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탄의 총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탄의 총리는 부탄의 정부 수반이다. 1964년 총리직이 폐지되었다가 1998년 각료평의회 의장으로 부활했고, 2008년 입헌군주제 도입과 함께 총리직이 다시 설치되었다. 초대 총리는 1952년 임명된 지그메 팔덴 도르지이며, 2008년 입헌군주제 도입 이후에는 지그메 틴레이가 초대 총리를 역임했다. 2024년 1월 28일 현재 체링 톱게가 총리직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탄의 총리 - 우겐 도르지
    우겐 도르지는 부탄의 명문가 출신 정치인으로, 20세기 초 왕실 정부에서 요직을 겸임하며 영국 및 티베트와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부탄 근대화에 기여했다.
  • 부탄의 총리 - 체링 톱게
    체링 톱게는 2013년부터 2018년, 그리고 2024년부터 현재까지 부탄의 총리직을 수행하고 있는 정치인으로, 인민민주당 창당을 주도하며 정계에 입문하여 경제 발전, 투명성 강화, 그리고 탄소 중립 유지를 위한 환경 운동에 힘쓰고 있다.
부탄의 총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직책각료평의회 의장
국가부탄 왕국
원어 명칭སྲིད་བློན།
부탄의 국장
국장
체링 토브게
체링 토브게
직책 정보
현직체링 토브게
취임일2024년 1월 28일
직책 유형정부의 수반
소속각료평의회
지명자국민의회 제1당 당수
임명권자용왕
제정 기관부탄 왕국 헌법
설립1907년
1952년
초대지그메 팔덴 도르지
급여연간 37,365USD
로마자 표기
བྲུག་ཡུལBrug-yul
སྲིད་བློནSrid-blon

2. 역사

부탄에서는 1964년 지그메 팔덴 도르지 수상이 암살된 이후 혼란이 계속되었고, 후임 수상 또한 쿠데타를 모의했기 때문에 내각을 총괄하는 장관직은 공석이었다. 이후 오랫동안 국왕 친정[2]이 지속되었다. 1998년, 국왕 주도의 민주화에 따라 수상에 해당하는 “각료평의회 의장”직이 부활하였고, 각료평의회 의장은 각료들이 1년 임기의 순번제로 교대하여 맡았다.[3]

2008년, 입헌군주제(의회군주제)와 의원내각제가 도입됨에 따라, 내각총리대신으로서의 수상직이 부활하였다. 같은 해 국민의회(하원) 선거에서 승리한 부탄 조화당(DPT) 당수 지그메 틴리가 최초의 민선 수상으로 임명되었다.[4]

2. 1. 총리직 신설과 폐지 (1952년 ~ 1998년)

1964년 부탄의 귀족들 간의 정쟁으로 인해 지그메 팔덴 도르지 수상이 암살된 이후 혼란이 계속되었고, 후임 수상 또한 쿠데타를 모의했기 때문에 내각을 총괄하는 장관직은 공석이었다.[2] 이후 오랫동안 국왕 친정[2]이 지속되었다.

2. 2. 각료평의회 의장 체제 (1998년 ~ 2008년)

1964년 지그메 팔덴 돌지(Jigme Palden Dorji) 수상이 암살된 이후 부탄은 혼란을 겪었고, 후임 수상 또한 쿠데타를 모의했기 때문에 내각을 총괄하는 장관직은 공석이었다. 이후 오랫동안 국왕 친정[2]이 지속되었다. 1998년 국왕 주도의 민주화에 따라 수상에 해당하는 “각료평의회 의장”직이 부활하였고, 각료평의회 의장은 각료들이 1년 임기의 순번제로 교대하여 맡았다.[3]

2. 3. 입헌군주제 도입과 총리직 (2008년 ~ 현재)

2008년 입헌군주제(의회군주제)와 의원내각제가 도입됨에 따라, 내각총리대신으로서의 수상직이 부활하였다. 같은 해 3월 24일 국민의회(하원) 선거에서 승리한 부탄 조화당(DPT) 당수 지그메 틴리가 4월 9일 최초의 민선 수상으로 임명되었다.[4]

3. 역대 총리 목록

이름이미지취임일퇴임일소속 정당
1우겐 도르지
1907년1916년무소속
2소남 토프가이 도르지
1917년1952년무소속
지그메 팔덴 도르지가 1952년부터 1964년까지 총리직을 맡았고, 이후 렌두프 도르지가 총리 대행을 맡았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총리직 폐지 (1964년 11월 27일 ~ 1998년 7월 20일)
1998년부터 2008년까지는 각료평의회 의장직이 부탄의 정부 수반 직책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2008년 입헌군주제 도입 이후 지그메 틴레이가 최초의 민선 총리로 임명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 참조)


3. 1. 1952년 ~ 1964년 (총리)

1952년 총리직이 신설된 후, 지그메 팔덴 도르지가 초대 총리로 취임했다. 그는 1964년까지 재임했으나, 그해 4월 6일에 암살되었다.[2] 이후 렌두프 도르지가 총리 대행을 맡았지만, 같은 해 11월 27일에 총리직은 폐지되었다.

이름이미지취임일퇴임일소속 정당
3지그메 팔덴 도르지--1952년1964년 4월 6일무소속
공석 (1964년 4월 6일 ~ 1964년 7월 25일)
대행렌두프 도르지--1964년 7월 25일1964년 11월 27일무소속


3. 2. 1998년 ~ 2008년 (각료평의회 의장)

ལྷན་རྒྱས་གཞུང་ཚོགས་ཀྱི་དབུ་འཛིན།|Lhen-rgyas Gzhung-tshogs-kyi Dbu-'dzinbo (각료평의회 의장)은 1998년부터 2008년까지 부탄의 정부 수반 직책이었다. 1998년, 국왕 주도의 민주화에 따라 수상에 해당하는 “각료평의회 의장”직이 부활하였고, 각료평의회 의장은 각료들이 1년 임기의 순번제로 교대하여 맡았다.[3]

이름이미지취임일퇴임일소속 정당
4지그메 틴레이
1998년 7월 20일1999년 7월 9일무소속
5상가이 응게두프
1999년 7월 9일2000년 7월 20일무소속
6예셰이 짐바
2000년 7월 20일2001년 8월 8일무소속
7칸두 왕축
2001년 8월 8일2002년 8월 14일무소속
8킨장 도르지
2002년 8월 14일2003년 8월 30일무소속
9지그메 틴레이2003년 8월 30일2004년 8월 18일무소속
10예셰이 짐바2004년 8월 18일2005년 9월 5일무소속
11상가이 응게두프2005년 9월 5일2006년 9월 7일무소속
12칸두 왕축2006년 9월 7일2007년 7월 31일무소속
13킨장 도르지2007년 7월 31일2008년 4월 9일무소속


3. 3. 2008년 ~ 현재 (총리)

2008년 입헌군주제의원내각제가 도입됨에 따라, 내각총리대신으로서의 수상직이 부활하였다. 같은 해 3월 24일 국민의회(하원) 선거에서 승리한 부탄 조화당(DPT) 당수 지그메 틴레이가 4월 9일 최초의 민선 수상으로 임명되었다.[4]

이름이미지취임일퇴임일소속정당
14지그메 틴레이--2008년 4월 9일2013년 4월 28일부탄 조화당
대행소남 톱게
2013년 4월 28일2013년 7월 27일무소속
15체링 톱게--2013년 7월 27일2018년 8월 9일국민민주당
대행체링 왕축
2018년 8월 9일2018년 11월 7일무소속
16로타이 체링
2018년 11월 7일2023년 11월 1일부탄 협동당
대행초걀 다고 리그진--2023년 11월 1일2024년 1월 28일무소속
17체링 톱게--2024년 1월 28일현재국민민주당


참조

[1] 웹사이트 15 Highest Paid Asian Political Leaders 2015 http://pinoythaiyo.c[...] 2015-06-23
[2] 문서 1968년 閣僚評議会 설치 및 국왕의 의장직 수행 (1998년까지)
[3] 문서 2003년 閣僚 증원 (6명 → 10명)
[4] 웹사이트 His Majesty to confer Dakyen on PM today http://www.kuenselon[...] 2008-04-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