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호세 (안티케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는 필리핀 안티케 주에 위치한 도시로, 1581년 스페인 사람들이 아우구스티누스회 수도사들과 함께 이 지역에 도착하면서 기독교화가 시작되었다. 1733년 산호세로 개명되었고, 1790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1802년 안티케 주의 주도가 되었다. 1898년 필리핀 혁명군에 점령되었고, 1954년에는 일부 지역이 함틱이라는 자치구로 분리되었다. 에벨리오 B. 하비에르 공항이 위치해 있으며, 비니라얀 축제와 성 요셉 노동자 축제를 기념한다. 2020년 인구는 65,140명이며, 안티케 교구의 주교좌가 있는 곳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주도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주도 - 칼리보
칼리보는 필리핀 아클란 주의 주도로 아클란 강 하류 평야에 위치하며, 아티-아티한 축제와 보라카이행 관문인 칼리보 국제공항으로 유명한 관광 중심지이다. - 필리핀의 도시 - 세부
세부는 필리핀 중앙 비사야 지방의 섬이자 주요 도시이며, '물 속으로 뛰어들다'라는 의미의 세부아노어에서 유래, 스페인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 필리핀 남부의 경제·문화 중심지로 발전했다. - 필리핀의 도시 - 다바오
다바오는 필리핀 민다나오섬 남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다바오 강 유역의 원주민 거주지에서 시작하여 스페인과 미국 통치 시대를 거치며 발전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남부 민다나오의 중심 도시로 성장했으며, 풍부한 자연과 다양한 문화, 활발한 경제 활동을 특징으로 한다.
산호세 (안티케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San Jose de Buenavista |
기타 명칭 | 산호세 (현지인들이 사용) |
별칭 | 해당 없음 |
표어 | 해당 없음 |
국가 | 필리핀 |
지방 | 서비사야 지방 |
주 | 안티케 주 |
선거구 | 안티케 주의 유일 선거구 |
설립일 | 1733년 |
바랑가이 수 | 28개 (바랑가이 목록 참고) |
시장 | 델핀 저스틴 R. 엔카르나시온 |
부시장 | 조앤 아모르 D. 돌로르 |
하원 의원 | 안토니오 아가피토 B. 레가르다 주니어 |
지방 의회 | 조앤 아모르 D. 돌로르 크리스 존 P. 바누싱 2세 조 류엘 C. 갈린도 파올로 마틴 S. 로틸라 다닐로 L. 네비트 네스토르 A. 이스라엘 로렌조 H. 히포니아 주니어 클라로 C. 발데비아 |
유권자 수 | 58,465명 (2022년 필리핀 총선) |
정부 유형 | 해당 없음 |
고도 | 17m |
최대 고도 | 587m |
최소 고도 | 0m |
면적 | 48.56 km2 |
인구 (2020년) | 65,140명 |
가구 수 | 15,102 가구 |
시간대 | PST |
UTC 오프셋 | +8 |
우편 번호 | 5700 |
PSGC 코드 | 060615000 |
지역 번호 | 36 |
웹사이트 | 해당 없음 |
경제 | |
소득 등급 | 1등급 |
빈곤율 | 17.12% (2018년) |
수익 | 299,719,568.23 페소 (2022년) |
자산 | 730,268,892.82 페소 (2022년) |
지출 | 273,276,366.53 페소 (2022년) |
부채 | 31,279,661.35 페소 (2022년) |
서비스 제공자 | |
전기 | ANTECO |
물 | 해당 없음 |
통신 | 해당 없음 |
케이블 TV | 해당 없음 |
기후 | |
기후 | 해당 없음 |
언어 | |
모국어 | 키나라이아어 힐리가이논어 필리핀어 |
2. 역사
산호세의 역사는 스페인 사람들이 1581년 안티케에 도착하면서 시작되었다. 당시 이곳의 이름은 '''투비곤'''이었으며, 함틱 시의 일부였다. 1733년에는 '산호세'로 이름이 바뀌었고, 1790년에는 시로 승격되었다. 1802년에는 안티케 주의 주도가 되었다.
1898년 11월 24일,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 전투 이후 필리핀 혁명군에게 점령되었다. 1954년에는 필리핀 대통령 행정 명령 제3호에 따라 남쪽 부분이 함틱이라는 이름의 독립된 자치구로 분리되었다.[3] 현재 안티케주에서 유일하게 상업 항공편을 제공하는 에벨리오 B. 하비에르 공항이 산호세에 위치해 있다.
2. 1.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를 찾을 수 없습니다.2. 2. 스페인 식민지 시대
1581년, 스페인 사람들이 아우구스티노회 수도사들과 함께 안티케에 도착하여 주민들을 기독교화하기 시작했다. 당시 이곳의 이름은 '''투비곤'''이었고, 함틱 시의 일부였다.1733년에 '산호세'로 이름이 바뀌었고, 1790년에는 필리핀 총독 펠릭스 베렝게르 데 마르키나가 발급한 토지 양여를 통해 시로 승격되었다. 이후 초대 본당 신부인 마누엘 이바녜스 신부를 통해 본당이 설립되었다.
약 200년 전, 현재의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 지역은 울창한 정글이었으며, 해적들이 이 지역을 습격할 때 주요 상륙 지점으로 이용했다.
1802년, 주민들의 요구에 따라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는 안티케 주의 주도가 되었고, 아구스틴 수만디가 스페인 식민 시대의 지방 총독 격인 초대 고베르나도르실로로 임명되었다.
1898년 11월 24일,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 전투에서 카비테 출신의 레안드로 풀론 장군이 이끄는 필리핀 혁명 원정군이 이틀간의 전투 끝에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를 점령했다. 이로써 스페인 당국의 지배를 받던 안티케 주 전체가 혁명군에게 항복하게 되었다.
2. 3. 필리핀 혁명
1898년 11월 24일,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는 이틀간 벌어진 안티케 전투 끝에 카비테 출신 레안드로 풀론 장군이 이끄는 필리핀 혁명 원정군에게 점령되었다. 이로써 스페인 당국의 지배 아래 있던 안티케 주의 나머지 지역도 혁명군에 항복하게 되었다.2. 4. 미국 식민지 시대
(내용 없음 - 원본 소스에 해당 섹션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2. 5. 필리핀 독립 이후
1954년, 필리핀 대통령 행정 명령 제3호에 의해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의 남쪽 부분이 함틱이라는 이름으로 독립된 자치구로 형성되었다. 경계는 "말란도그 강 입구 남쪽 둑에서 시작하여 산호세-함틱 지방 도로의 북동쪽 지점, 해당 도로의 북동쪽 면과 시발롬-피아피-말란도그 지방 도로의 북서쪽 면이 교차하는 지점의 서쪽 10m 지점을 잇는 가상의 직선으로 북동쪽으로 뻗어 있으며, 이후 시발롬-피아피-말란도그 지방 도로에서 10m 떨어진 평행 가상선을 따라 산호세와 시발롬 사이의 현재 경계가 만날 때까지 거의 같은 방향으로 이어진다."[3]에벨리오 B. 하비에르 공항은 안티케주에서 상업 항공편을 제공하는 유일한 공항으로, 산호세에 위치해 있다.
3. 지리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는 일로일로 시에서 97km 떨어져 있으며, 칼리보에서는 182km, 록사스 시에서는 213km 떨어져 있다.
필리핀 통계청에 따르면, 이 시의 면적은 48.56km2이며, 이는 안티케 주의 전체 면적 2km2의 약 1.78%를 차지한다.
3. 1. 기후
wikitext
3. 2. 바랑가이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는 28개의 바랑가이로 정치적으로 세분된다. 각 바랑가이는 푸로크로 구성되며 일부는 시티오를 가지고 있다.바랑가이 이름 | 인구수 1 | 인구수 2 |
---|---|---|
아타바이 | 2266 | 2164 |
바디앙 | 2995 | 2638 |
바랑가이 1 (포블라시온) | 2808 | 2762 |
바랑가이 2 (포블라시온) | 1804 | 1867 |
바랑가이 3 (포블라시온) | 3384 | 3289 |
바랑가이 4 (포블라시온) | 2943 | 2847 |
바랑가이 5 (포블라시온) | 969 | 1048 |
바랑가이 6 (포블라시온) | 489 | 482 |
바랑가이 7 (포블라시온) | 395 | 398 |
바랑가이 8 (포블라시온) | 4689 | 4671 |
바리리 | 1209 | 1130 |
부가롯 (카퉁안-부가롯) | 946 | 952 |
칸사단 (칸사단-투부단) | 1978 | 1380 |
두로그 | 496 | 280 |
푼다-달리페 | 5879 | 5498 |
이그봉글로 | 1401 | 1302 |
이나바산 | 1382 | 1357 |
마드랑카 | 2630 | 2252 |
마갈론 | 1132 | 1074 |
말라이바 | 1712 | 1624 |
마이바토 노르테 | 4219 | 3716 |
마이바토 수르 | 2185 | 1655 |
모혼 | 1517 | 1438 |
판타오 | 756 | 752 |
산 앙헬 | 2468 | 2310 |
산 페르난도 | 2708 | 2283 |
산 페드로 | 5735 | 5300 |
수파 | 1439 | 1378 |
4.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서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의 인구는 65,140명이었다. 인구 밀도는 약 1,300 명/km²이다.
5. 경제
산호세 (안티케주)의 빈곤율 통계는 필리핀 통계청에서 제공한다.[19][20][21][22][23][24][25][26][5][6][7][8][9][10][11][12]
6. 종교
산호세는 산호세 데 안티케 교구의 가톨릭 주교좌이다.
7. 정부
이 푸에블로들은 각각 자치구 대통령(Presidente Municipal)의 통치를 받았으며, 1년 동안 다음과 같이 봉사했다:
1954년 함틱이 산호세 데 부에나비스타에서 분리되었을 때, 시 시장(Municipal Mayor) 훌리안 파시피카도르가 함틱으로 옮겨졌고
부시장 델핀 엔카르나시온이 산호세의 시 시장(Municipal Mayor)을 맡았다.[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