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비숍 클라크 제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숍 클라크 제도는 남극해에 위치한 무인도이다. 이 섬은 1965년, 1976년, 1993년 세 차례에 걸쳐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상륙한 기록이 있다. 매쿼리섬가마우지가 서식하고, 검은눈썹알바트로스 군집이 발견되었으며, 관다발식물로는 콜로반투스 무스코이데스가 유일종으로, 지의류는 두 종이 기록되어 있다. 태즈메이니아 공원 야생동물 관리국 산하 매쿼리섬 자연보호구역의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1997년 저지 클라크 제도, 매쿼리섬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즈메이니아주의 섬 - 저지 클라크 제도
  • 태즈메이니아주의 섬 - 매쿼리섬
    매쿼리섬은 오스트레일리아 남동쪽 태즈메이니아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1810년 발견되어 영국령으로 선포되었고, 1997년 지구 맨틀 암석 노출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으며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한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보호 지역 - 오스트레일리아의 곤드와나 열대우림 지역
    오스트레일리아의 곤드와나 열대우림 지역은 1억 8천만 년 전 곤드와나 초대륙의 지형과 생태계를 보존하며 희귀 동식물의 서식지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고, 현재는 국립공원 및 보호 구역으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는, 지구 역사와 생태계 진화에 중요한 지역이다.
  • 오스트레일리아의 보호 지역 - 저지 클라크 제도
  • 태평양의 섬 - 태평양 제도
    태평양 제도는 태평양에 위치한 섬들을 통칭하며, 뉴기니섬, 혼슈, 술라웨시섬 등 면적이 넓은 섬들이 다양한 국가에 속해 있고, 한국과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 태평양의 섬 - 코코섬
    코스타리카 푼타레나스 주에 속한 코코섬은 화산 활동과 지각판 운동으로 생성된 태평양 해양섬으로, 국립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었으며 풍부한 동식물상과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스쿠버 다이빙 명소이자 해적 보물 전설로 유명하다.
비숍 클라크 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위치 정보
위치태평양 남서부
일반 정보
다른 이름Bishop and Clerk Islets (영어)
군도해당 없음
주요 섬해당 없음
면적0.6km² (60 헥타르)
해안선 길이33km
최고점45m
인구무인도
행정 구역
국가오스트레일리아
태즈메이니아주
지방 정부휴온밸리 의회
시간대
시간대AEST
UTC 오프셋+10:00
일광 절약 시간AEDT
UTC 오프셋 (하계)+11:00
지정 정보
지정 종류세계유산
지정 연도1997년 (21회 회의)
지정 기준자연 (vii, viii)
지정 번호629
지역아시아-태평양

2. 역사

비숍 클라크 제도는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인간의 접근이 매우 제한적이었다. 현재까지 알려진 공식적인 상륙 기록은 극소수에 불과하며, 이는 주로 헬리콥터를 이용한 탐사 활동을 통해 이루어졌다.[1] 섬의 험준한 환경은 지속적인 인간 활동이나 정착을 어렵게 만드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2. 1. 상륙 기록

지금까지 이 섬에 상륙한 기록은 총 세 차례에 불과하며, 모두 선박에서 헬리콥터를 이용해 접근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상륙은 1965년에 비숍섬에서 50m 떨어진 바위에서 이루어졌다. 이후 1976년과 1993년에는 비숍섬 본섬에 직접 상륙하였다.[1]

3. 생태

비숍 클라크 제도는 태즈메이니아 공원 야생동물 관리국 산하의 매쿼리섬 자연보호구역에 속해 있으며, 그중에서도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매쿼리섬, 저지 클라크 제도와 함께 1997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12][13]

3. 1. 동물

매쿼리섬에 서식하는 매쿼리가마우지(학명 ''Leucocarbo purpurascens'')가 이곳에서도 둥지를 트는 것이 확인되었다. 1965년에는 검은눈썹알바트로스(학명 ''Thalassarche melanophris'') 군집이 발견되었다.[11][7]

3. 2. 식물

비숍 클라크 제도에서 기록된 유일한 관다발식물은 개미자리속의 콜로반투스 무스코이데스(''Colobanthus muscoides'')이다. 또한 두 종의 지의류가 기록되어 있다.

4. 보호 및 관리

태즈메이니아 공원 야생동물 관리국 산하의 매쿼리섬 자연보호구역에 속해 있으며, 그 중에서도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1997년에는 매쿼리섬, 저지 클라크 제도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12][13]

참조

[1] 웹사이트 ACAP Breeding Site No. 66. Bishop and Clerk Islets: Australia's southernmost albatross colony http://www.acap.aq/e[...] 2014-12-05
[2] 논문 The avifauna of Bishop and Clerk islets and its relationship to nearby Macquarie Island http://eprints.utas.[...] 2014-12-05
[3] 웹사이트 Macquarie Island World Heritage Area http://www.parks.tas[...] 2016-07-09
[4] 웹사이트 World Heritage Places - Macquarie Island - Outstanding Universal Value http://www.environme[...] Australian Government 2014-12-05
[5] 웹사이트 Macquarie Island https://whc.unesco.o[...] UNESCO 2016-07-08
[6] 서적 Macquarie Island Nature Reserve and World Heritage Area Management Plan http://www1.parks.ta[...] Tasmanian Government
[7] 논문 Genetic affinities of newly sampled populations of Wandering and Black-browed Albatross 2005
[8] 저널 http://eprints.utas.[...] 2014-12-05
[9] 웹인용 http://www.parks.tas[...] 2016-07-09
[10] 서적 인용 http://www1.parks.ta[...]
[11] 저널
[12] 웹인용 http://www.environme[...] 2014-12-05
[13] 웹인용 https://whc.unesco.o[...] 2016-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