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향고양이아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향고양이아과는 인도사향고양이속, 아프리카시벳속, 사향고양이속, 제넷고양이속, 아프리카린상속 등으로 분류되며, 튼튼한 체형과 항문 분비용 주머니, 지행성 발 등의 특징을 갖는다. 중동,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잡식성 동물로 단독 생활을 한다. DNA 분석을 통해 프리오노돈속은 프리오노돈과로 분류되고, 사향고양이아과는 육상 사향고양이 두 계통으로 구성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향고양이과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사향고양이과 -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는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빈투롱속, 세줄무늬사향고양이속, 술라웨시섬사향고양이속, 흰코사향고양이속, 아시아사향고양이속과 멸종된 속들을 포함하고, 일부 종은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사향고양이아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학명Viverrinae
명명자Gray, 1864
화석 범위마이오세 - 현재
하위 분류
아프리카시벳속 (Civettictis)
사향고양이속 (Viverra)
인도사향고양이속 (Viverricula)
†세미게네타속 (Semigenetta)

2. 분류

사향고양이아과는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하위 분류군으로, 다양한 속과 종을 포함하며, 학자들에 따라 분류 체계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그레이(Gray)는 사향고양이아과를 Proteles, Viverra, ''Bassaris''와 Viverricula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했다.[3] ''Genetta''''Fossa'' 속을 제네티나(Genettina)에, ''Prionodon'' 과 ''Poiana'' 속을 Prionodontinae에 종속시켰다.

레지날드 인네스 포코크(Reginald Innes Pocock)는 아프리카 사향고양이(''Genetta'') 또한 사향고양이아과와 가장 가깝지만, 별도의 아과를 형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4]

윌리엄 킹 그레고리(William King Gregory)와 밀로 헬만(Milo Hellman)은 ''Viverra'', ''Viverricula'', ''Civettictis'', ''Genetta'', ''Osbornictis'', ''Poiana'' 와 북아메리카의 에오세에 속하는 creodine 속인 ''Didymictis'' 와 ''Viverravus''를 이 사향고양이아과에 배치했다.[5]

존 엘러먼 경(Sir John Ellerman, 2nd Baronet)과 테렌스 모리슨-스콧(Terence Morrison-Scott) 역시 ''Prionodon'' 속을 포함시켰다.[6]

13종의 사향고양이아과 종과 ''Paradoxurus'', ''Paguma'' 와 Hemigalinae를 대표하는 3종으로 구성된 29종의 식육목 종을 기반으로 한 DNA 분석은 ''Prionodon''을 단형속 과인 프리오노돈과(Prionodontidae)에 Felidae의 자매군으로 배치하는 것을 지지한다. 이 연구는 또한 이 아과의 경계에 대한 논쟁을 명확히 했으며, 육상 사향고양이인 ''Civettictis''–''Viverra''–''Viverricula'' 와 ''Poiana''–''Genetta''의 두 단계통군으로 사향고양이아과를 구성하는 것을 지지했다.[7]

제넷속 (''Genetta'')과 아프리카린상속(''Poiana'')도 사향고양이아과에 속한다.[8][9]

2. 1. 하위 분류

Subfamily Viverrinae영어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하위 분류군이다.

IUCN 적색 목록 상태 및 분포
사향고양이속(린네, 1758)[10]큰인도시벳 (V. zibetha) (린네, 1758)[10]
큰인도시벳
[11]
큰인도시벳 분포 지역
말레이시벳 (V. tangalunga) (그레이, 1832)[12]
말레이시벳
[13]
말레이시벳 분포 지역
말라바르큰반점사향고양이 (V. civettina) (블라이스, 1862)[14][15]
말라바르큰반점사향고양이 분포 지역
큰점박이시벳 (V. megaspila) (블라이스, 1862)[14]
큰점박이시벳
[16]
큰점박이시벳 분포 지역
작은사향고양이속 (호지슨, 1838)[17]작은인도사향고양이 (V. indica) (생틸레르, 1803)[18]
작은인도사향고양이
[19]
작은인도사향고양이 분포 지역
아프리카시벳속 (포코크, 1915)[20]아프리카시벳 (C. civetta) (슈레버, 1776)[21]
아프리카시벳
[22]
아프리카시벳 분포 지역



제넷속 (''Genetta'')과 아프리카린상속(''Poiana'')도 사향고양이아과에 속한다.[8][9]

2. 2. 계통 분류

다음은 사향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30]

Gray영어는 사향고양이아과를 Proteles, Viverra, ''Bassaris''와 Viverricula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했다.[3] 레지날드 인네스 포코크(Reginald Innes Pocock)는 아프리카 사향고양이(''Genetta'') 또한 사향고양이아과와 가장 가깝지만, 별도의 아과를 형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4]

13종의 사향고양이아과 종과 ''Paradoxurus'', ''Paguma'' 와 Hemigalinae를 대표하는 3종으로 구성된 29종의 식육목 종을 기반으로 한 DNA 분석은 ''Prionodon''을 단형속 과인 프리오노돈과(Prionodontidae)에 Felidae의 자매군으로 배치하는 것을 지지한다. 이러한 연구는 또한 이 아과의 경계에 대한 논쟁의 여지를 명확히 했으며, 육상 사향고양이인 ''Civettictis''–''Viverra''–''Viverricula'' 와 ''Poiana''–''Genetta''의 두 단계통군으로 사향고양이아과를 구성하는 것을 지지했다.[7]

현재, 사향고양이아과는 다음과 같다:[8][9]

IUCN 적색 목록 상태 및 분포
사향고양이속 [10]큰인도사향고양이 (V. zibetha) [10]
[11]
말레이사향고양이 (V. tangalunga) [12]
[13]
말라바르큰반점사향고양이 (V. civettina) [14][15]
큰반점사향고양이 (V. megaspila) [14]
[16]
작은사향고양이속 [17]작은인도사향고양이 (V. indica) [18]
[19]
아프리카사향고양이속 [20]아프리카사향고양이 (C. civetta) [21]
[22]


3. 특징

사향고양이아과 종은 몸이 튼튼하며, 항문 양쪽에 깊은 분비샘 주머니가 있다. 뒷발 등은 발가락 패드와 중족골을 제외하고 털로 덮여있다.[3] 지행성 발은 땅에서 걷기에 적합하며, 푹신하고 세분된 발바닥 패드와 두 번째에서 네 번째 발가락 패드만 땅에 닿는다. 첫 번째 발가락은 작고 발바닥 패드 위에 높이 위치하며, 기능이 거의 없는 "뒷발톱"을 형성한다. 치아의 공식은 upper=3.1.4.2|lower=3.1.4.2영어이다.[4]

현대 사향고양이아과의 두드러진 특징은 회음 향샘의 발달, 전후 방향으로 길어진 복합 고실의 내측 고실실, 분쇄치 형태의 뺨의 이빨이다.[5]

뛰어난 청력과 시력을 가지고 있다. 살을 찢는 분쇄치는 상대적으로 덜 발달되어 있다.[23]

사향고양이는 식육목의 원시적인 과 중 하나이며, 5천만 년 전의 시신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화석과 매우 유사한 골격을 가지고 있다. 형태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코가 긴 고양이와 비슷하다. 대부분은 넣거나 부분적으로 넣을 수 있는 발톱과 음경골을 가지고 있다.

사향고양이아과의 크기는 아프리카린상의 몸길이 33cm 및 무게 650g에서 아프리카사향고양이의 몸길이 84cm 및 무게 18kg까지 다양하다.

4. 분포 및 생태

사향고양이는 중동 지역 전역에서 발견되며, 아프리카시벳아프리카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종이다.[27] 아프리카사향고양이 (*Civettictis civetta*)는 아프리카에 서식한다.[4] 유럽제넷(*Genetta genetta*)과 긴꼬리사향고양이(*Genetta genetta*)는 유럽발레아레스 제도에 도입된 종으로 간주되며, 포르투갈, 스페인, 프랑스 대부분 지역에서 발견된다.[28][24]

이들은 일반적으로 식육목에 속하지만, 대체로 단독 생활을 하며 잡식성이다.[23][29]

참조

[1] 웹사이트 Viverrinae https://paleobiodb.o[...]
[2] 간행물
[3] 논문 A revision of the genera and species of viverrine animals (Viverridae), founded on the collection in the British Museum https://archive.org/[...]
[4]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Taylor and Francis
[5] 논문 On the evolution and major classification of the civets (Viverridae) and allied fossil and recent Carnivora: Phylogenetic study of the skull and dentition https://books.google[...]
[6] 서적 Checklist of Palaearctic and Indian mammals 1758 to 1946 British Museum of Natural History
[7] 논문 Exhaustive sample set among Viverridae reveals the sister-group of felids: the linsangs as a case of extreme morphological convergence within Feliformia http://rspb.royalsoc[...]
[8] 논문 Phylogenetic systematics and tempo of evolution of the Viverrinae (Mammalia, Carnivora, Viverridae) within feliformians: implications for faunal exchanges between Asia and Africa http://uahost.uantwe[...]
[9] 논문 Upda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a new species-level supertree complete with divergence time estimates
[10]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Tomus I Laurentius Salvius
[11] 간행물 Viverra zibetha 2016
[12] 논문 On the family of Viverridae and its generic sub-divisions, with an enumeration of the species of several new ones https://books.google[...]
[13] 간행물 Viverra tangalunga 2016
[14] 논문 Report of curator, zoological department, February, 1862, No. 1.
[15] 간행물 Viverra tangalunga 2016
[16] 간행물 Viverra megaspila 2016
[17] 논문 Classified Catalogue of Nepalese Mammalia https://archive.org/[...]
[18] 서적 Catalogue des Mammifères du Muse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Muse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19] 간행물 Viverricula indica 2015
[20] 논문 On the Feet and Glands and other External Characters of the Viverrinae,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Genus https://archive.org/[...]
[21] 서적 Die Säugethiere in Abbildungen nach der Natur, mit Beschreibungen Wolfgang Walther
[22] 간행물 Civettictis civetta 2015
[23]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24] 문서 Genetta genetta
[25] 문서 A revision of the genera and species of viverrine animals (Viverridae), founded on the collection in the British Museum http://archive.org/s[...]
[26] 간행물
[27] 문서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Mammalia. – Volume 1 http://www.archive.o[...]
[28] 문서 Genetta genetta
[29]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30] 저널 Phylogenetic systematics and tempo of evolution of the Viverrinae (Mammalia, Carnivora, Viverridae) within feliformians: implications for faunal exchanges between Asia and Africa http://uahost.uantwe[...]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