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용자 혁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용자 혁신은 사용자가 제품 및 서비스 개발 과정에 참여하여 혁신을 이끌어내는 방식을 의미한다. 1986년 에릭 폰 히펠은 선도 사용자 방식을 통해 사용자 혁신을 신제품 개발에 적용하는 방법을 제시했으며, 2007년에는 창의적 소비자라는 새로운 유형의 사용자 혁신가가 등장했다. 사용자 혁신은 사용 방식, 서비스, 기술 구성, 그리고 새로운 기술 자체의 혁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기업은 가상 고객 환경과 같은 웹 기반 포럼을 통해 고객의 참여를 유도한다. 티셔츠 제조 회사인 Threadless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디자인을 공모하고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사용자 기여를 장려하는 사례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기술학 - 기술의 사회적 구성론
    기술의 사회적 구성론은 기술이 사회적 과정을 통해 구성되며 사회적 요인이 기술 개발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이론으로, 대칭의 원리, 해석적 유연성, 관련 사회 집단의 상호작용 등의 핵심 개념을 포함하며 과학지식사회학의 영향을 받아 사회정치적 맥락과 연관된다.
  • 과학기술학 - 창의성
    창의성은 새롭고 유용한 결과물을 생산하거나 독창적이고 가치 있는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능력으로, 뇌의 상호작용, 확산적 사고, 경험에 대한 개방성 등과 관련되며, 훈련 등을 통해 증진될 수 있다.
  • 혁신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혁신 - 행위자 연결망 이론
    행위자 연결망 이론은 1980년대 프랑스에서 개발된 사회학 이론으로, 인간과 비인간 행위자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과학 기술 혁신 및 지식 창출 과정을 이해하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 로그인
    로그인은 특정 페이지, 웹사이트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여 시스템에 접근하는 절차이며, 1960년대 시분할 시스템과 1970년대 BBS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 키넥트
    키넥트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동작 인식 장치로, 적외선 프로젝터와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과 음성을 인식하며, Xbox용으로 출시되어 큰 인기를 얻었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 등으로 판매가 부진하여 생산이 중단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기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클라우드 기반 Azure Kinect로 이어졌으나 단종되었다.
사용자 혁신
사용자 혁신 개요
정의사용자 혁신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개인이 자신의 필요에 맞게 수정하고 개선하는 과정이다.
특징사용자가 주도적으로 혁신에 참여
자신의 필요에 맞는 제품/서비스 개발
기업의 혁신 활동에 기여
사용자 혁신의 동기
개인적 동기기존 제품/서비스의 부족함
특정 요구 충족
새로운 기능 추가
재미와 지식 습득
사회적 동기다른 사용자와의 공유 및 협력
커뮤니티 기여
사회적 영향력 행사
사용자 혁신의 유형
제품 수정기존 제품의 기능 개선 또는 변경
새로운 제품 개발기존 제품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제품 창조
서비스 개선서비스 이용 과정 개선 또는 새로운 서비스 개발
정보 공유혁신적인 아이디어 또는 결과 공유
사용자 혁신의 예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오픈 소스 커뮤니티에서 사용자들의 참여를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소프트웨어
3D 프린팅사용자들이 직접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맞춤형 제품
DIY (Do It Yourself)사용자들이 직접 제작하고 수리하는 제품
Modding게임이나 하드웨어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수정 및 개선
사용자 혁신의 장점
사용자 만족도 향상사용자의 요구에 맞는 제품/서비스 개발
혁신 비용 절감기업의 혁신 비용 절감 및 효율 증대
새로운 시장 창출새로운 제품/서비스를 통한 새로운 시장 창출
기업 경쟁력 강화혁신적인 제품/서비스를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
사용자 혁신의 단점
품질 문제사용자의 전문성 부족으로 인한 품질 문제 발생 가능성
안전 문제제품 수정 또는 개발 과정에서 안전 문제 발생 가능성
법적 문제지적 재산권 침해 등 법적 문제 발생 가능성
책임 소재 불분명문제 발생 시 책임 소재가 불분명할 수 있음
사용자 혁신과 관련된 이론
혁신의 사회적 구성 (Social Construction of Technology, SCOT)로빈 윌리엄스와 데이비드 에지가 제안한 이론으로, 기술의 발전은 사회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관점이다.
기술적 프레임 (Technological Frame)루디 투오미가 제시한 개념으로, 특정 기술에 대한 사용자들의 이해와 해석의 틀을 의미한다.
사고 집단 (Thought Collective)루드비크 플렉이 제시한 개념으로, 공통된 지식 체계를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한다.
리드 유저 (Lead User)에릭 폰 히펠이 제시한 개념으로, 현재 시장의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으며, 미래의 니즈를 가장 먼저 경험하는 사용자들을 의미한다.
사용자 혁신 관련 연구
기업의 사용자 혁신 활용기업은 사용자 혁신을 통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고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 혁신 커뮤니티사용자들은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서로 협력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혁신을 촉진한다.
사용자 혁신과 사회적 영향사용자 혁신은 사회 문제 해결 및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

2. 역사

사용자 혁신은 1986년 에릭 폰 히펠이 '선도 사용자' 개념을 도입하면서 신제품 개발에 적용되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가상 고객 환경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포럼은 기업이 제품 개발 단계에서 고객과 협력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예를 들어 Threadless는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기여를 통해 디자인을 얻으며, 디자이너에게는 2500USD의 기본 상금과 티셔츠 판매액의 일정 비율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사용자 참여를 유도한다.[12]

2. 1. 창의적 소비자의 등장

1986년, 에릭 폰 히펠은 선도 사용자 방식을 도입하여 신제품 개발에 적용하기 위해 사용자 혁신에 대해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했다. 2007년에는 창의적 소비자라는 또 다른 특정 유형의 사용자 혁신가가 소개되었다. 이들은 완전히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대신 독점적인 제품을 개조, 수정 또는 변형하는 소비자이다.[10]

2. 2. 사용자 혁신의 다양한 형태

사용자 혁신은 사용 혁신,[11] 서비스 혁신, 기술 구성 혁신, 그리고 새로운 기술 자체의 혁신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사용자 혁신은 기존 제품 및 기술의 사용 및 구성에 집중되어 있으며 장기적인 혁신의 일반적인 부분이지만, 최종 사용자가 변경하고 혁신하기 더 쉬운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의사소통 채널은 사용자 혁신이 발생하고 영향을 미치기 훨씬 쉽게 만들고 있다.

2. 3. 사용자 혁신 촉진 요인

1986년, 에릭 폰 히펠은 선도 사용자 방식을 도입하여 신제품 개발에 적용하기 위해 사용자 혁신에 대해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도록 했다. 2007년에는 또 다른 특정 유형의 사용자 혁신가인 창의적 소비자가 소개되었다. 이들은 완전히 새로운 제품을 만드는 대신 독점적인 제품을 개조, 수정 또는 변형하는 소비자이다.[10]

사용자 혁신은 사용 혁신,[11] 서비스 혁신, 기술 구성 혁신, 그리고 마지막으로 새로운 기술 자체의 혁신 등 다양한 정도를 갖는다. 대부분의 사용자 혁신은 기존 제품 및 기술의 사용 및 구성에 집중되어 있으며 장기적인 혁신의 정상적인 부분이지만, 최종 사용자가 변경하고 혁신하기 더 쉬운 새로운 기술과 새로운 의사 소통 채널은 사용자 혁신이 발생하고 영향을 미치기 훨씬 쉽게 만들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는 사용자 (또는 고객) 혁신을 촉진하는 웹 기반 포럼, 즉 가상 고객 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러한 포럼은 기업이 제품 개발의 다양한 단계뿐만 아니라 기타 가치 창출 활동에서 고객과 파트너 관계를 맺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Threadless라는 티셔츠 제조 회사는 디자인 과정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기여에 의존한다. 이 커뮤니티에는 디자인을 제출하고 다른 사람의 디자인에 투표하는 자원 봉사 디자이너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 무료 노출 외에도 디자이너에게는 2500USD의 기본 상금과 티셔츠 판매액의 일정 비율을 포함한 금전적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이러한 인센티브를 통해 Threadless는 지속적인 사용자 기여를 장려할 수 있다.[12]

3. 가상 고객 환경과 사용자 혁신

최근 연구는 사용자 (또는 고객) 혁신을 촉진하는 웹 기반 포럼, 즉 가상 고객 환경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포럼은 기업이 제품 개발뿐만 아니라 기타 가치 창출 활동에서 고객과 파트너 관계를 맺는 데 도움을 준다.[12]

3. 1. 가상 고객 환경의 역할

이러한 포럼은 기업이 제품 개발의 다양한 단계뿐만 아니라 기타 가치 창출 활동에서 고객과 파트너 관계를 맺는 데 도움을 준다.[12] 예를 들어, 티셔츠 제조 회사인 Threadless는 디자인 과정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기여에 의존한다. 이 커뮤니티에는 디자인을 제출하고 다른 사람의 디자인에 투표하는 자원 봉사 디자이너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 무료 노출 외에도 디자이너에게는 2500USD의 기본 상금과 티셔츠 판매액의 일정 비율을 포함한 금전적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이러한 인센티브를 통해 Threadless는 지속적인 사용자 기여를 장려할 수 있다.[12]

3. 2. 사례: Threadless

티셔츠 제조 회사인 Threadless는 디자인 과정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기여에 의존한다. 이 커뮤니티에는 디자인을 제출하고 다른 사람의 디자인에 투표하는 자원 봉사 디자이너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 무료 노출 외에도 디자이너에게는 2500USD의 기본 상금과 티셔츠 판매액의 일정 비율을 포함한 금전적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이러한 인센티브를 통해 Threadless는 지속적인 사용자 기여를 장려할 수 있다.[12]

3. 3. 사용자 기여 장려

Threadless라는 티셔츠 제조 회사는 디자인 과정에서 온라인 커뮤니티 구성원의 기여에 의존한다. 이 커뮤니티에는 디자인을 제출하고 다른 사람의 디자인에 투표하는 자원 봉사 디자이너 그룹이 포함되어 있다. 무료 노출 외에도 디자이너에게는 2500USD의 기본 상금과 티셔츠 판매액의 일정 비율을 포함한 금전적 인센티브가 제공된다. 이러한 인센티브를 통해 Threadless는 지속적인 사용자 기여를 장려할 수 있다.[12]

참조

[1] 논문 Users as innovators: A review, critiqu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http://www.marcelbog[...] 2010
[2] 간행물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using co-design methods when generating proposals for sustainable travel solutions https://dspace.lboro[...] 2015
[3] 논문 Lead Users: A Source of Novel Product Concepts 1986
[4] 간행물 Determinants of User Innovation and Innovation Sharing in a Local Market 2000-12-01
[5] 간행물 Organizational Mechanisms for Enhancing User Innovation in Information Technology 1999-09
[6] 간행물 When customers get clever: Managerial approaches to dealing with creative consumers http://www.sciencedi[...] 2007-01-01
[7] 간행물 Market bifurcations in board sports: How consumers shape markets through boundary work https://www.scienced[...] 2021-01-01
[8] 서적 Networks of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9] 간행물 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http://eprints.lse.a[...] 1996-09
[10] 간행물 When customers get clever: Managerial approaches to dealing with creative consumers http://www.sciencedi[...] 2007-01-01
[11] Citation On the Identity of Technological Objects and User Innovations in Function
[12] 뉴스 The Contribution Revolution: Letting Volunteers Build Your Business https://hbr.org/2008[...] Harvard Business Review 20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