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상더하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상더하기는 2004년부터 2010년까지 KBS에서 방송된 예능 프로그램이다. 1기는 토크쇼 형식으로 시작해 퀴즈쇼로 변경되었으며, 세대 간 언어 차이를 다룬 '세대공감 OLD & NEW' 코너가 인기를 얻었다. 2008년 2기부터 프로그램명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효리, 솔비 등이 출연했으나 시청률 부진으로 포맷이 변경되었다. 3기에는 김신영이 투입되었으나 경쟁 프로그램에 밀려 종영되었다. 프로그램 진행 중 출연자의 비속어 사용, 겹치기 출연 등의 논란이 있었으며, KBS 연예대상에서 여러 차례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BS 연예대상 최고의 프로그램상 수상작 - 개그콘서트
    개그콘서트는 1999년 첫 방송 후 2023년 시즌2로 재개된 대한민국 최장수 개그 프로그램으로, 공개 코미디 형식을 도입하고 '개그' 용어 대중화, 콘서트 무대 연출 등 획기적인 시도를 통해 대한민국 코미디 역사를 대표한다.
  • KBS 연예대상 최고의 프로그램상 수상작 - 남자의 자격
    《남자의 자격》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미션과 도전을 통해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으며, 2013년 MBC의 《아빠! 어디가?》에 밀려 종영되었다.
  • KBS 연예대상 - 김숙
    김숙은 1995년 KBS 희극 배우로 데뷔하여 '따귀 소녀'로 인기를 얻은 후 다양한 예능, 라디오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2020년 KBS 연예대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방송인이다.
  • KBS 연예대상 - 신봉선
    신봉선은 2005년 KBS 공채 20기로 데뷔하여 개그우먼, MC, 배우, 가수로 활동하며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과 라디오, 영화, 드라마, 뮤지컬, 음반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게임 쇼 - 무한도전
    《무한도전》은 2005년부터 2018년까지 MBC에서 방영된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으로, 유재석을 중심으로 다양한 멤버들이 미션과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높은 인기를 얻었으나 여러 논란과 주요 제작진 및 멤버들의 탈퇴로 종영되었다.
  •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게임 쇼 - 남자의 자격
    《남자의 자격》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미션과 도전을 통해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으며, 2013년 MBC의 《아빠! 어디가?》에 밀려 종영되었다.
상상더하기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프로그램 정보
방송명상상더하기
방송 등급[[파일:Republic Of Korea Broadcasting-TV Rating System(15).svg|20px|15세 이상 시청가|link=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 15세 이상 시청가
장르예능
방송 시간매주 화요일 밤 11시 5분 ~ 12시 15분
방송 분량1시간 10분
방송 기간2004년 11월 2일 ~ 2010년 1월 26일
방송 횟수265부작
방송 채널KBS 2TV
제작KBS 예능본부
연출윤현준
김수아
박지영
전온누리
각본문은애
모은설
류정희
박미나
김운숙
최미연
진행자역대 진행자 참조
출연자탁재훈
신정환
이수근
김신영
음성1채널 모노 사운드
(아날로그 텔레비전)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텔레비전)
(모노 사운드를 2채널로 업믹스)
자막자막 방송
고화질 방송 여부SD 제작 · 방송

2. 역대 시즌

《상상플러스》는 2004년 11월부터 2010년 1월까지 총 3개의 시즌으로 방영되었다. 각 시즌마다 진행 방식과 출연진에 변화가 있었다.


  • 1기 (2004년 11월 ~ 2008년 4월): 초기에는 토크쇼 형식이었으나, 〈세대공감 OLD & NEW〉 코너가 인기를 얻으면서 퀴즈쇼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노현정 아나운서가 1대 안방마님으로 활약했다.
  • 2기 (2008년 4월 ~ 2009년 10월): 프로그램명이 〈상상더하기〉로 변경되었다. 초반에는 이효리, 솔비 등이 합류했으나, 낮은 시청률로 인해 1기 형식으로 돌아갔다. 이지애 前 아나운서가 진행을 맡았다.
  • 3기 (2009년 10월 ~ 2010년 1월): 김신영이 투입되었으나, 경쟁 프로그램인 강심장에 밀려 조기 종영되었다.

2. 1. 1기 (2004년 11월 ~ 2008년 4월)

2004년 11월 2일에 〈'''상상플러스'''〉라는 제목으로 첫 방송되었다. 초기에는 탁재훈, 이휘재, 신정환 등이 진행하는 토크쇼 형식이었으나, 2005년 5월 10일 27회부터 시작된 〈세대공감 OLD & NEW〉 코너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퀴즈쇼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이 코너에서 노현정 아나운서가 1대 안방마님으로 활약했다.[3]

신정환은 도박사건으로 55회부터 67회까지 출연하지 못하다가 68회에 복귀했다. 이때 신정환의 대타로 출연하던 정형돈이 정식 MC로 합류하여 여성 아나운서 1명, 남성 고정 4MC 체제가 되었다. 노현정 前 아나운서 특유의 무뚝뚝함과 MC들의 유쾌한 말솜씨, 그리고 세대 간의 언어 차이를 좁혀보자는 취지가 시청자들에게 전달되어 높은 시청률을 기록했다. 2006년 1월 31일 63회에서는 김수로꼭짓점 댄스를 선보여 큰 화제가 되기도 했다.

2006년 9월 5일 94회를 마지막으로 노현정 前 아나운서가 하차하고, 백승주 아나운서가 2대 안방마님으로 영입되었다. 2007년 봄 개편에 따라 최송현 아나운서가 3대 안방마님으로 발탁되었고, 정형돈은 하차하고 유세윤이 합류했다. 〈세대공감 OLD & NEW〉는 2007년 추석 이후 폐지되었고, 이후 〈책 읽어주는 남자〉, 〈놀이의 탄생〉 코너가 방송되었지만 큰 인기를 얻지는 못하였다. 2008년 4월 1일 175회에 상상플러스 스페셜 방송을 마지막으로 1기가 종료되었다.[3]

2. 1. 1. 코너


  • 스타플러스 (1회 ~ 56회): 초대된 스타와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토크쇼 형식의 코너였다. 시청자들이 응모하는 스타 닮은꼴 찾기 등을 했다.[3]
  • 글 하우스 (1회 ~ 24회)
  • 상상극장 (1회 ~ 7회)
  • 역사속의 답변 한마디 (3회 ~ 7회)
  • 세대공감 OLD & NEW (27회 ~ 147회): 초창기에는 10대들의 인터넷 유행어와 요즘은 잘 쓰이지 않는 어른들의 말을 번갈아 가면서 하였다. 이후 신조어에 대한 방송이 부정적이라는 여론이 있어 어른들의 말들 위주로 맞히는 코너가 되었다.[3]
  • 책 읽어주는 남자 (149회 ~ 159회)[3]
  • 놀이의 탄생 (160회 ~ 174회)[3]

2. 1. 2. 세대공감 OLD & NEW

2005년 5월 10일 27회부터 세대 간의 언어 차이를 극복하자는 취지로 〈세대공감 OLD & NEW〉 코너가 시작되었다.[3] 이 코너는 프로그램의 대표적인 코너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노현정 아나운서가 1대 안방마님으로 등장하였다. 2007년 추석 이후 폐지되었다.

코너 진행 방식은 다음과 같다.[4]

  • 1단계 힌트: 이 말을 모르는 10대들의 답안지 혹은 어른들의 답안지 4개를 보여준다.
  • 2단계 힌트: 이 말을 사용하는 10대들의 말 혹은 어른들의 말을 예문으로 제시한다.
  • 특별 힌트: 1단계 힌트와 동일하며 결정적인 답을 알 수 있는 힌트이다.
  • 답을 말하는 방법: 다른 사람이 듣지 않도록 깔때기로 작게 말한다. 틀리면 깔때기로 머리를 맞는다.
  • 전화 찬스: 게스트에게만 주어지는 기회로, 가까운 연예인 친구에게 전화를 걸어 1단계 힌트를 알려준 다음 정답을 알면 바로 문자를 보낼 수 있다. (58회~126회)

2. 2. 2기 (2008년 4월 ~ 2009년 10월)

2008년 4월 8일 176회부터 프로그램명이 〈상상더하기〉로 변경되면서 2기가 시작되었다. 초창기에는 1기와 달리 아나운서가 나오지 않았고, 이휘재, 유세윤이 하차한 대신 1기에 고정 출연했던 신정환, 탁재훈을 중심으로 이효리가 새롭게 합류했다. 2008년 4월 15일 177회부터는 솔비도 합류했다.[5]

그러나 낮은 시청률과 시청자들의 혹평으로 인해 2008년 7월 22일 190회부터 사실상 1기 형식으로 포맷이 환원되었고, 이에 따라 이효리, 솔비는 하차했다. 대신 이재훈, 김지훈, 이지애 前 아나운서가 새롭게 진행을 맡게 되었다.[6]

이후 이재훈이 중도 하차하고 이수근이 합류했으며, 김지훈도 하차하고 박재정이 합류하여 코너 포맷도 일부 변경되었다.[7] 2009년 10월 6일 250회를 마지막으로 박재정이지애 前 아나운서가 하차하면서 시즌2가 종료되었다.

한편, 메인 MC였던 탁재훈2009년 9월 14일에 시작된[8] 같은 채널 월화 미니시리즈 《공주가 돌아왔다》 종영 후 해당 프로그램의 공동 진행을 맡아 비난을 받았다. 이 작품은 당초 <웬수와 함께 춤을>이라는 제목으로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로 편성될 계획이었지만, 《전설의 고향》 후속 월화 미니시리즈로 기획된 《아이리스》가 MBC 《선덕여왕》을 피해 수목 미니시리즈로 편성이 바뀌면서[9]전설의 고향》 후속으로 변경되었다. 또한 국어 순화를 주도한다는 KBS 드라마본부의 방침에 따라 《공주가 돌아왔다》로 제목이 변경되었으나,[10] 이로 인해 탁재훈은 "겹치기 출연"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2. 2. 1. 코너


  • 문제 내러 왔습니다! (176회 ~ 179회): 게스트가 가져온 시험지 안에 담겨있는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토크 코너이다.
  • 풍덩! 칠드런 송 (176회 ~ 181회): 우리 동요를 영어로 바꿔서 부르는 코너로, 영어 울렁증을 극복하려는 의도로 만들어졌다. 우리에게 친숙한 동요를 영어로 바꾸어 친해지는 시간을 갖는 코너이다. 그러나 해피투게더의 인기 코너였던 〈쟁반노래방〉과 유사하다는 논란이 있었다.[11]
  • 대결! 상상 이야기 (182회 ~ 185회): 아련한 기억 속의 동화를 되살려 보고 다시 만들기 위해 벌이는 기막힌 이야기 릴레이 코너이다.
  • 풍선토크 터질 거예요! (180회 ~ 189회): 시청자가 참여하는 토크 코너로, 출연자가 풍선통의 손잡이를 돌리면 풍선을 조이기 시작하는데 풍선을 터트린 사람은 시청자의 질문에 무조건 답을 해야하는 코너이다.
  • 대박대담 (190회 ~ 220회): 시청자가 원하는 '박'에 쓰인 질문을 해결하는데, 그 질문을 소화하지 못하면 '박'을 깨야만 하는 토크 코너이다.
  • 상상 우리말 더하기 (190회 ~ 220회): 무한한 상상력을 이용하여 무심코 쓰는 수많은 외래어에 꼭 어울리는 아름다운 우리말을 붙여보는 코너이다.
  • 친절한 사형제 (221회 ~ 250회): '게스트에 의한, 게스트를 위한 토크'라는 목표로 MC들이 각자 맡은 질문을 갖고 게스트를 통해 충분한 이야기를 이끌어내는 코너이다. 이 과정에서 중간중간 진행에 대한 평가를 게스트에게 직접 받는다.
  • 전국 사투리 자랑 (221회 ~ 250회): 생소한 사투리에 대해 알아가며 지역의 정서를 느끼는 코너이다. 매주 선정된 사투리의 뜻을 출연자들이 알아맞히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개인전이 아닌 팀전으로 출연자 간 아슬아슬한 대결 구도를 연출한다.

2. 3. 3기 (2009년 10월 ~ 2010년 1월)

2009년 10월부터 박재정이지애아나운서가 하차하고 김신영이 투입되었다.[12] 그러나 경쟁 프로그램인 강심장에 밀려 2010년 1월 26일 265회에 하이라이트 방송분을 끝으로 종영되었다. 후속 프로그램은 김승우가 진행하는 승승장구였다.[13]

2. 3. 1. 코너


  • 앗! 나의 진심 (251회 ~ 264회): 연속으로 이어지는 질문들에 대해 게스트가 '예', '아니오'로만 대답한 뒤 질문이 끝나고 그에 대한 부연 설명을 하는 형식의 토크 코너이다.
  • 일석이조 앞마당 퀴즈 (251회 ~ 252회): 세대 간의 언어 격차를 좁히기 위해 기획된 코너로, 매주 전국 각지에서 노부부를 초대해 MC들과 팀을 이뤄 황현희가 출제하는 '신세대 용어'의 뜻을 맞히는 퀴즈이다. 2009년 여름 특집에서 처음 선보였는데 반응이 좋아 3기의 코너로 자리 잡았으나, 3기 때 큰 호응을 얻지 못해 '앗! 나의 동영상'으로 대체되었다.
  • 앗! 나의 동영상 (255회 ~ 256회): '일석이조 앞마당 퀴즈'가 큰 호응을 얻지 못하자 새로 선보인 코너이다. 매회 출연하는 게스트의 브라운관 밖 모습을 리얼하게 담은 동영상을 보며 MC들이 퀴즈를 맞히는 형식이다.

3. 논란

2006년 4월 4일 방송에서 이휘재정형돈에게 손가락 욕을 하여 물의를 빚었다.[14] 2009년 신정환이 녹화 중 말한 비속어가 편집되지 않은 채 방송에 나가 논란이 되었다.[15] 메인 MC 탁재훈은 그해 9월 14일부터 11월 3일까지 해당 프로그램 앞시간에 방송된 월화 미니시리즈 《공주가 돌아왔다》 종영 후 해당 프로그램에 겹치기 출연하여[16] 따끔한 눈초리를 받았다. 이 작품은 당초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신설작으로 내정되었지만 MBC 《선덕여왕》을 피해[17] 수목 미니시리즈로 편성이 바뀐 《아이리스》 자리에 대타로 들어갔으며, '웬수와 함께 춤을'이란 제목이 거론되었으나 국어순화를 주도한다는 KBS의 방침에 따라 제목이 변경되었다.[18]

4. 수상 경력

연도수상 부문수상자
2005년쇼 오락 부문 최우수 코너상세대공감 OLD & NEW
2005년쇼 오락 부문 신인상노현정
2005년쇼 오락 부문 최우수상탁재훈
2006년시청자가 뽑은 베스트 프로그램상상상더하기
2006년쇼 오락 부문 최우수상이휘재
2006년한국방송대상 TV연예오락부문 우수작품상상상더하기
2007년대상탁재훈
2007년쇼 오락 부문 신인상최송현
2008년쇼 오락 부문 신인상이수근, 이지애
2009년쇼 오락 부문 신인상김신영
2009년쇼 오락 부문 우수상이수근


참조

[1] 오마이뉴스 '{주장} 세대 공감'이 대중문화 대박 부른다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11-29
[2] 뉴스 장수 예능 프로그램…'초심! 초심으로..' https://entertain.na[...] 데일리안 2021-12-14
[3] 뉴스 25일 채널돋보기-KBS 내달 가을 개편 https://news.naver.c[...] 매일신문 2016-09-26
[4] Youtube 깔깔티비 - 세대공감 Old & New https://www.youtube.[...]
[5] 스포츠조선 솔비, 이효리와 입심 대결...'상상플러스 2' 새 MC 합류 http://spn.chosun.co[...] 스포츠조선 2008-04-15
[6] 한국경제 ‘상플2’ 이효리 떠난 빈자리, 이재훈-김지훈-이지애가 채운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8-07-16
[7] 뉴스엔 ‘상플’ 박재정 MC 투입 ‘우리말 더하기’ 코너 폐지 http://www.newsen.co[...] 뉴스엔 2009-03-02
[8] 뉴스 오연수 "비키니 몸매 만드느라 쓰러질 뻔" https://entertain.na[...] 스포츠조선 2021-12-14
[9] 뉴스 “선덕여왕은 못당해”…몸사리는 대작들 https://entertain.na[...] 동아일보 2021-12-14
[10] 뉴스 KBS 드라마, 7글자 제목이 대세! https://entertain.na[...] 스포츠경향 2021-12-14
[11] 마이데일리 '풍덩! 칠드런 송', '쟁반노래방' 재탕으로 '혹평' http://www.mydaily.c[...] 마이데일리 2008-04-09
[12] 아이뉴스24 '상상더하기' 이지애 아나 하차…김신영-황현희 투입 http://joynews.inews[...] 아이뉴스24 2009-10-07
[13] 아시아투데이 김승우, 토크쇼 '승승장구'...첫 게스트 김남주 http://sports.hankoo[...] 아시아투데이
[14] 스포츠한국 이휘재 '손가락 욕' 사과 녹화후 불방 http://sports.hankoo[...] 스포츠한국 2006-05-15
[15] 뉴스 ‘욕설 방송’ 신정환·제작팀에 비난 봇물 https://entertain.na[...] 문화일보 2022-05-05
[16] 뉴스 탁재훈 https://entertain.na[...] 텐아시아 2022-05-05
[17] 뉴스 “선덕여왕은 못당해”…몸사리는 대작들 https://entertain.na[...] 동아일보 2022-05-05
[18] 뉴스 KBS 드라마, 7글자 제목이 대세! http://entertain.nav[...] 스포츠경향 2022-05-05
[19] 뉴스 25일 채널돋보기-KBS 내달 가을 개편 https://news.naver.c[...] 매일신문 2018-0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