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발린제넷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발린제넷(Genetta servalina)은 사향고양이과의 포유류로, 적갈색 털과 검은 반점이 특징이다. 아프리카에 분포하며, 카메룬에서 콩고 분지, 우간다와 탄자니아까지 서식한다. 5종의 아종이 있으며, 1855년 자크 푸셰랑에 의해 처음 학계에 보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55년 기재된 포유류 - 시리아야생당나귀
    시리아야생당나귀는 서아시아에 서식했던 멸종된 야생 당나귀 아종으로, 무분별한 사냥과 서식지 파괴로 1920년대에 멸종되었으며, 멸종 후 유전자 보존 및 생태적 역할 복원을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1855년 기재된 포유류 - 덤불쥐
    덤불쥐는 북부 캘리포니아에서 멕시코 남부에 걸쳐 분포하며, 작은 귀와 긴 꼬리, 누르스름한 갈색 털을 가진 중간 크기의 야행성 설치류로, 도토리, 절지동물, 열매, 씨앗 등을 먹고 다양한 포식자의 먹이가 된다.
  • 사향고양이과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사향고양이과 -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는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빈투롱속, 세줄무늬사향고양이속, 술라웨시섬사향고양이속, 흰코사향고양이속, 아시아사향고양이속과 멸종된 속들을 포함하고, 일부 종은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서발린제넷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서발린제넷
서발린제넷
학명Genetta servalina
명명자Pucheran, 1855
멸종 위기 등급관심 필요
IUCN 3.1LC
서발린제넷 분포 지역
서발린제넷 분포 지역
생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사향고양이과
아과사향고양이아과
제넷속
서발린제넷 (G. servalina)

2. 특징

서발린제넷은 적갈색 털을 가지고 있으며, 목, 등, 옆구리에 검은 반점이 있다. 발은 검은색이며, 긴 꼬리에는 넓은 검은색과 좁은 흰색 고리가 띠를 이루고 있다.[2] 털은 짧고 척추를 따라 어두운 줄무늬가 있으며, 꼬리 끝은 밝다.[3]

2. 1. 크기

서발린제넷의 털은 적갈색이며 목, 등, 옆구리에 검은 반점이 있다. 발은 검은색이다. 긴 꼬리에는 넓은 검은색과 좁은 흰색 고리가 띠를 이루고 있다.[2] 털이 짧고 척추를 따라 어두운 줄무늬가 있으며, 꼬리 끝은 밝다.[3]

수컷 표본의 머리와 몸통 길이는 490mm에서 510mm이고, 꼬리 길이는 450mm에서 465mm이다. 암컷의 머리와 몸통 길이는 445mm에서 495mm이고, 꼬리 길이는 368mm에서 485mm이다.[4]

3. 분포 및 서식지

서발린제넷은 카메룬의 사나가강에서 남쪽으로 콩고 분지까지, 동쪽으로는 우간다탄자니아까지 분포한다.[5] 콩고 공화국, 탄자니아의 여러 지역, 잔지바르웅구자섬 등에서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6][7][8][9]

3. 1. 주요 서식지

서발린제넷은 카메룬의 사나가강에서 남쪽으로 콩고 분지까지, 동쪽으로는 우간다탄자니아까지 분포한다.[5] 콩고 공화국에서는 2007년 조사에서 오잘라-코쿠아 국립공원의 서콩고 삼림-사바나 모자이크에서 카메라 트랩에 의해 기록되었다.[6]

탄자니아의 우중구와 산맥에서는 2000년에 로우 서발린제넷이 기록되었고, 2002년에 처음으로 사진이 촬영되었다. 2005년에는 울루구루 산맥과 응구루 산맥에서 950m~1400m 고도에서 카메라 트랩 기록도 얻었다. 동아크 산맥의 다른 지역에서도 서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7]

잔지바르 서발린제넷은 잔지바르웅구자섬에 고유종이며, 1995년 조자니 숲 근처에서 표본이 죽었을 때 과학계에 알려졌다.[8] 2003년 1월, 조자니-추와카 만 국립공원에서 여러 개체가 카메라 트랩에 처음으로 기록되었다.[9]

4. 분류

다음은 사향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12]

{| class="wikitable"

|-

! 사향고양이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줄무늬사향고양이

|-

|



|}

|-

|사향고양이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인도사향고양이

|-

|

{| class="wikitable"

|-

|아프리카시벳

|-

|사향고양이속

|-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존스턴제넷

|-

|



|}

|-

|

{| class="wikitable"

|-

|서발린제넷

|-

|

{| class="wikitable"

|-

|케이프제넷

|-

|유럽제넷

|-

|



|}

|}

|}

|}

|}

|}

4. 1. 아종

서발린제넷은 1855년 자크 푸셰랑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2]

다음은 인정되는 5종의 아종이다.[10]

  • ''G. s. servalina'' (기준 아종)
  • ''G. s. bettoni'' (토마스, 1902)
  • ''G. s. schwarzi'' (크로포드-카브랄, 1970)
  • 로우 서발린제넷 (''G. s. lowei'') (킹던, 1977)는 1932년 탄자니아 우중구아 산맥에서 수집된 단일 표피를 바탕으로 기술되었다.[7]
  • 잔지바르 서발린제넷 (''G. s. archeri'') (반 롬파이와 콜린, 1998)[8]


관모 서발린제넷 (''G. cristata'')도 서발린제넷의 아종으로 간주되었지만, 현재는 별개의 종으로 여겨진다.[1]

5. 계통 분류

다음은 사향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12]

{| class="wikitable"

|-

! 사향고양이과

|-

|

{| class="wikitable"

|-

| 줄무늬사향고양이

|-

|



|}

|-

! 사향고양이아과

|-

|

{| class="wikitable"

|-

| 인도사향고양이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시벳

|-

! 사향고양이속

|-

|



|}

|}

|-

|

{| class="wikitable"

|-

| 존스턴제넷

|-

|



|}

|-

|

{| class="wikitable"

|-

| 서발린제넷

|-

|

{| class="wikitable"

|-

| 케이프제넷

|-

| 유럽제넷

|-

|



|}

|}

|}

|}

참조

[1] IUCN Genetta servalina 2016
[2] 간행물 Genetta servalina https://archive.org/[...] 1855
[3] 간행물 Integrative taxonomy and phylogenetic systematics of the genets (Carnivora, Viverridae, Genetta): a new classification of the most speciose carnivoran genus in Africa http://media.withtan[...] 2005
[4] 서적 Genetta servalina Servaline Genet Bloomsbury, London, UK 2013
[5] 학술지 Natural history collections and the conservation of poorly known taxa: Ecological niche modeling in central African rainforest genets (Genetta spp.)
[6] 학술지 The status of savanna carnivores in the Odzala-Kokoua National Park, northern Republic of Congo
[7] 학술지 Conservation News: New Records for Lowe's Servaline Genet from the Eastern Arc Mountains of Tanzania
[8] 학술지 A new servaline genet (Carnivora, Viverridae) from Zanzibar island https://www.ajol.inf[...]
[9] 웹사이트 The Small Carnivores of Unguja: Results of a Photo-trapping Survey in Jozani Forest Reserve, Zanzibar, Tanzania http://www.trailmast[...] 2007-01-11
[10] MSW3
[11] IUCN Genetta servalina
[12] 저널 Phylogenetic systematics and tempo of evolution of the Viverrinae (Mammalia, Carnivora, Viverridae) within feliformians: implications for faunal exchanges between Asia and Africa http://uahost.uantwe[...]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