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영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영웅은 보호자, 방위자를 뜻하는 그리스어 '헤로스'에서 유래된 단어로, 신화나 역사 속에서 뛰어난 용기, 희생, 또는 특별한 능력을 보여준 인물을 지칭한다. 고대 그리스 신화에서는 헤라클레스와 같은 반신적 존재를 영웅으로 숭배했으며,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등장하는 헥토르와 아킬레우스가 대표적이다. 영웅은 종종 운명과 갈등하며, 기독교적 관점의 도덕성과는 다른 면모를 보이기도 했다. 동아시아, 특히 한국사에서는 건국 신화 속 인물, 외세 침략에 맞선 장수, 독립운동가 등이 영웅으로 추앙받아왔다. 현대 사회에서는 대중문화 속 슈퍼히어로, 평범한 시민 영웅, 반자본주의적 가치를 대변하는 인물 등 다양한 형태로 영웅이 묘사되며, 심리학적 연구를 통해 영웅의 특성, 영웅심의 기원과 기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학 원형 - 융의 원형
    융의 원형은 카를 융이 분석심리학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집단 무의식 속에 존재하는 보편적인 심상 또는 행동 패턴의 핵으로서 다양한 문화 현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상징적 이미지와 모티프를 통해 드러나며, 페르소나, 그림자, 아니마, 아니무스, 자아 등의 주요 원형은 개인의 성격 형성과 심리적 기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문학 원형 - Mary Sue
    메리 수는 팬픽션에서 과도하게 이상적인 여성 캐릭터를 비판하는 용어로, 작가의 자아 투영이 심하게 나타나 매력적이고 유능하며 주변의 호감을 독차지하는 인물을 지칭하며, 논쟁적인 개념으로 자리 잡았다.
  • 영웅 - 반영웅
    반영웅은 서사 작품에서 이상, 용기, 도덕성 등 전통적인 영웅의 특성이 없는 주인공으로, 사회 비판의 도구, 복잡한 내면 묘사 등을 통해 독자에게 공감을 얻으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영웅 - 모모타로
    모모타로는 일본 전래 이야기의 영웅으로, 복숭아에서 태어나 개, 원숭이, 꿩과 함께 오니가시마로 악귀를 퇴치하러 떠나는 인물이며,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존재하고 전쟁 선전에 이용되기도 했으나 현대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재해석되고 있다.
  • 융의 원형 - 궁정 광대
    궁정 광대는 역사적으로 왕이나 귀족을 즐겁게 하던 연예인이었으며, 정치적 풍자를 통해 권력자를 비판하는 역할도 수행했지만 찰스 2세 이후 그 전통은 점차 사라졌고, 폴란드의 스탄치크나 독일의 틸 오일렌슈피겔과 같이 역사적 상징으로 남아있는 광대들도 존재한다.
  • 융의 원형 - 페르소나 (심리학)
    페르소나는 카를 융이 제시한 개념으로, 개인이 사회적 역할에 맞춰 발달시키는 가면 또는 사회적 인격을 의미하며, 융은 페르소나와 동일시되는 것을 경계하고 개성화 과정을 통해 페르소나를 재구성해야 한다고 보았다.
영웅

2. 어원

영웅의 영어 낱말 히어로(Hero)는 문자 그대로 "보호자", "방위자"를 뜻하는 그리스어 낱말 헤로스/ἥρωςgrc에서 비롯된 것이다.[45] 특히 신성한 혈통이나 이후 신성한 영예를 지닌 헤라클레스와 같은 인물을 가리킨다.[46] 페테르 파울 루벤스의 ''미덕의 영웅의 대관''(Coronation of the Hero of Virtue)은 1612년에서 1614년 사이에 제작되었다.

페테르 파울 루벤스의 ''미덕의 영웅의 대관''(Coronation of the Hero of Virtue), 1612-1614


단어 "영웅"(hero)은 그리스 신화의 ἥρως(hērōs)에서 유래했으며,[6] 헤라클레스와 같이 신성한 조상을 가졌거나 나중에 신적인 영예를 받은 인물을 지칭한다.[7] 선문자 B가 해독되기 전에는 단어의 원래 형태가 *hērōw-/ἥρωϝ-grc로 추정되었지만, 미케네 복합어 ti-ri-se-ro-e는 -w-가 없음을 보여준다. 영웅(Hero)이라는 이름은 호메로스 이전의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며, 헤로는 아프로디테 여신의 여사제였다.

''아메리카 헤리티지 영어 사전''에 따르면, 인도유럽어족의 뿌리는 "보호하다"를 의미하는 ''*ser''이다. 에릭 파트리지는 저서 ''어원''에서 그리스어 단어 ''hērōs''는 "라틴어 ''seruāre''와 유사하며, 이는 ''보호하다''를 의미한다"고 말한다. 파트리지는 "헤라와 영웅 모두의 기본적인 의미는 '수호자'일 것이다"라고 결론짓는다. 로버트 S. P. 비크스는 인도유럽어 기원을 거부하고 이 단어가 그리스어 이전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한다.[8] 헤라는 보호를 포함한 많은 속성을 가진 그리스 신화의 그리스 여신이었다.

3. 역사 속 영웅

고대 시대의 영웅은 "명예를 추구하며 살고 죽는 전사"로 여겨지며, "살상의 뛰어남과 효율성"을 통해 자신의 위대함을 주장한다.[12] 각 고전 영웅의 삶은 전쟁이나 서사적 퀘스트에서 발생하는 전투에 집중된다.[4] 고전 영웅은 흔히 반신이며, 아킬레우스처럼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으며, 위험한 상황을 통해 영웅적 인물로 발전한다.[4]

두 영웅. 헤르쿨라네움의 로마 프레스코, 서기 30-40년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통해 알려진 헥토르는 트로이의 왕자이자 트로이 전쟁에서 트로이를 위해 싸운 최고의 전사였다.[10] 헥토르는 트로이와 그 동맹의 지도자로서 트로이 방어에 나섰으며, 고귀하고 예의 바른 성품으로도 알려져 있었다. 호메로스는 헥토르를 평화를 사랑하고 사려 깊으며 대담하고, 훌륭한 아들이자 남편, 아버지로 묘사한다.[12] 그러나 그는 아테나가 데이포보스로 변장하여 아킬레우스에게 도전하도록 설득하는 바람에 결국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한다.[11]

302x302px


아킬레우스는 테티스와 펠레우스의 아들로, 반신이었다. 그는 트로이 전쟁 전체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 전사로 여겨졌으며, 전장에서 초인적인 힘을 발휘했으며, 신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축복받았다. 아킬레우스는 헥토르가 그의 사랑하는 동료 파트로클로스를 죽인 후 순수한 분노 때문에 전쟁에 복귀했다.[11] 아킬레우스는 헥토르의 시체를 트로이 시내로 끌고 다니는 등 피에 굶주린 많은 행동을 규정하는 통제할 수 없는 분노로 유명했다.[12]

신화 속 영웅들은 종종 신들과 가깝지만 갈등적인 관계를 맺었다. 헤라클레스는 "헤라의 영광"을 의미하지만, 평생 헤라에게 고통을 받았다. 아테네의 왕 에레크테우스는 도시의 수호신으로 아테나 대신 포세이돈을 선택했기 때문에 포세이돈에게 죽임을 당했다. 아테네인들이 아크로폴리스에서 에레크테우스를 숭배했을 때, 그들은 그를 ''포세이돈 에레크테우스''라고 불렀다.

운명, 또는 숙명은 고전 영웅의 이야기에서 막대한 역할을 한다. 고전 영웅의 영웅적 중요성은 본질적으로 위험한 행동인 전장의 정복에서 비롯된다.[12] 그리스 신화의 신들은 영웅들과 상호 작용할 때 종종 영웅의 최종적인 전장에서의 죽음을 예고한다. 수많은 영웅과 신들은 예정된 운명을 바꾸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운명의 여신에 의해 정해진 결과를 바꿀 수 없으므로 성공하지 못한다.[13]

고전 영웅들은 흔히 기독교적 개념의 훌륭하고 완벽하게 도덕적인 영웅을 구현하지 않았다.[14] 예를 들어, 아킬레우스의 증오심에 가득 찬 분노라는 성격 문제는 무자비한 살육으로 이어졌다. 고전 영웅들은 도덕성과 관계없이 종교에 포함되었다. 고대에는 헤라클레스, 페르세우스, 아킬레우스와 같은 신격화된 영웅을 숭배하는 숭배가 고대 그리스 종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5]

3. 1. 고대

고대 시대의 영웅은 "명예를 추구하며 살고 죽는 전사"로 여겨지며, "살상의 뛰어남과 효율성"을 통해 자신의 위대함을 주장한다.[12] 각 고전 영웅의 삶은 전쟁이나 서사적 퀘스트에서 발생하는 전투에 집중된다.[4] 고전 영웅은 흔히 반신이며, 아킬레우스처럼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으며, 위험한 상황을 통해 영웅적 인물로 발전한다.[4]

호메로스의 ''일리아스''를 통해 알려진 헥토르는 트로이의 왕자이자 트로이 전쟁에서 트로이를 위해 싸운 최고의 전사였다.[10] 헥토르는 트로이와 그 동맹의 지도자로서 트로이 방어에 나섰으며, 고귀하고 예의 바른 성품으로도 알려져 있었다. 호메로스는 헥토르를 평화를 사랑하고 사려 깊으며 대담하고, 훌륭한 아들이자 남편, 아버지로 묘사한다.[12] 그러나 그는 아테나가 데이포보스로 변장하여 아킬레우스에게 도전하도록 설득하는 바람에 결국 아킬레우스에게 죽임을 당한다.[11]

아킬레우스는 테티스와 펠레우스의 아들로, 반신이었다. 그는 트로이 전쟁 전체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 전사로 여겨졌으며, 전장에서 초인적인 힘을 발휘했으며, 신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축복받았다. 아킬레우스는 헥토르가 그의 사랑하는 동료 파트로클로스를 죽인 후 순수한 분노 때문에 전쟁에 복귀했다.[11] 아킬레우스는 헥토르의 시체를 트로이 시내로 끌고 다니는 등 피에 굶주린 많은 행동을 규정하는 통제할 수 없는 분노로 유명했다.[12]

신화 속 영웅들은 종종 신들과 가깝지만 갈등적인 관계를 맺었다. 헤라클레스는 "헤라의 영광"을 의미하지만, 평생 헤라에게 고통을 받았다. 아테네의 왕 에레크테우스는 도시의 수호신으로 아테나 대신 포세이돈을 선택했기 때문에 포세이돈에게 죽임을 당했다. 아테네인들이 아크로폴리스에서 에레크테우스를 숭배했을 때, 그들은 그를 ''포세이돈 에레크테우스''라고 불렀다.

운명, 또는 숙명은 고전 영웅의 이야기에서 막대한 역할을 한다. 고전 영웅의 영웅적 중요성은 본질적으로 위험한 행동인 전장의 정복에서 비롯된다.[12] 그리스 신화의 신들은 영웅들과 상호 작용할 때 종종 영웅의 최종적인 전장에서의 죽음을 예고한다. 수많은 영웅과 신들은 예정된 운명을 바꾸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만, 운명의 여신에 의해 정해진 결과를 바꿀 수 없으므로 성공하지 못한다.[13]

고전 영웅들은 흔히 기독교적 개념의 훌륭하고 완벽하게 도덕적인 영웅을 구현하지 않았다.[14] 예를 들어, 아킬레우스의 증오심에 가득 찬 분노라는 성격 문제는 무자비한 살육으로 이어졌다. 고전 영웅들은 도덕성과 관계없이 종교에 포함되었다. 고대에는 헤라클레스, 페르세우스, 아킬레우스와 같은 신격화된 영웅을 숭배하는 숭배가 고대 그리스 종교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15]

3. 2. 동아시아

한국사에는 수많은 영웅이 등장한다. 고조선의 단군왕검, 고구려의 주몽, 백제온조왕, 신라의 박혁거세 등 건국 신화 속 인물들은 신성한 존재로 추앙받는다. 삼국시대에는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운 을지문덕, 계백, 김유신 등이 영웅으로 칭송받는다. 고려 시대에는 거란의 침입을 막아낸 강감찬, 몽골의 침략에 맞서 싸운 김윤후, 최영 등이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조선 시대에는 왜란호란에서 나라를 구한 이순신, 권율, 곽재우, 김시민 등이 대표적인 영웅으로 꼽힌다.

근현대사에서는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을 펼친 안중근, 윤봉길, 김구, 유관순 등이 민족의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이들은 목숨을 바쳐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그 정신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특히,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여 한국인의 독립 의지를 전 세계에 알렸으며, 윤봉길 의사는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여 일본 제국주의에 큰 타격을 입혔다. 김구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이끌며 독립운동을 주도했고, 유관순 열사는 3.1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 만세를 외치다 순국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그들의 애국심을 본받아 민족의 번영과 통일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3. 2. 1. 한국의 영웅

한국사에는 수많은 영웅이 등장한다. 고조선의 단군왕검, 고구려의 주몽, 백제온조왕, 신라의 박혁거세 등 건국 신화 속 인물들은 신성한 존재로 추앙받는다. 삼국시대에는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운 을지문덕, 계백, 김유신 등이 영웅으로 칭송받는다. 고려 시대에는 거란의 침입을 막아낸 강감찬, 몽골의 침략에 맞서 싸운 김윤후, 최영 등이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조선 시대에는 왜란호란에서 나라를 구한 이순신, 권율, 곽재우, 김시민 등이 대표적인 영웅으로 꼽힌다.

근현대사에서는 일제강점기에 독립운동을 펼친 안중근, 윤봉길, 김구, 유관순 등이 민족의 영웅으로 추앙받는다. 이들은 목숨을 바쳐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으며, 그 정신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특히, 안중근 의사는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여 한국인의 독립 의지를 전 세계에 알렸으며, 윤봉길 의사는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여 일본 제국주의에 큰 타격을 입혔다. 김구 선생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이끌며 독립운동을 주도했고, 유관순 열사는 3.1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 만세를 외치다 순국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독립운동가들의 숭고한 희생정신을 기리고, 그들의 애국심을 본받아 민족의 번영과 통일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3. 3. 슬라브 민족의 영웅

블라디미르 프롭은 러시아 동화 분석에서 동화가 단 8명의 ''등장인물''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하나가 영웅이라는 결론을 내렸다.[19] 그의 분석은 비 러시아 민속에도 널리 적용되었다. 이러한 영웅의 영역에 속하는 행동은 퀘스트를 떠나거나, 기증자의 시험에 반응하거나, 공주와 결혼하는 것이다.[19]

프롭은 "탐구자"와 "피해자-영웅"을 구분했다. 악당은 영웅을 납치하거나 쫓아내는 방식으로 문제를 시작할 수 있는데, 이들은 피해자-영웅이었다. 반면에 적대자는 영웅을 강탈하거나 그와 가까운 사람을 납치할 수 있으며, 악당의 개입 없이도 영웅은 자신이 무언가를 부족하다는 것을 깨닫고 그것을 찾으러 나설 수 있는데, 이러한 영웅은 탐구자이다. 피해자는 탐구자 영웅이 있는 이야기에도 등장할 수 있지만, 이야기는 둘 다 따르지 않는다.[19]

이반 차레비치, 빅토르 바스네초프 (1880)의 러시아 민속 영웅

4. 신화와 영웅

래글런 경은 1936년 저서 《영웅, 전통, 신화, 드라마 연구》에서 역사와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 신화, 종교 속 많은 영웅들이 공유하는 22가지의 공통적인 특징을 제시했다.[16] 래글런은 점수가 높을수록 그 인물이 신화적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했다.[16]

16세기 중국 소설 서유기의 네 영웅


조지프 캠벨은 1949년 저서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에서 다양한 문화권의 신화를 분석하여 '단일신화적 "영웅의 탐구"'라는 보편적인 서사 구조를 제시했다.[17] 그는 매우 다른 문화와 신념에도 불구하고 영웅이 무엇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유사한 아이디어를 가진 영웅 이야기의 몇 가지 통일된 주제를 보여준다. 단일신화 또는 영웅의 여정은 출발, 입문, 귀환의 세 가지 별도 단계로 구성된다. 이 단계 내에서, 남녀 모두의 영웅이 따를 수 있는 몇 가지 원형이 있으며, 모험에의 부름(처음에는 거절할 수 있음), 초자연적 도움, 시련의 길을 걷는 것, 자신에 대한 깨달음(또는 신격화)을 얻는 것, 그리고 탐구 또는 여정을 통해 살아갈 자유를 얻는 것이 포함된다.[17] 캠벨은 크리슈나, 붓다, 티아나의 아폴로니우스, 그리고 예수와 같은 유사한 주제를 가진 이야기의 예를 제시했다.[17] 그가 탐구하는 주제 중 하나는 남성적 특징과 여성적 특징을 결합한 양성적인 영웅으로, 보살(Bodhisattva)이 그 예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첫 번째 경이로움은 보살의 양성적 성격이다. 남성적인 아발로키테슈바라와 여성적인 관음이다."[17] 1968년 저서 《신의 가면: 서양 신화》에서 캠벨은 "전기적인 세부 사항의 정확성과는 상관없이, 십자가에 못 박히고 부활한 그리스도의 감동적인 전설은 사랑받는 탐무즈, 아도니스, 오시리스 주기의 오래된 모티프에 새로운 따뜻함, 즉시성, 인간성을 가져다주기에 적합했다는 것이 분명하다."라고 적었다.[18]

''렘민카이넨과 불의 독수리'', 로베르트 빌헬름 에크만, 1867


많은 문화권에서 유명한 영웅은 신과 같은 존재로 여겨진다(에우헤메리즘). '영웅'이라는 단어는 고대 그리스 문화와 신화에서 유래했다. 많은 그리스 신화 속 영웅들은 신의 자손이며 도시, 국가, 영토의 시조였다. 반드시 모범적인 인물이거나 영웅적인 자질을 갖춘 것은 아니었지만, 대부분은 반신적 존재였다. 신화와 역사가 분화되지 않았던 이 시대를 "영웅 시대"라고 부른다. 이 시대는 트로이 전쟁과 함께 끝나고, 영웅들은 집으로 돌아가 여생을 보내거나, 갈 곳 없이 떠돌게 된다. 영웅은 서사시나 그리스 비극의 주인공으로 다루어졌고, 이 때문에 서양어에서 영웅을 의미하는 단어는 "주인공"을 의미하기도 한다. 잘 알려진 영웅으로는 아킬레우스, 오디세우스, 오이디푸스가 있다.

기독교 이전의 대부분의 유럽 종교는 신화 속에 영웅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영웅들은 그 공적이나 숭배 방식이 정교회나 가톨릭교회의 교리에 흡수·습합되어 현재의 성인 숭배의 근원이 되었다.

비극성을 띤 영웅으로 일본에는 야마토타케루, 미나모토노 요시츠네 등이 알려져 있는데, 후에는 전사를 포함한 불의의 죽음이 비극으로 여겨져 고령신앙으로 이어졌다. 재앙을 두려워하여 다이라노 마사카도 등이 신으로 모셔진 것이 그 한 예이다. 전시 중에는 결사적인 공격을 한 자가 군신으로 영웅시되기도 했다. 그 한편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모시는 도쇼구처럼 비극과는 무관한 예도 있다.

최근의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에서는 영웅이 특별한 힘을 갖지 않은 평범한 인물이지만, 사회로부터 박해받고 마지막에 그것을 극복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최근 현저한 경향이지만, 영웅이 모든 것을 구할 수 없을 때도 있다. 그때 그려지는 인간성의 빛이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기 위해 사용된다.

4. 1. 영웅의 여정

래글런 경은 1936년 저서 《영웅, 전통, 신화, 드라마 연구》에서 역사와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 신화, 종교 속 많은 영웅들이 공유하는 22가지의 공통적인 특징을 제시했다.[16] 래글런은 점수가 높을수록 그 인물이 신화적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주장했다.[16]

조지프 캠벨은 1949년 저서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에서 다양한 문화권의 신화를 분석하여 '단일신화적 "영웅의 탐구"'라는 보편적인 서사 구조를 제시했다.[17] 그는 매우 다른 문화와 신념에도 불구하고 영웅이 무엇을 나타내는지에 대한 유사한 아이디어를 가진 영웅 이야기의 몇 가지 통일된 주제를 보여준다. 단일신화 또는 영웅의 여정은 출발, 입문, 귀환의 세 가지 별도 단계로 구성된다. 이 단계 내에서, 남녀 모두의 영웅이 따를 수 있는 몇 가지 원형이 있으며, 모험에의 부름(처음에는 거절할 수 있음), 초자연적 도움, 시련의 길을 걷는 것, 자신에 대한 깨달음(또는 신격화)을 얻는 것, 그리고 탐구 또는 여정을 통해 살아갈 자유를 얻는 것이 포함된다.[17] 캠벨은 크리슈나, 붓다, 티아나의 아폴로니우스, 그리고 예수와 같은 유사한 주제를 가진 이야기의 예를 제시했다.[17] 그가 탐구하는 주제 중 하나는 남성적 특징과 여성적 특징을 결합한 양성적인 영웅으로, 보살(Bodhisattva)이 그 예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첫 번째 경이로움은 보살의 양성적 성격이다. 남성적인 아발로키테슈바라와 여성적인 관음이다."[17] 1968년 저서 《신의 가면: 서양 신화》에서 캠벨은 "전기적인 세부 사항의 정확성과는 상관없이, 십자가에 못 박히고 부활한 그리스도의 감동적인 전설은 사랑받는 탐무즈, 아도니스, 오시리스 주기의 오래된 모티프에 새로운 따뜻함, 즉시성, 인간성을 가져다주기에 적합했다는 것이 분명하다."라고 적었다.[18]

5. 영웅과 악당

영웅과 라이벌은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어떤 문화에서는 영웅으로 묘사되는 인물이 다른 문화에서는 반대로 그려지기도 한다. 이 경우, 반사회적인 행위라도 그 인물을 물리쳤기 때문에 칭찬받는 경우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그 행위가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것은 아니다. 설령 같은 행위라도, 그 문화 내에서 행해졌을 경우에는 비난받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적을 사실과 다르게 문화 밖의 인물로 설정함으로써 영웅의 권위를 높이는 경우도 있다.

6. 현대 사회의 영웅

6. 1. 대중문화 속 영웅

현대 대중문화에서 '영웅'이라는 단어는 때때로 이야기의 주인공 또는 로맨스 대상을 묘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영웅주의에 대한 초인적인 기대와 상충될 수 있다.[33] 레프 톨스토이의 소설 속 주인공 안나 카레니나가 그 예시이다. 1848년 윌리엄 메이크피스 새커리는 ''허영의 시장''에 "영웅 없는 소설"이라는 부제를 붙여, 동정적인 등장인물을 찾아볼 수 없는 세상을 상상하기도 했다.[31] ''허영의 시장''은 현대 세계에서 진정으로 도덕적인 영웅의 부재를 풍자적으로 표현한 것이다.[32]

배트맨(아담 웨스트)과 로빈(버트 워드)의 1966-1968년 텔레비전 시리즈, ''배트맨''


과장된 영웅은 판타지, 특히 만화 및 서사 판타지에서 더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33] 슈퍼히어로 장르는 만화, 영화, 장난감, 비디오 게임 등을 포함하는 거대한 산업이다. 슈퍼히어로는 일반적으로 인간이 가질 수 없는 특별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슈퍼히어로 이야기는 종종 슈퍼 빌런과 대결하며, 영웅은 이들이 일으킨 범죄와 싸운다. 오랫동안 활동해 온 슈퍼히어로의 예로는 슈퍼맨, 원더우먼, 배트맨, 스파이더맨 등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남성 작가는 여성 주인공을 초인적으로 만들 가능성이 더 높은 반면, 여성 작가는 여성 주인공을 평범한 인간으로 만들고, 남성 영웅을 여성 주인공보다 더 강력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34]

6. 2. 평범한 영웅

6. 3. 반자본주의와 영웅

역사학자 제리 Z. 뮬러에 따르면, 근대에 상인(부르주아)과 영웅은 대립적인 관계로 묘사되어 왔다. 상인은 평화에, 영웅은 전쟁에 연결되어 표현된다.

일부 사상가들은 자본주의 사회의 상업적 가치관에 반대하며, 전쟁이나 희생을 통해 영웅적 가치를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게오르크 짐멜은 전쟁이 없는 시대의 문화·사회를 슬픈 상태로 보았고, 전쟁을 "정신적인 전환점"이자 "위대한 가능성"으로 가득 찬 것으로 묘사했다. 막스 베버 또한 제1차 세계 대전에 대해 "위대하고 훌륭하다"고 기록했다. 짐멜과 국가주의(내셔널리즘)적인 경제학베르너 좀바르트는 전쟁을 통해 사회가 "의미"와 "집단적 목적"을 되찾는다고 주장했다.

좀바르트는 『상인과 영웅』에서 자본주의와 영웅주의의 대립을 "종교 전쟁"으로 재해석하고, 독일을 '영웅의 나라', 영국을 '상인과 상점 주인의 나라'로 비유하며 자본주의 사회를 비판했다. 그는 부르주아 사회가 국가의 "파멸의 길"이지만, 전쟁은 국가를 구원하고 "영웅 정신"을 개화시킨다고 주장했다. 또한 전쟁은 "용기", "자기 희생", "순종", "신앙심"과 같은 "덕"을 부활시킨다고 보았다. 좀바르트는 자본주의 국가 영국과 공화주의 국가 프랑스가 "상업적 가치관"을 체현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이러한 부르주아 의식(자본주의)을 "쾌적주의(Komfortismus)"라고 불렀다.

에른스트 윙거는 전장에서의 "영웅적 행위"를 기리는 작품을 통해 "모든 모험은 모험에 따르는 죽음의 순간에 살아있다"고 말했다. 오스발트 슈펭글러 등의 독일 사상가들도 부르주아 계급을 경멸하며, 높은 이상을 위해 죽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 태도를 강조했다.

베버나 짐멜에게서는 자유주의적인 면모도 엿보였지만, 독일, 오스트리아, 헝가리 등에서는 전쟁을 계기로 지식인들이 자유주의를 버리고 좌익, 우익의 원리주의로 기울어 정치적 양극화가 일어났다. 이들은 자본주의를 "개혁"하는 것이 아니라 "극복"하려 했다.

알렉시 드 토크빌에 따르면, 민주주의 하의 시민은 생명을 걸고 전투하는 것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다. 평범하고 자유적인 자본주의나 민주주의는 "영웅"이나 "영광"을 중시하는 사람들에게는 납득할 수 없는 발상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결속주의(파시즘)가 매력적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했다. 그들은 쾌적주의 하에서 사는 것보다 "숭고한 이상"을 위해 "장엄함" 속에서 죽는 것을 선택했다.

6. 4. 죽음 숭배와 자살 공격

움베르토 에코파시즘의 특징 중 하나로 '죽음 숭배'를 지적하며, 영웅주의가 극단적으로 발현될 경우 타인의 희생을 강요하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영웅 숭배는 "죽음 숭배"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원 파시즘의 영웅은 죽음을 동경하고, 다른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가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한다.

국가 사회주의(나치즘)가미카제(가미카제 특공대)를 영웅으로 미화했다. 1944년 11월 4일, 나치스의 기관지 『민족의 감시자 (푈키셔 베오바흐터)』는 도쿄발 기사를 1면에 게재하며 가미카제의 영웅적인 행위를 찬양했다. 이 기사는 가미카제 특공대의 시키시마대를 이끈 관행남 대위를 언급하며, 군부와 언론이 특공대를 "영웅"으로 미화했음을 보여준다.

일본 제국은 특공대원들의 희생을 통해 "뛰어난 일본 정신"을 발현하려 했다. 특공대 지원병들은 엘리트 대학의 인문학계 학생들이 대부분이었으며, 이들은 죽음의 "순수함"이나 "무사"가 더 나은 일본으로의 길을 보여주기를 바랐다.

20세기 초, 에른스트 윙거를 비롯한 독일 지식인들은 이슬람 세계에 깊은 영향을 받았다. 아랍 사회주의 부흥 운동(바트주의) 추진자들도 독일 사상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군사 훈련과 영웅적인 개인의 희생으로 결합된 아랍인의 "게마인샤프트(자생적 민족 공동체)"를 이상으로 삼았다.

"가미카제" 전술은 1982년 이스라엘 침공 이후의 레바논에서 신의 당에 의해 채택되었다. 1983년 10월에는 폭탄을 실은 트럭의 자살 테러로 241명의 미국 군인이 사망했으며, 이후 팔레스타인인들도 자살 전술을 감행했다.

오사마 빈 라덴이 젊은 신봉자들을 선동할 때 사용하는 "죽음의 숭배"적 수사법은 "가미카제 정신"과 유사점이 많다고 여겨진다. 빈 라덴은 "광적인 용기"를 강조하며, 이는 나치즘이 자주 사용했던 "광신적인"이라는 표현에 가깝다.

7. 심리학적 관점

사회 심리학은 영웅과 영웅심에 주목하기 시작했다.[35] 제노 프랑코와 필립 짐바르도는 영웅심과 이타주의의 차이점을 지적하고, 부당한 위험에 대한 관찰자 인식은 위험 유형 외에도 영웅적 지위 부여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증거를 제시한다.[36]

심리학자들은 영웅의 특성을 파악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일레인 킨셀라와 그녀의 동료들은[37] 용감함, 도덕적 청렴, 신념, 용기, 자기 희생, 보호, 정직, 이타심, 결단력, 타인 구원, 영감, 도움과 같이 영웅심의 12가지 핵심 특성을 확인했다. 스콧 앨리슨과 조지 괴탈스[38]는 현명함, 강인함, 회복력, 신뢰성, 카리스마, 배려, 이타심, 영감의 "8가지 위대한 영웅 특성"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다. 이들은 영웅이 우리에게 지혜를 주고, 우리를 향상시키며, 도덕적 모델을 제공하고, 보호를 제공하는 네 가지 주요 기능을 수행한다고 보았다.[39]

영웅적인 위험 감수에 대한 진화 심리학적 설명은 영웅의 능력을 보여주는 비용 신호라는 것이다. 그것은 여러 가지 다른 진화론적 설명이 있는 이타주의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40][41]

로마 채터지는 영웅, 또는 더 일반적으로 주인공은 읽거나, 듣거나, 시청하는 동안 이야기를 경험하는 사람의 상징적 표현이라고 제안했다.[42] 따라서 영웅이 개인에게 갖는 관련성은 그들과 캐릭터 사이의 유사성에 크게 달려 있다. 채터지는 이야기와 신화에 대한 영웅-자아 해석의 한 가지 이유는 인간이 개인적인 관점 외에는 세상을 볼 수 없다는 점이라고 제안했다.

퓰리처상 수상작인 ''죽음의 부정''에서 어니스트 베커는 인간 문명이 궁극적으로 우리의 죽음에 대한 지식에 대한 정교하고 상징적인 방어 기제이며, 이는 다시 우리의 기본적인 생존 기제에 대한 정서적, 지적 반응으로 작용한다고 주장한다. 베커는 인간의 삶에는 객체의 물리적 세계와 인간 의미의 상징적 세계 사이에 기본적인 이중성이 존재한다고 설명한다. 따라서 인류는 물리적 자아와 상징적 자아로 구성된 이원적 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영웅심을 통해, 주로 상징적 자아에 주의를 집중함으로써 딜레마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상징적 자아 집중은 개인의 "불멸 프로젝트"(또는 "''causa sui'' 프로젝트")의 형태로 나타나며, 이는 본질적으로 물리적 현실보다 우월하다고 믿어지는 상징적 신념 체계이다. 사람들은 불멸 프로젝트의 조건에 따라 성공적으로 삶을 영위함으로써 영웅이 될 수 있고, 앞으로 그들의 육체와 비교하여 결코 죽지 않을 영원한 존재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느낀다. 그는 이것이 결국 사람들에게 그들의 삶이 의미와 목적을 가지고 있고, 거대한 계획에서 중요하다는 느낌을 준다고 주장한다. 인류의 전통적인 "영웅 시스템"은 이성의 시대에 더 이상 설득력이 없으며, 과학은 불멸 프로젝트 역할을 하려고 시도하지만, 베커는 이것이 불가능하다고 믿는다. 왜냐하면 인간의 삶에 대한 동의할 수 있고 절대적인 의미를 제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책은 사람들이 동의할 수 있는 방식으로 영웅심을 느끼게 하는 새로운 설득력 있는 "환상"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베커는 완벽한 해결책이 없다고 믿기 때문에 어떠한 확실한 답변도 제시하지 않는다. 대신, 인류의 타고난 동기, 즉 죽음에 대한 점진적인 인식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공포 관리 이론 (TMT)은 이러한 관점을 뒷받침하는 증거를 생성했다.

참조

[1] 웹사이트 Scholar and Patriot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Giuseppe Garibaldi (Italian revolutionary) https://www.britanni[...] 2014-03-06
[3] 간행물 The Imaginary Field of the Heroic: On the Contention between Heroes, Martyrs, Victims and Villains in Collective Memory https://www.academia[...]
[4] 백과사전 Hero http://academic.eb.c[...] 2015-12-06
[5] 사전 Definition of HERO http://www.merriam-w[...] 2017-10-02
[6] 사전 hero http://www.etymonlin[...]
[7] 문서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A Greek-English Lexicon'', on Perseus Digital Library https://www.perseus.[...]
[8]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Greek Brill
[9] 간행물 Love and the Hero of the Iliad
[10] 문서 Hyginus, ''Fabulae'' 115.
[11] 서적 The Iliad Penguin Books
[12] 서적 The Mortal Hero: An Introduction to Homer's Ilia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3] 웹사이트 Articles and musing on the concept of Fate for the ancient Greeks http://www.auburn.we[...]
[14] 웹사이트 Four Conceptions of the Heroic http://www.fellowshi[...] 2015-12-07
[15] 웹사이트 Hero Cult http://referencework[...] Brills New Pauly
[16] 서적 The Hero: A Study in Tradition, Myth and Drama by Lord Raglan Dover Publications
[17] 서적 The Hero With a Thousand Fac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8] 서적 The Masks of God: Occidental Mythology Penguin
[19] 서적 Morphology of the Folk Tale
[20] 뉴스 The Story of Simo Häyhä, the White Death of Finland - The Culture Trip https://theculturetr[...]
[21] 뉴스 IS: Simo Häyhän muistikirja paljastaa tarkka-ampujan huumorintajun – "Valkoinen kuolema" esittää näkemyksensä ammuttujen vihollisten lukumäärästä https://www.is.fi/su[...]
[22] 서적 Tapio Saarelainen: The White Sniper https://books.google[...]
[23] 웹사이트 The Study of Sociology https://www.questia.[...] Appleton 2012-05-15
[24] 웹사이트 The Library of Congress: Bill Summary & Status 112th Congress (2011–2012) H.R. 3001 http://thomas.loc.go[...] 2012-07-26
[25] 웹사이트 Holocaust Hero Honored on Postage Stamp http://www.raoulwall[...]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26] 서적 The Hero in History. A Study in Limitation and Possibility Beacon Press
[27] 서적 The Resisting Reader Indiana University Press
[28] 서적 The Heroine's Text: Readings in the French and English Novel, 1722–1782 Columbia University Press
[29] 간행물 The Role of an Individual in History: A Reconsideration http://www.socionauk[...]
[30] 간행물 W. The Lead Economy Sequence in World Politics (From Sung China to the United States): Selected Counterfactuals http://www.socionauk[...]
[31] 서적 Anatomy of Criticism
[32] 웹사이트 Vanity Fair Theme of Morality and Ethics http://www.shmoop.co[...] 2015-12-06
[33] 서적 Literary Swordsmen and Sorcerers: The Makers of Heroic Fantasy
[34] 간행물 "Who creates warrior women? An investigation of the warrior characteristics of fictional female heroes based on the sex of the author."
[35] 간행물 Heroic behavior: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high-stakes altruism in the wild
[36] 논문 Heroism: A conceptual analysis and differentiation between heroic action and altruism
[37] 논문 Zeroing in on Heroes: A prototype analysis of hero features https://figshare.com[...]
[38] 서적 Heroes: What They Do & Why We Need Them Oxford University Press
[39] 논문 Hero worship: The elevation of the human spirit
[40] 서적 Applied Evolutionary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Encyclopedia of Evolutionary Psychological Science Springer
[42] 논문 The Voyage of the Hero: The Self and the Other in One Narrative Tradition of Purulia 1986-01
[43] 서적 Natural Born Heroes: Mastering the Lost Secrets of Strength and Endurance Penguin 2016
[44] 서적 Natural Born Heroes: Mastering the Lost Secrets of Strength and Endurance Penguin 2016
[45] 웹인용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46] 간행물 A Greek-English Lexicon http://www.perseus.t[...] Henry George Liddell, Robert Scott, on Perseus Digital Libr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