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태 표시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태 표시줄은 사용자가 전체 화면을 보면서 메시지를 확인하고, 데이터를 입력하며 메뉴를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이다. TUI 환경에서 GUI 환경으로 발전해왔으며, 장점으로는 전체 화면을 보면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작업 중에도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이 있지만, 한 줄로 정보 표시가 제한적이고, 중요한 메시지를 팝업하기 어려우며, 디스플레이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눈에 덜 띄는 단점도 있다. 파일 관리자, 웹 브라우저, 그래픽 편집기, 워드 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화면 상단에 시각, 배터리 잔량, 통신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줄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젯 - 리본 (컴퓨팅)
    리본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종으로, 탭으로 그룹화된 명령어 버튼과 아이콘 패널로 구성되어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2007에서 널리 알려졌지만, 기능 접근성 향상에도 불구하고 작업 공간 문제와 적응의 어려움이 있다.
  • 위젯 - 메뉴 모음
    메뉴 모음은 운영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에서 명령, 설정, 기능에 접근하는 가로 막대 형태의 인터페이스 요소로, 구현 방식은 다양하며 키보드 단축키로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 로그인
    로그인은 특정 페이지, 웹사이트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여 시스템에 접근하는 절차이며, 1960년대 시분할 시스템과 1970년대 BBS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 키넥트
    키넥트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동작 인식 장치로, 적외선 프로젝터와 센서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움직임과 음성을 인식하며, Xbox용으로 출시되어 큰 인기를 얻었지만 개인정보 보호 문제 등으로 판매가 부진하여 생산이 중단되었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기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클라우드 기반 Azure Kinect로 이어졌으나 단종되었다.
상태 표시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종류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
위치보통 창의 하단
목적현재 프로그램 상태 표시
메시지 및 알림 표시
툴팁 제공
예시워드 프로세서의 단어 수
웹 브라우저의 페이지 로딩 진행률
vi 편집기의 파일 상태 (WEdu-Unix-vi)
기능 및 특징
정보 제공프로그램의 현재 상태, 진행 상황, 오류 메시지 등을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
상호 작용사용자가 상태 표시줄의 정보를 통해 프로그램과 상호 작용 가능 (예: 클릭하여 추가 정보 확인)
사용자 정의일부 프로그램에서는 사용자가 상태 표시줄에 표시할 정보를 선택하거나, 상태 표시줄의 디자인을 변경 가능
접근성시각 장애인을 위한 스크린 리더와 같은 보조 기술과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설계
활용 예시
워드 프로세서현재 페이지 번호, 단어 수, 편집 모드 등 표시
웹 브라우저페이지 로딩 상태, 다운로드 진행률, URL 정보 표시 (과거에는 링크 주소 미리보기 기능 제공)
IDE (통합 개발 환경)컴파일 진행 상태, 오류 메시지, 디버깅 정보 등 표시
그래픽 편집기현재 선택된 도구, 색상, 좌표 정보 등 표시
장점
직관성프로그램의 상태를 한눈에 파악 가능
효율성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확인하여 작업 효율성 향상
사용자 경험프로그램 사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사용자 경험 개선
단점
화면 공간작은 화면에서는 상태 표시줄이 차지하는 공간이 부담스러울 수 있음
정보 과잉너무 많은 정보가 표시될 경우 오히려 사용자의 집중력을 저해할 수 있음
디자인 일관성프로그램마다 상태 표시줄의 디자인이 달라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음

2. 역사

상태 표시줄은 응용 소프트웨어에 따라 그 유무가 다르지만, 주로 메인 윈도우에 표시되며 서브 윈도우나 다이얼로그 윈도우에는 잘 표시되지 않는다. 상태 표시줄은 텍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TUI) 시절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80x25 크기의 화면에서 주로 맨 아랫줄에 위치하여 정보를 제공하였다.

2. 1. 초기 (TUI 환경)

텍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태 표시줄은 일반적으로 80자 × 25행 화면의 맨 아랫줄에 위치하며, "상태 행"이라고 불린다.[6] vi[6]와 Emacs와 같은 텍스트 편집기에서 단축키 정보와 함께 현재 상태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다.

상태 행은 30년 이상 사용되어 왔다.[6] 보조 메시지를 기본 영역에 표시하여 중앙 팝업 메시지가 중요한 정보를 가리는 것을 방지한다. 팝업 메시지는 주의를 환기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상태 행에서도 하이라이트나 색을 사용하여 정보를 가리지 않고 주의를 환기할 수 있다.

2. 2. GUI 환경으로의 발전

일반적인 GUI 기반의 운영 체제용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상태 표시줄은 위젯 툴킷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의 구성 요소(위젯)로 제공된다.[3][7]

컴퓨터 게임에서도 플레이어의 체력, 점수 등의 정보를 화면 하단에 비슷한 방식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3. 장점 및 단점

상태 표시줄은 정보를 간결하게 표시하고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피드백을 제공하지만, 표시할 수 있는 정보량이 제한적이고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단점도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윈도우 7용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에서 상태 표시줄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8]

3. 1. 장점


  • 전체 화면을 보면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2]
  • 상태 정보를 보면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 상태 데이터를 보면서 다른 메뉴 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 작업 중에도 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2]

3. 2. 단점

상태 표시줄은 한 줄 정도의 정보만 표시할 수 있다(여러 줄 상태 표시줄도 가능은 하다).[2] 중요한 메시지를 다른 창 위에 팝업하여 강조할 수 없다.[2] 디스플레이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대화 상자보다 눈에 덜 띌 수 있다.[2]

4. 사용 예시


  • 텍스트 어드벤처 게임에서 상태 표시줄은 플레이어의 위치, 게임 시간, 점수 등의 정보를 보여준다. 인포컴의 고객 뉴스레터는 ''더 뉴 조크 타임스''(The New Zork Times)라는 이름에서 착안하여 ''상태 표시줄''(The Status Line)이라고 불렸다.[1]

4. 1. 파일 관리자

파일 관리자의 상태 표시줄은 현재 디렉터리의 항목 개수, 총 크기 또는 현재 선택한 항목의 크기를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1]

4. 2. 웹 브라우저

웹 브라우저의 상태 표시줄은 사용자가 페이지를 볼 때는 보이지 않거나 비어 있다가 하이퍼링크를 클릭하면 로딩 정보를 표시한다.[1] 페이지를 열람하는 중에는 비활성화되어 있다가, 링크를 클릭했을 때 각종 정보를 활발하게 표시하기도 한다.[8]

4. 3. 그래픽 편집기

그래픽 편집기(어도비 포토샵, 마이크로소프트 그림판)의 상태 표시줄은 편집 중인 이미지에 관한 정보(크기, 색 공간, 해상도 등)를 표시한다.[1]

4. 4. 워드 프로세서

워드 프로세서의 상태 표시줄은 보통 커서 위치, 문서의 페이지 수, Caps Lock, Num Lock, Scroll Lock 키의 상태를 표시한다.[3] 또한, 많은 워드 프로세서에서 Insert 키로 삽입 모드를 전환할 수 있는데, 이 상태도 상태 표시줄에 나타난다.[3]

4. 5. 스프레드시트

스프레드시트에서는 상태 표시줄에 워드 프로세서와 비슷한 정보가 표시되지만, 그 외에도 선택된 셀의 기능, 선택된 셀 그룹의 총합, 최대값 등을 표시한다.[6]

5. 운영체제별 상태 표시줄

안드로이드와 윈도우 등 여러 운영체제들은 자체적인 상태 표시줄을 통해 시스템 정보 및 알림을 제공한다.

5. 1. Android

안드로이드 OS에는 화면 상단에 시각, 배터리 잔량, 통신 상태 등을 표시하기 위한 상태 표시줄이 있다[9]。안드로이드의 상태 표시줄은 내비게이션 바와 마찬가지로 시스템 바 중 하나이며,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OS가 표시 내용을 관리한다. 애플리케이션의 그리기 영역을 넓게 확보하고 몰입형 사용자 경험을 실현하기 위해 시스템 바를 일시적으로 숨길 수도 있다[10]

5. 2. Windows

마이크로소프트윈도우 7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에서 상태 표시줄의 올바른 사용 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8]

참조

[1] 웹사이트 GTK+ and Glade3 GUI Programming Tutorial - Part 1 http://www.micahcarr[...] micahcarrick.com 2007-12
[2] 웹사이트 How to Use the vi Editor https://staff.washin[...]
[3] webpage GTK+ and Glade3 GUI Programming Tutorial - Part 1 http://www.micahcarr[...] Micah Carrick 2007-12
[4] Firefox 도움말 ステータスバーに何が起きたのか? https://support.mozi[...]
[5] MDN アドオンバー - Mozilla https://developer.mo[...]
[6] webpage How to Use the vi Editor* http://www.washingto[...] Univ. of Washington, Simon Fraser University
[7] Microsoft Docs Status Bars (Windows Controls) - Win32 apps https://docs.microso[...]
[8] Microsoft Docs Status Bars (Design basics) - Win32 apps https://docs.microso[...]
[9] Android Developers システム UI の表示設定を制御する https://developer.an[...]
[10] Android Developers ステータスバーを非表示にする https://developer.an[...]
[11] 웹인용 GUI 강좌: 상태 표시줄 http://www.micahcarr[...] 2008-03-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