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넷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넷은 야구에서 투수가 규정된 수 이상의 공을 스트라이크 존 밖으로 던져 타자가 1루로 진루하는 것을 의미한다. 초기 야구에는 볼넷 개념이 없었으나, 1863년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에 대한 벌칙으로 도입되었다. 볼넷에 필요한 볼 개수는 여러 차례 규칙 변경을 거쳐 1889년 4구로 정착되었으며, 고의 4구 제도가 존재한다. 타자에게는 출루율을 높이는 요소로, 투수에게는 제구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구 (야구) - 고의 사구
고의 사구는 야구에서 수비 팀이 타자를 고의로 1루에 진루시키는 플레이로, 강타자 회피, 병살 유도, 만루 작전 등 다양한 전략적 선택으로 활용되며, 투구 또는 감독의 요청으로 진행되고 규칙, 기록, 스포츠 정신에 대한 논쟁을 야기한다. - 투구 (야구) - 폭투
폭투는 야구에서 투구된 공이 포수가 잡을 수 없는 코스로 벗어나 주자 진루를 허용하는 플레이로, 득점 기회와 투수 자책점의 원인이 되며, MLB의 토니 멀레인과 NPB의 무라타 쵸지가 각각 최다 폭투 기록을 보유하고 있고, 중요한 경기에서 승패를 좌우하기도 한다. - 야구 기록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 기록 - 미국야구연구협회
미국야구연구협회(SABR)는 야구 연구를 장려하고 야구 팬, 역사학자, 통계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사람들을 연결하는 단체로, 야구 연구를 위한 위원회, 지부, 컨벤션, 출판물을 운영하며 야구 관련 지식 공유와 야구계 발전에 기여한다. - 야구에 관한 - 퍼펙트 게임
퍼펙트 게임은 야구에서 투수가 9이닝 이상 동안 상대팀 타자 전원을 범타 처리하고 단 한 명도 출루시키지 않는 극히 드문 경기를 의미하며, MLB와 NPB에서는 각각 24차례와 16차례 기록되었으나 KBO에서는 아직 없다. - 야구에 관한 - 홈런
홈런은 야구에서 타자가 친 공이 구장 밖으로 완전히 벗어나거나 펜스를 넘어가는 타구로, 득점으로 연결되며, 일반 홈런, 장외 홈런,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 등으로 구분되고, 상황별, 종류별 다양한 홈런이 존재한다.
볼넷 | |
---|---|
개요 | |
정의 | 야구에서 타자가 4개의 볼을 얻어 1루로 진루하는 것 |
약칭 | BB |
영어 | Base on balls |
일본어식 영어 | Four ball (フォアボール) |
규칙 및 절차 | |
볼 판정 | 심판이 스트라이크 존을 벗어난 공이라고 판정하는 경우 |
진루 | 타자는 자동으로 1루로 진루함 |
안전 진루 | 볼넷으로 인한 진루는 안전 진루로 간주됨 |
역사 및 문화 | |
관련 인물 | 피트 로즈 (끈기 있는 플레이 스타일로 유명) |
끈기 | 볼넷을 얻기 위한 노력은 타자의 끈기를 보여주는 예시 |
기록 및 통계 | |
공식 기록 | 볼넷은 공식 야구 기록으로 인정됨 |
기록 방법 | BB로 표기 |
참고 사항 | |
주의 | 여기서 '볼'은 야구공이 아닌 '볼 판정'을 의미 |
2. 역사
볼넷은 야구 초창기부터 존재했던 개념이지만, 현재와 같은 규칙으로 정착되기까지 여러 변화를 거쳤다. 1863년 전미야구선수협회(NABBP)에서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에 대한 벌칙으로 '볼' 개념을 만들었다.[11][12]
1876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내셔널 리그[28]) 발족 당시에는 투수가 9개의 볼을 던져야 타자가 출루할 수 있는 '9구'(나인볼) 규칙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이 규칙은 투수에게 너무 유리했기 때문에 1880년 '8구'(에이트볼)로 변경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규칙 수정을 거쳐 1889년 현재와 같은 '4구'(포볼) 규칙이 정착되었다.
1887년에는 스트라이크 존이 처음 도입되어 볼넷 판정의 객관성을 높였다.[14]
201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ajor League Baseball)은 수비 벤치가 심판에게 신호를 보내 타자를 고의적으로 볼넷으로 내보낼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을 변경했다. 이 규칙은 약간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15]
1971년 3월 10일, 롯데 오리온즈가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와 '3구'(쓰리볼) 규칙을 실험적으로 도입한 연습 경기를 하기도 했다. 이는 경기 속도 향상을 위한 것이었지만, 오히려 경기 시간이 길어지고 관객들에게 불평을 사는 등 성공적이지 못했다.
4구에서는 카운트 미스가 발생할 수 있는데, 4번째 볼을 간과하거나 3볼 상황에서 4구로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2. 1. 초기 규칙 변화
1863년 전미야구선수협회(NABBP)에서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에 대한 벌칙으로 '볼' 개념을 처음 도입했다.[11][12] 초기에는 투수에게 9개의 볼이 허용되었는데, 이는 각 벌칙 볼이 세 번째 위반에 대해서만 선언되었기 때문이다. 1869년에는 규칙이 수정되어 진루를 강요받은 주자만 진루할 수 있게 되었다.1871년부터 1886년까지 타자는 "높게" 또는 "낮게", 즉 허리 위 또는 아래를 외칠 수 있었고, 이에 부합하지 않는 투구는 "부정 투구"로 간주되었다. 1872년에는 특정 투구가 자동 볼로 정의되었는데, 타자 머리 위로 던져지거나 홈 플레이트 앞에서 땅에 맞거나, 타자 반대편으로 던져지거나, 타자로부터 1피트 이내로 들어오는 공이 해당되었다.[13]
1876년에 메이저 리그(내셔널 리그[28])가 발족했을 때에는 '''9구'''(나인볼) 규칙이 적용되어 투수가 9개의 볼을 던져야 타자가 출루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규칙은 투수에게 너무 유리했기 때문에, 1880년에 '''8구'''(에이트볼)로 변경된 것을 시작으로 규칙이 점차 수정되었다.
1880년, 내셔널 리그(National League)는 9개가 아닌 8개의 "부정 투구"가 볼넷으로 인정되도록 규칙을 변경했다. 1884년, 내셔널 리그(National League)는 볼넷을 얻기 위해 6개의 볼이 필요하도록 규칙을 변경했다. 1886년, 아메리카 야구 협회(American Association)는 7개가 아닌 6개의 볼이 볼넷으로 인정되도록 규칙을 변경했지만, 내셔널 리그(National League)는 6개 대신 7개의 볼이 볼넷으로 인정되도록 규칙을 변경했다.
1887년, 내셔널 리그(National League)와 아메리카 야구 협회(American Association)는 일부 규칙 변경에 동의했는데, 여기에는 스트라이크 존이 처음으로 포함되었고, 볼넷에 필요한 볼의 수를 5개로 줄였다. 1889년, 내셔널 리그(National League)와 아메리카 야구 협회(American Association)는 볼넷에 필요한 볼의 수를 4개로 줄였다.[14]
다음은 볼넷에 필요한 볼의 수가 변화한 과정을 나타낸 표이다.
연도 | 볼 개수 | 설명 |
---|---|---|
1876년 | 9구 | |
1880년 | 8구 | |
1882년 | 7구 | |
1884년 | 6구 | |
1886년 | 7구 | |
1887년 | 5구 | 타자가 투구의 높낮이를 주문하는 것이 폐지됨 |
1889년 | 4구 |
2. 2. 스트라이크 존 도입
1887년, 내셔널 리그와 아메리카 야구 협회는 심판의 재량 대신 규칙에 의해 볼과 스트라이크를 정의하는 스트라이크 존을 처음으로 도입했고, 볼넷에 필요한 볼의 수를 5개로 줄였다.[14] 이는 볼넷 판정의 객관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2. 3. 고의 4구 규칙 변경 (메이저 리그)
2017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MLB)은 수비 측 벤치에서 심판에게 신호를 보내면 타자를 고의4구로 내보낼 수 있도록 하는 규칙 변경을 승인했다. 이 조치는 경기 시간 단축을 위한 것이었으나, 약간의 논란을 불러일으켰다.[15]3. 고의 4구 (Intentional Base on Balls)
'''고의 4구'''(Intentional Base on Balls, IBB)는 수비팀이 전략적인 이유로 타자에게 의도적으로 볼넷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4사구는 투수가 타자에게 허용한 볼넷의 수를 나타내는 기록이다. 타자에게 볼넷이 기록되는 동시에, 투수에게는 4사구가 기록된다. 상대 타자의 볼넷과 상대 투수의 4사구는 반드시 같은 수가 된다.
2024년 시즌 종료 시점 일본 프로 야구의 볼넷 순위는 다음과 같다.[31]
순위 | 선수명 | 볼넷 |
---|---|---|
1 | 오 사다하루 | 2390 |
2 | 오치아이 히로미쓰 | 1475 |
3 | 가네모토 도모노리 | 1368 |
4 | 기요하라 가즈히로 | 1346 |
5 | 장훈 | 1274 |
6 | 카도타 히로미츠 | 1273 |
7 | 노무라 가쓰야 | 1252 |
8 | 후쿠모토 유타카 | 1234 |
9 | 야마모토 코지 | 1168 |
10 | 타니시게 모토노부 | 1133 |
11 | 타츠나미 가즈요시 | 1086 |
12 | 마루 요시히로 | 1067 |
13 | 에노모토 기하치 | 1062 |
14 | 야마우치 가즈히로 | 1061 |
15 | 토리타니 다카시 | 1055 |
16 | 쿠리야마 타쿠미 | 1051 |
17 | 나카무라 노리히로 | 1030 |
18 | 후쿠도메 코스케 | 1009 |
19 | 도이 마사히로 | 972 |
20 | 나가시마 시게오 | 969 |
3. 1. 전략적 활용
볼넷의 하위 유형인 고의 4구(IBB) 또는 고의 볼넷은 수비팀이 의도적으로 타자에게 볼넷을 주는 경우이다.[1]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과 많은 아마추어 리그에서는 수비팀 감독이 손가락 4개를 들어 홈 플레이트 심판에게 신호를 보내 고의 4구를 지시하며, 이 시점에서 타자는 더 이상 투구 없이 1루를 얻는다.[1] 다른 볼넷과 마찬가지로 고의 볼넷은 타자에게 아웃될 책임 없이 1루를 얻을 권리를 부여하며, 강제적인 경우 모든 주자가 진루할 수 있다.[1]고의 4구는 전략적인 수비 전술로, 수비팀이 홈런, 희생 플라이, RBI 안타 등 득점 플레이를 시작할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하는 타자를 건너뛰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1] 또한 팀들은 흔히 다음 타자를 위해 병살타나 포스 아웃 상황을 만들기 위해 고의 4구를 사용한다.[1]
3. 2. 규칙 (메이저 리그)
볼넷의 하위 유형인 고의 4구(IBB) 또는 고의 볼넷은 수비팀이 의도적으로 타자에게 볼넷을 주는 경우를 말한다.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과 많은 아마추어 리그에서는 수비팀 감독이 홈 플레이트 심판에게 손가락 4개를 들어 신호를 보내면, 투구 없이 타자에게 1루가 주어진다.[31] 2017년 이전의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는 투수가 의도적으로 타자로부터 공을 네 번 멀리 던지면(또는 이미 볼 카운트에서 하나 이상의 볼이 있는 상태에서 고의 4구를 결정한 경우, 4구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만큼) 고의 4구가 주어졌다.[31] 다른 볼넷과 마찬가지로 고의 볼넷은 타자에게 아웃될 책임 없이 1루를 얻을 권리를 부여하며, 강제적인 경우 모든 주자가 진루할 수 있다.[31]고의 4구는 전략적인 수비 전술로, 수비팀이 득점 플레이(예: 홈런, 희생 플라이, RBI 안타)를 시작할 가능성이 적다고 판단하는 타자를 건너뛰기 위해 흔히 사용된다.[31] 또한 팀들은 흔히 다음 타자를 위해 병살타나 포스 아웃 상황을 만들 때 고의 4구를 사용한다.[31]
4. 볼넷과 관련된 기록
볼넷은 투수가 타자에게 허용하는 4사구를 의미한다. 타자에게는 볼넷 1개가 기록되며, 해당 타석은 타수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출루로 간주되어 출루율에 포함된다.[24] 만루 상황에서는 밀어내기로 타자에게 타점 1개가 기록된다.
여러 명의 타자가 관여하여 볼넷이 성립된 경우에는 4번째 볼을 선택한 타자에게 볼넷이 기록된다.[25] 투수의 경우, 여러 투수가 한 타자에게 볼넷을 허용했을 때 다음과 같이 책임이 주어진다.[26]
- 2명의 투수가 볼넷을 허용한 경우:
- 볼 카운트가 볼 우세일 때: 선행 투수에게 허용 볼넷 1개
- 스트라이크 우세에서 볼이 역전된 경우: 구원 투수에게 허용 볼넷 1개
- 3명 이상의 투수가 볼넷을 허용한 경우 (규정상 드문 경우):
- 가장 많은 볼(2볼)을 던진 투수에게 허용 볼넷 1개
- 모든 투수의 볼 투구 수가 동일(1볼)한 경우: 볼넷을 성립시킨 투수에게 허용 볼넷 1개
순위 | 선수명 | 소속 구단 | 볼넷 | 기록 연도 | 비고 |
---|---|---|---|---|---|
1 | 오 사다하루 | 요미우리 자이언츠 | 158 | 1974년 | 센트럴 리그 기록 |
2 | 142 | 1966년 | |||
3 | 138 | 1965년 | |||
4 | 130 | 1967년 | |||
마루 요시히로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2018년 | |||
6 | 가네모토 도모노리 | 128 | 2001년 | ||
7 | 오 사다하루 | 요미우리 자이언츠 | 126 | 1977년 | |
8 | 125 | 1976년 | |||
9 | 124 | 1973년 | |||
10 | 123 | 1963년 | |||
1975년 | |||||
12 | 타이론 우즈 | 주니치 드래건스 | 121 | 2007년 | 우타자 기록 |
19 | A. 존스 |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 118 | 2014년 | 퍼시픽 리그 기록 |
기록 | 선수명 | 소속 구단 | 기록일 | 비고 |
---|---|---|---|---|
연속 경기 기록 (18경기) | 오 사다하루 | 요미우리 자이언츠 | 1970년 6월 17일 - 7월 15일 | |
야나기타 유키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 2016년 3월 25일 - 4월 19일 | ||
연속 타석 기록 (11타석) | 마츠나가 히로미 | 한큐 브레이브스 | 1988년 10월 22일 - 10월 23일 | 전 타석 고의 사구 |
1경기 기록 (6개) | 오치아이 히로미츠 | 주니치 드래건스 | 1991년 10월 13일 |
4. 1. 타자 기록
타자에게 볼넷은 출루율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구분 | 선수명 | 볼넷 | 기록 년도 | 비고 |
---|---|---|---|---|
한국 프로 야구 | 오 사다하루 | 158개 | 1974년 | 센트럴 리그 기록 |
한국 프로 야구 | 마루 요시히로 | 130개 | 2018년 | 히로시마 도요 카프 |
메이저 리그 | 배리 본즈 | 232개 | 2004년 |
4. 2. 투수 기록
투수에게 볼넷 허용(4사구)은 제구력을 평가하는 지표 중 하나이다.구분 | 선수 | 기록 | 비고 |
---|---|---|---|
시즌 최다 볼넷 허용 | 아모스 루시 | 289개 | 1890년 |
통산 최다 볼넷 허용 | 놀란 라이언 | 2795개 | 메이저 리그 |
위 출력물에서 다음 사항들을 수정했습니다.
1. 요약 정보 추가: 주어진 요약 정보에 한국 프로 야구 기록이 있었으나, 원본 소스에 해당 내용이 없어 메이저 리그 기록만 남겼습니다.
2. 표(Table) 수정:
- 표의 컬럼 제목을 명확하게 수정했습니다. ("구분", "선수", "기록", "비고")
- "비고" 컬럼에 시즌 정보(메이저 리그)를 추가했습니다.
3. 기타:
- 전체적으로 오탈자 및 문법 오류를 수정했습니다.
- 중복되는 내용이 없도록 문장을 다듬었습니다.
- 허용된 문법만을 사용하여 위키텍스트 형식을 준수했습니다.
- 템플릿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4. 3. 특이 기록 (한국 프로 야구)
1975년 5월 6일 닛폰햄 파이터즈 대 태평양 클럽 라이온즈의 경기에서 닛폰햄 투수 미우라 마사키는 6개의 공으로 2개의 볼넷을 기록하는 특이한 기록을 세웠다.[28] 2사 만루 상황에서 후지와라 마코토의 보크로 1볼이 된 상황에서 교체된 미우라는 니시자와 마사지에게 4구를 던져 볼넷을 허용, 밀어내기로 1실점했다. 이후 돈 뷰포드에게도 2구를 모두 볼로 던져 코사카 토시히코로 투수가 교체되었지만, 코사카 역시 2볼 상황에서 뷰포드에게 볼넷을 허용하여 미우라 마사키에게 6구 2볼넷이 기록되었다.1987년 10월 19일 요미우리 자이언츠 대 히로시마 도요 카프전에서는 타자 요시무라 사다아키가 볼 카운트 2스트라이크 4볼에서 홈런을 친 기록이 있다. 투수는 시라타케 요시히사였다.
2018년 8월 9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 대 주니치 드래건스전에서는 타자 스즈키 세이야가 8구째에 볼 카운트 4볼 2스트라이크가 되었지만 구심과 타자 모두 인지하지 못하고, 9구째에 파울, 10구째에 2루 땅볼로 아웃된 사례가 있다.[29]
5. 볼넷/9이닝 (BB/9)
볼넷/9이닝(BB/9)은 투수가 9이닝 동안 평균적으로 몇 개의 볼넷을 허용하는지를 나타내는 기록이다. 공식은 다음과 같다.
:'''(볼넷 × 9) ÷ 투구 이닝'''
BB/9는 투수의 제구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 이 값이 낮을수록 제구력이 뛰어난 투수로 평가받는다.
다음은 일본 프로 야구(NPB) 통산 볼넷/9이닝 기록이다. (2024년 시즌 종료 시점[35])
순위 | 선수명 | 볼넷 | 볼넷/9이닝 | 투구 이닝 |
---|---|---|---|---|
1 | 가네다 마사이치 | 1808 | 2.94 | 5526.2 |
2 | 요네다 테츠야 | 1480 | 2.60 | 5130 |
3 | 나카오 세키시 | 1436 | 4.23 | 3057 |
4 | 카지모토 타카오 | 1244 | 2.66 | 4208 |
5 | V. 스타루힌 | 1221 | 2.63 | 4175.1 |
6 | 벳쇼 타케히코 | 1206 | 2.49 | 4350.2 |
7 | 마츠오카 히로시 | 1163 | 3.23 | 3240 |
8 | 무라타 쵸지 | 1144 | 3.09 | 3331.1 |
9 | 쿠도 키미야스 | 1128 | 3.04 | 3336.2 |
10 | 스즈키 케이지 | 1126 | 2.20 | 4600.1 |
11 | 오노 쇼이치 | 1116 | 3.48 | 2909 |
12 | 나이토 코조 | 1108 | 4.49 | 2220.2 |
13 | 히가시오 오사무 | 1102 | 2.43 | 4086 |
14 | 호리우치 츠네오 | 1095 | 3.24 | 3045 |
15 | 사토 요시노리 | 1055 | 3.64 | 2608.2 |
16 | 하세가와 료헤이 | 1026 | 2.73 | 3376.1 |
17 | 카와구치 카즈히사 | 1021 | 3.81 | 2410 |
18 | 곤도 마사토시 | 1019 | 3.65 | 2513 |
19 | 타카하시 카즈미 | 1007 | 3.26 | 2778 |
20 | 와카바야시 타다시 | 998 | 2.52 | 3557.1 |
5. 1. 참고 기록 (MLB)
통산 최고 (2000이닝 이상) | ||
---|---|---|
순위 | 선수명 | 4사구/9이닝 |
1 | 캔디 커밍스 | 0.47 |
2 | 토미 본드 | 0.48 |
3 | 앨버트 스폴딩 | 0.51 |
4 | 조지 제트레인 | 0.5995 |
5 | 조지 브래들리 | 0.6000 |
6 | 딕 맥브라이드 | 0.75 |
7 | 몬테 워드 | 0.92 |
8 | 바비 매튜스 | 0.97 |
9 | 짐 휘트니 | 1.06 |
10 | 패드 갈빈 | 1.12 |
11 | 디콘 필립 | 1.25 |
12 | 윌 화이트 | 1.26 |
13 | 베이브 아담스 | 1.29 |
14 | 애디 조스 | 1.41 |
15 | 사이 영 | 1.49 |
16 | 가이 헤커 | 1.51 |
17 | 제시 탠힐 | 1.56 |
18 | 짐 매코믹 | 1.58 |
19 | 크리스티 매튜슨 | 1.59 |
20 | 레드 루카스 | 1.61 |
2000이닝 이상 투구 기록. 2024년 시즌 종료 기준[41]
시즌 최고 | ||||
---|---|---|---|---|
순위 | 선수 이름 | 소속 구단 | 4사구율 | 기록 연도 |
1 | 조지 제트레인 | 필라델피아 애슬레틱스 | 0.23 | 1876년 |
2 | 체로키 피셔 | 신시내티 레즈 | 0.24 | 1876년 |
3 | 조지 브래들리 | 프로비던스 그레이스 | 0.28 | 1880년 |
4 | 토미 본드 | 하트퍼드 다크블루스 | 0.29 | 1876년 |
5 | 토미 본드 | 보스턴 레드삭스 | 0.39 | 1879년 |
6 | 바비 매튜스 | 뉴욕 뮤추얼스 | 0.42 | 1876년 |
7 | 카를로스 실바 | 미네소타 트윈스 | 0.430 | 2005년 |
8 | 가이 헤커 | 루이빌 이클립스 | 0.433 | 1882년 |
9 | 데일 윌리엄스 | 신시내티 레즈 | 0.434 | 1876년 |
10 | 앨버트 스폴딩 | 시카고 화이트스타킹스 | 0.44 | 1876년 |
2024년 시즌 종료 시점[42] |
20세기 이후 시즌 최고 | |||||
---|---|---|---|---|---|
순위 | 선수 이름 | 소속 구단 | 4사구율 | 기록 연도 | 비고 |
1 | 카를로스 실바 | 미네소타 트윈스 | 0.43 | 2005년 | 아메리칸 리그 기록 |
2 | 베이브 아담스 | 피츠버그 파이리츠 | 0.616 | 1920년 | 내셔널 리그 기록 |
3 | 크리스티 매튜슨 | 뉴욕 자이언츠 | 0.618 | 1913년 | |
4 | 브렛 세이버하겐 | 뉴욕 메츠 | 0.660 | 1994년 | [43] |
5 | 크리스티 매튜슨 | 뉴욕 자이언츠 | 0.663 | 1914년 | |
6 | 필 휴즈 | 미네소타 트윈스 | 0.68680 | 2014년 | [44] |
7 | 사이 영 | 보스턴 아메리칸스 | 0.68684 | 1904년 | |
8 | 레드 루카스 | 신시내티 레즈 | 0.74 | 1933년 | |
9 | 클리프 리 | 시애틀 매리너스→텍사스 레인저스 | 0.76 | 2010년 | 좌완 투수 기록[45][46] |
10 | 밥 튜크스베리 |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 0.77 | 1992년 | |
2024년 시즌 종료 시점[42] |
참조
[1]
웹사이트
Walk (BB)
https://www.mlb.com/[...]
[2]
웹사이트
Official Rules
http://mlb.mlb.com/m[...]
[3]
웹사이트
Official Rules
http://mlb.mlb.com/m[...]
[4]
웹사이트
Hustle made Rose respected, infamous
https://www.espn.com[...]
ESPN
[5]
웹사이트
Pete Rose brought hustle, first hit 50 years ago
http://articles.phil[...]
2013-04-13
[6]
서적
2001 Official Rules of Major League Baseball, 6.08(a)
https://archive.org/[...]
Triumph Books
2000-08
[7]
서적
2001 Official Rules of Major League Baseball
https://archive.org/[...]
Triumph Books
[8]
웹사이트
Official Rules
http://mlb.mlb.com/m[...]
[9]
문서
[10]
서적
2001 Official Rules of Major League Baseball
https://archive.org/[...]
Triumph Books
[11]
웹사이트
1863 NABBP Rules - Protoball
https://protoball.or[...]
[12]
문서
[13]
문서
[14]
서적
2001 Official Major League Baseball Fact Book
The Sporting News
[15]
뉴스
Major League Baseball Poised To Change Intentional Walk Rule
https://www.npr.org/[...]
2017-02-23
[16]
웹사이트
Batting Game Finder: From 1908 to 2018, (requiring BB>=6), sorted by greatest BB
https://www.baseball[...]
2018-08-21
[17]
웹사이트
Pitching Game Finder: From 1908 to 2018, (requiring BB>=14), sorted by greatest BB
https://www.baseball[...]
2018-08-21
[18]
웹사이트
Team Batting Game Stats Finder - For single games, from 1901 to 2024, in the regular season, sorted by descending Bases on Balls.
https://stathead.com[...]
Sports Reference
2024-09-18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29]
웹사이트
あれ、四球じゃないの?広島・鈴木誠也 4ボール2ストライクからニゴロ
https://www.sponichi[...]
スポーツニッポン
2018-08-09
[30]
문서
[31]
웹사이트
歴代最高記録 四球 【通算記録】
https://npb.jp/bis/h[...]
[32]
웹사이트
歴代最高記録 四球 【シーズン記録】
https://npb.jp/bis/h[...]
[33]
웹사이트
通算記録 (MLB) (Baseball-Reference.com)
http://www.baseball-[...]
[34]
웹사이트
シーズン記録 (MLB) (Baseball-Reference.com)
http://www.baseball-[...]
[35]
웹사이트
歴代最高記録 与四球 【通算記録】
https://npb.jp/bis/h[...]
[36]
웹사이트
歴代最高記録 与四球 【シーズン記録】
https://npb.jp/bis/h[...]
[37]
웹사이트
通算記録 (MLB) (Baseball-Reference.com)
http://www.baseball-[...]
[38]
웹사이트
シーズン記録 (MLB) (Baseball-Reference.com)
http://www.baseball-[...]
[39]
문서
19世紀を含めると上記のフィル・ネル
[40]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41]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42]
웹사이트
https://www.baseball[...]
[43]
문서
同年のK/BB11.00はMLB歴代2位
[44]
문서
同年のK/BB11.63はMLB記録
[45]
문서
19世紀を含めるとデニー・ドリスコルの0.54(1882年、ピッツバーグ・パイレーツ)
[46]
문서
同年のK/BB10.28もMLB左投手記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