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무학초등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무학초등학교는 1915년 9월 1일 왕십리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경성무학공립심상소학교, 경성무학공립국민학교를 거쳐 199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서울금호초등학교, 서울행당초등학교, 서울금북초등학교, 서울행현초등학교 등을 분리하였으며, 2015년 서울형 혁신학교로 지정되었다. 장미를 교화로, 은행나무를 교목으로 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5년 개교 - 서울금양초등학교
    서울금양초등학교는 1915년 용산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교명이 변경되었고, 해방 후 서울금양국민학교를 거쳐 1996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2015년 개교 100주년을 맞이한 서울특별시의 초등학교이다.
  • 1915년 개교 - 이리초등학교
    이리초등학교는 1915년 이리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여러 차례의 개칭 및 개편을 거쳐 1996년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으며, 익산교육지원청 발명교육 지역센터를 운영한다.
  • 서울 성동구의 초등학교 - 서울경수초등학교
    서울경수초등학교는 1982년 개교하여 1996년 교명을 변경한 대한민국의 초등학교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많은 동문을 배출했다.
  • 서울 성동구의 초등학교 - 서울경동초등학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인 서울경동초등학교는 1913년 개교하여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 활동과 서울시 초록미래학교 지정 등을 통해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과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환경 교육에 힘쓰고 다양한 분야의 인재를 배출하였다.
  • 혁신학교 - 청북초등학교
    청북초등학교는 1926년 화성시에 설립된 공립 초등학교로,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후 청북국민학교에서 199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시설 현대화 사업을 통해 과학실과 급식실을 개선했다.
  • 혁신학교 - 성심여자중학교
    성심여자중학교는 1957년 성심수녀회가 설립한 사립 중학교로, 1975년 폐교되었다가 2002년 재개교하여 2023년까지 총 17,260명의 졸업생을 배출했다.
서울무학초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서울무학초등학교 이미지
서울무학초등학교
이름서울무학초등학교
한자 표기서울舞鶴初等學校
영문 표기Seoul Moohak Elementary School
교훈(정보 없음)
개교1915년 9월 1일
설립 형태공립
교장이충원
교감(정보 없음)
국가대한민국
위치서울특별시 성동구 무학봉15길 21 (왕십리동 950-1)
학생 수458명 (2023년 5월 1일)
교직원 수44명 (2023년 5월 1일)
상징장미(교화)
은행나무(교목)
두루미(교조)
학교 법인(정보 없음)
관할 관청성동광진교육지원청
기타(정보 없음)
웹사이트서울무학초등학교 홈페이지

2. 학교 연혁

1915년 9월 1일 '''왕십리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이후 1938년 '''경성무학공립심상소학교'''[4], 1941년 '''경성무학공립국민학교'''[5]를 거쳐 1996년 4월 1일 현재의 교명인 '''서울무학초등학교'''로 변경하였다.[6]

개교 이후 서울금호초등학교(1958년), 서울행당초등학교(1962년), 서울금북초등학교(1968년), 서울행현초등학교(2005년) 등이 분리되어 나갔다. 1984년 본관을 준공하였으며, 2000년대 들어 신관 증축, 교육정보화 시스템 구축, 체육관 겸 정보관 완공 등 지속적인 시설 개선이 이루어졌다. 2015년에는 개교 100주년을 맞이하여 기념행사를 개최하였고[7], 같은 해 서울형 혁신학교로 지정되었다. 2021년에는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 1. 설립 초기 (1915년 ~ 1945년)


  • 1915년 9월 1일 '''왕십리공립보통학교'''로 개교하였다.
  • 1938년 4월 1일 '''경성무학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4]
  • 1941년 4월 1일 국민학교령에 따라 '''경성무학공립국민학교'''로 다시 교명을 변경하였다.[5]

2. 2. 해방 이후 (1945년 ~ 1996년)

2. 3. 현재 (1996년 ~ 현재)


  • 1996년 4월 1일 '''서울무학초등학교'''로 개칭[6]
  • 1997년 9월 1일 학교 급식 실시
  • 2000년 2월 15일 교육정보화 시스템 구축
  • 2000년 6월 30일 제1회 장다리꽃 축제
  • 2000년 10월 30일 신관 9개 교실 준공
  • 2000년 11월 10일 제1회 가족과 함께 하는 무학동요제
  • 2000년 11월 20일 방송시설 보수 및 재설치
  • 2001년 6월 30일 학교 녹화 사업 실시(~ 10월 29일)
  • 2005년 9월 1일 행현초등학교(11학급) 분리
  • 2008년 10월 30일 신관 및 정보관 4층 6개 교실 증축
  • 2009년 2월 28일 체육관 겸 정보관 완공, 교내 조경공사 완료
  • 2015년 9월 1일 서울형 혁신학교 지정
  • 2015년 9월 18일 개교 100주년 기념행사[7]
  • 2017년 12월 1일 스쿨버스 운영
  • 2018년 9월 1일 변부경 교장 부임
  • 2018년 12월 9일 학생자치실 개관
  • 2018년 12월 18일 교육용 PC 및 단말기 교체(35대), 무선인프라 구축
  • 2018년 12월 27일 상담실 리모델링, 보건실 본관 건물로 이전
  • 2019년 1월 16일 비상벨 설치(20곳), 노출 전선 정리
  • 2019년 1月 17일 본관 연결통로 엘리베이터 설치
  • 2019년 2월 26일 돌봄 제3교실 개관(연계형 돌봄교실 추가)
  • 2019년 2월 28일 통학로 수목 정리
  • 2019년 3월 20일 도서실 내부 및 복도환경 개선
  • 2019년 6월 20일 철계산 물청소(왕십리2동 주민센터, 성동구청 지원)
  • 2019년 8월 9일 석면제거 공사[8]
  • 2019년 9월 6일 울퉁불퉁창작소(스페이스메이커) 리모델링 공사
  • 2019년 10월 1일 CCTV(본관 뒷편, 경사지면 앞, 스쿨버스정거장 옆 출입문) 4대 설치
  • 2019년 10월 19일 특수학급(우리함께반) 공간혁신 리모델링 실시
  • 2020년 1월 9일 제104회 졸업식(96명, 누계 50574명)
  • 2020년 2월 4일 리모델링 공사[9]
  • 2020년 2월 14일 석면제거 공사[10], 천정텍스 재설치 및 LED전등 설치(아름다울채(1~3층))
  • 2020년 2월 28일 본관 1층 연계형 돌봄교실 보수공사, 암반 경사지면 보강공사(구 테니스장 보도블럭 설치 및 후문 재설치 포함), 무학초-한신무학아파트 철계단 핸드레일 설치 등 보수공사
  • 2020년 3월 1일 27학급 편성(특수 2)(입학생 98명)
  • 2020년 3월 17일 대기전력차단장치 설치 공사, 본관 교실용 신발장 설치, 잔디운동장 부분보수 및 우레탄 전체보수(탑코팅 도로), 방역암막용 블라인드 설치[11]
  • 2020년 4월 1일 학교 창문 미세먼지 차단 방진 방충망 설치
  • 2020년 5월 14일 영어체험실 환경개선 공사
  • 2020년 8월 14일 예절실 및 과학실 환경개선공사
  • 2020년 11월 20일 병설유치원 리모델링 공사(외부 놀이터 설치)
  • 2020년 12월 3일 어린이자치실 리모델링 공사(본관 뒤 창고보수 공사 포함)
  • 2020년 12월 18일 학교보안관실 교체
  • 2021년 1월 20일 학교 바닥 교체
  • 2021년 2월 10일 제105회 졸업식(100명, 누계 50674명)
  • 2021년 3월 1일 병설유치원 개원
  • 2021년 3월 1일 26학급 편성(특수 2학급 포함)

3. 학교 상징

(내용 없음)

3. 1. 교화

장미: 남을 배려하고 정열적으로 노력하는 무학 어린이를 상징한다.

3. 2. 교목

은행나무는 굳세고 튼튼하게 자라는 무학 어린이를 상징한다.

4. 학교 동문

분류:서울무학초등학교 동문에서 관련 동문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참조

[1] 뉴스 100년 전 우리 동네 https://samil-100.kb[...]
[2] 웹사이트 김인식 https://search.i815.[...]
[3] 논문 1920년대 보통학교 학생들의 교원 배척 동맹휴학
[4] 법령 제3차 조선교육령 1938-03-03
[5] 법령 국민학교령 1941-02-28
[6] 법령 법률 제5069호 1995-12-29
[7] 문서 기념비, 역사관, 벽화
[8] 문서 교장실, 교무실, 방송실, 우리함께반
[9] 문서 교무실, 교장실, 회의실, 교직원 휴게실
[10] 문서 어울채(1~3층), 다울채(1~3층)
[11] 문서 교실, 특별실, 관리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