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보은군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은군 선거구는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보은군 전 지역을 관할했다. 이후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옥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옥천군·보은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김교현, 최면수, 김선우, 박기종 등이 있으며, 선거 결과는 각 선거별 득표율과 함께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은군의 정치 - 보은군·옥천군·영동군 (1973년 선거구)
    보은군·옥천군·영동군 선거구는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옥천군·보은군 선거구와 영동군 선거구를 통합하여 신설되었으며, 제9대부터 제12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재하다가 1988년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폐지되었다.
  • 보은군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보은군의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보은군의회는 2018년에 실시되었으며, 보은군 지역구 3개 선거구에서 총 7명의 의원을 선출했고, 더불어민주당 4명, 자유한국당 3명이 당선되었으며, 비례대표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1석을 얻었다.
  • 충청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청주시 흥덕구 을
    청주시 흥덕구 을은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신설되어 운천신봉동, 복대1동 등을 관할했으며, 청주시와 청원군 통합 이후 오송읍 등을 추가로 관할했으나 20대 총선을 앞두고 청주시 흥덕구 선거구로 통합되었다.
  • 충청북도의 폐지된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단양군 (선거구)
    단양군 선거구는 1948년 신설되어 1963년 제천군과 통합 폐지될 때까지 5번의 국회의원 선거를 치렀으며, 조종승, 장영근, 조종호 등이 당선되었다.
  • 1948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고창군 갑
    고창군 갑은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위해 신설되어 고창군 지역을 관할했으며, 1963년 선거구 통합으로 폐지되었고 김영동, 김수학, 정세환, 류진 등이 국회의원으로 활동했다.
보은군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보은군
의회국회
큰 지도충청북도
연도1948년
폐지1963년
유형국회
이후 선거구옥천군·보은군
의원수1인

2. 역사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보은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옥천군 선거구와 통합되면서 옥천군·보은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2. 1. 설치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보은군 전 지역을 관할하는 선거구로 신설되었다.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옥천군 선거구와 통합되면서 옥천군·보은군 선거구를 이루게 되면서 폐지되었다.

2. 2. 폐지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옥천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옥천군·보은군 선거구가 되면서 폐지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3. 2. 주요 국회의원 활동

1954년1958년 선거에서 자유당 소속으로 보은군에서 당선된 김선우 의원은 재선에 성공하여 자유당 내에서 활동하였다.

1960년 선거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보은군에서 당선된 박기종 의원은 당시 민주당 지지세가 강화되는 배경 속에서 당선되었다.

4. 역대 선거 결과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부터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보은군 선거구에서 치러진 역대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각 선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4. 1.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1948년)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교현무소속13,38440.04%
최면수무소속10,76632.20%
조용국대한독립촉성국민회4,20212.57%
박인수무소속3,89611.65%
황노관대동청년단1,1783.52%
총 투표수33,426



1948년 5월 10일 실시된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결과 충청북도 보은군에서 무소속 김교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4. 2.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1950년에 실시된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대한국민당 최면수 후보가 당선되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최면수대한국민당7,02220.31%
정구흥무소속5,30315.33%
박인수무소속4,03311.66%
박기종무소속3,90911.30%
김만철무소속3,1129.00%
구원서무소속3,0868.92%
조용국무소속2,1256.14%
신철균무소속1,9015.49%
김선우대한청년당1,8715.41%
유창식무소속1,3273.83%
송백헌무소속8852.55%
총 득표수34,574100%


4. 3.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소속 김선우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는 자유당의 영향력이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충청북도 보은군 선거 결과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선우자유당11,56432.20%
박기종무소속7,05519.64%
구연홍무소속5,25214.62%
김기형무소속4,25611.85%
이병일무소속4,10911.44%
양재형무소속3,66910.21%
합계35,905100%


4. 4.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자유당 김선우 후보가 41.50%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였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김선우자유당15,84141.50
박기종무소속12,56032.91
구연홍민주당6,45716.91
박좌현무소속3,3068.66
합계38,164100


4. 5.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4·19 혁명의 영향으로 자유당이 몰락하고 민주당의 지지세가 강화된 상황에서 치러졌다. 보은군에서는 민주당 박기종 후보가 50.35%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무소속 조만제 후보는 19.57%, 자유당 김선우 후보는 17.06%, 무소속 김주일 후보는 13.00%를 득표했다.

후보정당득표수득표율
박기종민주당19,96350.35%
조만제무소속7,76219.57%
김선우자유당6,76717.06%
김주일무소속5,15513.00%
합계39,64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