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빙붕은 육지에서 시작된 두꺼운 얼음 덩어리가 해안으로 뻗어 나와 바다 위를 떠다니는 얼음 덩어리이다. 빙하의 브레이크 역할을 하며, 빙하의 융해량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 남극과 북극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붕괴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남극에는 로스 빙붕, 론네 빙붕, 필히너 빙붕 등이 있으며, 북극에서는 엘즈미어 섬 주변 빙붕이 붕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빙하학 - 빙상
빙상은 지구에 존재하는 거대한 얼음 덩어리로, 중력, 온도, 기저 강도에 의해 역학이 결정되며, 빙하류나 빙붕을 통해 얼음을 배출하고 해양 빙상 불안정성, 해양 빙벽 불안정성 등의 요인으로 붕괴되어 해수면 상승과 지구 탄소 순환에 영향을 미치고 과거 빙하기-간빙기 주기에 따라 성장과 붕괴를 반복했다. - 빙하학 - 해빙
해빙은 양극 해역에서 생성되어 계절에 따라 면적이 변하는 얼음으로, 북극의 다년빙과 남극의 일년빙으로 나뉘며, 지구 온난화로 인해 면적이 급감하여 극지방 생태계와 기후 시스템에 영향을 미친다. - 빙설 현상 - 빙상
빙상은 지구에 존재하는 거대한 얼음 덩어리로, 중력, 온도, 기저 강도에 의해 역학이 결정되며, 빙하류나 빙붕을 통해 얼음을 배출하고 해양 빙상 불안정성, 해양 빙벽 불안정성 등의 요인으로 붕괴되어 해수면 상승과 지구 탄소 순환에 영향을 미치고 과거 빙하기-간빙기 주기에 따라 성장과 붕괴를 반복했다. - 빙설 현상 - 서리
서리는 지면이 냉각되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붙어 얇은 얼음 결정이 생기는 현상으로, 농작물에 피해를 주기도 하며, 농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빙붕 | |
---|---|
개요 | |
유형 | 육지에 붙어 있거나 떠 있는 두꺼운 빙하 덩어리 |
두께 | "" (100~1000 미터) |
상세 정보 | |
설명 | 육지에서 바다로 흘러내려 떠 있는 얼음 덩어리 |
관련 용어 | 선반얼음 (Shelf ice) 바다얼음 (Sea ice) |
2. 정의
빙붕이란 육지에서 시작된 상당히 두꺼운 얼음 덩어리가 해안에서 뻗어 나와 (보통 수평으로 매우 넓으며 표면이 매우 완만하게 경사진) 빙상의 흐름으로 인해 생긴 것으로, 처음에는 눈의 축적으로 형성되었으며 종종 빙상의 해안선에 있는 만을 채운다.[4]
빙붕은 빙하에 의해 지속적으로 형성되는 두꺼운 얼음판으로, 바다 위에 떠 있다. 빙붕은 빙하의 "브레이크" 역할을 하며, 빙하 표면에서 발생하는 융해량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빙붕이 제거되면, 빙하는 녹는 물의 침투 및 제동력 감소로 인해 속도가 증가하며, 눈이 내리는 지역에서 눈으로 모으는 양보다 더 많은 얼음을 바다로 쏟아내기 시작할 수 있다. 빙하 속도 증가는 이미 이전 몇 년 동안 빙붕이 붕괴된 반도 지역에서 관찰되고 있다.[5]
반면, 해빙은 물 위에서 형성되며 훨씬 얇고 (일반적으로 3m 미만) 북극해 전역에서 형성된다. 또한 남극 대륙 주변의 남극해에서도 발견된다.
'포획된 빙붕'이라는 용어는 보스토크 호와 같은 빙하 호수 위의 얼음에 사용되었다.
3. 특징
3. 1. 높이
빙하 얼음과 액체 물 사이의 밀도 차이로 인해, 떠다니는 얼음의 최소 1/9는 해수면 위에 있으며, 이는 압축된 눈에서 기인하는 빙하 얼음 내 기포에 얼마나 많은 가압 공기가 포함되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위 분모의 공식은 이며, 차가운 해수의 밀도는 약 1028kg/m3이고 빙하 얼음의 밀도는 약 850kg/m3[6][7]에서 기포가 없는 매우 차가운 얼음의 한계인 920kg/m3 미만이다.[8][9] 만약 빙하 얼음 위에 밀도가 훨씬 낮은 피른과 눈이 많이 있다면, 해수면 위의 선반의 높이는 훨씬 더 커질 수 있다.
4. 지역별 빙붕
캐나다에는 다음과 같은 빙붕이 있다.
- 아일스 빙붕(아일스)
- 밀른 빙붕(밀른)
- 워드헌트 빙붕(워드헌트)
- 맥클린톡 빙붕(맥클린톡)
- 마크햄 빙붕(마크햄)
- 서슨 빙붕(서슨)
- 엘즈미어 빙붕 - 분열
2001년 현재, 남극에는 다음과 같은 빙붕이 있다.
- 로스 빙붕(Ross)
- 론네 빙붕(Ronne)
- 필히너 빙붕(Filchner)
- 아메리 빙붕(Amery)
- 라르센 빙붕(Larsen) (라르센 A·라르센 B는 빙산으로 분리, 라르센 C 빙붕만이 잔존)
- 리이서-라르센 빙붕(Riiser-Larsen)
- 핌불 빙붕(Fimbul)
- 섀클턴 빙붕(Shackleton)
- 조지 6세 빙붕(George VI)
- 웨스트 빙붕(West)
- 윌킨스 빙붕(Wilkins) (2009년 4월 5일 시점에서 남극 대륙으로부터의 분리가 확인[32])
- 게츠 빙붕(Getz)
- 쿡 빙붕(Cook)
- 돗슨 빙붕(Dotson)
- 코스그로브 빙붕(Cosgrove)
- 아보트 빙붕(Abbot)
- 베너블 빙붕(Venable)
- 바흐 빙붕(Bach)
- 프린스구스타프 빙붕(Prince Gustav)
- 브런트 빙붕(Brunt)
- 쿼 빙붕(Quar)
- 에크스트룀 빙붕(Ekström)
- 라자레프 빙붕(Lazarev)
4. 1. 남극

남극 빙붕은 남극 해안선의 상당 부분을 덮고 있으며, 총 면적은 1550000km2 이상이다.[11][12] 지구상 대부분의 빙붕은 남극에 있다.[13]
남극 빙붕은 정상 상태에서 질량의 약 절반은 기저 용융으로, 나머지 절반은 붕괴로 손실되지만, 각 과정의 상대적인 중요성은 빙붕에 따라 크게 다르다.[14][15] 최근 수십 년 동안 남극 빙붕은 새로운 얼음과 눈의 유입으로 보충되는 양보다 기저 용융과 붕괴로 잃는 질량이 더 많아 균형을 잃었다.[16]
4. 1. 1. 주요 빙붕
남극 빙붕 목록 참조남극 해안선의 상당 부분이 빙붕으로 덮여 있다.[11] 이들의 총 면적은 1550000km2 이상이다.[12] 지구상 대부분의 빙붕은 남극에 있다.[13]
정상 상태에서 남극 빙붕 질량의 약 절반은 기저 용융으로 손실되고, 절반은 붕괴로 손실되지만, 각 과정의 상대적인 중요성은 빙붕에 따라 크게 다르다.[14][15] 최근 수십 년 동안 남극의 빙붕은 새로운 얼음과 눈의 유입으로 보충되는 양보다 기저 용융과 붕괴로 잃는 질량이 더 많아 균형을 잃었다.[16]

2001년 현재의 빙붕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 | 면적 (km²) |
---|---|
로스 빙붕 | 472960km2 |
론네 빙붕 | 422420km2 |
필히너 빙붕 | |
아메리 빙붕 | 62620km2 |
라르센 빙붕 | 48600km2 |
리이서-라르센 빙붕 | 48180km2 |
핌불 빙붕 | 41060km2 |
섀클턴 빙붕 | 33820km2 |
조지 6세 빙붕 | 23880km2 |
웨스트 빙붕 | 16370km2 |
윌킨스 빙붕 | 13680km2 |
게츠 빙붕 | |
쿡 빙붕 | |
돗슨 빙붕 | |
코스그로브 빙붕 | |
아보트 빙붕 | |
베너블 빙붕 | |
바흐 빙붕 | |
프린스구스타프 빙붕 | |
브런트 빙붕 | |
쿼 빙붕 | |
에크스트룀 빙붕 | |
라자레프 빙붕 |
4. 1. 2. 기타 남극 빙붕
남극 빙붕 목록도 참조남극 해안선의 상당 부분이 빙붕으로 덮여 있다.[11] 이들의 총 면적은 1550000km2 이상이다.[12]
지구상의 모든 빙붕 중 거의 전부가 남극에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13]
정상 상태에서 남극 빙붕 질량의 약 절반은 기저 용융으로 손실되고, 절반은 붕괴로 손실되지만, 각 과정의 상대적인 중요성은 빙붕에 따라 크게 다르다.[14][15] 최근 수십 년 동안 남극의 빙붕은 새로운 얼음과 눈의 유입으로 보충되는 양보다 기저 용융과 붕괴로 잃는 질량이 더 많아 균형을 잃었다.[16]
2001년 현재의 빙붕 목록은 다음과 같다.
이름 |
---|
로스 빙붕 |
론네 빙붕 |
필히너 빙붕 |
아메리 빙붕 |
라르센 빙붕 (라르센 A·라르센 B는 빙산으로 분리, 라르센 C 빙붕만이 잔존) |
리이서-라르센 빙붕 |
핌불 빙붕 |
섀클턴 빙붕 |
조지 6세 빙붕 |
웨스트 빙붕 |
윌킨스 빙붕 (2009년 4월 5일 시점에서 남극 대륙으로부터의 분리가 확인[32]) |
게츠 빙붕 |
쿡 빙붕 |
돗슨 빙붕 |
코스그로브 빙붕 |
아보트 빙붕 |
베너블 빙붕 |
바흐 빙붕 |
프린스구스타프 빙붕 |
브런트 빙붕 |
쿼 빙붕 |
에크스트룀 빙붕 |
라자레프 빙붕 |
4. 2. 북극
북극 지역의 빙붕은 대부분 캐나다에 위치해 있다. 캐나다의 빙붕은 엘즈미어 섬에 있으며 알프레드 어니스트 빙붕, 워드 헌트 빙붕, 밀른 빙붕, 스미스 빙붕 등이 있다. 맥클린톡 빙붕은 1960년대, 아일스 빙붕은 2005년, 마크햄 빙붕은 2008년에 각각 붕괴되었다.[1] 러시아에는 세베르나야 제믈랴에 마투세비치 빙붕이 있었으나 2012년에 붕괴되었다.[18]4. 2. 1. 캐나다
캐나다의 모든 빙붕은 엘스미어 섬에 붙어 있으며 북위 82°N보다 북쪽에 위치해 있다. 현재까지 남아있는 빙붕은 알프레드 어니스트 빙붕, 워드 헌트 빙붕, 밀른 빙붕, 스미스 빙붕이 있다. M'Clintock 빙붕은 1963년부터 1966년까지 붕괴되었고, 아일스 빙붕은 2005년에 붕괴되었으며, 마크햄 빙붕은 2008년에 붕괴되었다. 남아있는 빙붕들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당한 면적을 잃었으며, 2020년 8월에 붕괴된 밀른 빙붕이 마지막으로 영향을 받았다.[1]4. 2. 2. 러시아
마투세비치 빙붕은 세베르나야 제믈랴에 위치한 222km2 크기의 빙붕으로, 10월 혁명 섬에서 가장 큰 빙모 중 일부인 남쪽의 카르핀스키 빙하와 북쪽의 루사노프 빙하로부터 공급받았다.[17] 2012년에 붕괴되었다.[18]5. 기후 변화의 영향
지난 수십 년 동안 빙하학자들은 칼빙, 용융, 그리고 일부 빙붕의 완전한 붕괴를 통해 빙붕 면적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관찰해 왔다. 스웨이츠 빙붕, 라르센 빙붕, 필히너-로네 빙붕(세 곳 모두 남극)과 북극의 엘즈미어 빙붕 붕괴는 잘 연구된 예시이다.[19]
기후 변화의 영향은 해빙과 빙상의 감소, 빙붕의 붕괴와 같은 냉동권의 변화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1995년과 2002년에 남극 라센 빙붕의 두 구역이 수백 개의 비정상적으로 작은 조각(폭이 수백 미터 이하)으로 붕괴되었고, 2017년에는 라센 C가 거대한 얼음 섬을 붕괴시켰다.[19]
- 워디 빙붕은 1950년 1500km2 면적에서 2000년 1400km2 면적으로 감소했다.[20]
- 구스타프 왕자 빙붕은 2008년에 1600km2 면적에서 1100km2 면적으로 감소했다.[20] 빙붕 소실 이후, 공급 빙하의 부벽이 줄어들면서 빙붕 붕괴 이후 내륙 빙괴의 속도가 예상대로 빨라졌다.[21]
- 로스 빙붕은 남극에서 가장 큰 빙붕이며, 면적은 대략 487000km2이고 너비는 약 800km이다. 이는 프랑스 크기와 비슷하다.[22]
- 윌킨스 빙붕은 상당한 후퇴를 겪은 또 다른 빙붕이다. 1998년 이 빙붕의 면적은 16000km2였는데, 그 해에 1000km2 면적이 손실되었다.[23] 2007년과 2008년에는 상당한 균열이 발생하여 추가로 1400km2 면적이 손실되었고, 일부 붕괴는 남반구 겨울에 발생했다. 붕괴는 표면 융해는 뚜렷하지 않았지만, 기저 융해로 인한 얇아짐과 같은 사전 조건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핀 고정 지점 연결의 강도가 감소했다. 얇아진 얼음은 이어서 균열이 확산되고 붕괴되었다.[24] 이 기간은 2009년 2월과 6월 사이에 본 빙붕과 샤코 섬을 연결하는 얼음 다리의 붕괴로 이어져 추가로 700km2 면적이 손실되면서 절정에 달했다.[25]
20세기 동안 엘스미어 빙붕은 90%나 감소하여 알프레드 어니스트 빙붕, 에일스 빙붕, 밀른 빙붕, 워드 헌트 빙붕, 마크햄 빙붕으로 분리되었다. 1986년 캐나다 빙붕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1959년에서 1974년 사이에 밀른 빙붕과 에일스 빙붕에서 48km2의 얼음이 떨어져 나갔다.[26] 에일스 빙붕은 2005년 8월 13일에 완전히 붕괴되었다. 엘스미어 섬 북부 해안선을 따라 두껍게(> 10m) 해빙의 가장 큰 잔해인 워드 헌트 빙붕은 1961~1962년 대규모 붕괴로 600km2의 얼음을 잃었다.[27] 1967년에서 1999년 사이에 두께가 27% (13m) 더 감소했다.[28] 2002년 여름, 워드 빙붕은 또 다른 주요 붕괴를 겪었고,[29] 2008년과 2010년에도 주목할 만한 사례가 발생했다.[30] 마지막으로 거의 온전하게 남아 있던 잔해인 밀른 빙붕도 2020년 7월 말에 결국 대규모 붕괴를 겪어 면적의 40% 이상을 잃었다.[31]
참조
[1]
서적
Dynamics of Ice Sheets and Glaciers
Springer
[2]
웹사이트
Glossary of Glacier Terms
http://ebeltz.net/gl[...]
2009-07-00
[3]
서적
Essentials of Geology, 3rd edition
[4]
보고서
Glossary
https://www.ipcc.ch/[...]
IPCC
2021-00-00
[5]
웹사이트
Larsen B Ice Shelf Collapses in Antarctica – National Snow and Ice Data Center
https://web.archive.[...]
2019-04-20
[6]
웹사이트
Glacial Processes
http://www.physicalg[...]
2018-01-21
[7]
학술지
Density of Glacier Ice
1960-00-00
[8]
웹사이트
Densification
https://web.archive.[...]
2009-09-11
[9]
웹사이트
Ice – Thermal Properties
https://www.engineer[...]
2018-01-21
[10]
웹사이트
Opposite Behaviors? Arctic Sea Ice Shrinks, Antarctic Grows
https://www.nasa.gov[...]
2012-10-23
[11]
학술지
Getting around Antarctica: new high-resolution mappings of the grounded and freely-floating boundaries of the Antarctic ice sheet created for the International Polar Year
2011-07-18
[12]
학술지
Calving fluxes and basal melt rates of Antarctic ice shelves
2013-10-03
[13]
보고서
Glossary
https://www.ipcc.ch/[...]
IPCC
2021-00-00
[14]
학술지
Ice-Shelf Melting Around Antarctica
https://escholarship[...]
2013-07-19
[15]
학술지
Calving fluxes and basal melt rates of Antarctic ice shelves
2013-10-03
[16]
학술지
Antarctic calving loss rivals ice-shelf thinning
2022-08-10
[17]
서적
Encyclopedia of the Arctic
[18]
학술지
Outlet glacier response to the 2012 collapse of the Matusevich Ice Shelf, Severnaya Zemlya, Russian Arctic
2015-10-01
[19]
뉴스
Scientists hope damage to Larsen C ice shelf will reveal ecosystems
https://www.theguard[...]
2018-01-05
[20]
학술지
Overview of areal changes of the ice shelves on the Antarctic Peninsula over the past 50 years
http://dro.dur.ac.uk[...]
[21]
학술지
Accelerated ice discharge from the Antarctic Peninsula following the collapse of Larsen B ice shelf
[22]
웹사이트
Antarctic Hazards – British Antarctic Survey
https://web.archive.[...]
2015-05-22
[23]
학술지
Changes of Wilkins Ice Shelf over the past 15 years and inferences on its stability
[24]
웹사이트
Ice Shelf Instability
http://www.realclima[...]
2016-08-07
[25]
뉴스
Satellite imagery shows fragile Wilkins Ice Shelf destabilised
http://www.esa.int/e[...]
European Space Agency
2009-06-13
[26]
간행물
Ice Island Calvings and Ice Shelf Changes, Milne Ice Shelf and Ayles Ice Shelf, Ellesmere Island, N.W.T.
http://pubs.aina.uca[...]
1986-03-00
[27]
학술지
The Ward Hunt Ice Shelf: recent changes of the ice front
[28]
학술지
Ice-shelf collapse, climate change, and habitat loss in the Canadian high Arctic
http://www.cen.ulava[...]
[29]
웹사이트
Breakup of the Ward Hunt Ice Shelf
http://earthobservat[...]
2004-01-20
[30]
웹사이트
Ward Hunt ice shelf calving – Canada.ca
https://www.canada.c[...]
2018-01-05
[31]
뉴스
Canada's last fully intact Arctic ice shelf collapses
https://www.reuters.[...]
2020-08-06
[32]
뉴스
남극의 위르키스 빙붕, 빙산으로의 분해가 진행 지구 온난화의 영향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09-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