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피투게더 (텔레비전 프로그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해피투게더》는 2001년부터 2020년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이다. 시즌 1은 신동엽과 이효리의 진행으로 시작하여 쟁반 노래방 등의 코너로 인기를 얻었으며, 유재석, 김제동으로 MC가 변경되기도 했다. 이후 시즌 2, 3을 거치며 다양한 코너와 MC 변화를 겪었고, 2018년 시즌 4로 개편되었으나 시청률 부진으로 2020년 종영했다. 역대 MC로는 신동엽, 유재석, 전현무 등이 있으며, 쟁반 노래방, 야간매점 등의 코너가 인기를 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해피투게더 - 신봉선
신봉선은 2005년 KBS 공채 20기로 데뷔하여 개그우먼, MC, 배우, 가수로 활동하며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과 라디오, 영화, 드라마, 뮤지컬, 음반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다. - KBS 연예대상 최고의 프로그램상 수상작 - 개그콘서트
개그콘서트는 1999년 첫 방송 후 2023년 시즌2로 재개된 대한민국 최장수 개그 프로그램으로, 공개 코미디 형식을 도입하고 '개그' 용어 대중화, 콘서트 무대 연출 등 획기적인 시도를 통해 대한민국 코미디 역사를 대표한다. - KBS 연예대상 최고의 프로그램상 수상작 - 남자의 자격
《남자의 자격》은 2009년부터 2013년까지 KBS 2TV에서 방영된 예능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미션과 도전을 통해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었으며, 2013년 MBC의 《아빠! 어디가?》에 밀려 종영되었다. - KBS 연예대상 - 김숙
김숙은 1995년 KBS 희극 배우로 데뷔하여 '따귀 소녀'로 인기를 얻은 후 다양한 예능, 라디오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며 2020년 KBS 연예대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희극 배우이자 방송인이다. - KBS 연예대상 - 신봉선
신봉선은 2005년 KBS 공채 20기로 데뷔하여 개그우먼, MC, 배우, 가수로 활동하며 다양한 예능 프로그램과 라디오, 영화, 드라마, 뮤지컬, 음반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다.
해피투게더 (텔레비전 프로그램)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토크 쇼 |
작가 | 이민정 김민지 신재경 양규옥 노지연 김도은 정미래 |
감독 | 박민정 김형석 심재현 |
진행자 | 유재석 전현무 조세호 |
출연 | 게스트 목록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시즌 수 | 4 |
에피소드 수 | 스페셜: 4 시즌 1: 179 시즌 2: 112 + 1 (파일럿) 시즌 3: 557 시즌 4: 77 |
에피소드 목록 | Happy Together 에피소드 목록 |
총괄 프로듀서 | 이세희 |
러닝 타임 | 95분 (일반), 90분 (스페셜) |
제작사 | KBS 예능 제작 |
방송사 | KBS2 |
처음 방송 | 2001년 11월 8일 |
마지막 방송 | 2020년 4월 2일 |
기타 정보 | |
음성 | 2채널 돌비 디지털 (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방송 |
시청 등급 | [[파일:Republic Of Korea Broadcasting-TV Rating System(15).svg|20px|15세 이상 시청가|link=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 15세 이상 시청가 |
공식 웹사이트 | KBS 2TV Happy Together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해피투게더》는 2001년 11월 8일 첫 방송을 시작하여 2020년 4월 2일까지 약 19년간 KBS 2TV에서 방영된 프로그램이다.
- 시즌 1 (2001년 11월 8일 ~ 2005년 4월 28일): 신동엽과 이효리가 진행을 맡아 〈쟁반 노래방〉, 〈쟁반극장〉 등의 코너를 통해 인기를 얻었다. 2003년 11월 6일 두 사람이 하차하고 유재석과 김제동이 2003년 11월 13일부터 2005년 4월 28일까지 진행을 맡았다.
- 시즌 2 《해피투게더 프렌즈》 (2005년 5월 5일 ~ 2007년 6월 21일): 연예인들이 학창 시절 친구를 찾는 콘셉트로 진행되었다.
- 시즌 3 (2007년 7월 5일 ~ 2018년 10월 4일): 〈학교가자〉로 시작하여 시행착오를 겪은 뒤 〈사우나 토크〉를 중심으로 방송되었다.[44] 이후 1부와 2부로 나누어 1부는 토크, 2부는 〈전설의 조동아리〉라는 코너로 진행되었다.
- 시즌 4 (2018년 10월 11일 ~ 2020년 4월 2일): '비밀의 방' 콘셉트로 시작했다가 2020년 2월에 폐지되고 '남자의 자격'과 같은 형식으로 변경되었으나, 시청률 부진으로 2020년 4월 2일 종영했다.
2. 1. 시즌별 변천사
《해피투게더》는 시즌별로 다양한 변화를 겪으며 오랜 기간 동안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다.- 시즌 1 (2001~2005): 신동엽, 이효리의 진행으로 〈쟁반 노래방〉, 〈쟁반극장〉 등의 코너를 통해 전성기를 누렸다. 이후 유재석, 김제동이 진행을 이어받았다.[2]
- 시즌 2 (2005~2007): 《해피투게더 프렌즈》로 개편되어 연예인들이 학창 시절 친구를 찾는 콘셉트로 진행되었다.
- 시즌 3 (2007~2018): 〈학교가자〉, 〈사우나 토크〉, 〈도전! 암기송〉, 〈웃지마! 사우나!〉 등 다양한 코너를 선보였다. 특히, 스타들의 요리 경연 코너인 〈야간매점〉은 큰 인기를 끌었다.[44]
- 시즌 4 (2018~2020): '비밀의 방' 콘셉트에서 2020년 2월 '남자의 자격' 형식으로 변경되었으나, 시청률 부진으로 2020년 4월 2일 종영되었다.[44]
2. 1. 1. 시즌 1 (2001~2005)
《해피투게더》 시즌 1은 2001년 11월 8일부터 2005년 4월 28일까지 방송되었다.[45] 초기에는 신동엽과 유승준이 MC를 맡았으나,[45] 유승준이 병역 문제로 하차하면서 2002년 4월 11일 이효리가 합류했다.[45] 2003년 11월 6일 신동엽과 이효리 하차 후 유재석과 김제동이 MC를 맡게 되었다.[45]시즌 1의 주요 코너는 다음과 같다.
- 쟁반 노래방: 컨테이너를 개조한 세트에서 진행된 코너로, 10번의 기회 안에 가사를 틀리지 않고 노래를 완창해야 하는 형식이다. 틀리면 머리 위에서 쟁반이 떨어졌다.[46]
- 쟁반극장: 명작 영화나 드라마의 주요 장면을 각색하여 연기하는 코너였다. 대본대로 연기하지 못하면 쟁반을 맞았다.[46]
- 행복한 대결 막상막하: 초기에는 MC와 고등학생이 상식 퀴즈를 푸는 형식이었으나, 이효리 합류 후 외국 출신 한국인 가수들이 한국말을 배우고 퀴즈를 푸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아유미 등이 오답으로 주목받았다.[46]
- 퀴즈 속전속결 - 꿇어 yo!: 유재석, 김제동 체제 이후 생긴 퀴즈 코너로, 무릎을 꿇고 걸어가 먼저 도착한 사람이 답을 말하는 방식이었다.
- 도레미 콩콩콩: 대형 피아노 건반을 머리로 쳐서 연주하는 코너였다.[46]
기간 | 메인 MC | 보조 MC |
---|---|---|
2001년 11월 8일 ~ 2002년 3월 28일 | 신동엽 | 유승준 |
2002년 4월 11일 ~ 2003년 11월 6일 | 신동엽 | 이효리 |
2003년 11월 13일 ~ 2005년 4월 28일 | 유재석 | 김제동 |
2. 1. 2. 시즌 2 (2005~2007)
〈프렌즈〉는 연예인들이 학창 시절 친구들을 찾는 코너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초반에는 유재석, 유진, 탁재훈이 3MC 체제로 진행했다.[44] 이후 김아중이 합류했다가, 2006년 5월 4일 방송분부터 이효리와 패널 이수근이 하차하고 유진이 다시 진행을 맡았다. 2007년 5월 3일 방송분부터는 신봉선이 패널 및 반장 역할로 고정 출연했다.[44]이 프로그램은 연예인들이 25~40명의 사람들 중에서 5명의 친구를 찾아야 했다. 친구를 찾기 위해 2라운드를 진행했고, 친구들은 과거의 사건과 흥미로운 이야기를 나누었으며, 연예인들은 그 사람을 알아맞히려고 노력했다. 연예인들은 MC의 화면만 볼 수 있었고, 학교 친구들로 구성된 청중은 볼 수 없었다.
파일럿 방송에서는 '벼락치기, 달달 외워~ 못 외우면 손들어!'라는 게임이 진행되었는데, 두 명의 연예인과 친구들이 무료 저녁 식사를 걸고 경쟁했다. 30분 동안 공부한 후 특정 물건/사람을 정확하게 식별해야 했고, 그렇지 못하면 손을 들도록 했다. 정식 방송에서는 '벼락치기, 달달 외워~ 못 외우면 쟁반 맞아!'로 변경되었으며, 틀리면 쟁반에 맞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게임은 파일럿 방송을 포함하여 총 4번 진행되었다.
; 주요 진행자
- 유재석 (파일럿, 1~112회)
- 유진 (파일럿, 90~112회)
- 탁재훈 (파일럿, 1~52회)
- 김아중 (1~39회, 41~52회)
- 이효리 (53~68회, 70~89회)
- 이수근 (54~104회)
- 신봉선 (105~112회)
; 특별 진행자
- 현영 (69회)
2. 1. 3. 시즌 3 (2007~2018)
초기에는 〈학교가자〉, 〈방과후 옥상〉 등의 코너를 시도했으나, 시청률 부진으로 폐지되었다. 이후 〈사우나 토크〉라는 소재로 방송되었으며,[44] 한때 토크로 이루어진 전반전과 후반전 〈백문이 불여일짤〉이라는 코너로 방송되었다. 그 후 1부와 2부로 나누어 1부는 본격적인 토크, 2부는 〈전설의 조동아리〉라는 부제로 과거 MC 5명이 방송했던 프로그램 중 하나를 골라 추억을 되살리는 형식으로 진행되었다.〈도전 암기송〉과 동시에 방송되던 〈그건 너!〉라는 코너는 중간에 종영되었다. 2013년 신년 특집에는 배경이 경찰서로 바뀌었으며, 2015년 10월 8일 새롭게 개편된다.
유재석, 박명수, 박미선, 김신영, 조세호와 4~5명의 게스트로 이루어진 〈웃지마, 사우나〉는 마을 아줌마들의 수다를 그린 콩트로, 웃으면 물줄기가 날아오는 코너였다. 〈캐비넷 토크, 이건 뭐〉는 스타들의 추억 속 물건과 그 물건에 얽힌 사연을 소개하는 코너였다.
2012년 6월 28일에 처음 선보인 〈야간매점〉은 스타의 사연이 담긴 음식을 직접 만들어보고, 복잡하지 않은 조리법으로 따라 할 수 있는 요리 중 가장 반응이 좋은 메뉴를 매점의 정식 메뉴로 올리는 코너였다. 총 4명의 스타가 만든 요리를 MC들이 시식하고 투표하여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요리가 야간매점 메뉴에 등록되는 기회를 얻었다. 7명 중 4명 이상이 인정해야 메뉴에 등록되었다.
; 역대 등극 메뉴 순위
순위 | 메뉴명 | 출연자 |
---|---|---|
1 | 장스밥 | 장동민 |
2 | 비빙수 | 신보라 |
3 | 깨깨오톡 | 박진영 |
4 | 이글떡볶이 | 김성수 |
5 | 다솜면 | 다솜 |
6 | 붐플레이크 | 붐 |
7 | 열정찬밥피자 | 이정용 |
8 | 아이유식 | 아이유 |
9 | 카치면 | 강예원 |
10 | 울랄라 맥조 | 신현준 |
11 | 토달볶 | 수지 |
12 | 묵볶이 | 정경미 |
13 | 하선전 | 박하선 |
14 | 만추 | 이종혁 |
15 | 광복절 토스트 | 이보영 |
16 | 지성만두밥 | 지성 |
17 | 고구마 카스텔라 | 김민정 |
18 | 군산 미라밥 | 윤종신 |
19 | 명란 운동회 | 정준하 |
20 | 아이카레보이 | 윤아 |
21 | 눈물젖은 달걀 빵 | 홍인규 |
22 | 뻥스크림 | 양상국 |
23 | 황도 시집가는 날 | 이다해 |
24 | 쉿 비밀이야 | 민지영 |
25 | 진국수 | 진구 |
26 | 닭반이므니다 | 박성호 |
27 | 세뇨라 케사디야 | 김성원 |
28 | 만두랑땡 | 김경호 |
29 | 김치버터라면 | 양지원 |
30 | 웅떡웅떡 | 정웅인 |
31 | 봄설기 | 양희은 |
32 | 까순이 | 이동욱 |
33 | 곱창버거 | 김준현 |
34 | 쫑나영 | 김나영 |
35 | 골빔면 | 김동완 |
36 | 깐풍만두 | 페이[47] |
37 | 배드걸 피자 | 이효리 |
38 | 창난밥 | 조갑경 |
39 | 나초오믈렛, 짜플 | 레이먼 킴, 강레오 |
40 | 운명의 닭가슴살 초밥 | 이훈 |
41 | 물좋은 자몽 | 현아 |
42 | 콘빙수데니 | 데니안 |
43 | 국대말이 | 이운재 |
44 | 긴밥 | 노우진 |
45 | 굿달밤 | 주원 |
46 | 631된장라면&가짜 막걸리 | 하하 & 스컬 |
47 | 짜치계 | 최원영 |
48 | 닭갈비 만두 | 데프콘 |
49 | 니마또내마또 | 김영희 |
50 | 문라이트 | 오종혁 |
51 | 홍구리 | 홍석천 |
52 | 지성잡쌈 | 지성 |
53 | 긍정만두 | 솔비 |
54 | 마마밥 | 이민우 |
55 | 아가씨와 건달빵 | 류수영 |
56 | 콩부침 | 정호근 |
57 | 톱스타면 | 엄태웅 |
58 | 광토스 | 광희 |
59 | 잡채그라탱 | 박정현 |
60 | 참짜면 | 케이윌 |
61 | 누라땅 | 류진 |
62 | 굿모닝 삼겹샌드 | 타블로 |
63 | 완이떡 | 임시완 |
64 | 잘자어 | 성시경 |
65 | 오호라만두 | 서하준 |
66 | 기찬김밥 | 성룡 |
67 | 경실칩 | 이경실 |
68 | 해피두개더 | 송은이 |
69 | 미스코넛 | 오현경 |
70 | 겨울만두 | 김희선 |
71 | 금상첨화 | 이상화 |
72 | 아이좋아 옥빵 | 정종철 |
73 | 우뱅이튀김과 달래무침 | 조우종 |
74 | 콩징어 | 홍진호 |
75 | 진튀양난 | 데니안 |
76 | 허니버터 맥나잇 | 대성 |
77 | 영복밥 | 정준영 |
78 | 열대야를 구하라 | 구하라 |
79 | 나라족발 채소공주 | 장나라 |
80 | 바삭바삭 워니롤 | 임원희 |
81 | 심심수수 | 심영순 |
82 | 촉촉하지우 | 레이먼 킴 |
;등극 실패 메뉴 순위
순위 | 메뉴명 | 출연자 |
---|---|---|
1 | 컵밥 | 은지원 |
2 | 감파전 | 차태현 |
3 | 추파게티 | 추성훈 |
4 | 세븐스타라이스 | 김남주 |
5 | 한판김종국수 | 케이윌 |
6 | 비빙죽 | 김기리 |
7 | 정우콘 | 정우 |
8 | 만두볼케이노 | 김지훈 |
9 | 칼로리 폭탄버거 | 유민상 |
10 | 차림밥 | 조정치, 하림 |
11 | 오취리, 오취리 땅 | 샘 오취리 |
; 주요 진행자
- 유재석 (1~557회)
- 박명수 (1~396회, 398~425회, 427~557회)
- 박준규 (1~28회)
- 지상렬 (1~28회)
- 신봉선 (1~357회)
- 박미선 (29~417회)
- 김신영 (358~417회)
- 조세호 (358~557회)
- 김풍 (418~437회)
- 전현무 (418~557회)
- 엄현경 (438~557회)
- 김수용 (희극인) (500~554회)
- 김용만 (500~554회)
- 지석진 (500~554회)
- 박수홍 (501~554회)
; 보조 진행자
; 특별 진행자
2. 1. 4. 시즌 4 (2018~2020)
《해피투게더 시즌4》는 2018년 10월 11일부터 2020년 4월 2일까지 방송되었다.[44] 유재석, 전현무, 조세호가 진행을 맡았으며, 조윤희는 10회부터 48회, 50회부터 53회까지 함께 진행했다.[4][5][6] 처음에는 최고의 스타들이 마법 같은 '비밀의 방'에 모이는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나, 2020년 2월부터는 '남자의 자격'과 유사한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시청률 부진으로 인해 2020년 4월 2일에 종영되었다.;고정 출연진
;특별 출연진
회차 | 이름 |
---|---|
1회 | 지상렬[7], 황민현(워너원/뉴이스트)[7] |
2회 | 김종현(JR)(뉴이스트 W) |
3회, 54회 | 김세정(구구단)[9][10] |
4회 | 남우현(인피니트)[11] |
7회 | 육성재(비투비)[12] |
8회 | 화사(마마무)[13] |
9회 | 김소현 (1975년생 배우)[14] |
10회 | 차은우(아스트로)[15] |
23회 | 라이관린[16] |
24회, 52회 | 피오(블락비)[17][18] |
27회 | 아이즈원 (장원영, 김민주)[19] |
28회 | 로운(SF9)[20] |
30회 | 황민현(워너원/뉴이스트)[8] |
49회 | 이동건[21] |
55회 | 붐[22] |
56회 | 장도연[23] |
57회 | 홍진경[24] |
58회 | 황광희(제국의아이들)[25] |
59회 | 강다니엘[26] |
60회 | 허경환[27] |
61회 | 오현경[28] |
62회 | 김강훈[29] |
65회 | 소유진[30] |
66회 | 소이현[31] |
68회 | 천명훈(NRG)[32] |
76회 | 오마이걸 (효정, 미미)[33] |
《해피투게더》는 시즌별로 다양한 코너를 선보이며 시청자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다.
3. 시리즈별 코너
시즌 1 (2001년 11월 8일 ~ 2005년 4월 28일)
초기에는 토크쇼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장학금 퀴즈 코너도 있었다. 이후 "책가방토크"와 "쟁반노래방"이 고정 코너로 자리 잡았다. "쟁반노래방"은 출연진이 동요를 10번 안에 완벽하게 불러야 하는 코너로, 실수하면 머리 위에 매달린 쟁반이 떨어지는 벌칙이 있어 큰 인기를 끌었다.[2][3]
시즌 2 (해피투게더 프렌즈)
연예인들이 학창 시절 친구들을 찾는 코너로, 5번의 기회 안에 5명의 친구를 찾아야 했다. 친구 관련 명언이나 선생님의 깜짝 출연, 동창회 형식의 "뒤풀이"도 방송되어 재미를 더했다.[46]
시즌 3〈학교가자〉, 〈방과후 옥상〉은 '스쿨시트콤 버라이어티'라는 주제로 개편되었으나 시청률 저하로 종영되었다. 〈웃지마! 사우나!〉는 마을 아줌마들의 수다를 그린 콩트로, 웃으면 물줄기가 날아오는 코너였다. 〈도전 암기송〉은 실생활에 유용한 내용을 담은 노래를 암기하는 코너였다. 〈야간매점〉은 스타들이 자신만의 야식 레시피를 공개하고, 투표를 통해 최고의 메뉴를 선정하는 방식이었다. 〈내 노래를 불러줘〉는 가수들이 노래방에서 자신의 노래를 부르는 손님을 찾아 함께 노래를 부르는 코너였다.
; 노래방 장소순번 장소 1 서울특별시 마포구 홍익대학교 인근 2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신여자대학교 3 서울특별시 광진구 건국대학교 4 경기도 안양시 5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학교 6 서울특별시 마포구 홍익대학교 7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8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역 10 서울특별시 마포구 홍익대학교 인근 11 경기도 의정부시 12 인천광역시 부평구 13 경기도 연천군 열쇠부대 14 경기도 수원시 15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16 경기도 수원시
시즌 4별도의 고정 코너 없이 매회 다른 주제로 진행되었다.
3. 1. 시즌 1
《해피투게더》 시즌 1은 2001년 11월 8일부터 2005년 4월 28일까지 4년간 방영되었다. KBS에서 2002년부터 2004년까지 가장 인기 있는 예능 프로그램이었으며, 목요일 밤 최고 시청률을 기록한 시즌이기도 하다. 초기 《해피투게더》는 토크쇼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MC들이 학생들을 대상으로 장학금 퀴즈를 진행하는 코너도 있었다. 하지만 이후 해당 코너는 없어지고 "책가방토크"와 "쟁반노래방"이 고정 코너로 자리 잡았다. 시즌 방영 당시 "쟁반노래방" 코너만으로는 1시간을 채우기 어려워 다른 게임들이 추가되었다.[2]
'''슬로건:''' "목요일 밤의 행복한 만남, 해피투게더!"
; 쟁반노래방
"쟁반노래방" 코너에서는 출연진이 (주로 동요를) 10번의 기회 동안 모든 가사를 정확하게 불러야 했다. 노래를 쉽게 부를 수 있도록 3장의 찬스 카드가 제공되었고, 누군가 실수를 하는 순간 머리 위에 매달린 쟁반이 떨어졌다.[3]
; 쟁반극장
"쟁반극장" 코너는 두 명의 MC(신동엽, 이효리)와 다른 두 명의 출연진이 두 팀(MC 1명, 출연진 1명)으로 나뉘어 영화 또는 드라마의 한 장면을 연기하는 코너였다. 보통 재미있는 해프닝이 연출되었고, 웃거나 연기를 잊는 경우 (NG) 쟁반으로 맞았다. 2명이 팀을 이뤄 명작 영화나 드라마의 주요한 부분을 각색된 대본에 맞게 정확하게 연기하면 승리하는 코너이다. 대본 암기 시간 이후에는 대본을 볼 수 없으며, 대본대로 연기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떨어지는 쟁반을 맞았다. 처음에는 특집으로 방송되었다가 시청자들의 반응이 좋자 2003년에 정규 코너로 자리 잡았다. 유재석, 김제동 체제로 바뀐 이후에는 폐지되었다.
; 도레미 콩콩콩
"도레미 콩콩콩" 코너는 두 명의 MC(유재석, 김제동)와 다른 다섯 명의 출연진으로 구성된 "도레미칠남매"가 천장에 매달린 사람 크기의 키보드를 이용하여 동요를 연주하는 코너였다. 각 출연진에게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 음표가 할당되었고, 머리로 해당 키를 쳐서 노래를 정확하게 연주할 네 번의 기회가 주어졌다. 틀리면 벌칙 요원들이 플라스틱 망치로 때렸다.
3. 2. 시즌 2
《해피투게더 프렌즈》는 연예인들이 학창 시절 친구들을 찾는 코너였다. 처음에는 유재석, 유진, 탁재훈이 3MC 체제로 파일럿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후 정규 프로그램으로 편성되면서 유재석, 김아중, 탁재훈이 진행을 맡았다. 총 20명의 친구 중 5번의 기회 안에 5명의 친구를 찾는 방식이었다. 중간중간 친구 관련 명언이 나오기도 했고, 선생님이 깜짝 출연하기도 했다. 프로그램 말미에는 동창회 형식의 "뒤풀이"도 방송되었다. 2006년 5월 4일 방송분부터 김아중의 후임으로 이효리가 진행을 맡았고, 패널로 고정 출연하던 이수근이 하차했다. 이후 가수 유진이 다시 진행을 맡았으며, 2007년 5월 3일 방송분부터 신봉선이 패널 및 반장 역할을 맡아 고정 출연하였다.[46]
;주요 진행자
;특별 진행자3. 3. 시즌 3
해피투게더한국어 3기의 코너는 다음과 같다.
〈학교가자〉와 〈방과후 옥상〉은 '스쿨시트콤 버라이어티'라는 주제로 개편된 코너였으나, 시청률 저하로 종영되었다. 〈웃지마! 사우나!〉는 마을 아줌마들의 수다를 그린 콩트로, 웃으면 물줄기가 날아오는 코너였다. 〈도전 암기송〉은 실생활에 유용한 내용을 담은 노래를 암기하는 코너로, 보통 사우나에서 진행되었으며, 틀리면 천둥 번개와 함께 벌칙을 받았다.
〈야간매점〉은 2012년 6월 28일에 처음 선보인 코너로, 스타들이 자신만의 야식 레시피를 공개하고, MC들과 패널들의 투표를 통해 최고의 메뉴를 선정하는 방식이었다. 선정된 메뉴는 야간매점의 정식 메뉴로 등록되었다.
〈내 노래를 불러줘〉는 유재석, 지석진, 김용만, 박수홍, 김수용 (희극인)한국어이 참여하는 코너로, 가수들이 노래방에서 자신의 노래를 부르는 손님을 찾아 함께 노래를 부르는 코너였다.
; 노래방 장소
순번 | 장소 |
---|---|
1 | 서울특별시 마포구 홍익대학교 인근 |
2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신여자대학교 |
3 | 서울특별시 광진구 건국대학교 |
4 | 경기도 안양시 |
5 | 서울특별시 성북구 고려대학교 |
6 | 서울특별시 마포구 홍익대학교 |
7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
8 |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
9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역 |
10 | 서울특별시 마포구 홍익대학교 인근 |
11 | 경기도 의정부시 |
12 | 인천광역시 부평구 |
13 | 경기도 연천군 열쇠부대 |
14 | 경기도 수원시 |
15 |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 |
16 | 경기도 수원시 |
3. 4. 시즌 4
시즌 4는 별도의 고정 코너 없이 매회 다른 주제로 진행되었다.고정 출연진 |
---|
특별 출연진 |
---|
4. 역대 MC
시즌 | MC | 방송 기간 | 방송 횟수 |
---|---|---|---|
1 | 유승준, 신동엽 | 2001년 11월 8일 ~ 2002년 4월 4일 | 22부작 |
신동엽, 이효리 | 2002년 4월 11일 ~ 2003년 11월 6일 | 104부작 | |
유재석, 김제동 | 2003년 11월 13일 ~ 2005년 4월 28일 | 179부작 | |
2 | 유재석, 유진, 탁재훈, 김아중, 이효리, 이수근, 신봉선 | 2005년 5월 5일 ~ 2007년 6월 21일 | 112부작 |
3 | 유재석, 박명수, 박준규, 지상렬, 신봉선, 박미선, 김신영, 조세호, 김풍, 전현무, 엄현경, 김수용, 김용만, 지석진, 박수홍 | 2007년 7월 5일 ~ 2018년 10월 4일 | 557부작 |
4 | 유재석, 전현무, 조세호, 조윤희 | 2018년 10월 11일 ~ 2020년 4월 2일 | 77부작 |
5. 방송 시간
2017년 10월 12일 ~ 2017년 10월 19일
2018년 1월 4일 ~ 2019년 5월 16일
2부: 매주 목요일 밤 11:55 ~ 12:40
2부: 매주 목요일 밤 12:05 ~ 새벽 1:00
2부: 매주 목요일 밤 12:10 ~ 1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