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고슬로벤노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라고슬로벤노예는 특정 지역 또는 장소의 명칭으로, 20세기 초부터 21세기 초까지 인구 변동을 겪었다. 1901년 1341명에서 1930년 2039명으로 증가했으나, 사회 변화를 겪으며 1992년 1,200명, 2002년 993명, 2010년 869명으로 감소했다. 이 지역 출신 인물로는 사회주의 운동가 남만춘과 소련군 및 조선인민군 군의관 리동화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대인 자치주의 행정 구역 - 스미도비치
스미도비치는 1928년에 세워진 유대인 정착지로, 유대 자치주 설립을 제안한 표트르 스미도비치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습윤 대륙성 기후와 밴디 클럽 우로자이가 있던 곳이다. - 유대인 자치주의 행정 구역 - 발트게임
발트게임은 1928년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폴란드 지역의 유대인 정착민들이 만든 이디시어 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나치 탄압을 피해 이주한 이들이 이디시어 학교를 세우고, 소비에트 연방은 이곳이 유대인 자치 중심지가 되기를 희망했다. - 고려인 - 허가이
허가이는 소련파 북한 정치인으로, 해방 후 북한 정권 수립에 핵심 역할을 했으나 김일성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에는 암살 의혹이 있다. - 고려인 - 김병화 (1905년)
김병화는 1905년 연해주 출생으로 러시아 내전과 동청철도 사건에 참여하고, 우즈베크 SSR에서 집단농장 농장장으로 34년간 재직하며 농업 발전에 기여하여 사회주의 노동영웅 훈장을 두 차례 받았으며, 우즈베크 SSR 최고 소비에트 대의원을 역임하다 1974년 사망했다.
블라고슬로벤노예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블라고슬로벤노예 |
로마자 표기 | Blagoslovennoye |
러시아어 표기 | Благословенное |
한국어 표기 (한글) | 사만리 |
한국어 표기 (한자) | 四萬里 |
위치 | 러시아 유대인 자치주 옥탸브리스키군 |
설립 | 1871년 |
일반 통계 | |
인구 (2010년) | 869명 |
우편 번호 | 679241 |
UTC 시간대 | +10 |
2. 연도별 인구
블라고슬로벤노예의 인구는 20세기 초반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세기 후반부터 21세기 초반까지는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8][9][10][11][4] 자세한 연도별 인구 변화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20세기 초 (1901~1930)
블라고슬로벤노예의 20세기 초 인구는 대한제국 말기와 일제강점기 초기를 거치며 변화하였다. 1901년 1,341명이었던 인구는 1920년대에 들어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1924년에 일시적인 감소가 있었으나, 이후 다시 증가하여 1926년에는 2,000명을 넘어섰고 1930년까지 비슷한 규모를 유지했다.아래는 해당 기간의 구체적인 인구 변화이다.
2. 2. 20세기 후반 (1992~2002)
1992년 블라고슬로벤노예의 인구는 1200명[10]으로 기록되었다. 10년 후인 2002년에는 인구가 993명[11]으로 감소하여, 이 기간 동안 인구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2. 3. 21세기 초 (2010)
21세기 초반 블라고슬로벤노예의 인구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002년 인구 조사에서는 993명으로 집계되었으며[11], 2010년 조사에서는 869명으로 감소하였다.[4]3. 출신 인물
3. 1. 남만춘 (1892~?)
남만춘(1892년 ~ ?)은 일제강점기의 사회주의 운동가이다. 그는 조국의 독립과 민족 해방을 위해 헌신했으며, 당시 억압받던 민중들에게 희망을 준 인물로 평가된다. 남만춘의 활동은 한국 독립운동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으며, 그의 삶은 한국 근현대사의 격동기를 살아간 지식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1892년에 태어났으나, 언제 사망했는지 등 최후에 대한 기록은 명확하지 않다.3. 2. 리동화 (1901~1981)
소련군 및 조선인민군에서 군의관으로 복무한 인물이다. 일제강점기에 소련으로 건너가 의학을 공부하였고, 이후 소련군과 조선인민군 군의관으로 활동하며 조국의 광복을 위해 헌신하였다. 그의 삶은 한국 근현대사의 굴곡을 보여주는 한 사례로, 이념 대립과 전쟁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인도주의적 가치를 실현하고자 노력했던 모습을 보여준다고 평가된다.참조
[1]
웹사이트
블라디보스토크의 한인마을은 왜 신한촌이라고 불리게 되었을까?
http://www.okpedia.k[...]
[2]
간행물
2010Census
[3]
웹사이트
Из истории села Благословенного Октябрьского района Еврейской автономной области(по документам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архива за 1881–1938-й годы)
http://arhiv.eao.ru/[...]
State Archives of the Jewish Autonomous Oblast
2019-09-21
[4]
간행물
2010Census
[5]
서적
Сборник историко-статистических сведений о Сибири и сопредельных ей странах 1
https://elib.tomsk.r[...]
Русская скоропечатня
1875
[6]
논문
Blagoslovennoe: Korean Village on the Amur, 1871-1937
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7]
웹인용
Из истории села Благословенного Октябрьского района Еврейской автономной области(по документам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го архива за 1881–1938-й годы)
http://arhiv.eao.ru/[...]
State Archives of the Jewish Autonomous Oblast
2019-09-21
[8]
웹인용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Еврейской автономной области. 1858-2003
http://arhiv.eao.ru/[...]
2024-05-29
[9]
웹인용
Еврей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 история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 картах, документах и фотографиях
http://nasledie-eao.[...]
[10]
백과사전
Хабаровский край и Еврейская автономная область : опыт энцикл. геогр. слов. / Приамур. геогр. о-во
https://vivaldi.nlr.[...]
Восток-пресс
1995
[11]
웹인용
Этно-языковой состав населённых пунктов России
http://lingvarium.or[...]
2020-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