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유기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기음은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무성음 기호 뒤에 유기 부호 ◌ʰ를 붙여 표기하며, 라틴 문자 표기에서는 h나 아포스트로피(')를 붙여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무성음이 방출된 후 성대가 열린 채로 있을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한국어, 중국어, 힌디어 등 여러 언어에서 음소적으로 구별된다. 유기음은 언어에 따라 무기음과 대립되거나, 다른 음운적 특징을 가질 수 있으며, 전유기음, 유성 유기음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언어학에 관한 - 중설 모음
    중설 모음은 혀의 위치가 입의 중앙에 위치하여 발음되는 모음으로, 혀의 높이, 앞뒤 위치, 입술의 둥글림 여부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된다.
  • 언어학에 관한 - 유성음
    유성음은 허파에서 나온 공기가 성대를 진동시켜 만들어지는 소리이며, 모음과 일부 자음이 이에 해당하고, 언어에 따라 유성음과 무성음의 구별이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 언어학에 관한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 언어학에 관한 - 개명
    개명은 개인이나 법인이 이름을 바꾸는 행위로, 결혼, 이혼, 이민, 종교 개종, 성 정체성 확인, 사회적 이미지 개선, 범죄 회피 등 여러 이유로 행해지며, 절차는 국가별로 다르지만 법적 제약과 고려 사항이 따른다.
  • 음성학 - 음성 인식
    음성 인식은 음성 신호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로, 인공지능과 심층 학습의 발전으로 인식 정확도가 향상되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지만 보안 문제가 남아있다.
  • 음성학 - 음성 합성
    음성 합성은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TTS)로, 기계 장치에서 컴퓨터 기반 시스템으로 발전해왔으며 통계적 모델과 심층 학습 기반 기술 발전을 거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윤리적 문제와 기술적 과제도 안고 있다.
유기음
설명
발음 특징자음 뒤에 강한 공기 방출이 따르는 소리
추가 설명 필요더 많은 출처가 필요함
유기음 기호◌ʰ
유기음
유기음 예시/k/
/t/
/p/
유기음
유기음 예시/kʰ/
/tʰ/
/pʰ/
유기음 대조
무기음/p t k/
유기음/pʰ tʰ kʰ/
강한 유기음/ʰp ʰt ʰk/
유성 유기음 대조
유성음/b d ɡ/
유성 유기음/bʱ dʱ ɡʱ/

2. 표기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유기음은 무성음 기호 뒤에 유기 부호 문자 를 붙여 표기한다. 이는 무성 성문 마찰음 기호의 위첨자 형태이다. X-SAMPA에서는 , [_h]로 표기한다. 예전에는 를 사용하기도 했다.

라틴 문자 표기에서는 h나 '(아포스트로피)를 붙여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유성음을 음소로 가지지 않는 언어의 라틴 문자 표기에서는 유성음 문자로 무기음을, 무성음 문자로 유기음을 표기하는 경우가 있다.

3. 음성학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유기음은 무성음 기호 뒤에 유기 부호 문자 를 붙여 표기한다. 이는 무성 성문 마찰음 기호의 위첨자 형태이다. 예를 들어, 는 무성 양순 파열음을 나타내고, 는 유기 양순 파열음을 나타낸다.[1]

유성음은 실제로 유기되는 경우가 드물다. 가 붙은 유성음 기호(예: )는 일반적으로 유성 숨소리가 나는 방출음을 나타낸다. 유기 정도를 나타내는 특별한 IPA 기호는 없으며, 일반적으로 무기음()과 유기음() 두 가지 정도만 표시한다. 특히 강하거나 긴 유기를 나타낼 때는 유기 부호 문자를 두 번 써서(예: ) 나타낼 수 있다. 한국어 파열음의 두 가지 유기 정도는 보통 과 로 표기한다.[1]

무성 자음은 성대가 열리고 진동하지 않을 때 생성되며, 유성 자음은 성대가 약간 닫히고 진동할 때 생성된다(성문음). 무성 기음화는 자음이 방출된 후 성대가 열린 채로 있을 때 발생한다. 이를 측정하는 쉬운 방법은 자음의 음성 개시 시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다음 모음의 유성음은 성대가 닫힐 때까지 시작될 수 없기 때문이다.

흡음 정도는 언어나 조음 위치에 따라 다양하다. 아르메니아어와 광둥어는 무기음 파열음 외에 영어의 흡음된 파열음과 거의 같은 시간 동안 흡음되는 파열음을 가지고 있다. 한국어는 약하게 흡음된 파열음(아르메니아어와 광둥어의 무기음 및 흡음 파열음 사이)과 강하게 흡음된 파열음(아르메니아어나 광둥어보다 흡음 시간이 더 긴 파열음)을 가지고 있다.

흡음은 조음 위치에 따라 다르다. 스페인어 무성 파열음 의 유성음 시작 시간(VOT)은 약 5, 10, 30밀리초이고, 영어 흡음 의 VOT는 약 60, 70, 80밀리초이다. 한국어의 유성음 시작 시간은 의 경우 20, 25, 50밀리초, 의 경우 90, 95, 125밀리초로 측정되었다.[2]

중국어한국어 등에서는 유기음과 무기음이 대립적인 관계를 이룬다. 중국어의 예로 유기음은 踏(tà, ), 무기음은 大(dà, )가 있다. 태국어에서는 무성 유기음, 무성 무기음, 유성음의 3종류가 대립적으로 사용된다.

힌디어, 우르두어인도계 언어에는 유기음과 무기음의 대립 외에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을 결합하여, 같은 조음 위치에서 4개의 자음을 대립적으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힌디어의 연구개음에는 कhi(), खhi(), गhi(), घhi()가 있다.

고대 그리스어에는 파열음에 무성 무기음, 무성 유기음, 유성음의 3항 대립이 존재했다. 현재는 무성 유기음이 마찰음으로 변화했다. 아르메니아어 동부 방언에는 무성 무기음, 무성 유기음, 유성음의 3항 대립이 존재한다. 서부 방언에서는 유성음이 무성 유기음으로 합쳐지고, 반대로 무성 무기음이 유성음으로 변화하여 2항 대립이 되었다. 프랑스어에는 유기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영어에서는 강세가 있는 음절 첫머리의 무성 파열음이, 독일어에서는 모든 무성 파열음이 성문 마찰을 동반하지만, 무기음과 음운론적으로 다른 음소는 아니다. 현대 아이슬란드어 파열음에는 유성음이 없고, 무성 무기음과 유기음의 대립이 있다.

3. 1. 전유기음

아이슬란드어와 페로어는 전유기음(Preaspiration)을 가진 자음 ()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학자들은 이를 자음 군집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전유기음은 스코틀랜드 게일어의 특징이기도 하다. 전유기음 무성 파열음은 대부분의 사미어에도 나타난다.

3. 2. 유성 유기음

소위 유성 흡음음이라고 불리는 자음들은 거의 항상 성문 숨소리(breathy voice)로 발음된다. 유성 자음 뒤에 오는 변형 문자 는 실제로 인도아리아어족의 양순 파열음 에서 볼 수 있듯이 성문 숨소리 또는 웅얼거리는 자음을 나타낸다.[5]

4. 음운론

무기음화는 여러 언어에서 다양한 의미를 지닌다. 이것은 이음적이거나 음소적인 것이며, 기저 자음 군집으로 분석될 수 있다.

4. 1. 음소적 특징

많은 언어에서 무기음과 유기음이 음소적으로 구별된다. 알레만어 방언(Alemannic German dialects)에는 무기음 [p˭ t˭ k˭]뿐만 아니라 유기음 [pʰ tʰ kʰ]도 존재하는데, 후자는 일반적으로 자음군(consonant cluster)으로 간주된다. 중국어한국어 등에서는 유기음과 무기음이 대립적인 관계를 이룬다.

  • 중국어 예시
  • 유기음: পায়ে tà|타중국어
  • 무기음: 大 dà|따중국어


태국어에서는 무성 유기음, 무성 무기음, 유성음의 3종류가 대립적으로 사용된다.

힌디어, 우르두어인도계의 많은 언어에는 유기음과 무기음의 대립 외에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을 결합하여, 같은 조음 위치에서 4개의 자음을 대립적으로 사용하지만, 이 중 소위 "유성 성문 마찰음"은 음성학적으로 성문 마찰음을 동반하는 유성 자음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과는 기전이 다르다.

  • 예시: 힌디어의 연구개음 क|카hi, ख|카hi, ग|가hi, घ|가hi


고대 그리스어에는 파열음에 무성 무기음, 무성 유기음, 유성음의 3항 대립이 존재했다. 현재는 무성 유기음이 마찰음으로 변화했다.

아르메니아어의 동부 방언에는 무성 무기음, 무성 유기음, 유성음의 3항 대립이 존재한다. 서부 방언에서는 유성음이 무성 유기음으로 합쳐지고, 반대로 무성 무기음이 유성음으로 변화하여 2항 대립이 되었다.

프랑스어에는 유기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연음, 탈락을 일으키지 않는 h aspiré프랑스어를 “유기음의 h”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있지만(일반적으로 “유음의 h”라고 부른다), 음성학에서 말하는 유기음과는 관계가 없다.

영어에서는 강세가 있는 음절 첫머리의 무성 파열음(s 다음에 오는 경우 제외)이, 독일어에서는 모든 무성 파열음이 성문 마찰을 동반한다. 그러나 무기음과 음운론적으로 다른 음소는 아니다.

현대 아이슬란드어의 파열음에는 유성음이 없고, 무성 무기음과 유기음의 대립이 있다. 모음 뒤 위치에서는 전기음을 가진다.

4. 2. 이음

일부 언어에서는 파열음이 주로 유성에 따라 구분되며, 무성 파열음은 때때로 기음이 있고, 유성 파열음은 일반적으로 기음이 없다.

영어의 무성 파열음은 대부분의 원어민에게 단어의 처음이나 강세 음절의 처음에 올 때 기음이 있다.

5. 여러 언어에서의 유기음

세계 여러 언어에서 대부분의 유기음은 파열음과 파찰음이지만, 유기 마찰음도 여러 언어에서 발견된다. 한국어와 선주 오어에서 , , 가, 스페인어에서 xʰ|xʰes가 기록되었으나, 이들은 모두 다른 음소의 동소이다.[3]

일부 티베트-버마어족 언어, 일부 오토-만게어족 언어, 몽어족 언어인 흐무어, 시오어족 언어인 오포어, 그리고 추마시어족 언어인 바르바레뇨어와 벤투레뇨어에서는 유기 마찰음, 유기 비음, 유기 근사음 및 유기 떨림음이 나타난다.[4] 초니 티베트어와 같은 일부 언어는 sʰ|sʰbo, ɕʰ|ɕʰbo, ʂʰ|ʂʰbo, xʰ|xʰbo와 같이 최대 네 개의 대조적인 유기 마찰음을 가지고 있다.[4]

프랑스어에는 유기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연음, 탈락을 일으키지 않는 h aspiré|아스피레프랑스어를 “유기음의 h”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는 음성학에서 말하는 유기음과는 관계가 없다.

영어에서는 강세가 있는 음절 첫머리의 무성 파열음(s 다음에 오는 경우 제외)이, 독일어에서는 모든 무성 파열음이 성문 마찰을 동반한다. 그러나 무기음과 음운론적으로 다른 음소는 아니다.

현대 아이슬란드어의 파열음에는 유성음이 없고, 무성 무기음과 유기음의 대립이 있다. 모음 뒤 위치에서는 ʰp ʰt ʰk|ʰp ʰt ʰkis의 형태로 전기음(Preaspiration)을 가진다.

5. 1. 한국어

한국어는 유기음(거센소리)과 무기음(예사소리)이 대립적인 관계를 이루는 대표적인 언어이다.[1]

5. 2. 중국어

표준중국어(Mandarin)는 유기음(aspirated) 여부에 따라 구분되는 파열음과 파찰음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 가 있다. 병음에서는 무기음(unaspirated) 파열음은 영어에서 유성 자음을 나타내는 문자로, 유기음(aspirated) 파열음은 영어에서 무성 자음을 나타내는 문자로 표기한다. 따라서 ''d''는 를 나타내고, ''t''는 를 나타낸다.[1]

우어와 남방민어는 파열음과 파찰음에서 삼단계 대립을 보인다: . 유기음과 무기음 외에도 와 같은 '탁음(muddy consonants)'이 있다. 이 음들은 약음 또는 숨소리로 발음된다. 즉, 약하게 유성음으로 발음된다. 탁음은 음절 첫소리로 사용될 때 음절이 저음 또는 ''경음(light)''(陽 ''yáng'')으로 발음된다.[1]

중국어에서 유기음과 무기음은 대립적인 관계를 이룬다.[1]

  • 중국어 예시[1]

유기음무기음
예시


5. 3. 인도아리아어족 언어

산스크리트어, 힌디어, 벵골어, 마라티어, 구자라트어는 파열음에서 네 가지 대립을 보인다. 무성음, 유기음, 유성음, 유성 유기음과 같은 형태이다. 펀자브어는 유성 유기음을 잃어 성조 체계가 되었고, 따라서 무성음, 유기음, 유성음의 대립을 보인다.[1]

텔루구어, 말라얄람어, 칸나다어와 같은 다른 언어들은 유성음과 무성음, 유기음과 무기음의 대립을 보인다.[1]

5. 4. 아르메니아어

고대 아르메니아어와 동부 아르메니아어는 무성음, 유기음, 유성음의 세 가지 구분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와 같다. 서부 아르메니아어는 유기음과 유성음의 두 가지 구분을 가지고 있는데, 와 같다. 서부 아르메니아어의 유기음 는 동부 아르메니아어의 유기음 과 유성음 에 해당하며, 서부 아르메니아어의 유성음 는 동부 아르메니아어의 무성음 에 해당한다.[4]

5. 5. 고대 그리스어

고대 그리스어는 파열음에서 와 같이 세 단계의 대립을 가지고 있었다.[8] 이 소리들은 코이네 그리스어 문법학자들에 의해 각각 "부드러운(ψιλά)", "거친(δασέα)", "중간의(μέσα)"로 불렸다.

순음, 치경음, 연구개음의 세 가지 조음 위치에서 유기음 파열음 가 있었다. 초기 그리스어인 미케네 그리스어는 아마도 순음 연구개 유기음 파열음 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나중에 방언과 음운 환경에 따라 순음, 치경음, 연구개음으로 변화했다.[8]

이오니아 방언, 도리아 방언, 아이올리아 방언, 아르카도키프로스 방언과 같은 다른 고대 그리스어 방언들도 어느 시점에는 이와 같은 세 단계 대립을 가졌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도리아 방언은 고전 시대에 대신 마찰음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8]

이후 코이네 시대와 중세 그리스어 시대 동안, 아티카 그리스어의 유기음과 유성 파열음 은 연화되어 무성 및 유성 마찰음이 되었고, 중세 그리스어현대 그리스어에서 가 되었다.[8]

5. 6. 기타 언어

태국어에서는 무성 유기음, 무성 무기음, 유성음의 3종류가 대립적으로 사용된다. 힌디어, 우르두어인도계의 많은 언어에는 유기음과 무기음의 대립 외에 유성음과 무성음의 대립을 결합하여, 같은 조음 위치에서 4개의 자음을 대립적으로 사용하지만, 이 중 소위 "유성 성문 마찰음"은 음성학적으로 성문 마찰음을 동반하는 유성 자음이며, 무성 성문 마찰음과는 기전이 다르다.

고대 그리스어에는 파열음에 무성 무기음, 무성 유기음, 유성음의 3항 대립이 존재했다. 현재는 무성 유기음이 마찰음으로 변화했다.

아르메니아어의 동부 방언에는 무성 무기음, 무성 유기음, 유성음의 3항 대립이 존재한다. 서부 방언에서는 유성음이 무성 유기음으로 합쳐지고, 반대로 무성 무기음이 유성음으로 변화하여 2항 대립이 되었다.

프랑스어에는 유기음이 존재하지 않는다. 연음, 탈락을 일으키지 않는 h aspiré|아스피레프랑스어를 “유기음의 h”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있지만(일반적으로 “유음의 h”라고 부른다), 음성학에서 말하는 유기음과는 관계가 없다.

영어에서는 강세가 있는 음절 첫머리의 무성 파열음(s 다음에 오는 경우 제외)이, 독일어에서는 모든 무성 파열음이 성문 마찰을 동반한다. 그러나 무기음과 음운론적으로 다른 음소는 아니다.

현대 아이슬란드어의 파열음에는 유성음이 없고, 무성 무기음과 유기음의 대립이 있다. 모음 뒤 위치에서는 Preaspiration|전기음영어을 가진다.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http://archive.phone[...] 2009-04-21
[2] 논문 A cross-language Study of Voicing in Initial Stops 1964
[3] 서적 Fonética y fonología españolas John Wiley
[4] 논문 A panchronic study of aspirated fricatives, with new evidence from Pumi https://www.academia[...]
[5] 논문 The Origin of the Kelabit Voiced Aspirates: A Historical Hypothesis Revisited
[6] 서적 The sounds of French: an introduction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Language and space: Dutch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8] 논문 Phonetics and Phonology of Cypriot Geminates in Spontaneous Speech http://www.aloukina.[...] 2005
[9]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