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스도르프쥐트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스도르프쥐트역은 베를린 지하철 5호선(U5)의 역이다. 승강장은 1, 2, 3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번 승강장은 알렉산더플라츠, 중앙역 방면, 2번 승강장은 회노 방면으로 운행한다. 3번 승강장은 회노행 열차의 임시 종착역으로 사용된다. 인접한 역으로는 티어파르크역(중앙역 방면)과 엘스터베르다어 플라츠역(회노 방면)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르찬헬러스도르프구의 건축물 - 베를린 불레탈역
베를린 불레탈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철도역으로, S반 5호선과 U반 5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며, 불레강에서 이름을 따왔고, 1989년에 개통되어 U반에서 가장 긴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마르찬헬러스도르프구의 건축물 - 회노역
회노역은 1989년 U5 노선 연장과 함께 개통된 베를린 지하철역이며, 동쪽에 위치하고 1상대 1섬식 2면 3선의 두단식 승강장과 유치선을 갖추고 있다. - 베를린 지하철 5호선 - 베를린 브란덴부르거 토어역
베를린 브란덴부르거 토어역은 베를린의 환승역으로, 과거 운터 덴 린덴역으로 개통되었으나 장벽 건설로 유령역이 되었다가 재통일 후 재개방 및 개명되었으며, 주변에 주요 명소가 있다. - 베를린 지하철 5호선 - 베를린 불레탈역
베를린 불레탈역은 독일 베를린에 있는 철도역으로, S반 5호선과 U반 5호선이 만나는 환승역이며, 불레강에서 이름을 따왔고, 1989년에 개통되어 U반에서 가장 긴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 1988년 개업한 철도역 - 양원역 (봉화)
양원역은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한 영동선 철도역으로, 지역 주민들의 노력으로 설치된 임시승강장에서 시작하여 백두대간협곡열차 등이 정차하는 지상역이 되었으며, 역명은 마을 이름에서 유래했고, 2021년에는 역 설치 과정을 다룬 영화가 제작되기도 했다. - 1988년 개업한 철도역 - 금정역
금정역은 1988년에 개통하여 수도권 전철 1호선과 4호선이 지나는 환승역이며, 안산선, 과천선, 경부선이 지나가고, 4호선 및 1호선 급행과 완행 열차가 정차하며, 2019년 12월 30일부터 1호선 급행열차가 추가 정차한다.
비스도르프쥐트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역명 | 비스도르프쥐트 |
원어 역명 | U-Bahnhof Biesdorf-Süd (독일어) |
노선 | U5 |
승강장 | 2면 3선 섬식 승강장 |
위치 | 베를린 마르찬헬러스도르프구 |
구조 | 지상 |
개업일 | 1988년 7월 1일 |
영업 거리 | 알렉산더플라츠 기점 10.2 km |
운영 정보 | |
이전 역 | 티어파르크 |
다음 역 | 엘스터베르다어 플라츠 |
이전 역 간 거리 | 1.9 km |
다음 역 간 거리 | 1.1 km |
코드 | |
역 코드 | Bü |
2. 역 구조 및 특징
비스도르프쥐트역은 U5 노선이 운행하는 역이다. 승강장은 중앙역 방면과 회노 방면으로 나뉘어 있으며,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예비 승강장도 갖추고 있다.[2]
2. 1. 승강장
승강장 구조는 다음과 같으며, 왼쪽이 서쪽(엘스터베르다어 플라츠역 방면), 오른쪽이 동쪽(티어파르크역 방면)이다. 3번 승강장은 역 동쪽으로 단선 인상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회노발 중간 종착 열차용 승강장으로 계획되었으나,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않고 임시 운행 시에만 사용한다.[2]
2. 2. 인접 철도역
(중앙역 방면)(회노 방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