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변사등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비변사등록은 조선 시대 비변사의 회의 내용, 결정 사항 및 후속 조치를 기록한 책이다. 중종 때 임시 기구로 설치되어 임진왜란 이후 국방을 담당하는 상설 기구로 기능이 확대된 비변사의 활동을 상세히 담고 있다. 광해군 9년부터 고종 29년까지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국방 등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포함하여 조선 후기 사회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국사편찬위원회에서 27책으로 축소 영인되었고, 현대 한글 번역 작업도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규장각 소장품 - 삼국유사
    《삼국유사》는 고려 시대 승려 일연이 편찬한 역사서로, 삼국 시대와 그 이전 시대의 역사, 신화, 설화, 불교 관련 기록 등을 담고 있으며, 《삼국사기》와 함께 한국 고대사 연구의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단군 신화, 향가, 불교 설화 등이 기록되어 국어 국문학 및 불교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고려 후기 민족의 자주 의식을 고취하려는 일연의 역사관이 반영되어 있다.
  • 규장각 소장품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제작한 한국의 대표적인 고지도로, 전국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지형지물과 시설물을 기호와 색상으로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휴대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국보 - 훈민정음
    훈민정음은 1443년에 세종에 의해 창제된 한국의 고유 문자로, 한글의 창제목적, 원리, 사용법 등을 담은 훈민정음 해례본을 통해 1446년에 반포되었으며,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문자로 평가받는다.
  • 서울특별시의 국보 -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은 김대성이 발원하여 조성된 불상으로, 이상적인 비례와 사실적인 옷 주름, 아미타정인 중 상품하생인의 수인, 주형 광배와 연화대좌를 갖추고 있으며, 명문을 통해 8세기 신라 사회상을 엿볼 수 있다.
  • 한국의 역사책 - 삼국유사
    《삼국유사》는 고려 시대 승려 일연이 편찬한 역사서로, 삼국 시대와 그 이전 시대의 역사, 신화, 설화, 불교 관련 기록 등을 담고 있으며, 《삼국사기》와 함께 한국 고대사 연구의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고, 단군 신화, 향가, 불교 설화 등이 기록되어 국어 국문학 및 불교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고려 후기 민족의 자주 의식을 고취하려는 일연의 역사관이 반영되어 있다.
  • 한국의 역사책 - 삼국사기
    《삼국사기》는 고려 시대 김부식이 1145년에 완성한 기전체 형식의 역사서로, 삼국의 건국부터 멸망까지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으며, 신라 중심적인 시각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한국 고대사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로 평가받는다.
비변사등록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문서 정보
문서 이름비변사등록
원어 이름備邊司謄錄
로마자 표기Bibyeonsa Deungnok
분야역사 기록
기록 시기1617년 ~ 1892년
기록 목적비변사의 정부 기록
소장 정보
소장 위치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소장 위치 (도시)서울특별시
소장 위치 (국가)대한민국
문화재 정보
지정 번호국보 152호
지정 날짜1973년 12월 31일
관리 기관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수량273책
박물관에 전시된 비변사 등록
2013년에 전시된 "비변사등록"의 일부 모습

2. 역사적 배경



중종 재위 기간에 설치된 비변사는 초기에는 임시 기구였다.[1] 초기에는 '책성사'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1517년(중종 12년)에 '비변사'로 개칭되었다. 1522년(중종 17년) 추자도 등지에 왜구가 침범한 사건을 계기로 상설 기구화되었다. 임진왜란이후 비변사는 국방을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했다.[1]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비변사의 기능은 급격히 확대되었다.[1] 문·무 고관들이 참여하는 합의 기관으로 자리 잡았으며, 후기에는 비변사의 권력 집중과 비대화에 대한 비판 여론이 대두되기도 했다.

2. 1. 비변사의 설치와 초기 역할



중종 재위 기간에 설치된 비변사는 초기에는 임시 기구였다.[1] 초기에는 '책성사'라는 이름으로 불렸으며, 1517년(중종 12년)에 '비변사'로 개칭되었다. 1522년(중종 17년) 추자도 등지에 왜구가 침범한 사건을 계기로 상설 기구화되었다. 임진왜란이후 비변사는 국방을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했다.[1]

2. 2. 비변사의 기능 확대와 역할 변화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비변사의 기능은 급격히 확대되었다.[1] 문·무 고관들이 참여하는 합의 기관으로 자리 잡았으며, 후기에는 비변사의 권력 집중과 비대화에 대한 비판 여론이 대두되기도 했다.

2. 3. 비변사의 폐지와 의정부로의 기능 이관

3. 구성 및 내용

비변사등록은 각 왕대별, 연월일 순으로 비변사의 회의 내용과 결정 사항, 그리고 그 후속 조치까지 상세하게 기록하고 있다.

내용의 기재방식은 왕의 시대와 연월일, 매월마다 비변사의 구성원들을 기재한 좌목(座目)이 있고, 그 뒤에 회의한 내용이 서술되어 있는데, 그 시대마다 국가중대사의 전모와 경과, 그리고 사후처리까지 소상하게 기재되어 있다. 왕조별 내용은 광해군 9∼10년분(제1∼2책), 인조 2∼27년분(3∼13책), 효종 1∼8년분(제14∼19책), 현종 1∼12년분(제20∼30책), 숙종 1∼46년분(제31∼73책), 경종 3∼4년분(제74∼76책), 영조 1∼51년분(제77∼157책), 정조 1∼24년분(제158∼191책), 순조 1∼34년분(제192∼222책), 헌종 1∼15년분(제223∼236책), 철종 1∼14년분(제237∼250책), 고종 1∼29년분(제251∼273책)으로 총 273책이다.

이중 결본은 광해군 10년 7월∼15년, 인조 2년 7∼12월, 3∼11년, 13∼15년, 17년 1월∼4월, 인조 17년 6월∼18년 9월, 인조 18년 11∼12월, 21년, 효종 2, 6, 9, 10년, 현종 7년, 13∼15년, 숙종 6∼7년, 22∼24년, 27년, 35년, 숙종 38년 7∼12월, 경종 1∼2년, 영조 19년 7월∼20년, 24년, 26년 7∼12월, 30년 1∼6월, 영조 48∼49년, 영조 52년, 정조 7년, 9년, 16년 7∼12월, 17년 7월∼18년 6월, 정조 19년, 23년 1∼6월, 순조 8년, 15년, 21년분, 헌종 8년, 고종 1∼2년, 4∼6년, 11년분이다.

이 책은 초서인 필사본을 해서로 옮겨 국사편찬위원회가 27책으로 축소 영인하였다.

3. 1. 기록 방식

비변사등록의 기재 방식은 국왕의 연호, 연월일, 매달 비변사 구성원을 적은 좌목(座目)을 먼저 기록하고, 그 뒤에 회의 내용을 서술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각 시대마다 국가 중대사의 전모와 경과, 사후 처리까지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왕조별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광해군 9∼10년분(제1∼2책)
  • 인조 2∼27년분(3∼13책)
  • 효종 1∼8년분(제14∼19책)
  • 현종 1∼12년분(제20∼30책)
  • 숙종 1∼46년분(제31∼73책)
  • 경종 3∼4년분(제74∼76책)
  • 영조 1∼51년분(제77∼157책)
  • 정조 1∼24년분(제158∼191책)
  • 순조 1∼34년분(제192∼222책)
  • 헌종 1∼15년분(제223∼236책)
  • 철종 1∼14년분(제237∼250책)
  • 고종 1∼29년분(제251∼273책)


총 273책 중 일부는 결본(缺本)이다. 이 책은 초서 필사본을 해서로 옮겨 국사편찬위원회가 27책으로 축소 영인하였다.

3. 2. 내용의 다양성과 사료적 가치

비변사등록은 왕의 시대와 연월일, 매월 비변사 구성원들을 기재한 좌목(座目) 뒤에 회의 내용을 서술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해군 9년부터 고종 29년까지 총 273책이 남아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국방 등 다양한 분야의 내용을 담고 있어 조선 후기 사회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3]

기록은 초서 필사본을 해서로 옮겨 국사편찬위원회가 27책으로 축소 영인하였으며, 1959년부터 1960년까지 28권으로 재간행되었다. 2010년에는 현대 한글로 번역된 텍스트가 출판되었다.[4]

비변사는 고종 재위 2년(1865년)에 폐지되었고, 권력은 의정부로 이관되었다. 그러나 '등록'은 의정부등록이라는 제목으로 1892년까지 계속 작성되었다. 비변사등록의 기록 시작 시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으나, 현재 남아있는 기록은 1617년부터 1892년까지 제작된 것이다.[1][2] 각 연도별 기록 제목은 매년 발생한 사건에 따라 항상 일치하지는 않으며, 각 기록은 국왕의 연호, 날짜, 매달 회의 참석 구성원을 기록한 후 내용을 공표하여 어떤 사건이 발생했고 비변사가 그 여파에 대해 어떻게 입법했는지 알 수 있게 한다.

3. 3. 현존 기록 현황

현재 남아있는 《비변사등록》은 1617년(광해군 9년)부터 1892년(고종 29년)까지 총 273책이다.[1] 임진왜란 이전의 기록은 소실되었고, 일부 결본도 존재한다. 원래 규장각에서 간행 및 소장되었으며, 1959년부터 1960년까지 대한민국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전체 기록을 28권으로 재간행했다.[4] 2010년까지 현대 한글로 번역된 텍스트가 출판되었다.[4]

《비변사등록》은 1년에 1책씩 작성하는 것이 원칙이었으나, 사건이 많을 경우 2책 또는 3책으로 작성되기도 하였다. 비변사가 설치된 1517년을 기준으로 하면 모두 349년분이 되어야 하지만, 임진왜란 이전의 기록은 전란 중에 소실되어 1617년 이후의 것만 남아있다. 각 기록은 먼저 국왕의 연호, 날짜, 매달 회의에 참석한 구성원을 기록한 다음, 내용을 공표하였다.[2]

1865년(고종 2년)에 비변사가 폐지된 뒤에도 1892년까지 등록이 계속된 것은 그 업무가 의정부에 의해 계속되어 의정부가 비변사와 유사한 조직으로 그 사무를 처리하였기 때문이다. 그 서명이 《의정부등록》과 같이 붙여졌지만, 내용은 종전의 것과 같고 체재도 동일하다.

3. 4. 간행 및 번역 현황

국사편찬위원회는 1959년부터 1960년까지 비변사등록을 28책으로 축소 영인하여 간행하였다.[4] 원본은 초서 필사본이었으나, 해서로 옮겨 간행되었다. 이 기록은 조선 사회와 경제에 대한 매우 가치 있고 다양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받는다.[3] 2010년부터 국사편찬위원회는 비변사등록의 현대 한글 번역 작업을 진행하여 출판하고 있다.[4]

4. 결본 목록

4. 1. 광해군 대

4. 1. 1. 광해군 10년(1618) 7월 ~ 15년(1623)

내용이 없습니다.

4. 2. 인조 대

4. 2. 1. 인조 2년(1624) 7월 ~ 12월

(빈 문서)

4. 2. 2. 인조 3년(1625) ~ 11년(1633)

비변사등록의 인조 기간에 해당하는 기록은 현재 남아있지 않다.

4. 2. 3. 인조 13년(1635) ~ 15년(1637)

비변사등록의 내용을 찾을 수 없습니다.

4. 2. 4. 인조 17년(1639) 1월 ~ 4월

아무 내용도 없으므로 출력하지 않습니다.

4. 2. 5. 인조 17년(1639) 6월 ~ 18년(1640) 9월

(내용 없음)

4. 2. 6. 인조 18년(1640) 11월 ~ 12월

4. 2. 7. 인조 21년(1643)

(내용 없음)

4. 3. 효종 대

4. 3. 1. 효종 2년(1651)

4. 3. 2. 효종 6년(1655)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4. 3. 3. 효종 9년(1658)

(내용 없음)

4. 3. 4. 효종 10년(1659)

(빈칸)

4. 4. 현종 대

4. 4. 1. 현종 7년(1666)

(입력된 `summary`와 `source`가 없습니다. 내용을 제공해주시면 위키텍스트를 생성해드리겠습니다.)

4. 4. 2. 현종 13년(1672) ~ 15년(1674)

(내용 없음)

4. 5. 숙종 대

4. 5. 1. 숙종 6년(1680) ~ 7년(1681)

숙종 6년(1680)에서 숙종 7년(1681)까지의 기록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4. 5. 2. 숙종 22년(1696) ~ 24년(1698)

(내용 없음)

4. 5. 3. 숙종 27년(1701)

(내용 없음)

4. 5. 4. 숙종 35년(1709)


4. 5. 5. 숙종 38년(1712) 7월 ~ 12월

4. 6. 경종 대

4. 6. 1. 경종 1년(1721) ~ 2년(1722)

비변사등록은 조선 시대의 중요 기록물로, 경종 시기의 정치 상황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그러나 현재 제공된 정보에는 경종 1년(1721) ~ 2년(1722)에 대한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없어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4. 7. 영조 대

4. 7. 1. 영조 19년(1743) 7월 ~ 20년(1744)

요약(summary)이 비어있고, 원본 소스(source) 또한 비어있으므로, 주어진 정보를 기반으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4. 7. 2. 영조 24년(1748)

(내용 없음)

4. 7. 3. 영조 26년(1750) 7월 ~ 12월

비변사등록에 대한 내용이 존재하지 않아, '영조 26년(1750) 7월 ~ 12월' 섹션에 대한 위키텍스트를 생성할 수 없습니다.

4. 7. 4. 영조 30년(1754) 1월 ~ 6월

(내용 없음)

4. 7. 5. 영조 48년(1772) ~ 49년(1773)

(내용 없음)

4. 7. 6. 영조 52년(1776)

(내용 없음)

4. 8. 정조 대

4. 8. 1. 정조 7년(1783)

(내용 없음)

4. 8. 2. 정조 9년(1785)

(내용 없음)

4. 8. 3. 정조 16년(1792) 7월 ~ 12월

내용이 없습니다.

4. 8. 4. 정조 17년(1793) 7월 ~ 18년(1794) 6월

(내용 없음)

4. 8. 5. 정조 19년(1795)

(내용 없음)

4. 8. 6. 정조 23년(1799) 1월 ~ 6월

비변사등록의 정조 23년(1799) 1월부터 6월까지의 기록은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4. 9. 순조 대

4. 9. 1. 순조 8년(1808)

(내용 없음)

4. 9. 2. 순조 15년(1815)

(내용 없음)

4. 9. 3. 순조 21년(1821)

(비변사등록의 순조 21년(1821)에 대한 기록은 현재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4. 10. 헌종 대

4. 10. 1. 헌종 8년(1842)

헌종 8년(1842)에 대한 비변사등록의 내용은 현재 주어진 자료에 없습니다.

4. 11. 고종 대

4. 11. 1. 고종 1년(1864) ~ 2년(1865)

4. 11. 2. 고종 4년(1867) ~ 6년(1869)

내용이 없습니다.

4. 11. 3. 고종 11년(1874)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Bibyeonsa deungnok (Records of the Border Defense Council) - Heritage Search https://english.cha.[...] 2023-07-03
[2] 웹사이트 Bibyeonsa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The Cultural heritage in Seoul http://simjeon.kr/xe[...]
[4] 뉴스 Ending the translation process of Bibyeonsa Deungnok http://www.newswire.[...]
[5] 간행물 문화재청고시제2010-89호(국가지정문화재 보물지정) http://gwanbo.mois.g[...] 관보 2010-08-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