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사편찬위원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사편찬위원회는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기관으로, 사료의 수집·편찬 및 한국사의 보급 등을 위해 설립되었다.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의 감수를 담당하고,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주관하며, 한국사 관련 자료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웹사이트 운영을 통해 한국사 대중화에 기여한다. 1946년 국사관으로 시작하여 문교부 소속 국사편찬위원회로 개편되었으며, 현재는 경기도 과천시에 위치해 있다. 주요 사업으로는 역사 교과서 감수 및 인증, 역사 자료 디지털화, 한국사 관련 연구 및 편찬 등이 있으며, 과거 국정 역사 교과서 채택 시도와 관련하여 비판을 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사편찬위원회 -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은 교육부 장관의 명을 받아 위원회의 사무를 총괄하고 직원을 지휘·감독하는 직위로, 신석호가 초대 위원장을 지냈으며 현재는 허동현이 제16대 위원장으로 재임 중이고 정옥자는 최초의 여성 위원장이었다.
  • 대한민국의 행정위원회 - 복권위원회
    복권위원회는 복권 정책 수립, 복권 발행 및 판매, 복권 기금 운용 등 복권 관련 주요 사항을 심의·의결하는 기획재정부 소속 기관으로, 복권 기금을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사회 취약 계층을 지원하고 공익 사업을 증진하는 데 기여한다.
  • 대한민국의 행정위원회 - 고용보험심사위원회
    고용보험심사위원회는 고용보험 관련 이의 제기 및 심사 청구에 대한 재심사를 담당하기 위해 고용보험법에 따라 설치된 15인 위원으로 구성된 기관이다.
  • 과천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대한민국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대한민국의 선거를 관리하는 독립 헌법기관으로,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되어 공직선거, 정당 및 정치자금 관리, 민주시민 교육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선거 중립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 과천시 소재의 관공서 - 대한민국 법무부
    대한민국 법무부는 검찰, 형 집행, 인권 옹호, 출입국 관리 등 법무 행정을 총괄하는 중앙행정기관으로 1948년 설치되었으며 검찰 사무, 사면, 인권옹호, 법령 자문, 출입국·외국인정책 사무 등의 주요 업무를 수행한다.
국사편찬위원회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국사편찬위원회 로고
설립일1946년 3월
이전 기관국사관
관할대한민국 정부
본부 위치경기도 과천시
상위 기관교육부
웹사이트국사편찬위원회 웹사이트
한국어 명칭 (한글)국사편찬위원회
한국어 명칭 (한자)國史編纂委員會
로마자 표기Guksa pyeonchan wiwonhoe
일반 정보
직원82명
기관장 성명허동현
기관장 직책위원장
좌표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국사편찬위원회는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기관으로서,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감수 및 인증, 정부 관계자와 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고대 중국어 및 근대 일본어 역사 문헌 번역 전문가 양성 학교 운영을 담당한다. 또한 연 4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주관 및 감독, 매년 중·고등학생 대상 한국사 경시대회를 후원한다.

역사 자료 조사, 수집, 전시, 공개를 위해 유관 기관과 협력하여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및 인터넷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한국사 데이터베이스[4]는 주요 역사 자료 원문을 연대순으로 디지털화하여 제공하며, 국사넷, 한국사온라인 등 웹사이트를 통해 국사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5][6]

2. 1. 설치 근거

사료의 수집·편찬 및 한국사의 보급 등에 관한 법률 제4조[15]

2. 2. 소관 업무


  • 국내외 사료의 조사·수집·보존을 위한 장기 계획 및 연차 계획 수립·시행
  • 한국사 연구·편찬·연수·보급을 위한 장기 계획 및 연차 계획 수립·시행
  • 한국사 연수 및 사료 관리 전문 인력 양성 등
  • 한국사 정보화를 위한 장기 계획 및 연차 계획 수립·시행
  • 한국사 및 사료 관련 기관 간 협력 및 조정
  • 국가 중요 사료 소유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열람·복제 요청 및 국가 중요 사료의 보존·관리·편찬 등
  • 그 외 사료 조사·수집·보존·편찬 및 한국사 연구·편찬·연수·보급 등[12]

3. 연혁


  • 1946년: 경복궁 집경당(緝敬堂)에 국사관 설치.
  • 1949년: 문교부 소속 국사편찬위원회로 개편.[16]
  • 1959년: 「조선왕조실록」 48책 간행.
  • 1964년: 전임 위원장제 실시.[17]
  • 1969년: 「한국독립운동사」 5책 간행.
  • 1973년: 「한국사」 간행 시작.
  • 1982년: 「북한관계사료집」 간행 시작.
  • 1987년: 정부과천청사로 청사 이전. 위원장을 정무직 차관급으로 격상.[18]
  • 1990년: 교육부 소속으로 변경.[19]
  • 1995년: 조선왕조실록 표점사업 시작.
  • 2001년: 해외소재 한국사자료 수집 사업 본격화. 한국사 남북협력사업 개시. 국가지식종합센터 중 한국역사분야종합정보센터로 지정. 교육인적자원부 소속으로 변경.[20]
  • 2003년:「한국사」 52책 간행.
  • 2004년: 근현대 지역사자료 수집 사업 개시. 구술자료 수집 사업 개시.
  • 2005년: 조선왕조실록 온라인 서비스 개시.
  • 2006년 11월 25일: 제1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실시.
  • 2007년: 사료관 신축 개관.
  •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역사교과서 책임감수기관 지정. 「자료대한민국사」 29책 간행. 교육과학기술부 소속으로 변경.[21]
  • 2010년: 역사교과서 검정업무 이관.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0책 간행.
  • 2013년: 교육부 소속으로 변경.[22]

4. 조직

국사편찬위원회는 위원장 1명과 상임위원 2명을 포함하여 15명 이상 2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위원장과 위원은 대통령이 임명하며, 위원의 임기는 3년이다.[23][24][25][26]

4. 1. 위원회

직위성명전공
위원장허동현근현대사
위원김민철근대사
위원강문식조선시대사
위원강현숙고고학
위원구난희역사교육
위원김민수역사교육
위원김성보현대사
위원박광연고대사
위원박찬승근대사
위원박현숙고대사
위원변주승조선시대사
위원서영건서양사
위원신동원한국과학사
위원오미일근대사
위원오영교조선시대사
위원원정식동양사
위원이익주고려시대사
위원이지원근대사
위원장경희미술사



위원회는 대통령이 위원장(차관급) 1명과 상임위원 2명을 포함하여 15명 이상 20명 이내로 임명한다. 위원의 임기는 3년이다.

4. 2. 하부 조직

국사편찬위원회의 하부 조직은 다음과 같다.[23][24][25][26]

  • 총무과
  • 편사부
  • 기획협력실
  • 사료조사실
  • 연구편찬정보화실
  • 역사진흥실

5. 주요 사업

국사편찬위원회는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기관으로서,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감수 및 인증, 정부 관계자와 교사 대상 교육 프로그램 운영, 고대 중국어 및 근대 일본어 역사 문헌 번역 전문가 양성 학교 운영, 한국사능력검정시험 주관 및 감독, 한국사 경시대회 후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한다.[3]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12]

업무 내용
국내외 사료 조사·수집·보존 및 한국사 연구·편찬·연수·보급을 위한 장기 계획 및 연차 계획 수립·시행
한국사 연수 및 사료 관리 전문 인력 양성
한국사 정보화를 위한 장기 계획 및 연차 계획 수립·시행
한국사 및 사료 관련 기관 간의 협력 및 조정
국가 중요 사료 소유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열람·복제 요청 및 국가 중요 사료의 보존·관리·편찬
기타 사료 조사·수집·보존·편찬 및 한국사 연구·편찬·연수·보급


5. 1. 역사 자료 디지털화

국사편찬위원회는 유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역사 자료의 조사, 수집, 전시, 공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및 인터넷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한국사 데이터베이스[4]는 중요한 역사 자료의 원문을 제공하며, 이는 연대순으로 디지털화되어 국민들이 필요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국사 대중화를 위해 국사넷 및 한국사온라인 등 다른 웹사이트도 개발했다.[5][6]

2012년 1월, 국사편찬위원회는 조선왕조실록을 2033년까지 영어로 번역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14년에 초기 예산 5억으로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었지만, 사업 완성을 위해 400억의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7] 이는 일반 대중이 조선왕조실록승정원일기를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국 역사 정보화 사업이다.[8][9][10]

5. 2. 역사 교과서 관련

국사편찬위원회는 중·고등학교 역사 교과서 감수 및 인증을 담당한다.[3] 2015년부터 최몽룡 교수(한국 고고학)와 신형식 교수(고대 한국사) 등 명예 역사학 교수 두 명이 2017년부터 사용될 국가 편찬 역사 교과서의 주 저자로 활동했다. 각 분야 최고 수준 학자들이 다른 시대에 대해서도 주 저자로 선정되었고, 총 36명의 팀이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역사 교사들은 자문 및 일부 집필에 참여했고, 집필 완료 후에는 각 시대 전문가 검토 및 관련 기관 편집이 이루어졌다. 과거에는 정부 승인을 받은 8개 사립 출판사 교과서를 학교에서 선택했으나, 정부는 기존 교과서가 친북적 서술로 좌편향되었다고 주장하며 단일 국정 교과서 채택을 추진했다.

이러한 국정 교과서 추진은 교과서 독점 및 근대사 교육에 대한 이념 전쟁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야당, 역사학자, 교육자들의 거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황우여 교육부 장관은 다양한 견해 포함 및 여러 배경의 전문가 참여를 약속했으나, 대부분의 진보 역사학자들이 프로젝트 참여를 거부하여 이행 가능성은 불투명했다. 지역 교육청 교육감, 교수, 중·고등학교 교사 등 약 6만 명이 반대 청원에 서명하며 정부에 교과서 제작자에게 더 많은 자유를 줄 것을 주장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베트남 등 소수 국가만이 국정 역사 교과서를 사용한다.

2016년 11월, 중·고등학생용 교과서 3종 초안이 공개되었다. 이 책들은 "올바른 역사 교과서"로 불렸으며, 국가 정통성 주장 및 정치적 편향 제거를 목표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시민 단체들은 이 교과서가 독재자를 미화한다고 비판하며 공식 교과서로 인정하지 않겠다고 밝혔다.[11]

5. 3. 기타 사업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기관으로서, 국사편찬위원회는 중·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역사 교과서의 감수를 담당하며, 이를 인증한다.[3] 또한 정부 관계자와 초·중·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더불어 고대 중국어 및 근대 일본어로 작성된 역사 문헌의 번역 전문가 양성을 위한 학교도 운영하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연 4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을 주관하고 감독하며, 매년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사 경시대회를 후원한다.

국사편찬위원회는 유관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역사 자료의 조사, 수집, 전시, 공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및 인터넷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한국사 데이터베이스[4]는 중요한 역사 자료의 원문을 제공하며, 이는 연대순으로 디지털화되어 국민들이 필요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국사 대중화를 위해 국사넷 및 한국사온라인 등 다른 웹사이트도 개발했다.[5][6]

국사편찬위원회의 주요 업무는 다음과 같다.[12]

업무 내용
국내외 사료의 조사·수집·보존을 위한 장기 계획 및 연차 계획 수립·시행
한국사 연구·편찬·연수·보급을 위한 장기 계획 및 연차 계획 수립·시행
한국사 연수 및 사료 관리 전문 인력 양성
한국사 정보화를 위한 장기 계획 및 연차 계획 수립·시행
한국사 및 사료 관련 기관 간의 협력 및 조정
국가 중요 사료 소유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열람·복제 요청 및 국가 중요 사료의 보존·관리·편찬
기타 사료 조사·수집·보존·편찬 및 한국사 연구·편찬·연수·보급


6. 위치

경기도 과천시에 위치해 있다.[3]

7. 비판

국사편찬위원회가 발행한 영어 한국사 책인 'The History of Korea'에 많은 문법적 오류가 있다.[27]

참조

[1] 웹사이트 국사편찬위원회 (國史編纂委員會) http://100.empas.com[...] Empas / EncyKorea
[2] 웹사이트 President's Preface http://www.history.g[...]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3] 웹사이트 Location https://www.history.[...] 2023-06-19
[4] URL http://db.history.go[...] 2023-04-01
[5] URL http://contents.hist[...] 2023-04-01
[6] URL http://koreanhistory[...] 2023-04-01
[7] 뉴스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o be translated http://koreajoongang[...] 2012-01-16
[8] 웹사이트 국사편찬위원회 https://terms.naver.[...] 2021-06-05
[9] URL http://sjw.history.g[...] 2023-04-01
[10] URL http://sillok.histor[...] 2023-04-01
[11] 웹사이트 Ministry unveils state-issued history textbook https://www.koreaher[...] 2022-12-07
[12] 문서 「史料の収集・編纂及び韓国史の普及等に関する法律」第5条
[13] 문서 「教育科学技術部とその所属機関職制」第24条・別表2、「史料の収集・編纂及び韓国史の普及等に関する法律」第6条
[14] 문서 교육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시행규칙 별표2
[15] 문서 한국사 연구의 심화와 체계적인 발전을 위하여 교육부장관 소속으로 국사편찬위원회를 둔다.
[16] 문서 대통령령 제147호
[17] 문서 대통령령 제2020호
[18] 문서 대통령령 제12312호
[19] 문서 대통령령 제13282호
[20] 문서 대통령령 제17115호
[21] 문서 대통령령 제20740호
[22] 문서 대통령령 제24423호
[23] 문서 서기관으로 보한다.
[24] 문서 고위공무원단 나등급에 속하는 편사연구관으로 보한다.
[25] 문서 임기제공무원으로 보할 수 있다.
[26] 문서 편사연구관 또는 교육연구관으로 보한다.
[27] 뉴스 '국제 망신' 대형사고..이 영어 책 당장 수거해! http://www.newdaily.[...] 뉴데일리 2011-0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