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산업기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산업기사는 국가기술자격법 개정으로 1999년 신설된 자격증으로, 기사 2급, 다기능기술자, 기능사 1급이 통합되었다. 응시 자격은 실무 경력, 학력, 관련 자격증 소지 등을 통해 충족할 수 있으며, 필기 및 실기 시험을 통과해야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다. 시험 과목은 일반 검정 및 국방부 위탁 검정으로 나뉘며, 다양한 분야의 산업기사 자격 종목이 존재한다. 필기시험 합격률은 30~40%대, 실기시험 합격률은 40~50%대이며, 2023년까지 누적 자격 취득자는 200만 명을 넘어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기술자격 - 제빵사
    제빵사는 곡물을 주식으로 하는 문화에서 비롯된 오랜 역사를 가진 직업으로, 시대에 따라 빵 생산 방식과 재료, 제빵 기술이 발전해왔으며 현대에는 홈베이킹 확산과 함께 전문적인 교육 및 자격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 국가기술자격 - 조리사
    조리사는 식품을 조리하는 사람으로, 대한민국에서는 위생법에 따라 식품접객영업자나 집단급식소 운영자가 두어야 하며,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자격 취득 후 면허를 받아야 하고, 일본에서는 국가 자격으로 시험 합격 후 명부에 등록해야 하며, 식품위생책임자로서 위생과 안전 관리에 대한 책임을 진다.
산업기사

2. 역사

1999년 3월 28일 국가기술자격법 개정으로 기사 2급, 다기능기술자, 기능사 1급이 통합되어 현재의 '''산업기사'''가 되었다.

3. 응시 자격

산업기사 시험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관련 분야 실무 경력, 학력 또는 관련 자격증 소지 등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2006년부터 정보기술분야(정보처리산업기사·사무자동화산업기사 등)에 한해 모든 학과가 관련학과로 인정되었으나, 2013년부터는 비관련학과에 대한 특례가 폐지되고 순수경력 및 자격취득 후의 경력으로만 응시 가능하다.

이 외에도 산업기사 수준 기술훈련과정 이수자나 이수 예정자, 고용노동부령이 정하는 기능경기대회 입상자, 외국자격(동일종목 취득자)도 응시 가능하다.

3. 1. 실무 경력

산업기사 응시에 필요한 경력은 다음과 같다.

구분필요 경력
실무 경력만 있을 경우2년
기능사 취득자1년
동일 및 유사 직무 분야의 다른 산업기사 종목 취득자없음
동일 및 유사 종목에 해당하는 외국 자격 취득자없음



2006년부터 정보기술분야(정보처리산업기사, 사무자동화산업기사 등)는 모든 학과가 관련 학과로 인정되었으나, 2013년부터는 비관련학과에 대한 특례가 폐지되고 순수 경력 및 자격 취득 후의 경력으로만 응시할 수 있게 되었다.

3. 2. 학력

관련 학과의 전문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 예정자는 산업기사 응시 자격이 주어진다.[1] 2006년부터 2012년까지 정보기술 분야 산업기사에 한해 모든 학과가 관련 학과로 인정되었으나, 2013년부터 이 특례가 폐지되었다.[2]

구분필요 경력
관련 학과의 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 예정자없음
관련 학과의 2년제 및 3년제 전문대학 졸업자 또는 졸업 예정자없음


3. 3. 관련 자격

기능사 자격 취득 후 1년 이상의 실무 경력이 있으면 산업기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동일 및 유사 직무 분야의 다른 산업기사 자격 취득자는 경력 없이 응시 가능하다.[1]

구분필요 경력
기능사 취득자1년
동일 및 유사 직무 분야의 다른 산업기사 종목 취득자없음


4. 시험 및 취득 방법

산업기사 자격을 얻으려면 필기 시험[1]과 실기 시험[3]을 모두 합격해야 한다. 필기 시험에 합격[2]한 후에는 관련 서류를 제출해야 하며, 기간 내 미제출 또는 응시 요건 미충족 시 무효 처리된다.

4. 1. 제출 서류

필기시험에 합격하면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 제출해야 할 서류는 다음과 같다.

  • 학력: 졸업증명서, 졸업예정증명서, 재학증명서, 재적증명서, 수료증명서 등
  • 경력: 경력증명서(담당업무가 상세히 기재된 것에 한함), 4대 보험 가입증명서(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중 택1), 자영업인 경우 사업자등록증명원 1부 등


학력으로 제출할 경우 온라인으로 제출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기간 내에 제출하지 않거나 응시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을 경우 최종적으로 무효 처리된다.

5. 검정 종목

산업기사 자격은 다양한 분야에서 시행되고 있으며, 크게 일반 검정과 국방부 위탁 검정으로 나뉜다.

5. 1. 일반 검정

생산관리, 디자인, 방송, 건축, 조리, 토목, 조경, 건설배관, 채광, 기계제작, 기계장비설치, 철도, 조선, 항공, 자동차, 금형, 금속, 판금, 단조, 용접, 도장, 화공, 위험물, 섬유, 의복, 전기, 전자, 정보기술, 방송, 통신, 식품, 제과, 인쇄, 목재, 농업, 축산, 임업, 어업, 안전관리, 비파괴검사, 환경,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의 산업기사 자격 종목이 있다. 2024년 현재를 기준으로, 각 분야별 자격 종목은 다음과 같다.

분야자격 이름
생산관리품질경영산업기사 · 포장산업기사
디자인제품디자인산업기사 · 시각디자인산업기사 · 컬러리스트산업기사
방송영사산업기사[4]
건축건축일반시공산업기사 · 건축목공산업기사 · 실내건축산업기사 · 건축산업기사 · 건축설비산업기사 · 방수산업기사
조리한식조리산업기사 · 양식조리산업기사 · 복어조리산업기사 · 중식조리산업기사 · 일식조리산업기사
토목콘크리트산업기사 · 토목산업기사 ·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 지적산업기사 · 해양조사산업기사 · 항로표지산업기사 · 잠수산업기사 ·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조경조경산업기사
건설배관배관산업기사
채광광산보안산업기사[5] · 화약류관리산업기사
기계제작기계조립산업기사 ·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 기계설계산업기사 · 정밀측정산업기사
기계장비설비ㆍ설치농업기계산업기사 · 생산자동화산업기사 · 기계장비산업기사 ·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 궤도장비정비산업기사 · 승강기산업기사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 전자부품장착산업기사
철도철도차량정비산업기사
조선조선산업기사
항공항공산업기사
자동차자동차정비산업기사
금형·공작기계사출금형산업기사 · 프레스금형산업기사
금속ㆍ재료금속재료산업기사 · 재료조직평가산업기사
판금ㆍ제관ㆍ새시판금산업기사
단조ㆍ주조주조산업기사
용접용접산업기사
도장ㆍ도금표면처리산업기사
화공화학류제조산업기사 · 바이오화학제품제조산업기사
위험물위험물산업기사
섬유섬유디자인산업기사 · 섬유산업기사
의복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 한복산업기사 · 신발산업기사
전기전기철도산업기사 · 전기산업기사 · 전기공사산업기사 · 철도신호산업기사
전자광학기기산업기사 · 전자산업기사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 · 통신선로산업기사
정보기술사무자동화산업기사 · 정보처리산업기사 · 정보보안산업기사
방송ㆍ무선무선설비산업기사[6] · 방송통신산업기사[6]
통신정보통신산업기사[6] · 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6] · 통신선로산업기사[6]
식품식품산업기사
제과ㆍ제빵제과산업기사 · 제빵산업기사
인쇄ㆍ사진인쇄산업기사
목재ㆍ가구ㆍ공예가구제작산업기사 · 피아노조율산업기사 · 귀금속가공산업기사 · 보석디자인산업기사 · 보석감정산업기사
농업종자산업기사 · 유기농업산업기사 · 화훼장식산업기사
축산축산산업기사
임업버섯산업기사 · 산림산업기사 · 임산가공산업기사 · 식물보호산업기사
어업수산양식산업기사 · 어로산업기사
안전관리산업안전산업기사 · 건설안전산업기사 · 화재감식평가산업기사 · 가스산업기사 ·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 소방설비(기계분야)산업기사 · 소방설비(전기분야)산업기사
비파괴검사방사선비파과산업기사 · 초음파비파괴산업기사 ·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 ·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환경온실가스관리산업기사 · 대기환경산업기사 · 수질환경산업기사 · 소음진동산업기사 · 농림토양평가관리산업기사 ·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 폐기물처리산업기사
에너지ㆍ기상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태양광)산업기사 · 에너지관리산업기사


5. 2. 국방부 위탁 검정

분야자격 이름비고
건설·토목건설기계산업기사 · 건축산업기사 · 건축설비산업기사 · 토목산업기사 · 잠수산업기사
안전관리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기계·재료기계조립산업기사 · 공조냉동산업기사 · 용접산업기사
화학위험물산업기사
자동차자동차정비산업기사
전기·전자전기공사산업기사 · 전자산업기사 · 전자계산기제어산업기사 · 광학산업기사
정보통신전파전자통신산업기사[6] · 정보처리산업기사 · 정보통신산업기사 · 통신선로산업기사[6]
에너지ㆍ기상에너지관리산업기사


6. 통계

연도/현황[7]~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필기 응시자8,880,706명229,713명197,496명235,650명224,871명243,297명
필기 합격률32.1%38.8%42.5%40.0%38.4%39.8%
실기 응시자3,707,143명113,644명118,619명127,859명118,644명124,585명
실기 합격률44.7%48.7%44.1%46.3%45.1%47.6%
자격 취득자1,980,694명56,637명52,873명59,993명54,629명60,215명



산업기사 자격시험의 필기시험 합격률은 대략 30~40% 사이이며, 실기시험 합격률은 대략 40~50% 사이이다. 2023년까지 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사람은 총 2,000,000명이 넘는다.

참조

[1] 문서 선다형 문제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2] 문서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3] 문서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4] 문서 영화진흥위원회 관리 자격
[5] 문서 한국광해광업공단 관리 자격
[6] 문서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관리 자격
[7] 웹사이트 큐넷 자격검정통계 총괄현황 http://www.q-net.or.[...]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