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물리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건물리학은 방사선으로부터 인간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학문 분야이다. 1898년 X선 손상에 대한 연구를 시작으로, 1942년 "보건물리학"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 보건물리학은 전리 방사선 계측 및 측정, 선량 평가, 방사성 폐기물 관리 등 다양한 세부 전문 분야를 포함하며, 방사선 방호 기기 및 보건물리학자의 임무와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 국제 방사선 방호 학회(IRPA)와 같은 국제 기구 및 학회가 설립되어 학문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의학물리학 -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
단일 광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SPECT)은 감마 카메라로 2차원 영상을 획득하고 재구성하여 3차원 영상을 얻는 핵의학 영상 기법으로, 감마선을 직접 방출하는 방사성 추적자를 사용하여 종양, 감염, 갑상선 영상 등 다양한 임상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심근 관류 영상이나 뇌 기능 영상에서 허혈성 심장 질환 진단 또는 치매 원인 병리 진단에 사용된다. - 의학물리학 - 광역동 치료
광역동 치료는 광과민제와 광원을 사용하여 활성산소종을 생성, 세포 손상을 유발하여 암, 피부 질환, 안과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1세대 광과민제의 단점을 보완한 2세대 광과민제에 이어 최근에는 3세대 광과민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 원자력 안전 - 비상 노심 냉각 장치
비상 노심 냉각 장치(ECCS)는 원자력발전소 사고 시 노심 과열을 막고 원자로 안전을 지키는 필수 안전 시스템으로, 냉각재 상실 사고 등에 대응하여 노심 수위 유지, 노심 냉각, 원자로 압력 용기 내부 압력 감소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이중화된 여러 계통과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안전성을 확보한다. - 원자력 안전 - 제어봉
제어봉은 원자로 노심에 삽입되어 핵분열 연쇄 반응률을 조절함으로써 원자로의 열출력, 증기 생산율, 발전소 전력 출력을 제어하는 장치로, 붕소나 하프늄 같은 중성자 흡수 물질로 만들어지며 원자로 종류에 따라 설계와 작동 방식에 차이가 있고 핵사고 예방 안전 장치로도 활용된다. - 방사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피폭자
피폭자는 핵무기 및 방사능 노출로 피해를 입은 사람을 의미하며, 급성 및 만성 방사선 증후군, 유전적 영향, 사회적 차별 등의 문제를 겪을 수 있으며, 여러 국가와 국제기구에서 지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방사선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방사선 치료
방사선 치료는 이온화 방사선을 사용하여 암세포를 파괴하거나 암으로 인한 증상을 완화하는 의료 기술로, 근치적 및 완화적 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암종에 적용되며, 고정밀 방사선 치료 기술을 통해 정상 조직 손상을 최소화하지만 피로, 피부 자극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치료법과 병행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보건물리학 |
---|
2. 역사
뢴트겐 협회는 1898년 X선 손상에 대한 위원회를 설립하여 방사선 방호 분야를 시작했다.[10]
2. 1. 보건물리학의 태동
뢴트겐 협회는 1898년 X선 손상에 대한 위원회를 설립하여 방사선 방호 분야를 시작했다.[10]폴 프레임에 따르면, "보건물리학"이라는 용어는 1942년 시카고 대학교의 금속 연구소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11] 이 용어는 로버트 스펜서 스톤 또는 아서 컴턴이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스톤은 보건부의 책임자였고, 아서 컴턴은 금속 연구소의 책임자였다. 보건물리학과의 첫 번째 임무는 엔리코 페르미가 건설하고 있던 원자로 CP-1의 차폐 설계를 하는 것이었고, 따라서 최초의 보건물리학자들은 대부분 건강 관련 문제를 해결하려는 물리학자들이었다. 로버트 스톤은 "...보건물리학이라는 용어는 플루토늄 프로젝트에서 인력의 건강에 대한 위험의 존재를 파악하기 위해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는 분야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었다."라고 설명했다.[11]
이 시기 보건부 직원이던 레이먼드 핀클은 "처음에는 보건부의 물리학과를 지칭하는 용어였을 뿐... 이 이름은 또한 보안 목적도 있었다. '방사선 방호'는 불필요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지만, '보건물리학'은 아무것도 전달하지 않았다."라는 설명을 제시했다.[11]
2. 2. 맨해튼 계획과 보건물리학의 발전
1898년, 뢴트겐 협회(영국 방사선 연구소)는 X선 손상에 대한 위원회를 설립하여 방사선 방호 분야를 시작했다.[10]폴 프레임에 따르면:[11]
> "보건물리학"이라는 용어는 1942년 시카고 대학교의 금속 연구소에서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정확한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용어는 로버트 스펜서 스톤 또는 아서 컴턴이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는데, 스톤은 보건부의 책임자였고, 아서 컴턴은 금속 연구소의 책임자였다. 보건물리학과의 첫 번째 임무는 원자로 CP-1의 차폐 설계를 하는 것이었는데, 엔리코 페르미가 이를 건설하고 있었고, 따라서 최초의 보건물리학자들은 대부분 건강 관련 문제를 해결하려는 물리학자들이었다. 로버트 스톤은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보건물리학이라는 용어는 플루토늄 프로젝트에서 인력의 건강에 대한 위험의 존재를 파악하기 위해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는 분야를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 시기 보건부 직원이던 레이먼드 핀클은 다음과 같은 변형된 설명을 제시했다. '처음에는 보건부의 물리학과를 지칭하는 용어였을 뿐... 이 이름은 또한 보안 목적도 있었다. '방사선 방호'는 불필요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지만, '보건물리학'은 아무것도 전달하지 않았다.'"
2. 3. 전후 보건물리학의 발전과 국제 협력
1898년, 뢴트겐 협회(현재는 영국 방사선 연구소)는 X선 손상에 대한 위원회를 설립하여 방사선 방호 분야를 시작했다.[10]2. 4. 대한민국 보건물리학의 발전
1898년, 뢴트겐 협회(현재는 영국 방사선 연구소)는 X선 손상에 대한 위원회를 설립하여 방사선 방호 분야를 시작했다.[10]3. 세부 전문 분야
보건물리학 분야에는 다음과 같은 많은 세부 전문 분야가 있다.[1]
- 전리 방사선 계측 및 측정
- 내부 선량 평가 및 외부 선량 평가
- 방사성 폐기물 관리
- 방사성 오염, 제염 및 해체
- 방사선 공학 (차폐, 보유 등)
- 환경 평가, 방사선 감시 및 라돈 평가
- 운영 방사선 방호/보건물리학
- 입자 가속기 물리학
- 방사선 비상 대응/계획 - (예: 핵 비상 지원팀)
- 방사성 물질의 산업적 사용
- 의료 보건물리학
- 방사성 물질 관련 대중 정보 및 소통
- 생물학적 영향/방사선 생물학
- 방사선 기준
- 방사선 위험 분석
- 원자력
- 방사성 물질 및 국토 안보
- 방사선 방호
- 나노기술
운영 보건 물리학(Operational health physics) 분야는, 이전 자료에서는 응용 보건 물리학이라고도 불리며, 기초 연구보다는 현장 업무 및 실제 상황에 대한 보건 물리학 지식의 실질적인 적용에 중점을 둔다.
보건물리학 분야는 의학물리학 분야와 관련이 있으며, 두 분야의 실무자들은 동일한 기본적인 과학(예: 방사선 물리학, 생물학 등)에 많이 의존한다는 점에서 서로 유사하다. 그러나 보건물리학자는 방사선으로부터 인간의 건강을 평가하고 보호하는 데 중점을 두는 반면, 의료 보건물리학자와 의학물리학자는 의료 종사자가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기 위해 방사선 및 기타 물리학 기반 기술을 사용하는 것을 지원한다.
3. 1. 방사선 계측 및 측정


다음 표는 SI 단위와 비 SI 단위의 방사선 관련 양을 보여준다.
수량 | 단위 | 기호 | 유도 | 년도 | SI 해당 단위 |
---|---|---|---|---|---|
방사능 (A) | 베크렐 | Bq | s−1 | 1974 | |
큐리 | Ci | 1953 | |||
러더퍼드 | Rd | 106 s−1 | 1946 | ||
조사량 (X) | 쿨롬 / 킬로그램 | C/kg | 공기 중 C⋅kg−1 | 1974 | |
뢴트겐 | R | esu / 공기 | 1928 | ||
흡수 선량 (D) | 그레이 | Gy | J⋅kg−1 | 1974 | |
그램당 에르그 | erg/g | erg⋅g−1 | 1950 | ||
래드 | rad | 100 erg⋅g−1 | 1953 | ||
등가 선량 (H) | 시버트 | Sv | J⋅kg−1 × WR | 1977 | |
뢴트겐 상당 인간 | rem | 100 erg⋅g−1 × WR | 1971 | ||
유효 선량 (E) | 시버트 | Sv | J⋅kg−1 × WR × WT | 1977 | |
뢴트겐 상당 인간 | rem | 100 erg⋅g−1 × WR × WT | 1971 | ||
미국 원자력 규제 위원회는 SI 단위와 함께 큐리, rad 및 rem 단위의 사용을 허용하지만,[12] 유럽 연합 유럽 측정 단위 지침에 따르면 "공중 보건 ... 목적"을 위한 사용은 1985년 12월 31일까지 단계적으로 폐지해야 한다.[13]
3. 2. 선량 평가
선량계는 사용자가 착용하여 방사선 선량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온화 방사선을 측정하기 위한 일반적인 유형의 착용 가능한 선량계로는 석영 섬유 선량계, 필름 배지 선량계, 열형광 선량계, 고체 MOSFET 또는 실리콘 다이오드 선량계가 있다.흡수 선량은 전리 방사선이 물질(특히 생체 조직)에 가하는 손상의 양을 고려하지 않으며, 전하량보다는 에너지의 침착량과 더 밀접한 관련이 있다. 흡수 선량의 SI 단위는 그레이(Gy)이며, J/kg 단위를 가진다. 1 Gy는 1 킬로그램의 모든 종류의 물질에 1 줄의 에너지를 침착시키는 데 필요한 방사선의 양을 나타낸다. 이에 해당하는 전통적인 단위는 래드(rad, 방사선 흡수 선량)이며, 1 kg당 0.01 J의 에너지가 침착되는 양이다. 100 rad = 1 Gy이다.
서로 다른 종류 또는 에너지의 방사선이 동일한 양으로 조사될 경우, 살아있는 조직에 미치는 손상의 정도가 다르다. 예를 들어, 1 Gy의 알파 방사선은 1 Gy의 X선보다 약 20배 더 많은 손상을 일으킨다. 따라서 등가선량은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을 대략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정의되었다. 등가선량은 흡수선량에 가중 계수 WR을 곱하여 계산하며, 이 가중 계수는 각 방사선 유형에 따라 다르다(상대 생물학적 효과#표준화 표 참조). 이 가중 계수는 Q (품질 계수) 또는 RBE (방사선의 상대 생물학적 효과)라고도 한다.
시버트(Sv)는 등가선량의 SI 단위이다. 그레이와 단위는 같지만(J/kg) 측정하는 것은 다르다. 특정 유기체의 특정 신체 부위에 적용된 특정 유형 및 선량의 방사선에 대해, 현재 통계에 따르면 두 시나리오에서 암을 유발할 확률이 같도록 유기체의 전신에 적용된 X선 또는 감마선 선량의 크기를 측정한다. 렘(rem)은 등가선량의 전통적인 단위이다. 1 시버트 = 100 렘이다. 렘은 비교적 큰 단위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등가선량은 밀리렘(mrem, 10−3 렘) 또는 마이크로시버트(μSv, 10−6 Sv)로 측정된다. 1 mrem = 10 μSv이다.
때때로 낮은 수준의 방사선 선량에 사용되는 단위는 BRET (배경 방사선 등가 시간)이다. 이는 평균적인 사람이 받는 배경 방사선에 대한 노출 일수를 나타내는 단위이다. 이 단위는 표준화되어 있지 않으며 평균 배경 방사선 선량에 사용되는 값에 따라 달라진다. 2000년 UNSCEAR 값을 사용하면 1 BRET 단위는 약 6.6 μSv와 같다. 참고로, 2000년 UNSCEAR 추정치를 기준으로 한 사람이 하루에 받는 평균 자연 방사선의 '배경' 선량은 BRET 6.6 μSv (660 μrem)이다. 그러나 국지적인 노출은 다양하며, 미국의 연간 평균은 약 3.6 mSv (360 mrem)이며,[6] 인도의 작은 지역에서는 30 mSv (3 rem)까지 높습니다.[7][8] 인간에게 치명적인 전신 방사선 선량은 약 4–5 Sv (400–500 rem)이다.[9]
다음 표는 SI 단위와 비 SI 단위의 방사선 관련 양을 보여준다.
수량 | 단위 | 기호 | 유도 | 년도 | SI 해당 단위 |
---|---|---|---|---|---|
방사능 (A) | 베크렐 | Bq | s−1 | 1974 | |
큐리 | Ci | 1953 | |||
러더퍼드 | Rd | 106 s−1 | 1946 | ||
조사량 (X) | 쿨롬 / 킬로그램 | C/kg | 공기 중 C⋅kg−1 | 1974 | |
뢴트겐 | R | esu / 공기 | 1928 | ||
흡수 선량 (D) | 그레이 | Gy | J⋅kg−1 | 1974 | |
그램당 에르그 | erg/g | erg⋅g−1 | 1950 | ||
래드 | rad | 100 erg⋅g−1 | 1953 | ||
등가 선량 (H) | 시버트 | Sv | J⋅kg−1 × WR | 1977 | |
뢴트겐 상당 인간 | rem | 100 erg⋅g−1 × WR | 1971 | ||
유효 선량 (E) | 시버트 | Sv | J⋅kg−1 × WR × WT | 1977 | |
뢴트겐 상당 인간 | rem | 100 erg⋅g−1 × WR × WT | 1971 | ||
미국 원자력 규제 위원회는 SI 단위와 함께 큐리, rad 및 rem 단위의 사용을 허용하지만,[12] 유럽 연합 유럽 측정 단위 지침에 따르면 "공중 보건 ... 목적"을 위한 사용은 1985년 12월 31일까지 단계적으로 폐지해야 한다.[13]
3. 3. 방사선 방호
운영 보건 물리학(Operational health physics) 분야는, 이전 자료에서는 응용 보건 물리학이라고도 불리며, 기초 연구보다는 현장 업무 및 실제 상황에 대한 보건물리학 지식의 실질적인 적용에 중점을 둔다.3. 4. 방사성 폐기물 관리
3. 5. 기타 전문 분야
4. 방사선 방호 기기
실용적인 이온화 방사선 측정은 보건물리학에 필수적이다. 이는 보호 조치의 평가와 개인의 피폭 가능성이 있거나 실제로 받은 방사선량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기기의 제공은 일반적으로 법률에 의해 규제된다. 영국에서는 1999년 이온화 방사선 규제(Ionising Radiation Regulations 1999)가 적용된다.
방사선 방호 측정 기기는 "설치형" (고정 위치)과 휴대형 (휴대용 또는 운반 가능)으로 구분된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탐지기 목록이다.
- 전리함
- 비례 계수관
- 가이거 계수관
- 반도체 검출기
- 섬광 검출기
각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따라가면 된다.
영국에서는 HSE이 관련 응용 분야에 적합한 방사선 측정 장비를 선택하는 방법에 대한 사용자 지침서를 발행했다. [http://www.hse.gov.uk/pubns/irp7.pdf] 여기에는 모든 전리 방사선 장비 기술이 포함되어 있으며 유용한 비교 가이드 역할을 한다.
;설치형 기기
설치된 기기는 해당 구역의 전반적인 방사선 위험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설치된 "구역" 방사선 감시 장치, 감마 인터록 감시 장치, 개인 출구 감시 장치 및 공기 중 오염 감시 장치가 그 예이다.
구역 감시기는 주변 방사선, 일반적으로 X선, 감마선 또는 중성자를 측정한다. 이들은 수십 미터가 넘는 범위에서 상당한 방사선 수준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넓은 구역을 커버한다.
인터록 감시기는 높은 방사선 수준이 존재할 때 해당 구역에 대한 인원 출입을 막아 작업자의 과도한 피폭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공기 중 오염 감시기는 대기 중 방사성 입자의 농도를 측정하여 방사성 입자가 작업자의 폐에 침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인 출구 감시기는 "오염 통제" 구역 또는 잠재적 오염 구역에서 퇴장하는 작업자를 감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들은 손 감시 장치, 의복 검사 프로브 또는 전신 감시 장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은 작업자의 신체 표면과 의복을 감시하여 방사성 오염이 있는지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알파선 또는 베타선 또는 감마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측정한다.
영국 국립 물리 연구소는 이러한 장비의 제공과 사용될 경보 수준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좋은 실천 지침을 이온화 방사선 계측 포럼을 통해 발표했다.[5]
;휴대용 기기
휴대용 계측기는 손으로 들거나 운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정기로 사용되어 대상이나 사람을 자세히 검사하거나, 설치된 계측기가 없는 구역을 평가한다. 또한 현장에서 인원 출입 감시 또는 인원 오염 검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알파선, 베타선 또는 감마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측정한다.
운반 가능한 계측기는 일반적으로 영구적으로 설치되었을 계측기이지만, 위험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구역에 일시적으로 배치하여 지속적인 감시를 제공한다. 이러한 계측기는 쉽게 배치할 수 있도록 종종 트롤리에 설치되며, 임시 운영 상황과 관련된다.
4. 1. 설치형 기기
설치된 기기는 해당 구역의 전반적인 방사선 위험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설치된 "구역" 방사선 감시 장치, 감마 인터록 감시 장치, 개인 출구 감시 장치 및 공기 중 오염 감시 장치가 그 예이다.구역 감시기는 주변 방사선, 일반적으로 X선, 감마선 또는 중성자를 측정한다. 이들은 수십 미터가 넘는 범위에서 상당한 방사선 수준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넓은 구역을 커버한다.
인터록 감시기는 높은 방사선 수준이 존재할 때 해당 구역에 대한 인원 출입을 막아 작업자의 과도한 피폭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공기 중 오염 감시기는 대기 중 방사성 입자의 농도를 측정하여 방사성 입자가 작업자의 폐에 침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개인 출구 감시기는 "오염 통제" 구역 또는 잠재적 오염 구역에서 퇴장하는 작업자를 감시하는 데 사용된다. 이들은 손 감시 장치, 의복 검사 프로브 또는 전신 감시 장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은 작업자의 신체 표면과 의복을 감시하여 방사성 오염이 있는지 확인한다. 일반적으로 알파선 또는 베타선 또는 감마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측정한다.
영국 국립 물리 연구소는 이러한 장비의 제공과 사용될 경보 수준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한 좋은 실천 지침을 이온화 방사선 계측 포럼을 통해 발표했다.[5]
4. 2. 휴대용 기기
휴대용 계측기는 손으로 들거나 운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측정기로 사용되어 대상이나 사람을 자세히 검사하거나, 설치된 계측기가 없는 구역을 평가한다. 또한 현장에서 인원 출입 감시 또는 인원 오염 검사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알파선, 베타선 또는 감마선, 또는 이들의 조합을 측정한다.운반 가능한 계측기는 일반적으로 영구적으로 설치되었을 계측기이지만, 위험이 있을 가능성이 있는 구역에 일시적으로 배치하여 지속적인 감시를 제공한다. 이러한 계측기는 쉽게 배치할 수 있도록 종종 트롤리에 설치되며, 임시 운영 상황과 관련된다.
5. 보건물리학자의 임무
- 원자력 관계 시설의 위치 선정에 관여한다.
- 방사선 방호 관계 설비의 설계에 관여한다.
- 개인 방호 시스템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다룬다.
- 실험실 관리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다룬다.
- 과도한 피폭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에 관한 사항을 다룬다.
- 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을 다룬다. (폐기물 처리)
- 방사선 장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비상 대책에 관여한다.
- 측정 기기의 교정과 보전을 수행한다.
- 종업원의 훈련 및 교육을 실시한다.
- 민간 방위(civil defense)에 협력한다.
- 이상 각 항에 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한다. (폐기물 처리, 배수 처리, 측정기, 차폐 등)
개별적으로는 방사선 및 방사성 물질의 측정, 시설 내 및 환경에서의 방사선 및 방사성 물질의 거동 추적, 시설 및 작업자의 방사선 관리, 외부 피폭 선량 평가, 생체 내에서의 방사성 물질의 거동 추적, 내부 피폭 선량 평가, 환경에서의 방사성 물질의 확산·이동 거동의 해명·관리, 개인 피폭 관리, 방사선 장애 기구의 해명, 방사선 방호제와 방사능 방호구 개발, 긴급 의료 대책,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 및 관리 등이 연구 대상이다.
6. 국제기구 및 학회
1956년 미국 보건물리학회(Health Physics Society; HPS)가 설립되었다.[17] 1961년6월 19일 Health Physics Society에서 일본 지부 설립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 1962년2월 5일 임원회에서 승인되었다.[17]
1963년 6월 10일, Health Physics Society 임원회는 방사선 방호에 관한 국제 학회 결성을 결정했다.[17] 1965년 12월 국제 방사선 방호 학회(International Radiation Protection Association, IRPA)가 결성되었고, 1966년 로마에서 첫 국제 회의가 개최되었다.[17] IRPA 결성 당시 일본보건물리학협의회 회원 약 300명이 창립 회원으로 가입했고, 이를 계기로 Health Physics Society 일본 지부는 해산되었다.[17] 1974년 3월 일본보건물리학협의회는 일본보건물리학회로 개칭했다.[17]
1950년 국제 방사선 방호 위원회(ICRP)와 1955년 원자 방사선의 영향에 관한 유엔 과학 위원회(UNSCEAR)가 발족했다.[18] 1945년 원자 폭탄 투하 및 1954년 제5복룡환 피폭 등을 배경으로 1959년 방사선 의학 종합 연구소 개소와 동시에 일본 방사선 영향 학회가 발족했다.[18]
일본에서는 일본 원자력 학회 보건물리·환경과학부회, 일본 방사선 연구 연합 등에서도 보건물리학이 연구되고 있다.
7. 대한민국 관련 기관 및 학회
1956년 미국 보건물리학회(Health Physics Society; HPS)가 설립되었다.[17] 1963년 6월 10일, Health Physics Society 임원회는 방사선 방호에 관한 국제 학회를 결성하는 방침을 결정하고, 그를 위한 위원회를 발족시켰다.[17] 1965년 12월 국제 방사선 방호 학회(International Radiation Protection Association, IRPA)가 결성되었고, 첫 번째 국제 회의 및 총회는 1966년 로마에서 개최되었다.[17]
1950년의 국제 방사선 방호 위원회(ICRP)와 1955년의 원자 방사선의 영향에 관한 유엔 과학 위원회(UNSCEAR) 발족, 1945년의 원자 폭탄 투하 및 1954년의 제5복룡환의 피폭 등을 배경으로, 1959년의 방사선 의학 종합 연구소 개소와 동시에 일본 방사선 영향 학회가 발족했다.[18]
일본에서는 일본보건물리학회, 일본 원자력 학회 보건물리·환경과학부회, 일본 방사선 연구 연합 등에서도 보건물리학이 연구되고 있다.[17][18]
8. 더불어민주당 및 진보 진영 관점
참조
[1]
웹사이트
Careers in Health Physics
http://hps.org/publi[...]
[2]
간행물
Operational Health Physics
https://www.research[...]
2005-07
[3]
웹사이트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http://www.aapm.org/[...]
[4]
웹사이트
AAPM – The Medical Physicist
http://www.aapm.org/[...]
[5]
간행물
"The Selection of Alarm Levels for Personnel Exit Monitors"
http://www.npl.co.uk[...]
National Physical Laboratory, Teddington UK
2009-12
[6]
웹사이트
Radioactivity in Nature
http://www.physics.i[...]
[7]
웹사이트
"Background Radiation: Natural versus Man-Made"
http://www.doh.wa.go[...]
Washington Stet Department of Health
[8]
뉴스
"Monazite sand does not cause excess cancer incidence "
https://web.archive.[...]
The Hindu
[9]
웹사이트
"Lethal dose"
https://www.nrc.gov/[...]
NRC Glossary
2010-08-02
[10]
서적
A Century of X-rays and Radioactivity in Medicine
IOP Publishing
[11]
웹사이트
Origin of "health physics"
http://www.hps.org/p[...]
[12]
서적
10 CFR 20.1004
https://www.nrc.gov/[...]
US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
[13]
웹사이트
Council Directive 80/181/EEC of 20 December 1979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of the Member States relating to Unit of measurement and on the repeal of Directive 71/354/EEC
http://eur-lex.europ[...]
1979-12-21
[14]
기타
原子力百科事典ATOMICA『保健物理』
https://atomica.jaea[...]
[15]
기타
この意味の取りづらい名称は、外部に悟られないように付けた隠語のようなものとしてつけられたものだといわれる
[16]
기타
ラジオアイソトープ—講義と実習
[17]
기타
「これまでの保健物理」
http://homepage3.nif[...]
[18]
기타
「日本放射線影響学会 (13-02-02-08)」
https://atomica.jae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