precision Parallax Collecting Satellite)이며, 이는 히파르코스의 이름을 반영하고 기념하는 두문자어인 HiPParCoS를 만든다. 달의 크레이터 히파르코스, 화성의 크레이터 히파르코스, 그리고 소행성 4000 히파르코스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요하네스 케플러는 티코 브라헤의 방법과 관측의 정확성을 매우 존중했으며, 그를 새로운 히파르코스로 여겨 천문학 부흥의 토대를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했다.[16]
장 바티스트 조제프 델람브르는 18세기 천문학 역사(1821년)에서 히파르코스를 요하네스 케플러와 제임스 브래들리와 함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천문학자로 여겼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의 그리피스 천문대에 있는 ''천문학자 기념비''에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천문학자 6명 중 한 명이자 고대의 유일한 인물인 히파르코스의 부조가 새겨져 있다.[15]
연주시차(年周視差)의 정밀 측정을 위해 1989년 8월 8일에 발사된 히파르코스 위성은 히파르코스의 공헌을 세계 천문학계와 위성 발사 실무팀이 인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고대 그리스 시대의 이야기이므로 그 공헌을 어디까지 평가할 것인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히파르코스 위성은 예정된 정지궤도에 진입하는 데 실패했지만, 1993년 6월 24일 운영이 중단될 때까지 많은 유용한 데이터를 수집했다.
7. 비판적 평가
히파르코스가 춘분점의 세차 현상을 발견했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지만, 사모스의 아리스타르코스가 히파르코스보다 먼저 세차 운동을 발견했다는 주장도 있다.[55]
히파르코스는 『에라토스테네스의 지리학에 대한 반론』이라는 책을 통해 에라토스테네스를 비판했지만, 지리적 위치 정보의 부정확성과 내부 모순에 대한 비판에 치우쳐 독창적인 기여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는다.[56]
참조
[1]
서적
Outlines of a Course of Lectures on Meteorology and Astronomy
[2]
웹사이트
Ancient coinage of Bithynia
http://snible.org/co[...]
2021-04-26
[3]
문서
Modern editions
[4]
웹사이트
Five Millennium Catalog of Solar Eclipses
http://eclipse.gsfc.[...]
2009-08-11
[5]
논문
First known map of night sky found hidden in Medieval parchment
https://www.nature.c[...]
2022-10-22
[6]
논문
Magnitudes of Thirty-six of the Minor Planets for the first day of each month of the year 1857
http://articles.adsa[...]
1856
[7]
서적
The Crime of Claudius Ptolemy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77
[8]
문서
Editions of fragments
[9]
문서
On Hipparchus's geography see
[10]
논문
Geographical Latitudes in Eratosthenes, Hipparchus and Posidonius
1934
[11]
논문
The epoch of the constellations on the Farnese Atlas and their origin in Hipparchus's lost catalogue
https://digitalcommo[...]
2005
[12]
논문
Analysis of the Farnese Globe
2006-02
[13]
논문
Was Uranus Observed by Hipparchos?
2013
[14]
뉴스
X-Prize Group Founder to Speak at Induction
https://www.newspape[...]
2004-10-17
[15]
백과사전
Astronomers Monument & Sundial
https://griffithobse[...]
[16]
서적
On Tycho's Island: Tycho Brahe and His Assistants, 1570–16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7]
논문
On the Babylonian origin of some Hipparchian parameters
1955
[18]
논문
On the shoulders of Hipparchus: A reappraisal of ancient Greek combinatorics
http://stl.recherche[...]
2003
[19]
논문
The Introduction of Dated Observations and Precise Measurement in Greek Astronomy
1991
[20]
논문
A new determination of lunar orbital parameters, precession constant and tidal acceleration from LLR measurements
2002
[21]
서적
Histoire de l'astronomie ancienne
https://archive.org/[...]
Ve Courcier
1817
[22]
문서
"Head of Hipparchus"
[23]
논문
Celestial Mechanics: Ptolemy, Copernicus and Newton
https://hdl.handle.n[...]
1895
[24]
논문
New evidence for Hipparchus' Star Catalog revealed by multispectral imaging
2022
[25]
문서
Befunde
[26]
논문
The Genesis of Hipparchus' Celestial Globe
https://www.maajourn[...]
2018
[27]
백과사전
Hipparchus
https://www.britanni[...]
2017-08-25
[28]
서적
Ptolemy in Perspective
Springer
2010
[29]
논문
Hipparchus's 3600′-Based Chord Table and Its Place in the History of Ancient Greek and Indian Trigonometry
http://www.insa.ndl.[...]
2005
[30]
서적
Vies des savants illustres
https://books.google[...]
Librairie Internationale
1866
[31]
서적
Die Babylonische Mondrechnung
https://archive.org/[...]
Herder
1900
[32]
서적
Babylon to Voyager and Beyond: A History of Planetary Astronom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33]
서적
From Eudoxus to Einstein: a history of mathematical astr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34]
서적
Histoire de l'astronomie au dix-huitième siècle
https://books.google[...]
Bachelier
1827
[35]
서적
Astronomies and cultures in early medieval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36]
서적
Popular Astronomy
https://archive.org/[...]
Harper
[37]
학술지
The Early History of the Astrolabe
[38]
학술지
Eratosthenes' Parallel of Rhodes and the History of the System of Climata
Walter de Gruyter
[39]
학술지
Ptolemy's Latitude of Thule and the Map Projection in the Pre-Ptolemaic Geography
[40]
학술지
Hipparchus on the Latitude of Southern India
https://grbs.library[...]
[41]
학술지
Lunar Eclipse Times Recorded in Babylonian History
https://articles.ads[...]
[42]
학술지
Stated Meeting, September 12, 1842
https://archive.org/[...]
[42]
서적
A Cycle of Celestial Objects, for the use of naval, military, and private astronomers
https://archive.org/[...]
J.W. Parker
[43]
학술지
The Accuracy of Eclipse Times Measured by the Babylonians
https://articles.ads[...]
[44]
학술지
Hipparchus, Plutarch, Schröder, and Hough
http://www-math.mit.[...]
[45]
학술지
The Enigma of Ptolemy's Catalogue of Stars
[46]
문서
Synesius' letter describing an instrument
[47]
학술지
The Size of the Lunar Epicycle According to Hipparchus
[48]
학술지
The Chord Table of Hipparchus and the Early History of Greek Trigonometry
[49]
학술지
Hipparchus on the Distances of the Sun and Moon
[50]
학술지
Hipparchus' Empirical Basis for his Lunar Mean Motions
[51]
서적
A Scientific Humanist: studies in memory of Abraham Sachs
Samuel Noah Kramer Fund, Univ. Museum
[52]
서적
Astronomy before the Telescope
The British Museum Press
[53]
서적
Astronography, or Astronomical Geography
https://archive.org/[...]
Merriam, Moore & Co
[54]
학술지
Stamp corner
[55]
서적
Hamlet's Mill
David R Godine
[56]
서적
Die geographischen Fragmente des Hipparch
https://books.google[...]
B. G. Teubner
[56]
서적
The Geographical Fragments of Hipparchus
Athlon Press
[57]
서적
Die geographischen Fragmente des Hipparch
https://books.google[...]
B. G. Teubner
[57]
서적
The Geographical Fragments of Hipparchus
Athlon Press
[57]
서적
A History of Ancient Mathematical Astronomy
Springer Verlag
[57]
학술지
Hipparchus’ "Table of Climata and Ptolemy’s Geography
http://nw.academia.e[...]
[58]
학술지
Hipparchus on the Latitude of Southern India
http://nw.academia.e[...]
[58]
학술지
Eratosthenes' Parallel of Rhodes and the History of the System of Climata
http://www.academia.[...]
[58]
학술지
Hipparchus’ Table of Climata and Ptolemy’s Geography
http://nw.academia.e[...]
[59]
학술지
Geographical Latitudes in Eratosthenes, Hipparchus and Posidonius
[59]
학술지
Hipparchus’ Table of Climata and Ptolemy’s Geography
http://nw.academia.e[...]
[60]
학술지
Ptolemy’s Latitude of Thule and the Map Projection in the Pre-Ptolemaic Geography
http://nw.academia.e[...]
[61]
서적
Astronomies and cultures in early medieval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62]
서적
From Eudoxus to Einstein: a history of mathematical astr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63]
서적
Astronomy before the Telescope
British Museum Press
[64]
백과사전
Hipparchus 2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