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 팬텀 레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잉 팬텀 레이는 보잉 팬텀 웍스에서 개발한 무인 전투기(UCAV)로, 보잉 X-45C 프로토타입 항공기를 기반으로 한다. 2007년 중반에 구상되어 2008년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었으며, 2010년 5월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공개되었다. 2011년 4월 에드워드 공군기지에서 첫 비행을 실시했으며, 제너럴 일렉트릭 F404-GE-102D 엔진 1기를 장착하고, 최대 2,414km를 비행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첫 비행한 항공기 - KC-100
한국항공우주산업에서 개발한 KC-100은 탄소 섬유 복합 재료 동체를 사용하여 무게를 줄이고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한 4인승 경비행기로, 일반 항공, 상업, 훈련, 레저 등의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군용 훈련기 KT-100은 대한민국 공군에서 운용 중이다. - 2011년 첫 비행한 항공기 - 하얼빈 Z-19
하얼빈 Z-19는 하얼빈 항공기공업집단에서 개발한 공격 헬리콥터로, 하얼빈 Z-9W를 기반으로 탠덤 시트 배열과 펜스트론 테일 로터를 갖추고 정찰 및 표적 획득에 중점을 두어 창허 Z-10과 함께 화력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다. - 전익기 - 록히드마틴 RQ-170 센티넬
RQ-170 센티넬은 록히드 마틴에서 개발한 스텔스 무인 항공기로, 정찰 임무를 수행하며 무장은 탑재하지 않고, 2000년대 후반부터 운용되었으며, 2011년 이란에 의해 노획되기도 했다. - 전익기 - 나사 패스파인더
나사 패스파인더는 NASA의 ERAST 프로그램에 따라 개발된 태양광 동력 무인 항공기로, 과학 연구 플랫폼으로 활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고도 기록 경신 및 다양한 과학 연구, 통신 중계 시험 등에 활용되었다. - 미국의 무인 항공기 - MQ-9 리퍼
MQ-9 리퍼는 고고도에서 장시간 체공하며 정찰, 감시, 공격 임무를 수행하는 무인 공격기로, 다양한 센서와 무장을 탑재하여 다목적 임무 수행이 가능하며 여러 파생형과 업그레이드를 통해 활용성을 넓혀가고 있다. - 미국의 무인 항공기 - 록히드마틴 RQ-170 센티넬
RQ-170 센티넬은 록히드 마틴에서 개발한 스텔스 무인 항공기로, 정찰 임무를 수행하며 무장은 탑재하지 않고, 2000년대 후반부터 운용되었으며, 2011년 이란에 의해 노획되기도 했다.
보잉 팬텀 레이 | |
---|---|
팬텀 레이 | |
![]() | |
기종 정보 | |
종류 | 무인 전투기 |
제작사 | 보잉 통합 방위 시스템 |
설계자 | 해당 사항 없음 |
첫 비행 | 2011년 4월 27일 |
퇴역 | 해당 사항 없음 |
현황 | 개발 중 |
주요 운용국 | 해당 사항 없음 |
추가 운용국 | 해당 사항 없음 |
생산 대수 | 1대 |
프로그램 비용 | 해당 사항 없음 |
대당 가격 | 해당 사항 없음 |
기반 기종 | 보잉 X-45C |
파생형 | 해당 사항 없음 |
2. 개발 배경
팬텀 레이 프로젝트는 보잉 내부에서 "프로젝트 리블루"로 불렸으며, 2007년 중반에 처음 구상되어 2008년 6월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2009년 5월까지 소수의 임원과 엔지니어를 제외하고 회사 내부에서 비밀리에 진행되었다.[3]
보잉 팬텀 웍스에서 개발한 팬텀 레이는 X-45C 프로토타입 항공기를 기반으로 한다.[4] 보잉은 원래 2002년에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미국 공군 및 미국 해군 합동 무인 전투 항공 시스템 (J-UCAS) 프로그램을 위해 이 항공기를 개발했다. 팬텀 레이는 특정 군사 프로그램이나 경쟁을 목표로 하지 않았지만,[5] 보잉은 이 설계를 해군의 무인 항공모함 발사 감시 및 공격 (UCLASS) 프로그램에 출품하는 것을 고려했다.[6]
팬텀 레이는 2010년 5월 10일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공개되었다.[7][8] 2010년 11월, 세인트루이스에서 저속 택시 테스트가 수행되었다.[9][10] 이 시범기는 6개월 동안 10번의 시험 비행을 수행하여 정보, 감시 및 정찰, 적 방공망 제압, 탐색 및 파괴,[11] 전자전 공격, 헌터/킬러, 자율 공중 급유와 같은 임무를 지원할 예정이었다.[12] 보잉은 팬텀 레이가 일련의 새로운 프로토타입 항공기의 첫 번째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7]
팬텀 레이는 NASA의 드라이든 비행 연구 센터에서 2010년 12월에 초도 비행을 할 예정이었으나,[7] 이후 일정이 변경되었고, 2011년 4월 27일 에드워드 공군기지에서 처음 비행했다.[13][14][15] 보잉 747 우주왕복선 수송기에 의해 그곳으로 옮겨졌다.[13][15][16][17] 팬텀 레이는 7,500피트까지 비행했으며 178노트의 속도에 도달하여 총 17분 동안 비행했다.[18][19][20]
2. 1. X-45C와의 관계
보잉 팬텀 웍스에서 개발한 팬텀 레이는 X-45C 프로토타입 항공기를 기반으로 한다.[4] 보잉은 원래 2002년에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미국 공군 및 미국 해군 합동 무인 전투 항공 시스템 (J-UCAS) 프로그램을 위해 이 항공기를 개발했다. 팬텀 레이는 특정 군사 프로그램이나 경쟁을 목표로 하지 않았지만,[5] 보잉은 이 설계를 해군의 무인 항공모함 발사 감시 및 공격 (UCLASS) 프로그램에 출품하는 것을 고려했다.[6]2. 2. UCLASS 프로그램 참여
3. 설계 및 특징
팬텀 레이 프로젝트는 보잉 내부에서 "프로젝트 리블루"로 불렸으며, 2007년 중반에 처음 구상되어 2008년 6월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2009년 5월까지 소수의 임원과 엔지니어를 제외하고 회사 내부에서 비밀리에 진행되었다.[3]
보잉 팬텀 웍스에서 개발한 팬텀 레이는 X-45C 프로토타입 항공기를 기반으로 한다.[4] 보잉은 원래 2002년에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미국 공군 및 미국 해군 합동 무인 전투 항공 시스템 (J-UCAS) 프로그램을 위해 이 항공기를 개발했다. 팬텀 레이는 특정 군사 프로그램이나 경쟁을 목표로 하지 않았지만,[5] 보잉은 이 설계를 해군의 무인 항공모함 발사 감시 및 공격 (UCLASS) 프로그램에 출품하는 것을 고려했다.[6]
팬텀 레이는 제너럴 일렉트릭 F404-GE-102D 엔진 1개를 장착했다.[7][21][22]
성능은 다음과 같다.
- '''최대이륙중량''': 16,556 kg[7]
- '''엔진''': 제너럴 일렉트릭 F404-GE-102D 1개[7]
- '''최고 속도''': 마하 0.93[7]
- '''순항 속도''': 988 km/h (마하 0.93)[7]
- '''항속 거리''': 2,414 km[21]
- '''최대 상승 고도''': 12,192 m[7]
보잉 팬텀 레이는 무인 전투기(UCAV)로, 승무원이 탑승하지 않는다.[7][21][22] 기체 길이는 11m, 날개 폭은 15m이며, 최대 이륙 중량은 16,556kg이다.[7][21][22] 제너럴 일렉트릭 F404-GE-102D 엔진 1기를 탑재하고 있으며, 순항 속도는 마하 0.93(약 1,142km/h)이다.[7][21][22] 최대 2,414km를 비행할 수 있으며, 최대 상승 고도는 12,192m이다.[7][21][22]
3. 1. 엔진
보잉 팬텀 레이는 제너럴 일렉트릭 F404-GE-102D 엔진 1개를 장착했다.[7][21][22]3. 2. 성능
- '''최대이륙중량''': 16,556 kg (36,500 lb)[7]
- '''엔진''': 제너럴 일렉트릭 F404-GE-102D 1개[7]
- '''최고 속도''': 마하 0.93[7]
- '''순항 속도''': 988 km/h (614 mph, 마하 0.93)[7]
- '''항속 거리''': 2,414 km (1,500 miles)[21]
- '''최대 상승 고도''': 12,192 m (40,000 ft)[7]
3. 3. 임무
보잉 팬텀 레이는 무인 전투기(UCAV)로, 승무원이 탑승하지 않는다.[7][21][22] 2010년 12월 미주리에서 우주왕복선 수송기에 실린 모습이 공개되었다. 기체 길이는 11m, 날개 폭은 15m이며, 최대 이륙 중량은 16,556kg이다.[7][21][22] 제너럴 일렉트릭 F404-GE-102D 엔진 1기를 탑재하고 있으며, 순항 속도는 마하 0.93(약 1,142km/h)이다.[7][21][22] 최대 1,500 해리(약 2,414km)를 비행할 수 있으며, 최대 상승 고도는 12,192m이다.[7][21][22]4. 시험 비행
보잉 팬텀 웍스에서 개발한 팬텀 레이는 X-45C 프로토타입 항공기를 기반으로 한다.[4] 보잉은 원래 2002년에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미국 공군 및 미국 해군 합동 무인 전투 항공 시스템 (J-UCAS) 프로그램을 위해 이 항공기를 개발했다. 팬텀 레이는 특정 군사 프로그램이나 경쟁을 목표로 하지 않았지만,[5] 보잉은 이 설계를 해군의 무인 항공모함 발사 감시 및 공격 (UCLASS) 프로그램에 출품하는 것을 고려했다.[6]
팬텀 레이는 2010년 5월 10일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공개되었고,[7][8] 2010년 11월, 세인트루이스에서 저속 택시 테스트가 수행되었다.[9][10] 2011년 4월 27일 에드워드 공군기지에서 처음 비행했다.[13][14][15] 보잉 747 우주왕복선 수송기에 의해 그곳으로 옮겨졌다.[13][15][16][17] 팬텀 레이는 7,500피트까지 비행했으며 178노트의 속도에 도달하여 총 17분 동안 비행했다.[18][19][20]
4. 1. 초도 비행
보잉 팬텀 웍스에서 개발한 팬텀 레이는 X-45C 프로토타입 항공기를 기반으로 한다.[4] 보잉은 원래 2002년에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미국 공군 및 미국 해군 합동 무인 전투 항공 시스템 (J-UCAS) 프로그램을 위해 이 항공기를 개발했다. 팬텀 레이는 특정 군사 프로그램이나 경쟁을 목표로 하지 않았지만,[5] 보잉은 이 설계를 해군의 무인 항공모함 발사 감시 및 공격 (UCLASS) 프로그램에 출품하는 것을 고려했다.[6]팬텀 레이는 2010년 5월 10일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공개되었고,[7][8] 2010년 11월, 세인트루이스에서 저속 택시 테스트가 수행되었다.[9][10] 2011년 4월 27일 에드워드 공군기지에서 처음 비행했다.[13][14][15] 보잉 747 우주왕복선 수송기에 의해 그곳으로 옮겨졌다.[13][15][16][17] 팬텀 레이는 7,500피트까지 비행했으며 178노트의 속도에 도달하여 총 17분 동안 비행했다.[18][19][20]
5. 대한민국에의 함의
5. 1. 비대칭 전력 확보
5. 2. 감시 및 정찰 능력 강화
5. 3. 억지력 강화
참조
[1]
뉴스
"Pictures: Phantom Ray first flight raises funding hopes"
http://www.flightglo[...]
Flight Global
2011-05-04
[2]
웹사이트
Phantom Ray Drone Makes Its Debut
https://www.foxnews.[...]
2015-03-24
[3]
간행물
Boeing Unveils ‘Phantom Ray’ Combat UAS Demonstrator
http://www.aviationw[...]
Aviation Week
2009-05-11
[4]
웹사이트
"Boeing's Phantom Ray – the 'Phoenix' of UCAVs"
http://www.aviationw[...]
Aviation Week
[5]
뉴스
"Breaking: Boeing resurrects X-45C as 'Phantom Ray' testbed"
http://www.flightglo[...]
Flight Global
2009-05-08
[6]
뉴스
"US Navy delays UCLASS RFP"
http://www.flightglo[...]
Flight Global
2012-12-11
[7]
웹사이트
Phantom Ray makes its debut in St. Louis
http://www.boeing.co[...]
Boeing
2010-05-10
[8]
웹사이트
'Phantom Ray' robot stealth jet rolls out
https://www.theregis[...]
2010-05-11
[9]
웹사이트
AUVSI: Boeing makes progress with unmanned programmes
http://www.flightglo[...]
Flight Global
2012-08-25
[10]
웹사이트
Boeing Phantom Ray Completes Low-speed Taxi Tests
http://boeing.mediar[...]
Boeing
2010-11-22
[11]
웹사이트
Phantom Ray Drone Makes Its First Flight, A Piggyback Ride on a Shuttle-Carrier 747
http://www.popsci.co[...]
2019-03-18
[12]
웹사이트
"Boeing to Develop, Fly 'Phantom Ray' Technology Demonstrator"
http://www.boeing.co[...]
Boeing
2009-05-08
[13]
뉴스
"Phantom Ray first flight raises funding hopes"
http://www.flightglo[...]
Flight International
2011-05-04
[14]
웹사이트
"Video: Phantom Ray Drone Makes Maiden Solo Flight"
http://www.popsci.co[...]
Popular Science
2011-05-04
[15]
웹사이트
Boeing Phantom Ray Takes a Ride on NASA's Shuttle Carrier Aircraft
http://boeing.mediar[...]
Boeing
2010-12-13
[16]
웹사이트
"Phantom Ray Takes A Piggy Back Ride On 747"
http://www.fox2now.c[...]
KTVI via fox2now.com
2010-12-13
[17]
웹사이트
Boeing Phantom Ray: The Future of Unmanned Terror in the Sky
https://gizmodo.com/[...]
2011-05-03
[18]
웹사이트
Boeing Phantom Ray Completes 1st Flight
http://boeing.mediar[...]
[19]
웹사이트
Boeing's Phantom Ray soars like a terrifying, unmanned eagle
https://www.engadget[...]
2019-07-18
[20]
웹사이트
Boeing's Next-Gen Drone 'Phantom Ray' Takes Maiden Flight
https://www.foxnews.[...]
2015-03-24
[21]
웹사이트
Phantom Ray Backgrounder (PDF)
http://www.boeing.co[...]
Boeing
2010-02
[22]
웹사이트
X-45 Joint Unmanned Combat Air System
http://www.boeing.co[...]
Boe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