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 위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 위왕은 기원전 357년에 즉위하여 37년 동안 제나라를 통치한 인물이다. 초기에는 정치를 제대로 펼치지 못했으나, 이후 인재를 등용하고 정치 개혁을 추진하여 국력을 강화했다. 특히 손빈, 전기를 기용하고 직하 학궁을 설치하여 학자들을 우대했다. 위나라를 격파하고 위위구조 전략으로 조나라를 구원하는 등 군사적 업적도 남겼으며, 위 혜왕과 서주에서 만나 서로 왕으로 칭하기도 했다. 또한 순우곤의 간언을 통해 정무에 힘썼으며, 72명의 대부를 포상하고 처벌하는 등 엄격한 통치를 펼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국 시대의 군주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전국 시대의 군주 - 제 선왕
    제 선왕은 전국시대 제나라의 군주로, 소진과 맹자를 등용하여 국정을 자문하고 정치 이론에 대한 조언을 구했으며, 한나라를 구원하고 위나라를 격파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지고 직하를 번성시켰다.
  • 기원전 4세기 중국의 군주 - 위 문후
    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 기원전 4세기 중국의 군주 - 주 열왕
    주 열왕은 주 안왕의 아들이자 주 위열왕의 손자이며, 기원전 374년 진나라 헌공에게 천하 통일을 암시하는 예언을 남겼고, 기원전 369년에 사망하여 동생 편이 뒤를 이었다.
제 위왕
인물 정보
이름제 위왕 (齊威王)
로마자 표기Qi Wei Wang
규 (媯)
본관전 (田)
인기 (因齊)
출생기원전 378년경
사망기원전 320년
부친전 환공
배우자위후
자녀제 선왕
경곽군 영
통치 정보
작위제나라 군주
재위 기간기원전 356년 ~ 기원전 320년
이전 군주전 환공
다음 군주제 선왕

2. 생애

제 위왕은 군위에 오른 초기 9년 동안은 정치를 경대부(卿大夫)에게 맡겨 나라가 제대로 다스려지지 않았다. 그러나 이후 힘껏 정치를 바로잡고 군대를 정비하며 추기를 재상, 전기를 장군, 손빈을 군사(軍師)로 기용했다.[1] 아버지를 이어 임치 직하(稷下)에 학궁(學宮)을 설치하여 각국의 학자를 초빙하고 인재를 등용하여 국력을 강화했다.[1]

기원전 334년, 계릉 전투와 마릉 전투에서 위나라 군대를 크게 격파하고 위나라 태자 신(申)을 포로로 잡고, 방연을 살해했다.[1] 같은 해 서주에서 위 혜왕을 만나 서로 왕으로 칭했으나, 주나라에는 제후의 예를 갖춰 조례하였다.[1]

2. 1. 즉위 초반

제 위왕(齊 威王)은 군위에 오른 후 초기 9년 동안 정치를 경대부(卿大夫)에게 맡겼다. 이로 인해 제후들 간의 분쟁이 잦았고, 나라가 제대로 다스려지지 않았다.[1] 하지만 이후 위왕은 정치와 군대를 정비하며 추기를 재상, 전기를 장군, 손빈을 군사(軍師)로 등용했다.[1] 또한, 아버지를 이어 임치(臨淄) 직하(稷下)에 학궁(學宮)을 설치하여 각국의 학자들을 초빙하고 인재를 선발하여 국력을 강화했다.[1]

위왕의 초기 통치 방식은 사기 활계열전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은(隠)'은 은어를 뜻하며, 위왕은 수수께끼를 즐겨 측근들과 수수께끼로 대화하곤 했다.[3] 어느 날, 순우곤이 위왕에게 다음과 같은 수수께끼를 냈다.[3]

"우리나라에 큰 새가 있어 왕정(王庭)에 머물러 있는데, 지난 3년 동안 울지도 날지도 않습니다. 이 큰 새는 무엇입니까?"[3]

이에 위왕은 이렇게 답했다.[3]

이 수수께끼 이후, 위왕은 즉묵(현재의 산둥성 즉묵)의 대부(지방 장관)를 불러 그의 정무 능력을 칭찬하고 만호의 읍(영지)에 봉했다.[3] 반면, 아(阿)의 대부는 뇌물을 받고 명성을 높이려 한 죄로 삶아 죽임을 당했고, 뇌물을 받은 측근들도 처형되었다.[3]

이러한 일련의 사건을 계기로 위왕은 정무에 힘쓰게 되었고, 72명의 대부를 불러 공적이 있는 자는 포상하고 게을리 한 자는 처형했다.[3] 또한 순우곤을 직하의 학사의 장(長)적인 존재로 삼아 적극적으로 원조하여 학문을 융성시켰다.[3]

9년 동안의 무위(無爲)는 인재를 가려내고, 타국이나 악인들을 방심시키기 위한 계책이었다.[3] 이 고사에서 '울지도 날지도 못한다'는 고사성어가 생겨났으며, 이는 장래의 비약을 위해 와신상담하는 시간을 의미하지만, 현대에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상태를 조롱하는 의미로도 쓰인다.[3]

이러한 숙청을 통해 위왕은 나라를 안정시켰고, 이전의 침략에 대해 보복하여 각국으로부터 영토를 반환받았다.[3]

전반은 직하의 학사 중 한 명으로, 위왕에게 만물 평등론을 설파했다.[4] 위왕은 현실 정치에 대한 조언을 구했으나, 전반은 자신의 말이 정치와 무관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정치에 적용될 수 있다고 답했다.[4] 이러한 이야기를 통해 위왕은 직하 학자촌을 만들 결심을 하게 되었다.[4]

기원전 358년, 위후 영(罃)(후의 혜왕)과의 회견에서 위왕은 자신의 보물이 인재라고 답하며, 단자, 면자, 검부, 종수 등의 신하들을 언급했다.[4]

2. 2. 순우곤의 간언과 각성

순우곤|순우곤중국어이 위왕에게 수수께끼를 냈다. "우리나라에 큰 새가 있어 왕정(王庭)에 머물러 있는데, 지난 3년 동안 울지도 날지도 않습니다. 이 큰 새는 무엇입니까?" 이에 위왕은 "이 새는 날지 않으면 그만이다. 한 번 날면 하늘로 치솟을 것이다. 울지 않으면 그만이다. 한 번 울면 사람들을 놀라게 할 것이다."라고 대답했다.[1]

이 수수께끼 후, 위왕은 즉묵(현재의 산둥성 즉묵)의 대부(지방 장관)를 불러 칭찬하며 만호의 읍(영지)에 봉했다. 즉묵의 대부는 정무를 순조롭게 처리하고 타국의 침략을 막았으며, 백성들을 풍족하게 살게 했다. 반면, 아(阿)의 대부는 밭을 개간하지 않고 백성들을 가난하게 했으며, 외적의 침입에도 구원병을 보내지 않아 뇌물을 받은 죄로 처형되었다.[1]

이 일을 계기로 위왕은 정무에 힘쓰게 되었고, 72명의 대부를 불러 공적이 있는 자는 포상하고 게을리 한 자는 처형했다. 또한 순우곤을 직하의 학사의 장(長)적인 존재로 삼아 적극적으로 원조하여 융성시켰다.[1]

9년 동안의 무위(無爲)는 인재를 가려내고 타국이나 악인들을 방심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 고사에서 '울지도 날지도 못한다'는 고사성어가 생겼다. 원래 의미는 장래의 비약을 기약하며 와신상담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는 뜻이지만, 현대에는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상태를 조롱하는 의미가 강하다.[1]

2. 3. 정치 개혁과 인재 등용

위왕은 즉위 후 9년 동안 정치를 경대부(卿大夫)에게 맡겼는데, 이로 인해 제후들 간의 다툼이 잦아지고 나라가 제대로 다스려지지 않았다. 이후 위왕은 정치와 군대를 정비하며 추기를 재상, 전기를 장군, 손빈을 군사(軍師)로 등용했다.[1] 아버지를 이어 임치(臨淄) 직하(稷下)에 학궁(學宮)을 설치하여 각국의 학자를 초빙하고 인재를 선발하여 국력을 강화했다.[1]

사기활계열전에 따르면, 위왕은 수수께끼를 좋아하고 술에 빠져 정치를 돌보지 않아 나라가 위태로웠으나, 순우곤의 수수께끼를 계기로 변화했다.[4] 순우곤은 "3년 동안 울지도 날지도 않는 큰 새"에 대한 수수께끼를 냈고, 위왕은 "한 번 날면 하늘로 치솟고, 한 번 울면 사람들을 놀라게 할 것"이라고 답하며 각성했다.[4]

이후 위왕은 즉묵(현재의 산둥성 즉묵)의 대부에게는 정무를 잘 처리하고 외침을 막아낸 공을 인정하여 상을 내렸고,[5] 아(阿)의 대부에게는 백성을 가난하게 하고 외침에 대응하지 못한 책임을 물어 처형했다.[5] 이러한 상벌을 통해 위왕은 정무에 힘쓰게 되었고, 72명의 대부를 불러 공적이 있는 자는 포상하고 게을리 한 자는 처형했다.[6] 또한 순우곤을 직하의 학사의 장(長)적인 존재로 삼아 적극적으로 원조하여 융성시켰다.[6]

9년 동안의 무위(無爲)는 인재를 가려내고 타국 혹은 악인들을 방심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이 고사에서 '울지도 날지도 못한다'는 고사성어가 생겼다.

직하의 학사 중 한 명인 전반은 위왕에게 만물 평등론을 설했다. 위왕은 현실 정치를 듣고 싶다고 답했으나, 전반은 자신의 말이 정치에 적용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이야기는 위왕이 직하 학자촌을 만들 결심을 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기원전 358년, 위(전국)의 혜왕과의 회견에서 위왕은 보물에 대한 질문에 인재가 자신의 보물이라고 답했다. 그는 단자, 면자, 검부, 종수 등의 인재들이 나라를 지키고 치안을 유지하는 것이 천리를 비추는 보물이라고 강조했다.

2. 4. 패권 확립

추기(鄒忌)를 재상, 전기(田忌)를 장군, 손빈(孫臏)을 군사(軍師)에 기용했다. 아버지를 이어 임치 직하(稷下)에 학궁(學宮)을 설치하여 각국의 학자를 초빙해 정치를 논하게 하고, 인재를 선발해 기용하자 국력이 나날이 부강해져 갔다.[1]

기원전 334년 위나라 군대를 계릉(桂陵)에서 대패시켰다. 이어 마릉(馬陵)에서 위나라를 격파하고 위나라 태자 신(申)을 포로로 잡았으며, 방연(龐涓)을 살해했다.[1]

같은 해 서주(徐州)에서 위 혜왕을 만나 서로 높여 왕이라 칭했다. 왕으로 칭했어도 주나라에 제후의 예를 갖춰 조례하였다.[1]

기원전 357년, 환공이 사망하고 위왕(威王)이 뒤를 잇자, 이듬해 의 수도인 한단을 포위했을 때, 는 제에 구원을 요청했다.[1]

위왕은 중신들을 불러 를 구원해야 할지를 논의했다. 재상 추기는 반대했지만, 단간붕은 "의(義)로서 돕는 것이 좋고, 한단을 빼앗으면 제에 불리합니다. 위가 조를 공격할 때 위 뒤에서 이를 치면 됩니다."라고 설득하여, 위왕은 이를 채택하고, 손빈의 군략에 따라 이를 격파했다. 속칭 "위위구조"라고 불리는 계책이다.[1]

또한, 추기의 설득에 따라 위왕에게 간언을 올리는 자에게 상을 내리는 정령을 내리고, 스스로를 개혁했다. 그 정령 발포 1년 후에는 간언을 올릴 여지가 없어졌고, 간언을 올리는 자가 없어졌다. 이를 들은 연, , 한, 는 두려워하여 제에 조공했다.[1]

3. 가족

'''왕비'''


  • 위후(威后)


'''후궁'''

  • 衛姬|위희중국어 - 의 지씨(姬姓). 태자 교사(公子郊师)의 어머니.
  • 虞姬|우희중국어 - 휘는 娟之|연지중국어.


'''아들'''

순서이름기타
첫째 아들태자 벽강(太子辟疆)기원전 350년–기원전 301년. 기원전 319년부터 301년까지 제 선왕으로 통치.
둘째 아들공자 영(公子嬰)맹상군의 아버지. 징궈군(靖郭君)이라는 칭호로 알려짐. 제나라의 재상(相)을 지냄. 기원전 322년에 설(薛) 봉토를 하사받음.
셋째 아들공자 교사(公子郊师)


참조

[1] 서적 The Annals of Lü Buwei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Sun Bin: The Art of War https://books.google[...] SUNY Press
[3] 서적 Chan-kuo Ts'e Center for Chinese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1996
[4] 서적 Chan-kuo Ts'e Center for Chinese Studies, University of Michigan 1996
[5] 간행물 Researching the image of the Yellow Emperor in China's textual sources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Brill 2017
[6] 서적 Ci Hai Zhonghua Shuj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