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의원내각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원내각제는 내각이 의회의 신임을 기반으로 존립하는 정치 체제이다. 이는 의회와 정부가 분리되어 내각이 의회(주로 하원)의 신임을 얻어 통치하는 방식으로, 영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 여러 국가에서 채택하고 있다. 의원내각제는 국가원수와 행정부 수반을 분리하고, 총리가 의회에서 선출되며 의회에 책임을 지는 특징을 갖는다. 총리는 의회 해산권을, 의회는 내각 불신임권을 통해 서로 견제하며, 다수당이 정부를 구성하고 연립 정부가 형성되기도 한다. 장점으로는 신속한 정책 결정과 부패 방지, 국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는 정치 풍토 조성이 있으나, 정국 불안정, 여대야소에 따른 정부 견제 약화, 권력 집중의 가능성 등의 단점도 존재한다. 일본은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관료 내각제, 정부와 여당의 관계, 참의원과의 관계 등에서 독특한 특징과 문제점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각 - 국가재건최고회의
    국가재건최고회의는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수립된 군사 정권 기구로, 헌법 일부 조항 효력 정지, 국회 해산 등 권위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경제 개발을 추진했으나 민주주의를 후퇴시켰다는 비판을 받았고, 1963년 제3공화국 출범과 함께 해산되었다.
  • 내각 - 내각 총사퇴
    내각 총사퇴는 내각 구성원 전체가 사임하는 행위로, 정부 정책 전환이나 정치적 책임을 나타내며, 의회 불신임, 예산안 거부, 총리 사임 등이 주요 원인이며,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 심리 위축을 초래할 수 있지만 국정 쇄신의 기회가 되기도 한다.
  • 유형별 민주주의 - 사회민주주의
    핵전방의 활동은, **각 시대의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그들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흐름을 따라야 할 필요가 있다.** 1950년대 이후로는 변동이 잦아 졌고, 그 당시, 사회주의 운동과 관련이 있으며, 정치적·사회적 힘을 통해, 이상적인 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그들은 이념을 가진다. 부연적인 내용으로는, 현재의 사회의 문제점과 사회 개혁에 대한 노력을 볼 수 있다. ``` ``` ``` ```
  • 유형별 민주주의 - 간접 민주제
    간접 민주제는 선출된 대표자들이 국민의 의사를 대신하여 정치 활동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효율성과 전문성을 가지나 과두정치 퇴보, 민의 왜곡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스토크라시나 숙의 민주주의 등이 제시된다.
  • 정부형태 - 군주제
    군주제는 한 명의 군주가 국가 원수로서 통치하는 정치 체제로, 세습이나 선거를 통해 즉위하며 다양한 형태로 역사적으로 존재해 왔고, 현대에는 일부 국가에서 전통으로서 유지되고 있다.
  • 정부형태 - 연방제
    연방제는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권력을 분담하는 정치 체제이며, 지역 이익과 국가 이익의 조화, 다양한 민족 집단의 이익 조정 등 복잡한 과제를 수반하며, 단일 국가, 연합, 제국 등 다른 국가 형태와 구별된다.
의원내각제
정치 체제 개요
정치 체제의원내각제
정부 형태내각제
주요 특징의회가 내각을 구성하고, 내각이 의회에 대해 책임을 지는 정치 체제
특징의회는 내각을 불신임할 수 있음
내각은 의회를 해산할 수 있음
작동 방식
정부 구성의회에서 선출된 의원들이 내각을 구성
내각 책임내각은 의회에 대해 책임을 짐
의회 역할내각을 견제하고 감시
법률 제정
예산 심의
역사적 배경
기원18세기 영국에서 발전
확산유럽을 비롯한 여러 국가로 확산
주요 국가
유럽영국
독일
이탈리아
아시아일본
대한민국
기타캐나다
호주
장단점
장점책임정치 구현에 유리
정부의 정책 집행에 의회의 협력 얻기 용이
국민의 의사를 반영하기 용이
단점정부가 불안정해질 수 있음
정당 간의 타협과 협조가 중요
내각이 의회의 눈치를 볼 수 있음
관련 개념
관련 개념대통령제
혼합정부제
추가 정보
용어영어: parliamentary system
독일어: parlamentarische Demokratie
일본어: 議院内閣制
특징
의회의회에서 총리와 각료 선출
내각내각은 의회에 대해 연대책임
불신임의회는 내각을 불신임 가능
해산내각은 의회를 해산 가능

2. 명칭

의원내각제는 내각책임제, 내각제, 또는 의회제라고도 불린다.[62] '의원내각제'라는 용어는 일본어 '議院內閣制|ぎいんないかくせい일본어'를 번역한 것이다. 영어로는 'Parliamentary system'(Parliamentary system|팔러멘터리 시스템영어) 혹은 'Responsible government'(책임정부)라고도 하는데,[62] 이는 내각이 의회에 책임을 진다는 점을 강조한 표현이다.

3. 역사

세계 최초의 의회중세 시대인 1188년 레온 왕국에서 알폰소 9세가 3개 계층 대표를 소집하여 설립한 레온 의회이다.[63][64] 초기 의원내각제 정부는 1581년 네덜란드 독립 전쟁에서 네덜란드 의회가 스페인 왕국의 펠리페 2세로부터 주권, 입법권, 행정권을 인수하면서 시작되었다.

현대적 의미의 의원내각제는 18세기 초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며,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이라고도 불린다. 조지 1세가 영어를 유창하게 하지 못해 각의를 주재하지 않게 되자, 로버트 월폴총리(Prime Minister)로서 각의를 주재하게 되었다. 1832년 선거법 개정으로 의회가 총리를 정하게 되면서 왕권에 대한 의회민주주의의 우세가 확립되었다.[65][66]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럽에서 의회주의가 확산되었고, 특히 바이마르 공화국의 제도는 다른 국가에 영향을 주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패전국들을 중심으로 의원내각제가 도입되었다.

3. 1. 대한민국

한반도 역사에서 삼국시대에는 제가회의, 정사암 회의, 화백회의 등 의결기구가 존재해 재상들을 선출했지만, 귀족 자문기구 성격이 강했으며 6세기 이후 왕권 강화와 함께 그 한계에 다다랐다.[63][64] 이후 대한제국 시기 독립협회의 의회 수립 운동으로 최초의 의회 기관인 중추원이 설립되었으나, 내각 구성권은 없었고 왕정파와의 대립으로 개의 첫날 만에 폐지되었다.

대한민국 건국 이후 이승만의 강력한 주장으로 제헌 헌법은 대통령제를 근간으로 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4·19 혁명으로 이승만이 대통령직에서 하야하자 1960년 6월 15일 의회민주주의를 골자로 한 헌법 개정으로 대한민국 제2공화국이 성립하면서 대한민국에 처음으로 의원내각제가 도입되었다. 그러나 정치 혼란 끝에 5·16 군사혁명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는 헌법을 개정해 의원내각제를 폐지하고 다시 대통령제로 환원시켰고, 박정희 본인이 대통령에 취임했다. 이후 수차례 개헌에도 불구하고 대통령제가 유지되고 있다.

4. 특징

의원내각제는 국가원수와 행정부 수반이 분리되어 있다. 국가원수는 대통령(공화제) 또는 군주(군주제)가 맡고, 행정부 수반은 총리가 맡는다. 반면 대통령중심제에서는 대통령이 국가원수와 행정부 수반을 겸임하기 때문에 권력이 대통령 1인에게 집중되지만, 의원내각제는 권력이 분산되어 있다.[67]

의원내각제에서는 의회에서 행정부 수반(총리)을 선출한다. 총리는 국정에 대해 의회에 책임을 지며, 의회는 내각 불신임권을 통해 언제든지 총리를 해임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총리는 의회 해산권을 가진다. 예를 들어, 총리는 의회가 민심을 거스르거나, 정부 정책 추진을 위해 여당 의석이 더 필요하거나, 의회의 불신임 추진에 동의하지 않을 경우 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실시할 수 있다. 조기 총선 결과에 따라 총리의 직위와 정권 유지 여부가 결정된다.[67]

의원내각제에서는 다수 의석을 차지한 세력이 정부를 구성한다. 단독 과반 의석을 확보한 정당이 없을 경우, 둘 이상의 정당이 연합하여 과반 의석을 형성하고 정부를 구성하는데, 이를 연립 정부(연정)라고 한다. 신임 공급(신임 보완)은 내각에는 참여하지 않지만 의회 내에서 여당을 신임하기로 합의하는 방식이다. 다수 지지를 얻지 못하고 의회에서 불신임되면 총사퇴하거나 의회를 해산하고 재선거를 치러야 한다.

비례대표제(스웨덴, 네덜란드, 덴마크 등)나 연동형 비례대표제(독일, 뉴질랜드 등)를 채택하는 국가에서는 정당 지지율과 의석 비율이 일치하여 다당제가 정착되고, 한 정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들 국가에서는 연정이 일반적이다.[68] 반면 대통령중심제는 승자독식 구조로 연정이 드물다. 내각제는 연정이 많아 권력 분산적 성격이 있지만,[68] 보통 여대야소이므로 행정부와 입법부가 융화되는 권력 집중적 성격도 있다. 대통령중심제에서도 여대야소가 발생하면 유사한 상황이 나타난다.[68]

내각제에서는 국민에게 선출된 의원만이 내각 각료(총리 및 장관)가 될 수 있어 권력 행사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한다. 각료 임명 후에도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다.[69] 반면 대통령중심제에서는 대통령을 제외한 장관은 국민에게 선출되지 않아도 되며, 의원을 임명할 경우 의원직을 사퇴해야 한다.[68]

내각제에서는 정부의 법률안 제출권, 각료의 의회 출석권 및 발언권이 인정된다. 반면 대통령중심제에서는 행정부와 입법부의 권력 분립 원칙에 따라 인정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5. 유형

학계에서는 의원내각제를 웨스트민스터식과 서유럽식(합의제 민주주의)으로 구분한다.[18]

의원내각제는 의회와 정부의 관계를 기준으로 정치 제도를 분류한 것이다. 의회와 정부(내각)가 분리된 상태에서 내각이 의회(특히 하원)의 신임을 받아 존립하는 정치 제도이다. 영국에서 시작된 정치 제도로, 총리가 내각을, 내각은 다수당을, 다수당은 의회를 통솔·지도·통제하며, 의회 다수당은 국민 투표로 결정된다.

의원내각제는 다른 정치 제도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 의원내각제: 행정부의 주체인 내각이 의회(주로 하원)의 신임을 얻어 통치한다. 권력분립 관점에서 보면, 의회통치제와 달리 의회와 정부는 분리되어 있지만, 대통령제처럼 엄격하게 분리되지는 않고 내각은 의회 신임을 바탕으로 존립한다. 민주주의 관점에서는 내각 수반(총리)이 의회에서 선출되고, 내각은 의회 신임을 기초로 하며, 의회는 내각 불신임을 결의할 수 있다. 수반은 법안 제출권을 가지며, 내각 구성원인 장관은 대부분 의원이고, 장관은 의회 출석에 대한 권리와 의무를 가진다. 내각에는 의회 해산권이 인정되지만, 의회 해산권이 의원내각제 일반에 인정되는 본질적인 요소인지에 대해서는 책임 본질설과 균형 본질설이 대립한다.
  • 초연내각제: 정부(내각)는 군주에 대해서만 책임을 지고 의회에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 대통령제: 입법권과 행정권을 엄격하게 독립시켜 대통령과 의회를 각각 개별적으로 선출한다. 대통령은 의회 선거와 독립된 선거로 국민에게 직접 선출되고, 원칙적으로 임기를 채우며, 법안 제출권이나 의회 해산권이 없다. 의원직과 정부 직책은 겸임할 수 없고, 정부 직원은 원칙적으로 의회에 출석해 발언할 수 없다.
  • 준대통령제: 의원내각제와 대통령제 중간에 위치하며, 의원내각제 틀을 채택하면서 권한이 큰 대통령을 가진다.
  • 의회통치제: 정부는 독립성을 가지지 않고 완전히 의회 지휘하에 놓이며, 내각 불신임이나 의회 해산권이 없다.


미국형 대통령제가 입법권과 행정권을 엄격하게 분리하여 권력 분립을 지향하는 반면, 영국형 의원내각제는 입법권과 행정권이 여당에 의해 일원화되어 강력한 내각 아래 권력을 집중시키는 제도이다. 의원내각제에서는 의회 다수 정당이 정권을 담당하여 여당이 된다.[44] 대통령제에서는 의회 소수당이라도 대통령 소속 정당이 여당이 된다. 의원내각제 총리는 의원 중에서 선출되고 법안 제출권도 인정되어, 대통령제보다 강력한 정치 권력을 가진다. 영국에서는 총리 통치제·이당제를 배경으로 총리 권력이 강하다.[45]

의원내각제 총리는 국민이 직접 선택하지 않아 민주적 정통성 근거를 의회 신임에 의존한다. 의원내각제는 원리적으로 의회가 내각에 우위를 점하고, 국민(유권자)→의회(의원)→내각(총리·장관)→행정 각부(관료)라는 권한 위임과 감독 연쇄, 내각(총리·장관)→의회(의원)→국민(유권자)라는 책임 연쇄를 구축하여 행정권의 민주적 통제를 확보한다. 의회 다수당파가 행정부 중추 기관을 담당하여 정치적 책임 소재를 명확하게 한다.

대통령제와 달리 의원내각제에서는 의회만 선거로 선출되고 내각은 이를 기반으로 성립되어 민의가 일원적으로 나타난다. 의회와 내각 협동 관계가 파탄되면 내각 불신임 결의, 내각 총사퇴, 의회 해산권 행사 중 하나로 해결을 모색한다.

의원내각제는 입법권을 가진 정당이 행정권도 담당하여 의회 다수파가 정권을 잡는다. 여당 분열이나 연립 여당 관계 파탄 문제가 없으면 총리가 제출한 의안은 성립한다. 입법 및 행정 통치 책임은 의회를 지배하고 내각을 조직하는 여당에 일원화된다. 의회 선거에서는 내각 여당 치적 우열, 정책 경쟁 우열 등으로 국민 심판을 받는다.

의원내각제는 정권 여당이 의회 압도적 다수를 차지하면 독재화에 가까워지고, 소정당 연립이면 정권 기반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의원내각제 본질에 대해서는 해산권 유무와 관련해 책임본질설과 균형본질설이 대립한다.

; 책임본질설

: 내각의 의회 해산권은 의원내각제 필요조건이 아니라고 정의한다.

; 균형본질설

: 내각의 의회 해산권도 의원내각제 요소라고 정의한다.

의원내각제와 의회통치제 차이에 대해 균형본질설은 내각 해산권 유무, 책임본질설은 사직 자유 유무로 구별한다.

의원내각제는 의회 다수파(정당)가 내각을 조직하여 '''정당내각제'''라고도 한다. 단일 정당으로 내각이 조직되면 단독 내각, 복수 정당이면 연립내각이며, 내각에 참여하지 않지만 내각 방침을 기본적으로 지지하면 각외협력이라 한다.

총리 선출 방식은 다양한데, 영국은 이당제 하에서 하원 제1당 당수를 국왕이 수상으로 임명한다.[41] 일본이나 독일은 의회에서 총리 지명 선거를 하며, 연립 정권이면 제1당 당수가 아닌 경우도 있다.

의원내각제는 18~19세기 영국에서 왕권과 민권 대립 속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탄생해 관행으로 확립되었다. 초기에는 각료가 국왕 시종으로 여겨져 국왕이 자유롭게 임면했지만, 의회 힘이 커지면서 18세기 말 초기 의원내각제에서는 내각이 군주와 의회 양쪽에 책임을 졌다. 장관 지위는 군주 신임을 받으면서 의회 지지가 없으면 자발적으로 사퇴했다. 이처럼 내각이 국가원수와 의회 양쪽에 책임을 지는 유형을 '''이원적 의원내각제'''라고 한다.[49]

선거법 개정 등으로 의회 우위가 진전되면서 19세기에는 국가원수 임명권이 형식적이 되고, 1841년 수상에게 의회 다수당 당수를 임명하는 관행이 성립되었으며,[41] 의회 불신임 결의로 내각이 사퇴했다. 이처럼 내각이 의회에만 책임을 지는 유형을 '''일원적 의원내각제'''라고 한다.[49]

일원적 의원내각제에서는 대통령이나 군주 등 원수는 의례적 역할만 하고 내각이 실질적 행정권을 가진다. 영국, 제3·4공화제, 일본, 독일, 스페인, 스웨덴, 네덜란드 등이 있다. 내각은 의회에 연대 책임을 지며, 분열된 상태로 책임을 지지 않는다. 중요 문제에서 수상과 장관이 대립하면 장관은 수상을 따르거나 사임해야 한다.

내각은 의회 명시적 또는 암묵적 다수파에 의존해야 한다. 의회는 내각 불신임 결의로 언제든 내각 구성을 바꿀 수 있다.[50] 내각은 불신임 결의에 총사퇴하거나 의회 다수파 재구성을 위해 해산을 선택한다.

준대통령제에서는 내각이 대통령과 의회 양쪽에 책임을 지는 이원적 의원내각제가 나타나지만, 초기 이원적 의원내각제에서 군주가 대통령으로 대체된 것으로 이해된다.

총리 및 내각 임명 방식, 의회 해산 및 선거 소집 권한은 국가마다 다양하다.

5. 1. 웨스트민스터 시스템

웨스트민스터식 의원내각제는 주로 영연방 국가나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국가에서 발견된다.[71][72][73] 대립적 토론이 부각되며, 의회 산하 위원회보다 본회의에서의 토론과 결정이 더 중요시된다. 의회 의석도 여당과 야당이 서로 마주 보게끔 배치하는 경우가 많다.

웨스트민스터식으로 분류되는 국가들은 다양한 선거 제도를 채택하고 있는데, 영국, 캐나다, 인도 등은 주로 다수대표제를 통해 의원을 선출하고, 뉴질랜드 등은 비례대표제로 의원을 선출하며, 오스트레일리아, 아일랜드선호투표제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어떤 선거 제도를 따르든 폐쇄형 명부제는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5. 2. 서유럽식 (합의제 민주주의)

독일, 스웨덴, 스페인 등 유럽 대륙 국가들의 내각제는 영국의 웨스트민스터식과 구분되며, 이를 서유럽식 의원내각제(합의제 민주주의)로 분류한다.[70] 서유럽식 의원내각제는 합의적인 토론을 선호하며, 의석을 부채꼴로 배치하는 특징이 있다.
독일 베를린의 독일 연방의회 의사당. 대부분의 서유럽 국가에서는 합의제 시스템을 사용한다.
또한 선거에 있어 공개형 명부제를 통한 비례대표제를 선호하며, 의결 과정에서도 본회의보다는 산하 위원회에서의 의논 비중이 더 크다. 대부분의 서유럽 국가는 엄격한 일원주의를 채택하지 않아, 의원이 아닌 사람도 장관이 될 수 있다. 네덜란드스웨덴과 같은 몇몇 국가에서는 의원이 장관으로 임명되면 의원직에서 사직해야 한다. 이 국가들에서 장관들은 의회에 참석해 토론을 하지만, 법안 투표권은 없다.

5. 3. 총리 및 내각 임명 방식


  • '''국가원수가 의회에서 다수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높은 총리를 임명한다.''' 대부분의 경우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의 총리는 의회에서 가장 큰 정당의 대표이지만, 기술적으로 총리 임명은 국가원수(군주, 총독 또는 대통령)가 행사하는 특권이다. 이 시스템은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인도, 자메이카,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영국, 덴마크[23], 포르투갈[24]에서 사용된다.
  • '''국가원수가 일정 기간 내에 신임 투표를 거쳐야 하는 총리를 임명한다.''' 이 시스템은 이탈리아에서 사용된다.
  • '''국가원수가 의회에서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한 정당의 대표를 총리로 임명한다.''' 예를 들어, 그리스에서는 어떤 정당도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할 경우, 가장 많은 의석을 차지한 정당의 대표에게 3일 이내에 의회의 신임을 얻기 위한 "탐색적 임무"가 주어진다. 해당 대표가 의회의 신임을 얻지 못하면 두 번째로 큰 정당의 대표에게 "탐색적 임무"가 주어진다. 그래도 실패하면 세 번째로 큰 정당의 대표에게 "탐색적 임무"가 주어지는 식이다. 이 시스템은 그리스에서 사용된다.
  • '''국가원수가 총리 후보를 '''지명'''하고, 그 후 임명 전에 의회의 승인을 받는다.''' 예: 스페인의 경우, 국왕이 승인을 위해 제안을 하원에 보낸다. 또한, 독일의 경우 독일 기본법(헌법)에 따라 연방의회가 연방 대통령이 지명한 후보에 대해 투표한다. 이러한 경우, 의회는 다른 후보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 후 국가원수가 임명한다. 이 시스템은 에스토니아, 독일, 스페인에서 사용된다.
  • '''의회가 후보를 '''지명'''하고, 국가원수는 헌법적으로 총리로 임명할 의무가 있다.''' 예: 일본의 경우, 일본 천황일본 국회의 지명에 따라 일본 총리를 임명한다. 또한 아일랜드의 경우, 아일랜드 대통령이 다일 에이린의 지명에 따라 타오이세흐를 임명한다. 이 시스템은 아일랜드, 일본, 태국에서 사용된다.
  • '''국가원수 또는 그 대표 이외의 공직자가 후보를 '''지명'''하고, 의회의 승인을 받으면 총리로 임명된다.''' 예: 스웨덴의 1974년 정부 조직법에 따라 정부 구성 권한이 군주에서 의회 의장과 의회 자체로 이관되었다. 의장은 후보를 지명하고, 의회 의원 절대 다수가 후보에 반대표를 던지지 않으면(즉, 찬성표보다 반대표가 더 많더라도 선출될 수 있음) 의회가 총리(statsminister)로 선출한다. 이 시스템은 스웨덴에서 사용된다.
  • '''국민 투표에 의한 직접 선거.''' 예: 1996년~2001년 이스라엘의 경우, 총리가 정당 소속과 관계없이 총선에서 선출되었으며, 그 절차는 반의원내각제로도 설명될 수 있다.[25][26] 이 시스템은 이스라엘에서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사용되었다.

5. 4. 의회 해산 및 선거 소집 권한

총리는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의회 해산 및 선거 소집 권한을 갖는다.

  • 총리가 자의적으로 선거 소집 가능: 영국, 덴마크[23], 오스트레일리아,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등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을 따르는 국가에서는 총리가 사실상 자의적으로 선거를 소집할 수 있다. 스페인의 경우 헌법 제115조에 따라 총리에게 선거 소집 권한이 있다.
  • 특정 조건에서만 선거 소집 허용: 이스라엘에서는 의회 해산 투표, 정부 교착 상태 시 대통령 동의를 얻은 총리의 조기 총선 소집, 예산안 미통과 시 자동 조기 총선 등이 가능하다. 독일에서는 정부에 대한 불신임 투표 발생, 조기 총선 찬성 과반수 득표, 의회 장기간 교착 등의 경우에만 선거 소집이 허용되지만, 2005년 게르하르트 슈뢰더처럼 의도적인 신임 투표 패배를 통해 조기 총선을 소집하는 경우도 있었다.
  • 정부의 자의적 조기 총선 소집과 제한: 스웨덴에서는 정부가 자의적으로 조기 총선을 소집할 수 있지만, 새로 선출된 의회(리크스다그)는 이전 의회의 잔여 임기만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은 1958년에 마지막으로 사용되었다.
  • 의회 임기 만료 관련: 그리스에서는 의회가 임기 만료 시 새로운 국가원수를 선출하지 못할 경우 총선이 실시된다. 2015년 1월 시리자는 이 조항을 이용해 조기 총선을 유발, 승리했다.
  • 정부의 조기 총선 소집 권한 없음: 이탈리아에서는 정부가 조기 총선을 소집할 권한이 없으며, 양원 의장과의 협의 후 국가원수만이 소집할 수 있다.
  • 항상 4년 임기 수행: 노르웨이는 의회(스토르팅)가 항상 4년 임기를 전부 수행하는 독특한 사례이다.
  • 총독에게 이중 해산 요청: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특정한 조건에서 총리가 총독에게 이중 해산을 요청하여, 상원을 포함한 의회 전체를 동시에 선출할 수 있다.

6. 의회 주권

영국과 뉴질랜드 같은 일부 의원내각제 국가에서는 의회의 입법권에 대한 견제가 거의 없거나 아예 없다.[31][32] 새로 통과된 법률은 이전의 모든 법률보다 우선한다. 모든 법률은 동등하게 유지되지 않으며, 독일과 같이 사법심사를 통해 무효화되거나 수정될 수 없다. 영국과 뉴질랜드의 국가원수(영국의 군주 또는 뉴질랜드의 총독)는 법적으로 의회가 통과시킨 법안에 대한 재가를 거부할 권한을 가지고 있지만, 영국에서는 1708년 스코틀랜드 민병대 법 이후로 이러한 견제가 행사되지 않았다.

영국과 뉴질랜드는 모두 특정 법률에 대해 과반수 또는 추가적인 입법 절차를 설정하는 법률 또는 의회 규칙을 가지고 있다(예: 이전의 고정임기 의회법 2011). 그러나 2019년 조기 총선법과 같이 이러한 과반수를 수정하거나 무시하는 다른 법률을 제정하여 이를 우회할 수 있다. 2019년 조기 총선법은 고정임기 의회법 2011에 따라 조기 해산에 필요한 3분의 2 과반수 요건을 우회하여 2019년 영국 총선을 위한 조기 해산을 가능하게 했다.[33]

7. 탈당 방지법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와 같은 몇몇 의원내각제 국가들은 선거 후 당적을 바꾸는 행위(탈당)를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했다. 이러한 법률에 따라, 선출된 대표가 투표에서 당론에 반하면 국회 의석을 상실하게 된다.[27][28][29]

영국 의회에서는 의원이 다른 정당으로 당적을 바꾸는 것이 자유롭다. 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에는 의원의 당적 변경에 대한 제한이 없다.[30] 뉴질랜드에서는 와카 점핑 법률에 따라 당적을 변경하거나 당에서 제명된 국회의원은 전 소속 정당 대표의 요청에 따라 의회에서 제명될 수 있다.

8. 장·단점

의원내각제는 대통령제와 비교하여 여러 장단점을 가진다.

의원내각제에서 행정부 수반인 총리는 의회에서 선출되며 의회에 책임을 진다. 의회는 내각 불신임권을 통해 총리를 해임할 수 있고, 총리는 의회 해산권을 통해 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실시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권력 분산과 집중이라는 양면성을 가진다.[67]

의원내각제에서는 단독 과반 의석 정당이 없을 경우 여러 정당이 연합하여 연립 정부(연정)를 구성하는데, 이는 다당제가 정착된 국가에서 일반적이며 권력 분산적 성격을 가진다.[68] 그러나 여대야소 상황에서는 행정부와 입법부가 융화되어 권력 집중적 성격이 나타날 수 있다.[68]

의원내각제는 국민이 선출한 의원만이 내각 각료가 될 수 있어 권력 행사의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며,[69] 정부의 법률안 발의권, 각료의 의회 출석 및 발언권이 인정된다.

의원내각제 지표는 개별 국가의 의원내각제 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게 해주며, 그중 하나로 의회 권력 지수가 있다.[34]

영국과 같은 의원내각제는 의회 내 안정적인 다수당이나 연정이 존재하면 입법과 정책 변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유연한 체제라는 평가를 받는다.[35] 소선거구제와 결합하면 강력하고 신속하게 대응하는 "웨스트민스터 모델"을 만들어낼 수 있다.[36]

미국형 대통령제가 입법권과 행정권을 엄격하게 분리하여 권력 분립을 지향하는 반면, 영국형 의원내각제는 입법권과 행정권이 여당에 의해 일원화되어 강력한 내각 아래 권력을 집중시키는 제도이다. 의원내각제에서는 보통 의회 다수당이 정권을 담당하며, 여당이 된다.[44] 의원 중 선출되는 총리에게도 법안 제출권이 인정되므로 대통령제보다 강력한 정치 권력을 가진다. 영국에서는 총리 통치제·이당제를 배경으로 총리 권력이 강하다.[45]

의원내각제는 원리적으로 의회가 내각에 우위를 점하며, 국민(유권자)→의회(의원)→내각(총리·장관)→행정 각부(관료)라는 권한 위임 및 감독, 내각(총리·장관)→의회(의원)→국민(유권자)라는 책임 연쇄를 통해 행정권의 민주적 통제를 확보한다.

의회 다수파가 정권을 잡기 때문에 여당 분열이나 연립 여당 관계 파탄 등이 없으면 총리 제출 의안은 성립되기 쉽다. 의회 선거에서는 내각 여당의 치적, 정책 경쟁 등의 심판을 받는다.

의원내각제의 본질에 대해서는 해산권 유무와 관련, 책임본질설과 균형본질설이 대립한다.


  • 책임본질설: 내각의 의회 해산권은 의원내각제의 필수 조건이 아니라고 본다. (헌법학·정치학상 다수설)
  • 균형본질설: 내각의 의회 해산권도 의원내각제의 요소라고 본다.


의원내각제는 의회 다수파(정당)가 내각을 조직하므로 '''정당내각제'''라고도 한다. 단일 정당으로 조직되면 단독 내각, 복수 정당이면 연립내각, 내각 불참이나 기본 방침 지지는 각외협력이라 한다.

8. 1. 장점


  • 총리가 국정 운영 능력이 부족하거나 스캔들에 연루되어 국민의 지지를 잃었을 때, 의원내각제는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의회는 내각불신임권을 통해 총리를 사임시키고 정권을 교체할 수 있다.[74] 반면, 대통령제에서는 대통령의 임기가 보장되어, 국정 운영 능력 부족이나 국민의 지지 상실만으로는 임기 중 교체가 어렵다. 탄핵 제도가 있지만, 이는 대통령이 중대한 법 위반 행위를 했을 때만 가능하며, 사법부나 상원의 최종 판단까지 거쳐야 하는 경우가 많아 시간이 오래 걸린다.[74]
  • 의원내각제의 내각불신임제는 대통령제의 탄핵보다 빠르게 정권 교체가 가능하다.[74] 의회는 내각불신임권을, 내각은 의회해산권과 조기총선실시권을 가지고 있어, 대통령제보다 국민의 목소리를 더 잘 반영하려는 노력을 보인다.
  • 의원내각제는 연정이 일반적이어서 정당 간 대화와 타협 분위기가 조성될 가능성이 높고, 다양한 의견을 국정에 반영할 수 있어 다당제 정착에 유리하다. 연정에 참여하는 정당 수만큼 다양한 계층의 목소리가 국정에 반영될 수 있고, 선거에서 1등을 하지 않아도 행정 권력을 가질 수 있어 정당 간 극한 대결은 덜한 편이다. 반면 대통령제에서는 대선에서 패배하면 행정 권력을 얻지 못하므로, 정당 간 극한 대결이 발생할 수 있다.[75]
  • 2001년 세계은행(World Bank) 연구에 따르면 의원내각제는 부패와의 연관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38]
  • 월터 배지엇(Walter Bagehot)은 1867년 저서 『영국 헌법(The English Constitution)』에서 의원내각제가 심도 있는 논쟁을 가능하게 하고, 선거 없이 권력 이양이 가능하며, 언제든지 선거를 치를 수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8. 2. 단점


  • 의회에서 정당 간 이합집산이 잦으면 정부의 존속 기간이 짧아지거나 정국이 불안정해져 국민의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75]
  • 단독으로 과반 의석을 차지한 정당이 없을 때 군소 정당이 난립하면 연정 합의가 어려워져 장기간 무정부 상태가 지속될 수 있다.[75] 이를 막기 위해 일부 의원내각제 국가는 기간이나 정당 성립에 여러 규정을 두기도 한다.
  • 의원내각제에서는 여대야소 구조가 일반적이므로, 의회와 야당의 정부 견제 기능이 구조적으로 약화될 수 있다.[76]
  • 대통령중심제에서는 국가원수와 행정부 수반의 권한을 한 사람이 모두 가지고 있어 일관성 있는 행사가 가능하지만, 의원내각제에서는 두 권한이 분리되어 있어 일관성을 유지하기 어렵다.[74]

9. 채택 국가

국가입법부와 행정부의 관계
보츠와나 의회가 보츠와나 대통령을 선출하며, 대통령이 보츠와나 내각을 임명한다.
에티오피아 연방 의회가 에티오피아 장관회의를 임명한다.
레소토 국회가 레소토 총리를 결정한다.
모리셔스 국회가 모리셔스 내각을 임명한다.
소말리아 연방 의회가 소말리아 대통령을 선출하며, 대통령이 소말리아 총리를 임명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의회가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을 선출하며, 대통령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내각을 임명한다.
토고 국회가 토고 대통령을 선출하며, 대통령이 토고 총리를 임명한다.



벨리즈 하원


캐나다 의회


국가입법부와 행정부의 관계
앤티가 바부다 하원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앤티가 바부다 총독에 의해 앤티가 바부다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의 자문에 따라 앤티가 바부다 내각을 임명한다.
바하마 의회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바하마 총독에 의해 바하마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의 자문에 따라 바하마 내각을 임명한다.
바베이도스 의회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바베이도스 대통령에 의해 바베이도스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의 자문에 따라 바베이도스 내각을 임명한다.
벨리즈 하원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벨리즈 총독에 의해 벨리즈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의 자문에 따라 벨리즈 내각을 임명한다.
캐나다 하원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캐나다 총독에 의해 캐나다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의 자문에 따라 캐나다 내각을 임명한다.
도미니카 의회가 도미니카 내각을 승인한다.
그레나다 하원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그레나다 총독에 의해 그레나다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의 자문에 따라 그레나다 내각을 임명한다.
자메이카 하원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자메이카 총독에 의해 자메이카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의 자문에 따라 자메이카 내각을 임명한다.
세인트키츠 네비스 국회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세인트키츠 네비스 총독에 의해 세인트키츠 네비스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의 자문에 따라 세인트키츠 네비스 내각을 임명한다.
세인트루시아 의회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세인트루시아 총독에 의해 세인트루시아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의 자문에 따라 세인트루시아 내각을 임명한다.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의회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총독에 의해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의 자문에 따라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내각을 임명한다.
수리남 국회가 수리남 대통령을 선출하며, 대통령이 수리남 내각을 임명한다.
트리니다드 토바고 하원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트리니다드 토바고 대통령에 의해 트리니다드 토바고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의 자문에 따라 트리니다드 토바고 내각을 임명한다.



아르메니아 국회


방글라데시 의회 건물, 자티야 상사드 바반


인도 의회 건물, 산사드 바반


이라크 대표자회의


예루살렘에 있는 이스라엘 크네셋


말레이시아 의회


국가입법부와 행정부의 관계
아르메니아 국회가 아르메니아 정부를 임명하고 (1년 이후에) 건설적 불신임 투표를 통해 해임할 수 있다.
자티야 상사드가 방글라데시 내각을 승인한다.
부탄 의회가 렝예 즁초를 승인한다.
캄보디아 의회가 장관회의를 승인한다.
(대만)
의회 선거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은 정당이 조지아 총리를 지명한다. 지명자는 조지아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그 후 조지아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임명한다. 총리는 그 후 장관회의를 임명한다.
인도 대통령이 로크 사바에서 과반수의 지지를 받는 정당 또는 연합의 지도자를 인도 총리로 임명하고, 총리는 연합 각료회의를 구성한다.
이라크 대표자회의가 이라크 내각을 승인한다.
연정 구성 가능성이 가장 높은 크네셋 의원이 이스라엘 대통령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는다. 성공하면 이스라엘 총리로 임명되고, 총리는 이스라엘 내각을 임명한다.
일본 국회가 일본 총리를 지명하고, 총리는 일본 내각을 임명한다.
쿠웨이트 국회가 왕세자를 승인하고, 왕세자는 쿠웨이트 총리를 임명하며, 총리는 쿠웨이트 내각을 임명한다.
라오스 국회가 라오스 대통령을 선출하고, 대통령은 라오스 총리를 지명한다.
마로니트 그리스도교 대통령은 레바논 의회에서 선출된다. 대통령은 총리(수니파 무슬림)와 내각을 임명하고, 의회는 그 후 신임 투표(단순 과반수)를 통해 레바논 내각을 승인한다.
데완 라야트에서 과반수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양 디-퍼르투안 아궁에 의해 말레이시아 총리로 임명되고, 총리는 총리의 자문에 따라 말레이시아 내각을 임명한다.
연방 의회가 선거단을 통해 미얀마 대통령을 선출하고, 대통령은 미얀마 내각을 구성한다. 그러나 미얀마는 현재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국가행정위원회의 지배를 받고 있다.
네팔 의회가 네팔 총리를 선출하고, 총리는 네팔 내각을 임명한다.
파키스탄 의회가 파키스탄 국회 의원들의 과반수 지지를 받는 파키스탄 총리를 선출한다. 파키스탄 내각은 총리의 자문에 따라 파키스탄 대통령이 임명한다.
싱가포르 의회에서 과반수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지도자가 싱가포르 대통령에 의해 싱가포르 총리로 임명되고, 총리는 총리의 자문에 따라 싱가포르 내각을 임명한다.
군주가 하원에서 지명된 국회의원 또는 개인(일반적으로 가장 큰 정당 또는 연합의 지도자)을 태국 총리로 임명하고, 총리는 태국 내각을 구성한다.
베트남 국회가 베트남 대통령과 베트남 총리를 선출하고, 총리는 내각을 구성한다.



알바니아 의회 행정 건물


스페인 의회 하원인 대의원회의


국가입법부와 행정부의 관계
알바니아 대통령은 의회에서 다수당 또는 연합을 구성하는 정당이 선택한 후보를 지명한다. 그 후 의회는 내각을 승인한다. 의회가 지명을 거부하면 대통령은 10일 이내에 다른 후보를 지명한다.
벨기에 연방 의회는 내각을 승인한다.
국민의회는 내각을 임명한다.
크로아티아 의회는 그가/그녀가 지명한 정부 수반과 내각을 승인한다.
체코 대통령은 일반적으로 하원에서 가장 큰 정당이나 연합의 지도자를 총리로 임명하며, 총리는 내각을 구성한다. 총리는 하원의 신임 투표를 얻어야 한다.
덴마크 군주는 포크팅의 정당 지도자들의 권고에 따라 포크팅의 과반수가 불승인하지 않을 내각을 성공적으로 구성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내각 수반을 임명한다.
리이기코구는 에스토니아 대통령이 지명한 총리 후보를 선출한다 (일반적으로 이 후보는 의회 연립 정당의 지도자임). 에스토니아 공화국 정부는 나중에 승인된 총리 후보의 제안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한다. 리이기코구는 불신임안을 통해 총리 및 정부의 다른 구성원을 해임할 수 있다.
핀란드 의회는 내각을 임명한다.
독일 연방의회는 독일 연방 대통령의 지명을 받은 연방 총리를 선출하며, 총리는 내각을 구성한다.
그리스 의회는 내각을 승인한다.
국회는 내각을 승인한다.
아이슬란드 대통령은 아이슬란드 내각을 임명하고 해임한다. 장관들은 대통령령 없이는 사임할 수도 없다.
다일 에이린은 타오이세흐를 지명하고, 아일랜드 대통령이 임명한다.
이탈리아 의회는 이탈리아 대통령이 임명한 이탈리아 내각에 대한 신임을 주고 거두어들인다.
코소보 의회는 코소보 정부를 임명한다.
사이마는 장관회의를 임명한다.
하원은 내각을 임명한다.
하원은 내각을 임명한다.
몰도바 의회는 내각을 임명한다.
몬테네그로 의회는 몬테네그로 정부를 임명한다.
총회 제2원은 불신임안을 통해 내각을 해임할 수 있다.
의회는 북마케도니아 정부를 승인한다.
군주는 스토르팅에서 가장 큰 정당 또는 연합을 이끄는 국회의원을 총리로 임명하며, 총리는 내각을 구성한다.
선거 후 공화국 의회 또는 이전 정부의 사임 후, 대통령은 의회의 정당들의 의견을 듣고, 보통 가장 큰 정당의 지도자에게 정부 구성을 요청한다. 그런 다음 대통령은 총리와 정부를 취임 선서시킨다.
국회는 세르비아 정부를 임명한다.
국회는 슬로바키아 정부를 승인한다.
국회는 슬로베니아 정부를 임명한다.
하원은 정부 수반을 선출하며, 수반은 내각을 구성한다.
리크스다그는 총리를 선출하며, 총리는 정부의 다른 구성원을 임명한다.
의원이자, 하원의 과반수 지지를 확보하거나 확보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정당의 지도자인 총리가 영국 군주에 의해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는 총리의 지명 및 자문에 따라 내각 구성원을 임명한다.



오스트레일리아 의회


바누아투 의회


국가입법부와 행정부 간의 관계
오스트레일리아 하원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대표가 총독에 의해 오스트레일리아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는 총리의 자문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 내각을 임명한다.
뉴질랜드 하원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대표가 총독에 의해 뉴질랜드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는 총리의 자문에 따라 뉴질랜드 내각을 임명한다.
파푸아뉴기니 국회에서 다수당의 지지를 받는 정당의 대표가 총독에 의해 파푸아뉴기니 총리로 임명되며, 총리는 총리의 자문에 따라 파푸아뉴기니 내각을 임명한다.
사모아 입법회가 사모아 내각을 임명한다.
바누아투 의회가 바누아투 내각을 임명한다.



유럽에서는 프랑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러시아, 벨라루스, 우크라이나, 바티칸, 터키를 제외한 모든 국가가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캐나다, 카리브 공동체 소속 대부분 국가 등이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이들 국가는 대부분 영국, 네덜란드의 영향을 받았다. 오세아니아에서는 호주, 뉴질랜드 등 대부분의 국가가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주로 영국의 영향을 받았다. 아시아에서는 일본, 싱가포르,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이라크, 이스라엘, 말레이시아 등 상당수 국가가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 아프리카는 대통령제가 많이 퍼져있으며, 몇몇 지도자들은 권력이 집중되는 대통령제의 특징을 이용해 독재 정권을 성립하고 있다.

10. 일본의 의원내각제

일본은 일본국헌법에 따라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

일본의 의원내각제는 중앙성청 재편으로 인해 내각총리대신의 권한이 강화되어 웨스트민스터 시스템화 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53]

일본 의원내각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내각은 행정권 행사에 관해 국회에 대해 연대하여 책임을 진다(일본국헌법 제66조 3항).[49]
  • 내각총리대신은 국회의원 중에서 국회의 의결로 지명된다(일본국헌법 제67조 1항).[49]
  • 내각총리대신은 국무대신을 임명하며, 과반수는 국회의원이어야 한다(일본국헌법 제68조 1항).[49]
  • 내각은 중의원에서 불신임 결의안이 가결되거나 신임 결의안이 부결되면, 10일 이내에 중의원이 해산되지 않는 한 총사직해야 한다(일본국헌법 제69조).[49]


중의원의 우월로 인해 중의원 다수파의 지지를 얻은 자가 수상이 되고, 중의원만이 내각 불신임 결의를 할 수 있다. 반대로 내각은 중의원만 해산할 수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일본에서 의원내각제 관계는 내각과 중의원 사이에만 성립하고, 내각과 참의원 사이에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53]

10. 1. 개요

일본은 일본국헌법에 따라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내각은 행정권 행사에 관해 국회에 대해 연대하여 책임을 진다(일본국헌법 제66조 3항).[49]
  • 내각총리대신은 국회의원 중에서 국회의 의결로 지명된다(일본국헌법 제67조 1항).[49]
  • 내각총리대신은 국무대신을 임명하며, 과반수는 국회의원이어야 한다(일본국헌법 제68조 1항).[49]
  • 내각은 중의원에서 불신임 결의안이 가결되거나 신임 결의안이 부결되면, 10일 이내에 중의원이 해산되지 않는 한 총사직해야 한다(일본국헌법 제69조).[49]

10. 2. 문제점

아르투로 폰타인은 유럽의 의원내각제가 정부 수반에게 매우 강력한 권한을 부여한다고 지적하며, 이는 대통령제에 대한 비판과 유사하다고 주장한다. 그는 영국의 마거릿 대처와 미국의 로널드 레이건을 비교하며, 의원내각제 하의 대처가 더 강력한 권한을 행사했다고 설명한다.[39] 폰타인은 헝가리의 빅토르 오르반의 집권을 의원내각제가 전복될 수 있는 사례로 언급하며, 이는 의원내각제와 준대통령제의 불완전한 권력 분립 때문에 가능했다고 분석한다.[39] 2010년 헝가리 총선에서 오르반의 정당은 의회 의석 3분의 2를 차지하는 압도적 다수를 확보하여 헝가리 헌법을 개정할 수 있는 권한을 얻었고, 이러한 권력 집중을 견제할 제도가 없었다.[39] 폰타인은 또한 미국에 의원내각제가 있었다면 도널드 트럼프가 정부 수반으로서 미국 의회를 해산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점을 의원내각제의 결함을 보여주는 사례로 언급한다.[39]

R. 켄트 위버는 저서 『의원내각제가 더 낫나요?』에서 대통령제의 장점으로 다양한 견해를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언급한다. 그는 "입법자들이 지역적 문제에 대해 유권자들과 반대되는 투표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당은 반대파를 배제하지 않고 조직적, 투표 행동 지침의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말한다.[1]

10. 2. 1. 관료내각제

일본의 내각 제도는 오랫동안 '''관료 내각제'''로 표현되어 왔다. 의원내각제 하에서는 국민(유권자)→의회(의원)→내각(총리·장관)→행정 각 부(관료)라는 권한 위임과 감독의 연쇄가 원래 발생해야 하지만[53], 일본 내각 제도의 기본적 특징은 이 권한 위임의 연쇄가 총리 이후 부분에서 단절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고 여겨졌다.[53]

내각의 의사결정은 만장일치를 기본 원칙으로 하지만, 각 부처는 높은 자율성을 가진 관료 집단이며, 장관은 각 부처의 대표자로서 그 의사를 대변하는 자가 되어 버리고, 또한 개별 정책 결정에는 관료의 동의가 필요하며, 내각의 의사결정에는 부처 관료 간의 조정이 필요하게 되어, 총리가 적극적으로 정책 형성이나 의사결정, 정책 전환을 하는 것은 지금까지 어려웠다고 여겨져 왔다.[53]

하지만 2001년에 실시된 중앙성청 재편에 의해 내각총리대신의 법적 권한과 보좌 기구가 대폭 강화됨으로써 총리가 정책을 입안하는 데 있어 권한이 증가하게 되었다. 내각총리대신에게는 각의에서 발의권이 인정되었을 뿐만 아니라, 내각관방에 법안을 준비하는 권한이 정식으로 주어졌다.[53][55]

총리를 직접 보좌하는 내각관방의 강화, 경제재정자문회의 등 장관과 민간 유식자가 함께 의원이 되는 자문기관의 설치, 특명담당대신의 설치 등에 의해 총리의 보좌 기구가 정비되었다. 내각관방에는 종합 조정 권한에 더해 기획 권한이 주어짐으로써, 종래에는 정책의 원안은 어디까지나 각 부처가 입안하고, 다른 의견이 다른 부처에서 나왔을 경우에 최종적으로 내각관방이 종합 조정을 하여 합의를 형성하는 것이 절차의 원칙이었지만, 새롭게 기획 권한을 가지게 된 내각관방은 스스로 원안을 작성하고, 각 부처에 대해 총리 및 내각의 기본 방침을 내세워 다른 의견을 봉쇄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이에 의해 내각이 여당·자유민주당 내의 파벌의 의향에 따르지 않는 각료·당 인사를 진행하고, 장관 및 각 부처에 대해 총리의 의향을 관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55][56]

일본에서는 1990년대에 중선거구제가 도입됨으로써, 다른 선진 민주주의 국가와 비교해도 총리가 정권 내에서 절대적인 권력을 쥐는 것이 제도적으로도 가능하게 되었다. 일본은 총리의 해산권 행사에 제약이 없고, 내각인사국을 통해 간부 인사권을 장악함으로써 정치가가 관료에 대해 인사권을 행사하는 것이 가능한 몇 안 되는 국가이며, 이 점에서도 내각·총리의 권력이 강화되고 있다. 일본과 마찬가지로 의원내각제와 중선거구제를 병용하는 영국에서는 정치가가 관료에 대해 인사권을 행사하는 것은 강하게 제한되고, 총리의 해산권 행사도 강하게 제한되고 있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 의원내각제를 채택하는 다른 주요 선진 민주주의 국가에서도 정치가에 의한 관료에 대한 인사권 행사는 제약되고 있다. 한편, 미국에서는 대통령이 관공청 간부를 정치 임용하지만, 대통령은 의회와 독립되어 있으며, 관공청 간부에 대한 인사권 행사에 관해서도 의회로부터 강한 규율을 받는다.[57][58]

10. 2. 2. 정부와 여당의 관계

영국에서는 여당과 내각이 하나로 합쳐져 있지만, 일본에서는 여당이 내각과 별도로 존재하며, 정치 관련 업무는 총리와 각료들이, 당 관련 업무는 간사장 등 당직자들이 담당해 왔다. 그리고 개별 법안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여당의 사전 심사 절차가 필요했다.[53] 이러한 구조는 정부와 여당의 권력이 이중으로 나뉘어져 있다는 평가를 받으며, 정치 과정을 불투명하게 만든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하지만 1994년 선거 제도 개혁으로 중선거구제가 폐지되고 소선거구·비례대표 병립제가 도입되면서, 같은 선거구에서 여러 명의 여당 의원이 당선되는 일이 없어졌다. 이로 인해 여당 내 파벌의 영향력은 줄어들었고, 자유민주당은 파벌 연합 정당이 아닌 응집력이 높은 정당으로 변화하면서 총리총재가 갖는 공천권의 중요성이 커졌고, 당내에서 내각총리대신의 영향력이 강해졌다.

사전 심사 제도는 1970년대에 자리잡은 일본 특유의 관행이었다. 관료가 법안을 설명하고, 여당 의원은 필요하면 정부 측에 직접 수정을 요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제도는 정당 전체의 자율적인 의사 결정 능력 향상을 방해하고, 정치와 관료 관계를 고착화시키며, 국회에서의 논의를 제약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민주당은 2009년 정권 획득 시 사전 심사 제도를 채택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하토야마 유키오 내각은 중요 법안을 국회에 제출한 후 여당 의원의 협력을 얻지 못해 법안을 통과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노다 내각은 사전 심사 제도를 다시 도입했다.[53]

10. 2. 3. 참의원과의 관계

일본에서는 중의원의 우월 관계로 인해 중의원 다수파의 지지를 얻은 자가 최종적으로 수상으로 지명되고, 중의원만이 내각 불신임 결의를 결의할 수 있다(참의원은 정치적 의미만을 갖는 문책 결의만 가능). 반대로 내각은 중의원만 해산할 수 있다(참의원은 해산할 수 없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일본에서 실질적으로 의원내각제의 관계가 성립하는 것은 내각과 중의원 사이일 뿐, 내각과 참의원 사이에서는 이러한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다.[53]

문제는 중의원 다수파를 형성하여 내각을 조직하고 있는 여당이 참의원에서 다수를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 입법 활동이 지체된다는 점이다. (꼬인 국회 참조)[53] 그 원인으로는 일본이 의원내각제를 채택하면서 상원(참의원)이 너무 강하다는 문제가 있다고 여겨진다.[53] 헌법상 법률안에 대해서는 참의원의 지지를 얻지 못하더라도 중의원은 3분의 2로 재의결하여 성립시킬 수 있도록 중의원의 우월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만, 이 요건을 충족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53]

또한 이러한 제도적 특징은 내각의 존립이 참의원 선거 결과에도 좌우되게 되며, 현행 헌법 하에서는 중의원, 참의원 국정 선거가 약 1년 6개월마다 자주 시행되어 안정된 정권의 부재 요인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53] 의원내각제를 채택하는 유럽 국가에서는 하원의 임기가 4년 이상이며, 상하 양원에서 선출 방식이 크게 달라 상원의 선거 결과가 내각의 존립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고 여겨진다.[53]

한때 참의원은 중의원의 카본 카피(Carbon Copy)라고 비웃음을 샀지만, 1989년(헤이세이 원년)의 참의원 선거 이후 여야 간의 차이는 줄어들었고, 연립 내각의 조직이나 중요 법안의 성립 여부 등에서 참의원은 영향력을 높이고 있다.[53] 참의원 의원에게는 수상의 해산권이 미치지 않으므로 직접적으로 견제하는 수단은 없다.[53] 그렇기 때문에 중의원, 참의원에서 “꼬임”이 발생하여 참의원이 법안을 지지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 경우 수상이 중의원에서 법안을 재의결할 수 있을 만큼의 다수를 얻기 위해, 또는 참의원의 태도 변화를 촉구하기 위해 중의원 해산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우정 해산 예시)

의원내각제 하에서는 국민(유권자)→의회(의원)→내각(수상·대신)→행정 각부(관료)라는 권한의 위임과 감독의 연쇄가 발생한다.[53] 그러나 일본 참의원에서의 민의 반영 방식은 내각 통치에 필요한 권력의 융합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 있다.[53] 그래서 참의원의 내각총리대신 지명을 삭제하는 등 일원제적인 것으로 체제를 개편하고, 중의원 총선거를 실질적인 수상 선출 선거로 직결시켜 수상의 지위(민주적 정당성)를 높이는 등 정부·수상과 국민과의 관계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53]

2000년(헤이세이 12년) 4월에 정리된 참의원 의장의 사적 자문 기관인 '참의원의 미래상을 생각하는 유식자 간담회'의 의견서에서는 중의원, 참의원의 역할 분담을 명확히 해야 하며, 중의원에서의 재의결 요건을 3분의 2 이상에서 과반수로 개정하고, 참의원의 내각총리대신 지명 권한을 폐지하고, 참의원 출신의 각료 취임을 자숙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지만, 이러한 개혁론에는 참의원 측의 강한 반발이 있다.[53]

참조

[1] 웹사이트 The Decreta of León of 1188 – The oldest documentary manifest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ary system http://www.unesco.or[...] UNESCO Memory of the World 2013
[2] 서적 The Life and Death of Democracy London 2009
[3] 서적 La Diputació del General de Catalunya (1413-1479) Institut d'Estudis Catalans 2004
[4] 서적 The First English Revolution: Simon de Montfort, Henry III and the Barons' War https://books.google[...] Bloomsbury 2012
[5] 뉴스 Simon de Montfort: The turning point for democracy that gets overlooked https://www.bbc.co.u[...] BBC 2015-01-19
[6] 뉴스 The January Parliament and how it defined Britain https://www.telegrap[...] 2015-01-20
[7] 간행물 Montfort, Simon of (1208?-1265)
[8] 서적 Comparative Politics: Interests, Identities, and Institutions in a Changing Global Orde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9] 웹사이트 Constitutionalism: America & Beyond http://www.ait.org.t[...] Bureau of International Information Programs (IIP), U.S. Department of State
[10] 웹사이트 The Institution of Prime Minister https://history.blog[...]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2012-01-01
[11] 서적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12] 웹사이트 How the Westminster Parliamentary System was exported around the World http://www.cam.ac.uk[...] University of Cambridge 2013-12-02
[13] 서적 Reforming parliamentary democracy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3
[14] 서적 Constitutionalism and political reconstruction Brill 2007
[15] 서적 The Historical Foundations of World Order https://books.google[...] Martinus Nijhoff Publishers 2008
[16] 서적 Settler Self-Government, 1840–1900: The Development of Representative and Responsible Government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1990
[17] 서적 Westminster Legacies: Democracy and Responsible Government in Asia and the Pacific https://books.google[...] UNSW Press 2005
[18] 서적 Patterns of democracy Yale University Press 1999
[19] 서적 Constitutionalism and political reconstruction Brill 2007
[20] 웹사이트 How the Westminster Parliamentary System was exported around the World http://www.cam.ac.uk[...] University of Cambridge 2013-12-02
[21] 서적 Reforming parliamentary democracy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3
[22]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Bangladesh http://bdlaws.minlaw[...]
[23] 웹사이트 Sådan dannes en regering / Folketinget https://www.ft.dk/da[...] 2016-11-29
[24] 웹사이트 The Assembleia da República as a body that exercises sovereign power / Folketinget https://www.parlamen[...]
[25] 잡지 Les monarchies républicaines http://www.revue-pou[...] Éditions du Seuil 1996-09
[26] 서적 Forms of State and Forms of Government https://books.google[...] Giuffrè Editore 2008
[27] 웹사이트 The Anti-Defection Law – Intent and Impact Background Note for the Conference on Effective Legislatures http://prsindia.org/[...]
[28] 웹사이트 Anti-defection law the challenges http://www.legalserv[...]
[29] 간행물 ANTI-DEFECTION LAW: A DEATH KNELL FOR PARLIAMENTARY DISSENT? http://nujslawreview[...] 2012-03
[30] 웹사이트 [Columns] Anti-Defection Laws in India: Its flaws and its falls https://barandbench.[...] 2019-08-01
[31] 웹사이트 UK Parliament glossary https://www.parliame[...] 2022-10-27
[32] 웹사이트 Our system of government https://www.parliame[...] New Zealand Parliament 2016-01-20
[33] 웹사이트 Fixed-term Parliament Act 2011 https://commonslibra[...] 2021-11-26
[34] 서적 The Handbook of National Legislatures: A Global Survey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35] 간행물 Are Parliamentary Systems Better? 1985
[36] 논문 The Politics of Electoral Reform in Britain 1995
[37] 서적 Constitutional reform and effective government http://archive.org/d[...]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1992
[38] 간행물 Accountability and Corruption: Political Institutions Matter https://elibrary.wor[...] World Bank 2001-11
[39] 뉴스 Arturo Fontaine: "Si se estableciera el semipresidencialismo, a poco andar el pueblo sentiría que ha sido engañado" https://www.emol.com[...] 2021-11-07
[40] 뉴스 'Teflon' Mark Rutte set for fourth Dutch term after record-breaking talks https://www.theguard[...] 2022-10-27
[41] 논문 日本における「議院内閣制」のデザイン https://dl.ndl.go.jp[...] 国立国会図書館 2010-11
[42] 웹사이트 議院内閣制 https://www.shugiin.[...] 2016-08-22
[43] 웹사이트 内閣制度と歴代内閣 https://www.kantei.g[...] 2016-08-21
[44] 서적 政治・経済用語集 山川出版社 2014-10
[45] 웹사이트 【書評】『首相の権力-日英比較からみる政権党とのダイナミズム-』高安健将著 https://www.tkfd.or.[...]
[46] 문서 독일의 수상직 사례
[47] 논문 イギリス連立政権と解散権制限立法の成立 https://www.ritsumei[...] 立命館大学法学会 2016-06-28
[48] 웹사이트 「英国民はEU離脱を選択」 http://www.mizuho-ri[...] みずほ総合研究所 2016-06-28
[49] 서적 国会と内閣の関係 http://www.ndl.go.jp[...] 国立国会図書館調査及び立法考査局 2004
[50] 문서 독일의 건설적 불신임 투표 제도
[51] 논문 英国の2010年総選挙と連立新政権の政治改革 https://iss.ndl.go.j[...] 国立国会図書館調査及び立法考査局 2010-09
[52] 서적 日本の統治構造 : 官僚内閣制から議院内閣制へ https://iss.ndl.go.j[...] 中央公論新社 2007
[53] 웹사이트 日本の議院内閣制と安倍内閣の行方:ウェストミンスター化を阻む「壁」 https://www.nippon.c[...]
[54] 서적 憲法概観(第7版) 有斐閣 2011
[55] 웹사이트 安倍一強を支えるメカニズム ーなぜ強い内閣は生まれたのかー https://news.yahoo.c[...] news.yahoo.co.jp 2022-10-02
[56] 웹사이트 政策決定における首相官邸の役割 https://www.nippon.c[...]
[57] 웹사이트 権力の集中が「忖度」を呼ぶ~官邸主導時代の政治ガバナンスのあり方 http://www.tkfd.or.j[...]
[58] 웹사이트 官僚人事、誰が決める:官邸主導で何が変わったか https://www.nippon.c[...] nippon.com 2022-10-02
[59] 서적 日本官僚制—日本型からウェストミンスター型へ, 内閣制度
[60] 서적 首相政治の制度分析 : 現代日本政治の権力基盤形成 https://iss.ndl.go.j[...] 千倉書房 2012
[61] 문서 일본의 입헌군주국 여부 논쟁
[62] 문서 책임정부 용어 사용 국가
[63] 웹사이트 The Decreta of León of 1188 - The oldest documentary manifestation of the European parliamentary system http://www.unesco.or[...] UNESCO Memory of the World 2016-11-24
[64] 서적 민주주의의 탄생과 소멸(The Life and Death of Democracy) London 2009
[65] 웹인용 The Institution of Prime Minister https://history.blog[...] Government of the United Kingdom: History of Government Blog 2016-04-15
[66] 서적 Office of the Prime Ministe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5
[67] 서적 비교정부론 학림
[68] 논문 대통령중심제와 내각제
[69] 문서 의원내각제 국가의 각료 임명과 의원직 사퇴
[70] 서적 Patterns of democracy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99
[71] 서적 Constitutionalism and political reconstruction https://books.google[...] Brill 2007
[72] 웹인용 How the Westminster Parliamentary System was exported around the World http://www.cam.ac.uk[...] University of Cambridge 2013-12-02
[73] 서적 Reforming parliamentary democracy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3
[74] 논문 정부형태 비교
[75] 논문 비교정부론 학림
[76] 논문 대통령중심제와 내각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