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연결 확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호 연결 확립(ICE)은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환경에서 두 장치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레임워크이다. ICE는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과 TURN(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과 같은 프로토콜을 조합하여 사용하며,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표준으로 정의된다. IETF는 RFC 5389 (STUN), RFC 8656 (TURN), RFC 6544 및 RFC 8445 (ICE)와 같은 표준을 통해 NAT 환경에서의 통신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IETF의 MMUSIC 및 BEHAVE 워킹 그룹에서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 및 NAT 동작 방식과 관련된 표준을 개발한다. PJNATH 및 libnice와 같은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도 ICE를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트워크 표준 - RS-232
RS-232는 데이터 단말 장치와 데이터 회선 종단 장치 간 직렬 통신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로, 터미널-모뎀 연결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현재는 일부 산업 장비 및 시스템 콘솔 포트 등에 사용되며 전기적 신호 특성, 인터페이스 기계적 특성, 회로 기능 등을 정의하고 25핀 또는 9핀 D-서브미니어처 커넥터를 사용한다. - 네트워크 표준 - WirelessHD
WirelessHD는 60 GHz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규격으로, 고화질 비디오,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 없이 전송하며, 빔 형성을 통해 가시선 제약을 완화하고 최대 10미터 거리에서 작동하도록 설계되었다.
| 상호 연결 확립 | |
|---|---|
| 일반 정보 | |
| 이름 | 상호 연결 확립 |
| 약자 | ICE |
| 종류 | IP 주소 및 포트 할당 방법 |
| 관련 기술 | STUN TURN NAT 순회 |
| 목적 | NAT 장치를 통과하는 미디어 스트림 설정 |
| 기술 정보 | |
| 작동 방식 | ICE는 사용 가능한 모든 전송 주소 쌍을 사용하여 연결성을 테스트하고, 가장 적합한 경로를 선택하여 미디어 스트림을 설정한다. |
| 프로토콜 | UDP TCP |
| 보안 | DTLS 또는 SRTP를 사용하여 미디어 스트림을 암호화할 수 있다. |
| 표준 및 RFC | |
| RFC | RFC 8445 |
| IETF 표준 | MMUSIC 작업 그룹 |
| 활용 | |
| 주요 사용처 | WebRTC VoIP 화상 회의 |
| 장점 | NAT 장벽을 극복하고 안정적인 미디어 스트림 연결을 제공한다. |
| 단점 | 구현 복잡성이 높고, 추가적인 서버 (STUN/TURN)가 필요할 수 있다. |
2. NAT 환경에서의 통신 기술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는 본질적으로 약 40억 개의 고유 주소로 제한되는 IPv4 주소 고갈을 지연시키는 효과적인 기술이 되었다. NAT 게이트웨이는 사설망에서 발신되는 요청을 추적하고, 각 연결 상태를 유지하여 공용 네트워크의 피어로부터 사설 네트워크의 피어로 응답을 전달한다. 그렇지 않으면 직접 주소 지정이 불가능하다.
VoIP, P2P 및 다른 많은 응용 프로그램은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 헤더뿐만 아니라 연결의 데이터 스트림 내에서 통신하는 피어의 주소 정보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은 전화 통화를 등록된 클라이언트로 라우팅할 수 있도록 위치 서비스에 등록하기 위해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통신한다. ICE는 통신하는 피어가 다른 피어에 의해 도달할 수 있도록 공용 IP 주소를 검색하고 통신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NAT용 세션 순회 유틸리티(STUN)는 NAT 분류를 포함한 주소 검색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 NAT 주변 릴레이 사용(TURN)은 피어 간의 직접적인 미디어 트래픽이 방화벽에 의해 허용되지 않을 때 두 클라이언트 간에 메시지를 중계하기 위해 타사 서버를 배치한다.
2. 1. STUN (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환경에서 주소 검색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 NAT 게이트웨이는 사설망에서 발신되는 요청을 추적하고, 각 연결 상태를 유지하여 공용 네트워크의 피어로부터 사설 네트워크의 피어로 응답을 전달한다. NAT용 세션 순회 유틸리티(STUN)는 NAT 분류를 포함한 주소 검색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며, IPv4의 주소 고갈을 지연시키는 효과적인 기술이다. VoIP, P2P 및 다른 많은 응용 프로그램은 인터넷 프로토콜 패킷 헤더뿐만 아니라 연결의 데이터 스트림 내에서 통신하는 피어의 주소 정보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어,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은 전화 통화를 등록된 클라이언트로 라우팅할 수 있도록 위치 서비스에 등록하기 위해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통신한다.2. 2. TURN (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NAT용 세션 순회 유틸리티(STUN)는 NAT 분류를 포함한 주소 검색을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이다. NAT 주변 릴레이 사용(TURN)은 피어 간의 직접적인 미디어 트래픽이 방화벽에 의해 허용되지 않을 때 두 클라이언트 간에 메시지를 중계하기 위해 타사 서버를 배치한다. TURN은 STUN의 확장이다.2. 3. ICE (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은 IPv4의 사용 가능한 주소 풀 고갈을 지연시키는 기술이다. NAT 게이트웨이는 사설망에서 발신되는 요청을 추적하고, 각 연결 상태를 유지하여 공용 네트워크의 피어로부터 사설 네트워크의 피어로 응답을 전달한다.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과 같은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통신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상호 연결 확립(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ICE)는 통신하는 피어가 서로 도달할 수 있도록 공용 IP 주소를 검색하고 통신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ICE는 NAT용 세션 순회 유틸리티(STUN) 및 NAT 주변 릴레이 사용(TURN) 등의 프로토콜을 조합하여 사용한다.
3. IETF 표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는 인터넷 기술 표준을 제정하는 단체이다. NAT 관련 주요 표준은 다음과 같다.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5389 RFC 5389: NAT(Network Address Translator)용 세션 트래버설 유틸리티 (STUN)는 STUN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을 정의한다.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8656 RFC 8656: NAT(Network Address Translator,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 환경에서의 중계를 사용한 트래버설(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TURN)은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5389 RFC 5389에서 정의된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NAT를 위한 세션 통과 유틸리티)의 릴레이 확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한국 인터넷 환경에서 흔히 사용되는 NAT 환경에서의 통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기술이며, 특히 P2P 통신이나 VoIP와 같은 실시간 통신에서 널리 활용된다.
RFC 6544는 ICE를 사용하여 TCP 연결을 설정하는 표준을 정의한다. 이 프로토콜은 NAT 환경에서 안정적인 TCP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RFC 6544는 RFC 8445에 의해 업데이트 되었으며, 최신 버전의 ICE 프로토콜을 따르는 것이 권장된다. RFC 8445는 NAT 환경에서 UDP 뿐만 아니라 TCP를 통한 연결도 지원하여 더욱 향상된 연결성을 제공한다.
RFC 5389는 STUN 프로토콜을 정의하며, RFC 8656은 TURN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이들은 ICE와 함께 NAT 환경에서의 통신을 지원하는 핵심 기술들이다.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8445 RFC 8445는 상호 연결 확립(ICE) 프로토콜 전반에 대한 표준을 정의한다. ICE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NAT) 환경에서 두 장치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
3. 1. RFC (Request for Comments)
RFC는 IETF(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에서 제정한 기술 표준 문서이다.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5389 RFC 5389: NAT(Network Address Translator)용 세션 트래버설 유틸리티 (STUN)는 STUN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을 정의한다.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8656 RFC 8656: NAT(Network Address Translator,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 환경에서의 중계를 사용한 트래버설(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TURN)은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5389 RFC 5389에서 정의된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NAT를 위한 세션 통과 유틸리티)의 릴레이 확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한국 인터넷 환경에서 흔히 사용되는 NAT 환경에서의 통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기술이며, 특히 P2P 통신이나 VoIP와 같은 실시간 통신에서 널리 활용된다.
RFC 6544는 ICE를 사용하여 TCP 연결을 설정하는 표준을 정의한다. 이 프로토콜은 NAT 환경에서 안정적인 TCP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RFC 6544는 RFC 8445에 의해 업데이트 되었으며, 최신 버전의 ICE 프로토콜을 따르는 것이 권장된다. RFC 8445는 NAT 환경에서 UDP 뿐만 아니라 TCP를 통한 연결도 지원하여 더욱 향상된 연결성을 제공한다.
RFC 5389는 STUN 프로토콜을 정의하며, RFC 8656은 TURN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이들은 ICE와 함께 NAT 환경에서의 통신을 지원하는 핵심 기술들이다.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8445 RFC 8445는 상호 연결 확립(ICE) 프로토콜 전반에 대한 표준을 정의한다. ICE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NAT) 환경에서 두 장치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
3. 1. 1. RFC 5389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5389 RFC 5389: NAT(Network Address Translator)용 세션 트래버설 유틸리티 (STUN)는 STUN 프로토콜에 대한 표준을 정의한다.3. 1. 2. RFC 8656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8656 RFC 8656: NAT(Network Address Translator,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 환경에서의 중계를 사용한 트래버설(Traversal Using Relays around NAT, TURN)은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5389 RFC 5389에서 정의된 STUN(Session Traversal Utilities for NAT, NAT를 위한 세션 통과 유틸리티)의 릴레이 확장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는 한국 인터넷 환경에서 흔히 사용되는 NAT 환경에서의 통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기술이며, 특히 P2P 통신이나 VoIP와 같은 실시간 통신에서 널리 활용된다.3. 1. 3. RFC 6544
RFC 6544는 ICE를 사용하여 TCP 연결을 설정하는 표준을 정의한다. 이 프로토콜은 NAT 환경에서 안정적인 TCP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RFC 6544는 RFC 8445에 의해 업데이트 되었으며, 최신 버전의 ICE 프로토콜을 따르는 것이 권장된다. RFC 8445는 NAT 환경에서 UDP 뿐만 아니라 TCP를 통한 연결도 지원하여 더욱 향상된 연결성을 제공한다.
RFC 5389는 STUN 프로토콜을 정의하며, RFC 8656은 TURN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이들은 ICE와 함께 NAT 환경에서의 통신을 지원하는 핵심 기술들이다.
3. 1. 4. RFC 8445
https://datatracker.ietf.org/doc/html/rfc8445 RFC 8445는 상호 연결 확립(ICE) 프로토콜 전반에 대한 표준을 정의한다. ICE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NAT) 환경에서 두 장치가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이다.4. IETF 워킹 그룹
MMUSIC (Multiparty Multimedia Session Control)는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의 워킹 그룹 중 하나로,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와 관련된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표준화하는 데 주력했다.
[https://tools.ietf.org/wg/mmusic/charters MMUSIC 워킹 그룹]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에서 세션을 설정, 관리 및 종료하는 데 필요한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BEHAVE (Behavior Engineering for Hindrance Avoidance)는 NAT 동작 방식과 관련된 IETF 워킹 그룹이다.
4. 1. MMUSIC (Multiparty Multimedia Session Control)
MMUSIC (Multiparty Multimedia Session Control)는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의 워킹 그룹 중 하나로, 멀티미디어 세션 제어와 관련된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표준화하는 데 주력했다.[https://tools.ietf.org/wg/mmusic/charters MMUSIC 워킹 그룹]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응용 프로그램에서 세션을 설정, 관리 및 종료하는 데 필요한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역할을 담당했다.
4. 2. BEHAVE (Behavior Engineering for Hindrance Avoidance)
BEHAVE (Behavior Engineering for Hindrance Avoidance)는 NAT 동작 방식과 관련된 IETF 워킹 그룹이다.분류:IETF 워킹 그룹
4. 3. PJNATH
PJNATH는 ICE, STUN, TURN을 지원하는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이다.분류:컴퓨터 네트워킹
분류:NAT 통과
분류:자유 소프트웨어
분류:SIP
분류:VoIP 소프트웨어
4. 4. libnice
libnice는 GLib 기반의 ICE 라이브러리이다.분류:컴퓨터 네트워킹
분류:자유 소프트웨어
분류:C로 작성된 자유 소프트웨어
분류:GNOME
참조
[1]
간행물
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ICE): A Protocol for Network Address Translator (NAT) Traversal
RFC 8445
2018-07
[2]
간행물
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ICE): A Protocol for Network Address Translator (NAT) Traversal for Offer/Answer Protocols
RFC 5245
2010-04
[3]
간행물
The Alternative Network Address Types (ANAT) Semantics for the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Grouping Framework
RFC 4091
2005-06
[4]
간행물
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ICE): A Protocol for Network Address Translator (NAT) Traversal
RFC 8445
2018-07
[5]
간행물
Interactive Connectivity Establishment (ICE): A Protocol for Network Address Translator (NAT) Traversal for Offer/Answer Protocols
RFC 5245
2010-04
[6]
간행물
The Alternative Network Address Types (ANAT) Semantics for the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SDP) Grouping Framework
RFC 4091
2005-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