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마양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양저는 춘추 시대 제나라의 장군으로, 군율을 확립하고 빼앗긴 영토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으나, 모함을 받아 관직에서 해임된 인물이다. 안영의 추천으로 등용된 그는 부관의 군령 위반을 엄격하게 처벌하여 군기를 바로잡았으며, 진나라와 연나라를 격퇴하고 빼앗긴 영토를 수복하여 대사마에 임명되었다. 이후 모함을 받아 해임된 후 병사하였으며, 그의 병법은 후대에 《사마법》으로 정리되어 영향을 미쳤다. 사마천은 사마양저를 높이 평가하여 《사기》에 열전을 수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6세기 작가 - 아이소포스
    아이소포스는 기원전 6세기경 고대 그리스에서 활동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우화 작가이지만, 실존 여부, 출생지, 노예 생활, 웅변술, 징조 해석 능력, 여러 인물과의 교류, 아테네에서의 활동, 사망 경위, 저술 여부, 외모, 아프리카 기원 등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 기원전 6세기 작가 - 손무
    손무는 춘추 시대 오나라의 군사 전략가로, 《손자병법》을 저술하여 전쟁과 전략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생애와 저작 시기에 대한 논쟁이 존재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제나라 사람 - 관중 (춘추)
    관중은 춘추 시대 제나라의 재상으로, 정치, 경제 개혁을 통해 제 환공을 패자로 만들었으며, 법가 사상을 바탕으로 제나라를 부강하게 만들고 후대에도 영향을 미쳤다.
  • 제나라 사람 - 손빈
    손빈은 중국 전국 시대 제나라의 군사 전략가로, 손무의 후손이며, 방연의 모함으로 다리가 잘리는 형벌을 받았으나 제나라로 망명하여 계릉 전투와 마릉 전투에서 뛰어난 지략을 발휘, 위나라 군대를 격파하는 데 기여했고 그의 군사 사상은 《손빈병법》에 담겨 중국 병법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사마양저
기본 정보
사마양저
사마양저
전(田)
양저(穰苴)
시호무(武)
존칭사마(司馬)
생몰년도기원전 7세기 ~ 기원전 6세기
출생지제나라
사망지제나라
활동 시기춘추 시대
주요 활동군사
관직장군
사마
봉호양저(穰苴)
군사적 경력
주요 전투거읍 전투
저서
병법서사마법

2. 생애

사마양저는 안영의 추천으로 장군이 되었으나, 귀족 포씨(鮑氏), 고씨(高氏), 국씨(國氏) 등에게 모함을 받아 관직에서 해임되었고, 그 후 병으로 사망했다. 이 일로 전기(田忌)와 전표(田豹)는 고씨와 국씨 일족을 원망하게 되었고, 훗날 전상(田常)이 간공(簡公)을 죽였을 때 고씨·국씨 일족을 모두 죽였다. 또한 전상의 손자 전화는 제나라 위왕이 되었다.

제 위왕은 사마양저의 병법을 존경하고 흠모하여 학자들에게 그의 병법을 연구하게 하였고, 《사마법》이라는 병법서를 편찬하게 하였다.

2. 1. 초기 생애와 등용

안영이 경공에게 사마양저를 추천하면서 그의 초기 생애가 시작되었다. 당시 제나라는 오랜 내란 끝에 경공이 즉위하고, 명신 안영이 그를 보좌하고 있었다. 진나라에서 망명해 온 귀족인 전씨 세력이 커지면서 기존 귀족들의 질시와 경계가 심해지고 있었다. 그러던 중 제나라는 진나라와 연나라에게 공격받아 영토를 빼앗겼고, 경공은 이를 해결하고자 했다.

안영은 "양저는 전씨의 첩의 자식이지만, 문덕(文德)은 병사를 일으키고, 무덕(武德)은 적을 위압합니다. 주공께서 사마양저를 시험해 보시옵소서."라고 진언했다. 경공은 사마양저와 병법에 대해 논의한 후 그를 장군에 임명하려 했다. 그러나 사마양저는 자신이 천한 신분이므로 아랫사람들이 경시할 것을 우려하여, 경공의 총신을 부관으로 삼아달라고 요청했다. 경공은 이를 허락하여 장고(莊賈)를 임명했다.

사마양저는 장고와 다음 날 정오에 군문에서 만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장고는 자신이 고귀한 신분임을 믿고 친척, 고관들과 송별 연회를 하느라 늦게 나타났다. 사마양저는 장고가 없는 동안 군을 정돈하고 해가 저물어서야 장고가 도착했고, 늦은 이유를 묻자 "친척과 고관들이 송별회를 열어 주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에 사마양저는 "장군은 출격 명령을 받으면 가족을 잊고, 군중에서는 친척을 잊고, 전장에서는 자신을 잊는다"고 말하며, 장고를 군법에 따라 처형하려 했다. 장고는 경공에게 사자를 보내 구원을 요청했지만, 사마양저는 사자가 돌아오기 전에 장고를 처형했다. 이 사건으로 군대의 규율은 엄숙해졌다.

그 후 경공의 사자가 장고를 용서하라는 명령을 전했지만, 사마양저는 "'''장군이 군중에 있을 때는 비록 주공의 명령이라도 받지 않는 것입니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고 사자를 쫓아냈다.

사마양저는 병사들과 함께 행동하고 식사하며, 약한 자에게도 상냥하게 대했다. 그 결과 병사들의 신뢰를 얻었고, 부상병들까지 출진을 원했다. 진·연 연합군은 퇴각했고, 사마양저는 추격하여 잃어버린 영토를 모두 회복했다. 제 경공은 사마양저를 대사마에 임명했다.

2. 2. 장고 처형과 군율 확립

사마양저는 "저는 본래 낮은 지위에 있었기에, 장군으로 임명되어도 아랫사람들이 저를 얕볼 것입니다. 그러므로, 임금님의 총신으로서 여론의 지지를 받는 자를 고문으로 삼게 해 주십시오."라고 경공에게 말했고, 경공은 이를 허락하여 장자를 그 직무에 임명했다.

사마양저와 장자는 "내일 정오에 군문에서" 만나기로 약속하고 헤어졌다. 그러나 장자는 "고귀한 내가 군을 통솔하는 것이다"라고 생각하고, 친척과 고관들과 송별 연회를 열어 다음 날 정오에 나타나지 않았다. 사마양저는 장자가 오지 않는 동안 군을 정비하고 군기를 전군에게 보여주었다. 해가 저물어서야 장자가 도착했다. 사마양저는 어째서 늦었는지 이유를 물었다. 그러자 장자는 "친척과 고관들이 송별 연회를 열어 주어 늦었습니다."라고 말했다.

이 말을 들은 사마양저는 "장군은 일단 출격을 명받으면 가족의 일을 잊고, 군중에 있어서는 친척을 잊고, 전장에서는 자신의 안전을 잊는다고 한다. 지금, 적군은 깊숙이 우리나라에 침입하여 국내는 소란스럽고, 병사들은 몸을 풍우에 노출시켜 싸우고 있으며, 임금님조차 걱정으로 식사도 제대로 못하고, 밤에도 잠을 못 이루시는 지경인데, 송별 연회 따위로 출진에 늦다니, 도대체 무슨 짓인가!!"라고 격노하며, 군법에 따라 장자를 처형하려 했다. 두려워진 장자는 경공에게 사자를 보내 용서를 구하려 했지만, 그 사자가 돌아오기 전에 사마양저는 장자를 처형했다. 이 일로 병사들은 긴장했고, 군기는 엄숙해졌다.

이후, 경공으로부터 사자가 돌아와 장자를 용서하라고 했지만, "'''장군이 군에 있을 때는, 임금의 명령도 받지 않는 경우가 있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고, 사자를 내쫓았다.

2. 3. 진나라, 연나라 격퇴와 영토 회복

사마양저는 진나라와 연나라를 격퇴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데 큰 공을 세웠다. 당시 제나라는 오랜 내란 끝에 경공이 즉위하고, 명신 안영이 그를 보좌하고 있었다. 그러나 진나라에서 망명 온 전씨 세력이 커지면서 기존 귀족들의 견제를 받았고, 설상가상으로 진나라와 연나라에게 영토까지 빼앗긴 상황이었다.

이에 안영은 경공에게 사마양저를 추천했다. 안영은 사마양저가 비록 전씨 집안의 서자 출신이지만, 문무를 겸비한 인재라고 평가했다. 경공은 사마양저와 병법에 대해 논의한 후 그를 장군으로 임명하려 했으나, 사마양저는 자신의 낮은 신분을 이유로 경공의 총신을 부관으로 삼아줄 것을 요청했다. 경공은 이를 수락하여 장고(莊賈)를 임명했다.

사마양저는 장고와 다음 날 정오에 군문에서 만나기로 약속했지만, 장고는 고관들과의 송별 연회 때문에 늦게 도착했다. 사마양저는 군율을 바로 세우기 위해 장고를 처형하려 했다. 장고는 경공에게 사자를 보내 목숨을 구걸했지만, 사마양저는 "장군이 군중에 있을 때는 비록 주공의 명령이라도 받지 않는 것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고 장고를 처형했다. 이 사건으로 군대의 기강이 바로 섰고, 병사들은 사마양저를 신뢰하게 되었다.

사마양저는 병사들과 동고동락하며 약자에게도 따뜻하게 대했다. 이러한 그의 모습에 감동한 병사들은 부상병까지도 출진을 자원할 정도였다. 진나라와 연나라 군대는 사기가 떨어진 제나라 군대의 모습에 퇴각했고, 사마양저는 이들을 추격하여 빼앗긴 영토를 모두 회복했다. 경공은 사마양저의 공을 높이 사 대사마(大司馬)에 임명했다.

2. 4. 모함과 죽음

司馬穰苴|사마양저중국어는 제나라의 유력한 신하였던 안영의 추천으로 장군이 되었으나, 귀족 포씨(鮑氏), 고씨(高氏), 국씨(國氏) 등에게 모함을 받았다. 이들의 참언을 믿은 경공은 사마양저를 해임했고, 이후 사마양저는 병으로 사망했다.

사마양저가 해임될 당시, 제나라는 진(晉)과 연(燕)에게 공격받아 영토를 빼앗긴 상황이었다. 안영은 사마양저를 추천하며 그의 문덕(文德)과 무덕(武德)을 칭찬했고, 경공은 사마양저와 병법에 대해 논한 후 그를 장군에 임명하려 했다. 그러나 사마양저는 자신의 출신이 미천함을 이유로 경공의 총애를 받는 신하를 부관으로 삼아줄 것을 요청했고, 경공은 장고(莊賈)를 임명했다.

사마양저와 장고는 다음날 정오에 군문에서 만나기로 약속했으나, 장고는 늦게 나타났다. 사마양저는 장고에게 늦은 이유를 물었고, 장고는 친척과 고관들이 송별회를 열어주었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이에 사마양저는 장군이 출격을 명령받으면 가족, 친척, 자신의 안전을 잊어야 한다며 격노했고, 군법에 따라 장고를 처형하려 했다. 장고는 경공에게 사자를 보내 구원을 요청했으나, 사마양저는 장고를 처형했다. 이 사건으로 군대의 규율은 엄숙해졌다.

그 후, 경공이 장고를 용서해 달라는 사자가 도착했지만, 사마양저는 "장군이 군중에 있을 때는 비록 주공의 명령이라도 받지 않는 것이다."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고 사자를 쫓아냈다.

사마양저는 병사들과 함께 행동하고 식사하며 약한 자에게도 상냥하게 대했고, 그 결과 병사들의 신뢰를 얻어 부상병도 출진을 신청할 정도였다. 진·연 연합군은 퇴각했고, 사마양저는 잃어버린 영토를 모두 회복했다. 경공은 사마양저를 대사마에 임명했다.

이 일로 전기(田忌)와 전표(田豹)는 고씨와 국씨 일족을 원망하게 되었고, 훗날 전상(田常)이 간공(簡公)을 죽였을 때 고씨·국씨 일족을 모두 죽였다.

3. 《사마법》

제 위왕은 사마양저의 병법을 존경하여 학자들에게 명하여 사마양저의 병법을 연구하게 하고, 『사마양저병법(司馬穰苴兵法)』이라는 서적으로 묶게 했다. 이것이 후일의 『사마법』이라고 한다. 『사마법』은 전 55편 있었다고 여겨지지만, 현존하는 것은 〈인본〉·〈천자지의〉·〈정작〉·〈엄위〉·〈용중〉의 5편 뿐이다.

사마양저는 안영의 추천으로 장군이 되어 진(晉)과 연(燕)에 빼앗긴 영토를 회복하라는 명을 받았다. 군대 내 위신을 세우기 위해 왕에게 감독관을 요청했고, 왕은 장가(庄贾)를 보냈다. 장가는 거만하여 열병식에 늦었고, 사마양저는 군법에 따라 장가를 처형하려 했다. 장가가 보낸 사자가 장가에게 군대 지휘권을 주는 문서를 가져왔지만, 사마양저는 "장군이 군대를 지휘할 때는 왕의 명령을 어길 수 있다"라며 군영에서 말을 탄 죄로 사자를 처형하고, 그의 말과 수레를 파괴했다.

사마양저는 공정하게 법을 집행하여 군대 내 위신을 높였고, 진과 연의 군대를 격파하고 빼앗긴 땅을 회복하여 병부상서인 대사마(大司馬)로 승진했다. 그러나 포씨(鲍), 고씨(高), 국씨(国) 등 다른 제나라 씨족들의 참언으로 경공에게 해임되었고, 곧 죽었다. 그 후 전씨의 지도자인 전걸(田乞)은 세 가문을 경멸했고, 전걸의 아들 전상(田常)은 세 가문을 멸망시켰다.

전상의 증손자 제 위왕은 낭주의 작품을 정리했고, 이것은 '전법(戰法)'으로 알려졌으며, '사마법'이라고도 알려져 있다.

4. 평가

사마천은 자신의 저서 사기에서 "옛 왕조 시대부터 사마(司馬)의 병법이 있었다. 양저(穰苴)는 그것을 널리 펼치고 분명하게 한 사람이다"라고 하여 열전 4권에 「사마양저열전」으로 다루고 있다.

사마천은 열전에 "귀천을 묻지 않고, 정의를 유지하며, 남에게 굴하지 않고, 기회를 놓치지 않고 세상에 나타난 사람들"을 다루고 있으며, 열전 70권 중 처음부터 4번째에 단독 열전으로 다루고 있는 것으로 보아 사마양저에 대한 평가는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