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강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강아과는 글로바족과 생강족으로 구성되며, 전 세계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식물 분류군이다. 글로바족에는 글로바속, 가그네파이니아속, 헤미오르키스속이 속하며, 생강족에는 꽃생강속, 생강속, 산내속, 울금속 등을 포함한 여러 속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기재된 식물 - 카이낙티스족
    카이낙티스족은 국화아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카이낙티스속, 디메레시아속, 오로카이낙티스속 등을 포함한다.
  • 2002년 기재된 식물 - 바히아족
    바히아족은 국화과의 한 족으로, 2022년 4월 현재 21개의 속이 인정되고 있으며 국화아과 내에서 천수국족, 해바라기족 등과 함께 분류된다.
  • 생강과 - 카다멈
    카다멈은 그린 카다멈과 블랙 카다멈을 포함하는 향신료로, 인도, 과테말라,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생산되며 요리와 음료에 사용되는 고급 향신료이자 고대부터 사용된 사프란, 바닐라 다음으로 비싼 향신료이다.
  • 생강과 - 봉술
    봉술은 남아시아 원산의 열대 및 아열대 식물로, 뿌리줄기는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며 인도네시아와 태국 요리에 활용되고 한의학에서는 봉출이라는 약재로, 전통 의학에서는 염증, 통증, 피부 질환 등에 사용되었으며, 에센셜 오일은 향수, 비누 제조 등에 사용된다.
생강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생물학적 분류
''Curcuma zedoaria''
Curcuma zedoaria
학명Zingiberoideae
명명자W.J.Kress, 2002
하위 분류본문 참조

2. 하위 분류

생강과는 크게 2개의 족으로 나뉜다.[3]

대표적인 속
글로바족(Globbeae)글로바속, 가그네파이니아속, 헤미오르키스속
생강족(Zingibereae)꽃생강속, 생강속, 산내속, 울금속 외


2. 1. 글로바족 (Globbeae)

Meisn.가 명명한 글로바족(Globbeae)은 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다음과 같은 속(genus)을 포함한다.[3]

속(genus)
글로바속(Globba L.)
가그네파이니아속( Gagnepainia K.Schum.)
헤미오르키스속( Hemiorchis Kurz)


2. 2. 생강족 (Zingibereae)


  • 꽃생강속(''Hedychium'' J.Koenig)
  • 생강속(''Zingiber'' Mill.)
  • 산내속(''Kaempferia'' L.)
  • 울금속(''Curcuma'' L.)
  • ''Boesenbergia'' Kuntze
  • ''Camptandra'' Ridl.
  • ''Caulokaempferia'' K.Larsen
  • ''Cautleya'' (Royle ex Benth.) Hook.f.
  • ''Cornukaempferia'' Mood & K.Larsen
  • ''Distichochlamys'' M.F.Newman
  • ''Haniffia'' Holttum
  • ''Haplochorema'' K.Schum.
  • ''Kedhalia'' C.K.Lim
  • ''Larsenianthus'' W.J.Kress & Mood
  • ''Myxochlamys'' A.Takano & Nagam.
  • ''Nanochilus'' K.Schum.
  • ''Newmania'' N.S.Lý & Škorničk.
  • ''Parakaempferia'' A.S.Rao & D.M.Verma
  • ''Pommereschea'' Wittm.
  • ''Pyrgophyllum'' (Gagnep.) T.L.Wu & Z.Y.Chen
  • ''Rhynchanthus'' Hook.f.
  • ''Roscoea'' Sm.
  • ''Scaphochlamys'' Baker
  • ''Stadiochilus'' R.M.Sm.
  • ''Sulettaria'' A.D.Poulsen & Mathisen
  • 보에센베르기아속(Boesenbergia)
  • 캄프탄드라속(Camptandra)
  • 칼로캠페리아속(Caulokaempferia)
  • 코틀레야속(Cautleya)
  • 강황속(Curcuma)
  • 커큐모르파속(Curcumorpha)
  • 해니피아속(Haniffia)
  • 합로코레마속(Haplochorema)
  • 헤디키움속(Hedychium)
  • 히치니아속(Hitchenia)
  • 알핀니아속(Kaempferia)
  • 나노킬루스속(Nanochilus)
  • 파라코틀레야속(Paracautleya)
  • 파라캠페리아속(Parakaempferia)
  • 폼메레쉐아속(Pommereschea)
  • 린칸투스속(Rhynchanthus)
  • 로스코에아속(Roscoea)
  • 스카포클라미스속(Scaphochlamys)
  • 스타디오킬루스속(Stadiochilus)
  • 스타일리아투스속(Stahlianthus)

3. 한국의 생강과 식물

薑科중국어 식물은 열대 지방을 중심으로 세계에 1,300여 종이 분포하며, 한국에는 4속 4종이 재배 또는 자생한다.


  • 생강속
  • * 생강 ''Zingiber officinale'' Roscoe
  • * 양하 ''Zingiber mioga'' (Thunb.) Roscoe
  • 강황속
  • * 강황 ''Curcuma longa'' L.
  • * 울금
  • 꽃양하속
  • * 꽃양하

4. 생강과 식물의 활용

생강과 식물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된다.

참조

[1] 논문 The phylogeny and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ingers (Zingiberaceae): evidence from molecular data 2002
[2] 저널 The phylogeny and a new classification of the gingers (Zingiberaceae): evidence from molecular data 2002
[3] 간행물 Plantarum vascularium genera secundum ordines ... Tab. Diagn. 388, Comm. 290 184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