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토렌트 트래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트토렌트 트래커는 비트토렌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서버로, 토렌트 파일에 대한 피어(peer)들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트래커는 공개 트래커와 비공개 트래커로 나뉘며, 비공개 트래커는 사용자 등록 및 초대 시스템을 통해 운영되기도 한다. 트래커는 저작권 침해 문제와 관련하여 법적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하며, 저작권법상 자유 배포, 퍼블릭 도메인, 공정 사용 등의 예외 조항이 적용될 수 있다. 트래커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멀티 트래커와 트래커 없는 토렌트 방식이 사용되며, IPv6 주소를 지원해야 한다. 다양한 트래커 소프트웨어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트토렌트 - 제로넷
제로넷은 중앙 서버 없이 P2P 방식으로 운영되어 검열에 저항성을 가지며 사용자가 직접 콘텐츠를 공유할 수 있는 분산 네트워크 플랫폼으로, 웹사이트 개발이 가능하고 제로넷-컨서번시 포크를 통해 기능 추가 및 새로운 P2P 네트워크로의 마이그레이션이 진행 중이다. - 비트토렌트 - 웹토렌트
웹토렌트는 WebRTC 기반으로 브라우저에서 피어 투 피어 파일 공유 및 스트리밍을 가능하게 하는 비트토렌트 프로토콜이다. - 서버 - 슈퍼 서버
슈퍼 서버는 TCP 래퍼를 통해 접근 권한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다른 서버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메모리 사용량 감소 및 시스템 관리 효율성을 높이지만, 높은 연결 요청 빈도에서는 성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으며, inetd, launchd, systemd, ucspi-tcp, xinetd 등이 대표적인 구현체이다. - 서버 - 씨마이크로
씨마이크로는 2007년 설립되어 투자 유치 후 AMD에 인수된 서버 개발 회사로, SM10000, SM15000 시리즈 등의 제품을 개발하고 버라이즌과의 협력 및 여러 수상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 응용 계층 프로토콜 -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RTP)은 스트리밍 미디어의 실시간 전송을 위해 설계된 프로토콜로, IP 네트워크에서 오디오/비디오 전송의 표준으로 사용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타임스탬프, 순서 제어, QoS 피드백 등을 제공한다. - 응용 계층 프로토콜 - D-Bus
D-Bus는 2002년에 시작된 프로세스 간 통신 시스템으로, 시스템 버스와 세션 버스를 통해 정보 공유, 모듈성, 권한 격리를 제공하며, 일대일 요청-응답 및 발행/구독 통신 방식을 지원한다.
| 비트토렌트 트래커 |
|---|
2. 트래커의 종류
비트토렌트 트래커는 공개 여부에 따라 공개 트래커와 비공개 트래커로 나뉜다.
2. 1. 공개 트래커 (Public Trackers)
공개 트래커는 누구나 기존 토렌트에 트래커 주소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오픈비트토렌트와 같이 새로 생성된 모든 토렌트에서 사용할 수 있다. 더 파이럿 베이는 2009년 법적인 문제로 인해 운영이 중단되기 전까지 가장 인기 있는 공개 트래커 중 하나였다.[1]2. 2. 비공개 트래커 (Private Trackers)
비공개 트래커는 사이트에 등록된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는 비트토렌트 트래커이다. 대부분 초대 시스템을 통해 신규 사용자를 받거나, 인터뷰 과정을 거쳐 가입을 허용한다.[5][2]3. 트래커의 법적 문제
비트토렌트 트래커는 저작권 침해 문제와 관련하여 법적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저작권법 위반으로 처벌받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헤비 업로더에 대한 처벌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3. 0. 1. 자유 배포
저작권자는 자신의 작품을 자유롭게 배포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누구나 자신의 자료를 업로드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전용 저작권 라이선스가 제공된다. 이러한 라이선스는 온라인 커뮤니티처럼 저작권 소유자가 많은 상황에서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이미지 형식의 자유 문화 작품을 위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제품군과 BSD 라이선스 등과 같은 자유 소프트웨어/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있다. 위키백과 자체도 같은 이유로 비트토렌트를 통해 배포될 수 있다.[1]3. 0. 2. 퍼블릭 도메인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여 더 이상 저작권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작품은 자유롭게 배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구텐베르크는 정기적으로 저작권이 만료된 고전 문화 작품을 수집하고 출판한다.3. 0. 3. 공정 사용
저작권이 있는 자료 또는 그 일부를 배포하는 것이 합법적인 여러 상황이 있다.- '''자유 배포'''. 저작권자는 자신의 작품의 자유 배포를 허용할 수 있다. 자체 자료를 업로드하려는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는 전용 저작권 라이선스가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라이선스는 온라인 커뮤니티와 같이 저작권 소유자가 많은 상황에서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텍스트, 오디오, 비디오 또는 이미지 형식의 자유 문화 작품을 위한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제품군, 또는 BSD 라이선스 등과 같은 자유 소프트웨어 /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에 대한 소프트웨어 라이선스가 있다. 위키백과 자체도 같은 이유로 비트토렌트를 통해 배포될 수 있다.
- '''퍼블릭 도메인'''.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여 더 이상 저작권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 작품도 합법적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트 구텐베르크는 정기적으로 저작권이 만료된 고전 문화 작품을 수집하고 출판한다(이는 작품이 이전에 출판된 국가에 따라 다름).
- '''공정 사용'''. 일부 국가에는 저작권법에 공정 사용 조항이 있어 사람들이 법을 위반하지 않고 특정 종류의 저작권이 있는 자료에 접근하고 사용할 권리를 허용한다.
"보안" 트래커 시스템을 사용하여 비트토렌트를 통해 배포되는 콘텐츠를 합법적으로 판매하는 실험도 있다.
4. 트래커의 신뢰성 향상
트래커는 손상된 비트토렌트 "스웜"의 주요 원인이다.[1] 다른 원인으로는 손상되거나 해킹된 클라이언트가 손상된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가 있다.[1] 트래커의 신뢰성은 비트토렌트 프로토콜의 두 가지 주요 혁신, 즉 멀티 트래커 및 트래커 없는 토렌트를 통해 개선되었다.[1]
4. 1. 멀티 트래커 (Multi-tracker torrents)
멀티 트래커 토렌트는 단일 토렌트 파일에 여러 개의 트래커를 포함한다. 이는 하나의 트래커가 실패할 경우 다른 트래커가 해당 토렌트에 대한 스웜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중복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의 한 가지 단점은 일부 사용자가 특정 트래커에는 연결할 수 있지만 다른 트래커에는 연결할 수 없는 경우, 단일 토렌트에 대해 여러 개의 연결되지 않은 스웜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토렌트가 설명하는 파일을 전송하는 효율성을 저해할 수 있는 분리된 집합을 생성할 수 있다. 피어 교환 및 DHT와 같은 추가 확장은 그렇지 않으면 분리된 피어 그래프를 빠르게 병합하여 이러한 영향을 완화한다.4. 2. 트래커 없는 토렌트 (Trackerless torrents)
Vuze(구 Azureus)는 분산 해시 테이블(DHT) 방식을 통해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한 최초의 비트토렌트 클라이언트였다. 이와는 다른, 호환되지 않는 DHT 시스템인 메인라인 DHT(Mainline DHT)가 동시에 개발되었으며, 이후 비트토렌트(메인라인), μTorrent, Transmission, rTorrent, KTorrent, BitComet, Deluge 클라이언트에서 채택되었다.현재 버전의 공식 비트토렌트 클라이언트인 μTorrent, BitComet, Transmission 및 BitSpirit은 모두 메인라인 DHT와 호환된다. 두 DHT 구현 모두 Kademlia를 기반으로 한다. Vuze는 버전 3.0.5.0부터 자체 분산 데이터베이스 외에도 선택적 애플리케이션 플러그인인 MainlineDHT Plugin을 사용하여 메인라인 DHT를 지원한다. 이를 통해 Vuze 클라이언트는 더 큰 스웜에 도달할 수 있다.
대부분의 비트토렌트 클라이언트는 트래커 및 DHT 외에도 피어 교환(PeX)을 사용하여 피어를 수집한다. 피어 교환은 알려진 피어에게 다른 피어를 알고 있는지 확인한다. Vuze 3.0.5.0 릴리스부터 모든 주요 비트토렌트 클라이언트는 호환되는 피어 교환 기능을 갖추고 있다.
5. IPv6 지원
HTTP 기반 트래커 프로토콜의 옵션 중 하나는 "compact" 플래그이다. BEP 23[3]에 정의된 이 플래그는 트래커가 IPv4 주소를 4바이트(32 비트) 집합으로 인코딩하여 응답을 압축할 수 있도록 지정한다.
하지만 IPv6 주소는 128 비트 길이이므로 "compact"는 IPv6 지원을 깨뜨린다. 이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클라이언트와 트래커는 IPv6를 통해 compact announce 사용을 피하거나 BEP 07[4]을 구현해야 한다.
6. 트래커 소프트웨어
오픈트래커는 디르크 엥글링이 개발한 것으로, 더 파이럿 베이 트래커를 구동했던 소프트웨어이다.
qBittorrent는 자체 트래커 지원 기능이 있는 오픈 소스 비트토렌트 클라이언트이다.
비토리우스는 웹 기반 관리 포털이 통합된 오픈 소스, 상업적 지원 트래커이다.
참조
[1]
웹사이트
Understanding Peer Exchange in BitTorrent Systems - New York University
https://cse.engineer[...]
2022-12-22
[2]
뉴스
Trading BitTorrent Tracker Invites, Commodity or Curse?
http://torrentfreak.[...]
2010-10-23
[3]
웹사이트
Tracker Returns Compact Peer Lists
http://bittorrent.or[...]
2017-02-28
[4]
웹사이트
IPv6 Tracker Extension
http://bittorrent.or[...]
2017-02-28
[5]
뉴스
Trading BitTorrent Tracker Invites, Commodity or Curse?
http://torrentfreak.[...]
2010-1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