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는 1902년 고종의 즉위 40주년과 기로소 입소, 대한제국 선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기념비이다. 비석에는 순종이 쓴 글씨가 새겨져 있으며, 비를 보호하기 위한 비각과 만세문이 함께 세워졌다. 일제강점기에 훼손되었으나, 광복 후 복원되었고, 1967년과 1979년에 걸쳐 위치가 변경되고 보수되었다. 건축가 심의석에 의해 경복궁 근처에 건립되었으며, 비각은 20세기 초 전통 건축 양식의 특징을 보여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2년 작품 - 노키아 튠
    노키아 튠은 프란시스코 타레가의 클래식 기타곡 '그란 발스'를 기반으로 1998년부터 노키아 휴대폰의 대표 벨소리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어 저작인접권 보호 및 사운드 상표 등록이 되어 있다.
  • 심의석의 건축물 - 배재학당
    미국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가 1885년에 설립한 배재학당은 이승만, 주시경, 김소월 등 저명한 동문과 개혁적 교원들을 배출하며 민족의식 고취, 독립운동, 민주화 운동에 기여한 한국의 근대 교육 기관이다.
  • 심의석의 건축물 - 정동제일교회
    정동제일교회는 아펜젤러 선교사가 1885년에 설립한 한국 최초의 감리교 교회 중 하나로, 한국 최초의 서양식 개신교 교회 건축물인 벧엘예배당과 파이프 오르간 설치, 정동부인병원 설립 등의 '최초' 기록과 독립운동에 참여한 민족대표 33인을 배출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 한국의 비문 - 해남 명량대첩비
    해남 명량대첩비는 1688년 박신주가 이순신 장군의 명량 해전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건립한 비석으로, 명량대첩의 상황과 이순신 장군의 충의를 기리는 내용이 담겨 있으며, 국난 시 눈물을 흘린다는 전설이 있다.
  • 한국의 비문 - 서울 삼전도비
    서울 삼전도비는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의 강요로 세워진 대청황제공덕비로, 청의 덕을 기리고 조선의 과오를 반성하는 내용이 만주어, 몽골어, 한문으로 새겨졌으며, 현재는 석촌호수 서호 언덕에 위치해 있다.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지도
기본 정보
이름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한자서울高宗御極四十年稱慶紀念碑 / 碑閣
로마자 표기Go-jong-eo-geuk-sa-sim-nyeon-ching-gyeong-gi-nyeom-bi / Bigak
로마자 표기 (매큔-라이샤워)Ko-jong-ŏ-gŭk-sa-sim-nyŏn-ching-gyŏng-gi-nyŏm-bi / Pigak
문화재 정보
유형사적
지정 번호171
지정일1969년 7월 18일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 (교보빌딩 앞)
시대대한제국 (1902년)
소유국유
면적579m2
수량4필지
꼬리표비각
문화재청13,01680000,32
사진

2. 역사

이 비는 1902년(광무 6년)에 세워졌다. 비문에는 고종이 즉위한 지 40년이 된 것과 51세가 되어 기로소에 입소한 것,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황제의 칭호를 쓰게 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웠다고 쓰여 있다.

비를 보호하기 위한 비각에는 '기념비전'이라는 현판이 달려있다. 비각은 2중 기단 위에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서 있는 정자형 건물로, 20세기 초 전통적인 건축 양식이 사라지기 직전에 세워진 가장 아름다운 건물 중 하나이다. 건물의 남쪽에는 돌기둥 위에 '만세문'이라 새긴 무지개 모양의 문이 있다.

광복 후 1954년 비각을 보수하면서 일본인에게 팔렸던 만세문과 담의 일부를 복원하였고, 1967년경 광화문 지하보도 건설과 종로 확장 공사로 인해 원래 위치에서 북동쪽으로 약간 이전하였다.[3] 1979년 전면적인 보수를 통해 옛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설치 당시에는 정궁인 경복궁 근처에 지었는데, 이는 황제의 기념비이기 때문에 당시 정궁으로 사용되고 있었던 경복궁 근처에 설치한 것으로 추측된다.

2. 1. 건립 배경

이 비는 1902년(광무 6년)에 세워졌다. 비문에는 고종(재위 1863년~1907년)이 즉위한 지 40년이 된 것과 51세가 되어 기로소에 입소한 것,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고치고 황제의 칭호를 쓰게 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웠다고 쓰여 있다. 돌거북 위에 세워진 비석의 앞면에는 '대한제국 대황제 보령 망육순 어극사십년 칭경기념송'이라는 글이 새겨져 있으며, 당시 황태자인 순종이 글씨를 썼다.[3]

2. 2.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1902년(광무 6년)에 세워진 이 비는 일제강점기에 비각과 만세문 등이 훼손되고 일본인에게 팔리는 수난을 겪었다. 1954년 비각을 보수하면서, 일본인에게 팔렸던 석재 만세문과 담의 일부를 복원하였다.[3] 1967년경 광화문 지하보도 건설과 종로 확장 공사로 인해 원래 위치에서 북동쪽으로 이전되었다.[3] 1979년 전면적인 보수를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2. 3. 위치 이전

1902년(광무 6년)에 건립된 이 비는, 1954년 광복 후 비각을 보수하면서 일본인에게 팔렸던 돌로 된 만세문과 담을 찾아다가 일부 복원하였다.[3] 1967년경 광화문 지하보도 건설과 종로 확장 공사로 인해 원래 위치에서 북동쪽으로 약간 이전하였고,[3] 1979년 전면적으로 다시 고쳐 옛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원래는 정궁인 경복궁 근처에 건립되었는데, 황제의 기념비였기 때문에 당시 정궁으로 사용되고 있었던 경복궁 근처에 설치한 것으로 추측된다.

3. 건축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는 1902년 9월 대한제국의 건축기사 심의석이 경복궁 근처에 건립하였다.[4]

3. 1. 비각

1902년 9월 대한제국의 유명한 건축기사 심의석이 건립하였다.[4]

4.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고종즉위40년칭경기념비 (高宗卽位40年稱慶紀念碑) http://100.empas.com[...] Empas /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8-04-21
[2] 웹사이트 고종즉위사십년칭경기념비 (高宗卽位四十年稱慶紀念碑) http://100.empas.com[...] Empas / EncyKorea 2008-04-21
[3] 뉴스 새서울의 靑寫眞 (12) 光化門立體交叉路신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사 1966-03-15
[4] 웹사이트 심의석(沈宜錫) https://terms.nav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