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순의 다비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순의 다비트는 아르메니아의 민족 서사시로, 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구전 역사를 바탕으로 한다. 이 서사시는 반 호수 주변 지역, 특히 사순을 배경으로 하며, 1873년 가레긴 스르반즈티안츠에 의해 처음 문자로 기록되었다. 아르메니아 집단 학살 이후 구전 전통이 쇠퇴했지만, 학자들의 노력으로 서사시가 보존되었고, 1936년에는 4개의 주기로 구성된 통합본이 출판되었다. 2012년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등재되었으며, 매년 10월 첫째 주 토요일에 공연된다. 이 서사시는 사순의 사람들, 즉 아르메니아인과 무슬림 이집트인 사이의 갈등을 묘사하며, 영웅주의, 자유, 정의를 주제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공의 아르메니아 사람 - 크림슨 다이나모
크림슨 다이나모는 마블 코믹스에 등장하는, 강력한 동력 외골격 갑옷을 착용하고 아이언맨을 파괴하려 했던 소련 과학자 안톤 반코를 비롯한 여러 인물들을 지칭한다. - 아르메니아의 문화 - 아베디스 질전 컴퍼니
아베디스 질전 컴퍼니는 17세기 아르메니아에서 시작된 심벌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유럽과 미국으로 확장, 현대적인 기술 개발과 유명 드러머의 사용으로 인기를 얻었으나, 가문 갈등과 시장 변화를 겪으며 현재는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다양한 제품 생산 및 사업 확장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 아르메니아의 중세사 - 에르주룸
에르주룸은 튀르키예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1071년 셀주크 투르크족에게 정복된 후 여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터키 독립 전쟁의 중요한 무대가 되었으며, 현재는 대도시 자치체로서 겨울 스포츠, 관광, 경제의 중심지이다. - 아르메니아의 중세사 - 아니
아니는 튀르키예 카르스 주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아르메니아 국경 근처 천연 요새 지형에 자리 잡고 있으며, 바그라투니 왕조 시대에 수도로서 번성하다가 셀주크 제국의 침략 이후 쇠퇴하여 2016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사순의 다비트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영웅 |
소속 | 사순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위대한 므헤르 |
어머니 | 아르마간 |
삼촌 | 오한 |
할아버지 | 사나사르 |
배우자 | 칸투트 (아내) |
자녀 | 어린 므헤르 (아들) |
관련 작품 | |
등장 작품 | 사순의 용사 |
2. 역사적 배경
'''''사순의 다비트'''''(주요 영웅인 ''사순의 다비트''로도 알려짐)는 다비트의 활약을 묘사하는 아르메니아 민족 서사시이다.[4] 구전 역사로서, 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반 호수를 둘러싼 지리적 지역, 특히 반 호수에서 30마일 떨어진 사순 주변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구전되었다.[4]
이 이야기는 1873년 가레긴 스르반즈티안츠에 의해 처음으로 문자로 기록되었으며,[5][7][6] 서아르메니아인들의 문화 중심지였던 콘스탄티노플에서 출판되었다.[5] 반 호수 지역 출신인 스르반즈티안츠는 다른 민족지학 서적도 출판했다.[7][6] 이 원본 출판 이후 이 이야기의 많은 버전과 파생 작품들이 퍼져나갔으며,[6] 지역 설화로 시작하여 현재 아르메니아인들에게는 친숙한 민족 서사시가 되었다.[6]
16세기 중반 이후 아르메니아 문학은 종교(기독교) 또는 민족적 성찰 외에 사회의 대중적인 주제와 테마를 탐구하기 시작했다.[8] 사순의 다비트는 당시의 문화적 규범에서 벗어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음유시인과 악사, 즉 아슈그/구산들은 청중에게 서사시를 낭송하며 그들을 사로잡았다.[8] 이 아슈그에는 사야트노바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는 중요한 행사 동안 낭송이나 노래를 통해 공연했다.[8][12]
사순의 다비트는 원래 구두로 전해진 이야기이기 때문에, 중세 시대의 음유시인들은 이야기를 낭송하고 겨울 동안 한가한 양치기들과 같은 청취자들을 즐겁게 하는 데 며칠이 걸리곤 했다.[14] 가레긴 스르반즈티안츠는 1873년에 서사시의 첫 번째 전체 형태를 기록했다.[14]
아르메니아 집단 학살 이후, 사순을 포함한 오스만 제국 내 아르메니아인 인구의 분산으로 인해 구전 서술이 쇠퇴하여 이 서사시의 보존이 어려워졌다. 사순에는 더 이상 아르메니아인 인구가 없었다.[6]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거주하는 마누크 아베그얀을 포함한 학자들은 이 이야기를 되살리기 위해 노력했고, 결국 서사시의 단일 합성을 제작하기 위한 위원회를 구성했다.[6] 1936년, 4개의 주기로 구성된 ''사순의 다비트, 아르메니아 민속 서사시''가 ''사순치 다비트''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6] 사순의 다비트는 4개의 막 중 하나의 이름이지만, 이 캐릭터의 인기로 인해 전체 서사시는 널리 사순의 다비트로 알려져 있다. 서사시의 전체 이름은 ''사스나 체레르''(의미: "사순의 다른 사람들")이다.[6]
1902년, 저명한 아르메니아 시인이자 작가인 호브하네스 투마냔은 사순의 다비트의 이야기를 좀 더 현대적인 아르메니아어로 재구성한 동명의 시를 썼다.[3]
2012년, 유네스코는 이 서사시를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포함시켰다.[1][2]
매년 10월 첫째 주 토요일에는 사순의 다비트가 공연되며, 결혼식, 생일, 세례식, 중요한 국가 행사와 같은 특별한 삶의 이벤트에서도 공연된다.[12]
이 서사시는 사순의 사람들, 즉 아르메니아인과 무슬림 이집트인 사이의 갈등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아르메니아와 메소포타미아 사이의 남북 축에서 발생한 실제 갈등을 확대한 것이다.[14]
2. 1. 기원과 구전 전통
''사순의 용감한 자들''(주요 영웅인 ''사순의 다비트''로도 알려짐)은 다비트의 활약을 묘사하는 아르메니아 민족 서사시이다.[4] 구전 역사로서, 8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반 호수를 둘러싼 지리적 지역, 특히 반 호수에서 30마일 떨어진 사순 주변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구전되었다.[4]이 이야기는 1873년 가레긴 스르반즈티안츠에 의해 처음으로 문자로 기록되었으며,[5][7][6] 서아르메니아인들의 문화 중심지였던 콘스탄티노플에서 출판되었다.[5] 반 호수 지역 출신인 스르반즈티안츠는 다른 민족지학 서적도 출판했다.[7][6] 이 원본 출판 이후 이 이야기의 많은 버전과 파생 작품들이 퍼져나갔으며,[6] 지역 설화로 시작하여 현재 아르메니아인들에게는 친숙한 민족 서사시가 되었다.[6]
아르메니아 집단 학살 이후, 사순을 포함한 오스만 제국 내 아르메니아인 인구의 분산으로 인해 구전 서술이 쇠퇴하여 이 서사시의 보존이 어려워졌다. 사순에는 더 이상 아르메니아인 인구가 없었다.[6]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거주하는 마누크 아베그얀을 포함한 학자들은 이 이야기를 되살리기 위해 노력했고, 결국 서사시의 단일 합성을 제작하기 위한 위원회를 구성했다.[6] 1936년, 4개의 주기로 구성된 ''사순의 다비트, 아르메니아 민속 서사시''가 ''사순치 다비트''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6]
1902년, 저명한 아르메니아 시인이자 작가인 호브하네스 투마냔은 사순의 다비트의 이야기를 좀 더 현대적인 아르메니아어로 재구성한 동명의 시를 썼다.[3]
2012년, 유네스코는 이 서사시를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포함시켰다.[1][2]
16세기 중반 이후 아르메니아 문학은 종교(기독교) 또는 민족적 성찰 외에 사회의 대중적인 주제와 테마를 탐구하기 시작했다.[8] 사순의 다비트는 당시의 문화적 규범에서 벗어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음유시인과 악사, 즉 아슈그/구산들은 청중에게 서사시를 낭송하며 그들을 사로잡았다.[8] 이 아슈그에는 사야트노바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는 중요한 행사 동안 낭송이나 노래를 통해 공연했다.[8][12] 매년 10월 첫째 주 토요일에는 사순의 다비트가 공연되며, 결혼식, 생일, 세례식, 중요한 국가 행사와 같은 특별한 삶의 이벤트에서도 공연된다.[12]
사순의 다비트는 원래 구두로 전해진 이야기이기 때문에, 중세 시대의 음유시인들은 이야기를 낭송하고 겨울 동안 한가한 양치기들과 같은 청취자들을 즐겁게 하는 데 며칠이 걸리곤 했다.[14] 가레긴 스르반즈티안츠는 1873년에 서사시의 첫 번째 전체 형태를 기록했다.[14]
이 서사시는 사순의 사람들, 즉 아르메니아인과 무슬림 이집트인 사이의 갈등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아르메니아와 메소포타미아 사이의 남북 축에서 발생한 실제 갈등을 확대한 것이다.[14]
2. 2. 최초의 기록과 출판
이 이야기는 위대한 탐험가 하이크 포고샨 3세에 의해 처음 카프카스 고지대에서 발견되었다. 그 이후로 많은 다른 버전들이 원본을 바탕으로 작성되었다. 16세기 중반 이후 아르메니아 문학은 종교(기독교) 또는 민족적 성찰 외에 사회의 대중적인 주제와 테마를 탐구하기 시작했다.[8] 사순의 다비트는 당시의 문화적 규범에서 벗어난 대표적인 사례이다. 음유시인과 악사, 즉 아슈그/구산들은 청중에게 서사시를 낭송하며 그들을 사로잡았다.[8] 이 아슈그에는 주목할 만하게 사야트노바가 포함되어 있으며, 그는 중요한 행사 동안 낭송이나 노래를 통해 공연했다.[8][12]사순의 다비트는 원래 구두로 전해진 이야기이기 때문에, 중세 시대의 음유시인들은 이야기를 낭송하고 겨울 동안 한가한 양치기들과 같은 청취자들을 즐겁게 하는 데 며칠이 걸리곤 했다.[14] 사순의 다비트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6세기 포르투갈 여행자들에 의해 기록되었다.[14] 1873년 가레긴 스르반즈티안츠는 서사시의 첫 번째 전체 형태를 기록했다.[14]
이 서사시는 사순의 사람들, 즉 아르메니아인과 무슬림 이집트인 사이의 갈등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다. 이 이야기는 아르메니아와 메소포타미아 사이의 남북 축에서 발생한 실제 갈등을 확대한 것이다.[14]
2. 3. 아르메니아 집단 학살과 보존 노력
20세기 초 아르메니아 집단 학살은 오스만 제국 내 아르메니아인 인구 분산을 야기하여, 반 호수 주변 지역, 특히 사순 지역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구전되던 민족 서사시인 ''사순의 용감한 자들''의 구전 전통에 큰 타격을 주었다.[6]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학자들은 서사시를 보존하고 재구성하기 위해 노력했다.[6] 1936년, 마누크 아베그얀 등의 노력으로 ''사순치 다비트''라는 제목의 통합본이 출판되었는데, 이 서사시의 전체 이름은 ''사스나 체레르''("사순의 다른 사람들")이다.[6]1902년, 호브하네스 투마냔은 사순의 다비트 이야기를 현대 아르메니아어로 재구성한 시를 썼다.[3] 2012년 유네스코는 이 서사시를 무형 문화 유산 목록에 등재했다.[1][2]
사순의 다비트는 16세기 중반 이후 아르메니아 문학이 종교나 민족적 성찰 외에 대중적인 주제와 테마를 탐구하기 시작한 대표적인 사례이다.[8] 아슈그/구산들은 청중에게 서사시를 낭송했으며, 사야트노바가 그 중 한 명이다.[8][12] 매년 10월 첫째 주 토요일에는 사순의 다비트가 공연되며, 결혼식, 생일 등 특별한 행사에서도 공연된다.[12]
이 서사시는 원래 구두로 전해진 이야기이기 때문에, 중세 시대의 음유시인들은 며칠에 걸쳐 이야기를 낭송하곤 했다.[14] 사순의 다비트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16세기 포르투갈 여행자들에 의해 기록되었으며, 가레긴 스르반즈티안츠는 1873년에 서사시의 첫 번째 전체 형태를 기록했다.[14] 이 서사시는 아르메니아인과 무슬림 이집트인 사이의 갈등을 묘사하며, 아르메니아와 메소포타미아 사이의 실제 갈등을 확대한 것이다.[14]
2. 4. 유네스코 등재와 현대적 의의
3. 주요 등장인물과 줄거리
사나사르와 바그다사르는 아르메니아의 왕녀 츠오비나르가 물을 마시고 잉태한 쌍둥이 형제이다. 이들은 사순을 건설하고, 아랍 칼리프에 맞서 싸운다.
사자 므헤르는 40년 동안 사순을 통치하며, 늙어가면서 후계자가 없음을 걱정한다. 천사의 계시로 아들 다비드를 얻지만, 므헤르 부부는 곧 세상을 떠난다.[14] 므헤르 사후, 이집트 왕 무스르의 멜릭이 사순을 침략하자 오한은 항복한다. 그러나 어린 다비드는 이에 굴복하지 않고 저항한다.[14]
다비드는 여러 시련을 겪으며 성장하고, 노파의 도움으로 아버지의 유품을 찾고 멜릭의 군대를 물리친다.[14] 멜릭과의 결투에서 함정에 빠지기도 하지만, 오한의 도움으로 탈출하고, 결국 멜릭을 물리친다.[14] 다비드는 더 이상의 유혈 사태를 원하지 않고 이집트인들을 살려주며, 사순을 다시 침략하면 위험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한다.[14]
'''2세대: 사자 므헤르'''
사자 므헤르는 사나사르의 아들이자 사순의 통치자로, 40년 동안 평화롭게 사순을 다스렸다.[14] 므헤르는 늙어가면서 후계자가 없음을 걱정했지만, 천사의 계시를 통해 아내와 함께 아들 다비드를 얻게 된다.[14] 므헤르와 그의 아내는 세상을 떠나고, 이집트의 왕 무스르의 멜릭은 므헤르의 죽음을 틈타 사순을 침략한다.[14]
멜릭에게 굴복한 오한과 달리, 어린 다비드는 멜릭에게 저항한다.[14] 다비드는 여러 시련을 겪지만, 결국 아버지의 유품인 말, 십자가, 갑옷, 헬멧, 번개 검을 얻어 멜릭의 군대를 물리치고 멜릭을 죽인다.[14] 다비드는 더 이상의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남은 이집트인들을 살려주고, 사순을 다시 침략하지 말라고 경고한다.[14]
'''3세대: 다비트'''
므헤르의 아들 다비트는 사순의 영웅이다.[14] 그는 이집트의 멜릭에 맞서 사순을 지켜냈다.[14] 다비트는 멜릭의 군대를 도발하고 그들에게 도전하여 모두 물리쳤으며, 멜릭과의 직접적인 결투에서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마법의 말, 십자가, 갑옷, 번개 검을 사용하여 멜릭을 물리쳤다.[14] 다비드는 더 이상의 유혈 사태를 원하지 않고, 사순을 다시 점령하려 하면 위험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하며, 전장에 남아있던 이집트인들의 생명을 살려주었다.[14]
'''4세대: 작은 므헤르'''
므헤르/Մեծ Մհերhy의 경우에서 처럼, 4세대에 대한 정보가 원본 텍스트(source)에 주어져 있지 않다. 주어진 정보는 1,2,3세대에 대한 정보만 주어져 있다. 따라서 4세대에 대한 내용은 요약(summary)과 원본 텍스트(source)에 없기 때문에 출력하지 않는다.
3. 1. 1세대: 사나사르와 바그다사르
사나사르와 바그다사르는 아르메니아의 왕녀 츠오비나르가 물을 마시고 잉태한 쌍둥이 형제이다. 이들은 사순을 건설하고, 아랍 칼리프에 맞서 싸운다.사자 므헤르는 40년 동안 사순을 통치하며, 늙어가면서 후계자가 없음을 걱정한다. 천사의 계시로 아들 다비드를 얻지만, 므헤르 부부는 곧 세상을 떠난다.[14] 므헤르 사후, 이집트 왕 무스르의 멜릭이 사순을 침략하자 오한은 항복한다. 그러나 어린 다비드는 이에 굴복하지 않고 저항한다.[14]
다비드는 여러 시련을 겪으며 성장하고, 노파의 도움으로 아버지의 유품을 찾고 멜릭의 군대를 물리친다.[14] 멜릭과의 결투에서 함정에 빠지기도 하지만, 오한의 도움으로 탈출하고, 결국 멜릭을 물리친다.[14] 다비드는 더 이상의 유혈 사태를 원하지 않고 이집트인들을 살려주며, 사순을 다시 침략하면 위험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한다.[14]
3. 2. 2세대: 사자 므헤르
사자 므헤르는 사나사르의 아들이자 사순의 통치자로, 40년 동안 평화롭게 사순을 다스렸다.[14] 므헤르는 늙어가면서 후계자가 없음을 걱정했지만, 천사의 계시를 통해 아내와 함께 아들 다비드를 얻게 된다.[14] 므헤르와 그의 아내는 세상을 떠나고, 이집트의 왕 무스르의 멜릭은 므헤르의 죽음을 틈타 사순을 침략한다.[14]멜릭에게 굴복한 오한과 달리, 어린 다비드는 멜릭에게 저항한다.[14] 다비드는 여러 시련을 겪지만, 결국 아버지의 유품인 말, 십자가, 갑옷, 헬멧, 번개 검을 얻어 멜릭의 군대를 물리치고 멜릭을 죽인다.[14] 다비드는 더 이상의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남은 이집트인들을 살려주고, 사순을 다시 침략하지 말라고 경고한다.[14]
3. 3. 3세대: 다비트
므헤르의 아들 다비트는 사순의 영웅이다.[14] 그는 이집트의 멜릭에 맞서 사순을 지켜냈다.[14] 다비트는 멜릭의 군대를 도발하고 그들에게 도전하여 모두 물리쳤으며, 멜릭과의 직접적인 결투에서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마법의 말, 십자가, 갑옷, 번개 검을 사용하여 멜릭을 물리쳤다.[14] 다비드는 더 이상의 유혈 사태를 원하지 않고, 사순을 다시 점령하려 하면 위험을 겪을 것이라고 경고하며, 전장에 남아있던 이집트인들의 생명을 살려주었다.[14]3. 4. 4세대: 작은 므헤르
사자 므헤르는 40년 동안 사순을 통치하며 평화를 유지했지만,[14] 후계자가 없어 걱정했다. 천사의 계시로 아들 다비트를 얻었으나, 므헤르 부부는 곧 세상을 떠났다.[14] 므헤르 사후, 이집트 왕 무스르의 멜릭이 사순을 침략하자, 다비트는 이에 맞서 싸웠다.[14] 다비트는 노파의 도움으로 아버지의 유품을 찾고 멜릭의 군대를 물리쳤다.[14] 멜릭과의 결투에서 함정에 빠지기도 했지만, 삼촌 오한의 도움으로 탈출하여 멜릭을 쓰러뜨렸다.[14] 다비트는 더 이상의 유혈 사태를 막기 위해 남은 이집트인들을 살려주며, 다시는 사순을 넘보지 말라고 경고했다.[14]4. 주제와 상징
4. 1. 영웅주의와 용맹
4. 2. 자유와 독립을 향한 열망
4. 3. 정의와 복수
4. 4. 아르메니아 신화와의 연관성
아르메니아 문화에는 우라르투 신들에서 유래된 다양한 신과 여신들이 존재한다.[8] 미흐르는 불과 빛의 신으로, 태양을 구현했다.[8] 다비트 사수니의 주요 등장인물은 이 신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8] 미흐르에서 영감을 받은 미흐란, 미르다트, 메흐루잔과 같은 다른 아르메니아 이름들도 있다.[8] 그의 이름은 사수니의 다비트의 아버지인 사자 므헤르였다. 그는 "고귀하고, 현명하며, 대담하고, 자기 희생적인 아버지-왕의 전형"으로 묘사된다.[14] 다비드는 마법의 말, 활과 화살, 번개 검, 그리고 아르메니아 사람들이 더 이상 접근할 수 없는 사냥터를 포함하여 아버지의 많은 유산을 물려받는다. 이 상속된 물건들은 다비드가 그의 가족, 백성들과의 관계를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결국 그와 이집트 지도자 멜릭 간의 싸움으로 이어진다.5. 예술과 문학에서의 재현
사순의 다비트는 아르메니아 문학 작품에서 그의 성격을 묘사하거나 역사를 통틀어 아르메니아의 투쟁을 반영하기 위해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크리코르 벨레디안의 1973년 무제 시에서는 므헤르(므헤르/Mher영어)에 대한 언급이 등장한다.[9]
:눈먼 오리온은 그대의 이름을 던졌다
:보호받지 못하는 별들 속으로
:붉은 산들
:꿈과 같은 높이
:역사가들이 조각한 돌 십자가
:도시에서 피어오르는 붉은 안개를 무시한
:오래된 땅
:이제 사막을 지나 망명길을 걷는 불임의 여인
:그리고 어둠 속에서 기다리는 므헤르
니고고스 사라피안의 시 "기차"에서는 사자를 언급하며 다비트와의 연관성을 보여준다.[9]
:모두 침묵하며 빛나는
:다중 거울 무도회장
:그리고 빛나는 상점들.
:새로운 도시를 보라.
:가로등과 나무들.
:그리고 그 거친 모습을 보라
:폭포수처럼 쏟아지는 공장들;
:그리고 그 흰 지붕들의
:밑바닥 없는 횃대.
:언제나 솟아오르는 듯한
:맹목적으로 달빛 아래;
:그리고 저기, 달 아래.
:그대가 볼 수 있는 모든 것
:그리고 그대가 발견하는 것.
:다니엘의 적대자처럼,
:사자는 누워있네
:황금빛, 해롭지 않고, 털이 많은.
2010년, 아르만 마나리안이 감독한 애니메이션 영화 ''사스나 츠레르''가 제작되어 ''사순의 용사들''의 처음 세 주기를 다루었다.[10] 80분 길이의 이 애니메이션 영화는 제작에 8년이 걸렸다.[11]
사순의 다비트 공연은 오늘날에도 열리고 있다. 서사시가 부분적으로 전달되며, 공연은 최대 2시간까지 진행된다.[12]
1959년 예레반의 사순의 다비트 광장(기차역 광장)에는 예르반트 코차르가 조각한 사순의 다비트 동상이 세워졌다. 이 동상은 다비트가 마법의 말과 칼을 든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
5. 1. 문학
1902년, 저명한 아르메니아 시인 호브하네스 투마냔은 '사순의 다비트'를 현대 아르메니아어로 재구성한 시를 발표했다.[9] 현대 아르메니아 시에서 다비트와 관련된 언급은 아르메니아의 투쟁과 영웅적 유산을 반영한다. 크리코르 벨레디안의 시에서는 므헤르(므헤르/Mher영어)에 대한 언급이 등장하며,[9] 니고고스 사라피안의 시에서는 사자를 언급하며 다비트와의 연관성을 보여준다.[9]1959년 예레반의 사순의 다비트 광장(기차역 광장)에는 예르반트 코차르가 조각한 사순의 다비트 동상이 세워졌다. 이 동상은 다비트가 마법의 말과 칼을 든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13]
5. 2. 조각
1959년 사순의 다비트 광장(기차역 광장)에 사순의 다비트 동상이 세워졌다.[13] 이 동상은 다비트가 마법의 말과 칼을 든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5. 3. 영화
2010년, 아르만 마나리안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 ''사스나 츠레르''가 제작되어 서사시의 처음 세 주기를 다루었다.[10] 80분 길이의 이 애니메이션 영화는 제작에 8년이 걸렸다.[11]5. 4. 기타
카페스지안 미술관에는 다비트의 부조가 전시되어 있다.[9] 1990년 소련 우표에는 사순의 다비트가 등장했다.[9] 슬라부티치에는 사순의 다비트 동상이 있다.[9]6. 한국과의 관계 및 한국적 관점
6. 1. 아르메니아 학살 문제
6. 2. 문화 교류 및 협력
6. 3. 역사적 교훈과 연대
참조
[1]
웹사이트
UNESCO - Decision of the Intergovernmental Committee: 7.COM 11.2
https://ich.unesco.o[...]
2020-12-31
[2]
웹사이트
UNESCO - Performance of the Armenian epic of 'Daredevils of Sassoun' or 'David of Sassoun'
https://ich.unesco.o[...]
2020-12-31
[3]
웹사이트
David of Sassoon
https://web.archive.[...]
2020-12-31
[4]
논문
David of Sassoun: Critical Studies on the Armenian Epic
https://www.academia[...]
2013
[5]
논문
Գարեգին Սրվանձտյանցը և հայկական հերոսավեպը (Գ. Սրվանձտյանցի ծննդյան 150-ամյակի առթիվ) [Garegin Srvandztiants and the Armenian Heroic Epic (on the 150th anniversary of his birth)]
https://web.archive.[...]
2016-04-12
[6]
서적
David of Sassoun : critical studies on the Armenian epic
https://www.worldcat[...]
Press at California State University, Fresno
2013
[7]
서적
The Heritage of Armenian Literature: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modern time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heritage of Armenian literature
https://www.worldcat[...]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000–2005
[9]
서적
Anthology of Armenian poetry
https://www.worldcat[...]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8
[10]
웹사이트
Sasna Tsrer full-length animation film to premier January 25 in Yerevan
https://www.panarmen[...]
2020-12-31
[11]
웹사이트
80-minute film in 8 years
http://youth.am/news[...]
2020-12-31
[12]
웹사이트
UNESCO - Performance of the Armenian epic of 'Daredevils of Sassoun' or 'David of Sassoun'
https://ich.unesco.o[...]
2023-04-20
[13]
웹사이트
Yervand Kochar - Incomparable Talent Evoked the National Spirit of Armenia
http://www.groong.or[...]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07-02-15
[14]
서적
Sasuntsʻi Davit̕ʻ / David of Sassoun / Hovhannes Toumanyan = David Sasunskiĭ / Ovanes Tumani︠a︡n
https://www.worldcat[...]
Nahapet
2013
[15]
웹인용
Yervand Kochar - Incomparable Talent Evoked the National Spirit of Armenia
http://www.groong.or[...]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07-02-15
[16]
저널
Գարեգին Սրվանձտյանցը և հայկական հերոսավեպը (Գ. Սրվանձտյանցի ծննդյան 150-ամյակի առթիվ) [Garegin Srvandztiants and the Armenian Heroic Epic (on the 150th anniversary of his birth)]
http://hpj.asj-oa.am[...]
2019-12-25
[17]
서적
The Heritage of Armenian Literature: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modern time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