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보이 신앙고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보이 신앙고백은 1658년 사보이에서 열린 회의에서 작성된 신앙고백으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수정하여 회중교회주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다. 존 오언과 토머스 굿윈의 주도로 작성되었으며, 서문, 신앙고백, 규율강령으로 구성되어 있다. 웨스트민스터 신학을 확인하고 "복음과 그 은혜의 범위에 관하여"라는 새로운 장을 추가했으며, 교회 정치와 관련된 부분을 재구성했다. 1680년 식민지 뉴잉글랜드에서 개혁파 시노드에 의해 채택되었고,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비교하여 일부 내용이 수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보이 신앙고백 | |
---|---|
기본 정보 | |
종류 | 신앙고백 |
기독교 교파 | 회중교회 |
작성 시기 | 1658년 |
작성 장소 | 영국 런던 사보이 궁전 |
관련 문서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제2차 런던 침례교 신앙고백 |
역사적 배경 | |
소집 | 잉글랜드 연방 의회 |
목적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 대한 회중교회의 입장 표명 및 수정 |
주요 참여자 | 토머스 굿윈, 존 오웬, 필립 니, 윌리엄 브리지 |
승인 | 1658년, 런던의 회중교회 대표자 200명 이상 |
내용 | |
특징 | 칼뱅주의 신학에 기반, 교회 정치에 대한 회중교회적 관점 반영 |
주요 내용 | 신론, 인간론, 구원론, 교회론, 종말론 등 |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의 차이점 | 교회 정치 (회중교회 강조), 국가와 교회의 관계 (분리 강조), 예배 (자유로운 예배 강조) |
영향 | |
회중교회 | 신앙의 표준 문서로 사용, 교회 정치 및 신학적 정체성 확립에 기여 |
다른 교파 | 침례교, 개혁교회 등에 영향 |
기타 | |
관련 용어 | 신앙고백, 회중교회,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
2. 역사적 배경
사보이 신앙고백은 기본적으로 칼빈주의 원리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동일하지만, 각개 교회의 독립을 주장하는 회중교회주의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신앙고백은 "성령의 위대하고 특별한 역사"로 여겨야 하며, "경건함을 좇는 수많은 목사와 다른 주도적인 형제들은 신속하고 쾌히 연합하여 자신을 이 진리의 전 체계에 던져야 한다"는 내용으로 시작한다.
2. 1. 사보이 회의 (1658년)
1658년 9월 29일부터 10월 12일까지 120개 회중 교회에서 200명의 대표가 영국의 사보이 궁전에 모여 6명이 선언 경쟁 위원으로 선정되었다. 6명 중 5명은 웨스트민스터 신학자 회의 멤버였다. 존 오언과 토머스 굿윈의 주도적 역할로 사보이 신앙고백이 작성되었는데, 서문·신앙고백·규율강령 등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사보이 회의는 1658년 10월 12일부터 11일 또는 12일 동안 사보이에서 열렸다.[2] 100개 이상의 독립 교회에서 대부분 평신도인 대표자들이 참석했다. 토마스 굿윈은 웨스트민스터 신학자이자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의 저자였으며, 존 오웬은 신앙 고백을 작성하기 위해 임명된 6명의 신학자 위원회의 지도자였다.[3][4] 저자들은 뉴잉글랜드의 회중 교회가 작성한 교회 정치에 대한 성명인 케임브리지 플랫폼의 영향을 받았다.[5] 1647년 영국 성공회의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이 기본 틀로 사용되었다.

2. 2. 선언 경쟁 위원
사보이 회의는 1658년 10월 12일부터 11일 또는 12일 동안 사보이에서 열렸다.[2] 100개 이상의 독립 교회에서 대부분 평신도인 대표자들이 참석했다.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의 저자였던 토머스 굿윈은 신앙 고백을 작성하기 위해 임명된 6명의 신학자 위원회의 지도자였고, 존 오웬도 그 위원회의 일원이었다.[3][4]
3. 주요 내용
사보이 신앙고백의 주요 내용은 기본적으로 칼빈주의 원리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동일하지만, 각개 교회의 독립을 주장하는 회중교회주의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다.
1658년 9월 29일부터 10월 12일까지 120개의 회중 교회에서 200명의 대표가 영국의 사보이 궁전에 모였다. 이들은 존 오언과 토머스 굿윈의 주도로 선언문 작성에 참여했으며, 선언문 경쟁 위원으로 선정된 6명 중 5명은 웨스트민스터 신학자 회의 멤버였다.
사보이 신앙고백은 서문, 신앙고백, 규율강령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문장으로 시작한다.
> 성령의 위대하고 특별한 역사로 여겨야 한다...그러므로 경건함을 좇는 수많은 목사와 다른 주도적인 형제들은 신속하고 쾌히 연합하여 자신을 이 진리의 전 체계에 던져야 한다[11]
토머스 굿윈은 사보이 선언을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최신의 가장 훌륭한" 수정본으로 여겼다.[6] 사보이 선언의 저자들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교리적 정의를 약간 수정하여 채택했으며, 교회 정치와 관련된 부분만을 재구성하여 웨스트민스터 신학을 확인했다.[1]
"복음과 그 은혜의 범위에 관하여"라는 새로운 장이 추가되었고, 회중교회 교회 정치와 관련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30장과 31장은 대체되어 지역 교회의 자율성을 강조했다. 또한 11장 "칭의에 관하여"에는 "그리스도의 적극적인 순종"이라는 문구를 포함시켜 칭의에 대한 명확성을 더했다.[7][8]
이 선언은 1680년 식민지 뉴잉글랜드에서 개혁파 시노드에 의해 채택되었다.[9]
3. 1.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의 비교
사보이 신앙고백은 기본적으로 칼빈주의 원리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동일하지만 각개 교회의 독립을 주장하는 회중교회주의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2] 1658년 10월 12일부터 11일 또는 12일 동안 사보이에서 열린 사보이 회의에는 100개 이상의 독립 교회에서 대부분 평신도인 대표자들이 참석했다.[2] 토머스 굿윈은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의 저자였으며, 존 오웬은 신앙 고백을 작성하기 위해 임명된 6명의 신학자 위원회의 지도자였다.[3][4]토머스 굿윈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저자로서 사보이 선언을 "최신의 가장 훌륭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수정본으로 여겼다.[6] 사보이 선언의 저자들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교리적 정의를 약간의 수정을 거쳐 채택했으며, 교회 정치와 관련된 부분만을 재구성했다. 사보이 회의 선언의 주요 효과는 웨스트민스터 신학을 확인하는 것이었다.[1]
"복음과 그 은혜의 범위에 관하여"라는 새로운 장이 추가되었다. 다른 변경 사항으로는 회중교회 교회 정치와 관련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30장과 31장이 대체되었다는 점이 있다. 이 장에서는 지역 교회의 자율성이 주장된다. 또한, 11장 "칭의에 관하여"에 "그리스도의 적극적인 순종"이라는 문구를 포함했다. "그리스도의 적극적이고 수동적인 순종이 칭의에 필요하다는 것에 회의가 거의 만장일치로 투표했"지만,[7] "적극적인"이라는 단어와 "전체"라는 단어가 생략되었다. 정확한 표현이 요구되기 때문에[8] 사보이 선언은 이를 명확히 했다.
다음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사보이 신앙고백의 장을 비교한 표이다.
3. 2. 칭의론
토마스 굿윈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저자로서 사보이 선언을 "최신의 가장 훌륭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수정본으로 여겼다.[6] 사보이 선언의 저자들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의 교리적 정의를 약간 수정하여 채택했으며, 교회 정치와 관련된 부분만을 재구성했다. 사보이 회의 선언의 주요 효과는 웨스트민스터 신학을 확인하는 것이었다.[1]사보이 선언은 11장 "칭의에 관하여"에 "그리스도의 적극적인 순종"이라는 문구를 포함했다. "그리스도의 적극적이고 수동적인 순종이 칭의에 필요하다는 것에 회의가 거의 만장일치로 투표했"지만,[7] "적극적인"이라는 단어와 "전체"라는 단어가 생략되었다. 정확한 표현이 요구되기 때문에[8] 사보이 선언은 이를 명확히 했다.
3. 3. 교회 정치
내용은 기본적으로 칼빈주의 원리의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과 동일하지만 각개 교회의 독립을 주장하는 회중교회주의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1658년 9월 29일부터 10월 12일까지 120 회중 교회에서 200명의 대표가 영국의 사보이 궁전에 모여 6명이 선언 경쟁 위원에 선정됐다. 6명 중 5명은 웨스트민스터 신학자 회의 멤버였다. 사보이 신앙고백은 존 오언과 토머스 굿윈의 주도적 역할로 작성되었는데 서문·신앙고백·규율강령 등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시작된다.
"이 신앙고백은 성령의 위대하고 특별한 역사로 여겨야 한다...그러므로 경건함을 좇는 수많은 목사와 다른 주도적인 형제들은 신속하고 쾌히 연합하여 자신을 이 진리의 전 체계에 던져야 한다"[11]
3. 3. 1. 교회 제도와 질서 (Platform of Discipline)

"교회의 제도와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들에게 임명하신 질서에 관하여"라는 공식 명칭을 가진 이 플랫폼은 30개의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중 교회 정치의 원리를 명시하고 있다.[11]
이것은 초기 회중주의자들의 케임브리지 플랫폼이나 장로교회 정부 형식을 개정한 것이 아니라, 사보이의 주요 입안자들이 참석했던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문서이다.
4. 영향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Savoy Declaration {{!}} Puritan, Reformation & Church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3-05
[2]
서적
Puritans and Puritanism in Europe and America: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Volume 1
ABC-CLIO, USA
[3]
문서
Goodwin, Thomas (DNB00)
[4]
웹사이트
Philip Nye, William Bridge, Joseph Caryl and William Greenhill
http://www.puritanse[...]
[5]
서적
Cambridge Companion to Puritanism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Mercurius Politicus
[7]
서적
Christ and the Law: Antinomianian at the Westminster Assembly
Reformation Heritage Books: Grand Rapids, MI
[8]
문서
ibid.
[9]
웹사이트
Philip Schaff: Creeds of Christendom, with a History and Critical notes. Volume I. The History of Creed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ccel.org/cce[...]
2024-03-08
[10]
웹사이트
Tabular Comparison of 1646 WCF, 1658 Savoy Declaration, the 1677/1689 LBCF, and the 1742 PCF
https://www.proginos[...]
2024-03-03
[11]
웹사이트
Philip Schaff: Creeds of Christendom, with a History and Critical notes. Volume I. The History of Creeds. - Christian Classics Ethereal Library
https://www.ccel.org[...]
2024-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