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흡착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 흡착음은 콧소리를 내면서 발음되는 흡착음의 한 종류이다.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유성 비강 흡착음, 무성 비강 흡착음, 유기음 비강 흡착음, 숨가쁜 유성 비강 흡착음, 선성문음 비강 흡착음 등이 있다. 국제 음성 기호(IPA)로는 ʘ̃, ǃ̃, ᵑǃ, ǂ̃ 등으로 표기되며, 코이산어족, 타어 등 여러 언어에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음 - 선비음화 자음
선비음화 자음은 연구개가 내려간 상태에서 짧은 비음이 먼저 발음된 후 구강 자음이 이어지는 방식으로,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등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나며, 아프리카, 동아시아,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에서 주로 나타난다. - 흡착음 - 치경 흡착음
치경 흡착음은 혀끝으로 윗니 뒤쪽 잇몸을 막아 소리를 내는 치경음으로, 줄루어와 코사어에서는 'q'로 표기되며 일부 언어에서는 탄도 방출을 동반하기도 한다. - 흡착음 - 치 흡착음
치 흡착음은 혀끝을 윗니나 치조제에 대고 공기를 흡입하여 내는 설단음으로, 국제 음성 기호로 'ǀ'로 표기되며, 코이산어족과 응구니어군 언어에서 흔히 발견되고 감탄사로도 쓰이며, 한국어의 "쯧" 소리와 유사하다.
비 흡착음 | |
---|---|
조음 | |
조음 방법 | 비음 흡착음 |
조음 위치 | 양순음 치음 치경음 권설음 경구개음 구개치경음 설측음 |
종류 | |
유성 치경 비음 흡착음 | ᵑ͡ǃ 또는 ᵑǃ |
무성 유기 치음 비음 흡착음 | ᵑ̊ǀʰ𐞁 |
유기성 설측 비음 흡착음 | ᵑǁʱ 또는 ᵑ̈ǁ |
무성 경구개 비음 흡착음 | ᵑ̊ǂ |
성문음화 양순 비음 흡착음 | ˀᵑʘ |
IPA 기호 | |
![]() | |
![]() | |
![]() | |
![]() | |
![]() | |
흡착음 기호 | ǃ ǀ ǁ ǂ ‼ ʘ |
2. 종류 및 발음
비강 흡착음은 콧소리를 내며 흡착음을 내는 것을 말한다. 비강 흡착음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2. 1. 유성 비강 흡착음
콧소리를 내며 흡착음을 낸다.2. 2. 유기음 비강 흡착음
콧소리를 내며 흡착음을 낸다.2. 3. 숨가쁜 소리(중얼거림) 비강 흡착음
콧소리를 내며 흡착음을 낸다.2. 4. 무성 비강 흡착음
콧소리를 내며 흡착음을 낸다.2. 5. 선성문음 비강 흡착음
콧소리를 내며 흡착음을 낸다.3. 국제 음성 기호 (IPA)
- ǃ̃ - 치경 비 흡착음
- ʘ̃ - 양순 비 흡착음
- ǂ̃ - 경구개 비 흡착음
- ǁ̃ - 치경 비 설측 흡착음
- ǀ̃ - 치 비 흡착음
참조
[1]
서적
The Representation of Clicks
Blackwell
2011
[2]
문서
SOWL|268
[3]
간행물
The Consonantal System of West ǃXoon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