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창신초등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창신초등학교는 1912년 9월 20일 능인사립보통학교로 개교하여, 1916년 창신공립보통학교로 변경된 후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1996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71년 서울명신초등학교를 분리하였으며, 1973년 일본 이시오카소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2019년 기준 제26대 교장이 취임하였고, 30학급을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다. 학교 상징으로는 민들레를 교화로, 느티나무를 교목으로 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종로구의 초등학교 -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초등학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초등학교는 1895년 한성사범학교 부속관립소학교로 설립되어 명칭 변경과 이전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으며, 대한민국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 구 탑골공원 정문을 소장하고 있다. - 서울 종로구의 초등학교 - 서울교동초등학교
서울교동초등학교는 1894년 개교한 대한민국 초등학교로, 여자학급 신설 등 혁신적인 교육을 실천하고 저명한 인물들을 배출하며 100년 이상의 역사를 이어오고 있다. - 1912년 개교 - 결성초등학교
1911년 사립보광학교로 개교한 결성초등학교는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교명이 변경되었고, 1981년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여 2017년까지 총 6,912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초등학교이다. - 1912년 개교 - 여산초등학교
여산초등학교는 1907년 사립 여산호산학교에서 시작하여 효성학교로 통합, 여산공립보통학교로 개편 후 교명 변경과 여산남초등학교, 여산서초등학교 합병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개나리, 느티나무, 까치를 상징으로 9,714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대한민국의 초등학교이다. - 서울특별시의 초등학교 - 서울미동초등학교
서울미동초등학교는 1896년 한성부공립소학교로 개교하여 여러 차례 교명 변경을 거쳐 현재에 이른 대한민국의 초등학교이며,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등 유명 인사의 방문을 받았고, 장미와 향나무를 학교 상징으로 한다. - 서울특별시의 초등학교 - 대광초등학교 (서울)
대광초등학교는 1966년 개교하여 1968년에 첫 졸업생을 배출한 서울특별시의 사립 초등학교이며, 일본 다케토요소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으나 한일 관계의 어려움으로 교류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고, 매년 개교기념 행사 대신 격년으로 개교기념 주간을 운영한다.
서울창신초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울창신초등학교 |
한자 표기 | 서울昌信初等學校 |
영문 표기 | Seoul Changsin Elementary School |
![]() | |
교훈 | 착하고 슬기롭고 튼튼한 어린이 |
개교 | 1916년 5월 20일 |
설립 형태 | 공립 |
교장 | 김상윤 |
교감 | 허현구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지봉로 73 (창신동 128-35) |
학생수 | 348명 (2024년 3월 1일) |
교직원수 | 41 명 (2024년 3월 1일) |
상징 | 교목 느티나무, 교화 민들레 |
학교 법인 | ... |
관할 관청 |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
웹사이트 | 서울창신초등학교 홈페이지 |
2. 연혁
1907년 7월 10일 원흥사(元興寺) 스님과 능인학교 설립 기도를 시작하였다.[1] 1912년 9월 20일 능인사립보통학교가 개교하였다. 이회광이 설립하고 이능화가 교장을 지냈으며,[2][3] 건물은 원흥사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4] 1916년 5월 20일 '''창신공립보통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개교하였다.(설립인가 5월 10일)[5] 1938년 4월 1일 '''경성창신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6] 1941년 4월 1일에는 '''경성창신공립국민학교'''로 다시 교명을 변경하였다.[7]
1971년 10월 4일 서울명신국민학교(1969명)를 분리하였으며, 1972년 11월 14일 도서실을 개관하였다.[1] 1973년 8월 22일에는 일본 이바라키현 이시오카시의 [http://academic4.plala.or.jp/sishioka/ 이시오카소학교]와 자매결연을 맺었다.[8] 1981년 3월 10일 특수학급을 개설하였고,[1] 1989년 5월 20일 교사 5동 개축을 완공하고 민속자료관을 개관하였다.[1] 1991년 9월 30일 전 교실에 도시가스 난방을 완공하였으며,[1] 1994년 12월 30일 급식당을 완공하고,[1] 1995년 2월 6일 급식을 실시하기 시작하였다.[1]
1996년 3월 1일 '''서울창신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9] 1998년 9월 5일 보육실을 설치하였고,[1] 2001년 4월 19일 현 교사 개축에 착공하여[1] 2003년 2월 3일 신관 건물(C동)을 완공하였다. 2005년 12월 26일 민속자료관을 재개관하였고, 2008년 11월 25일 종로구 창신 거점 영어 체험센터를 개관하였다. 2010년 9월 13일 도서실 리모델링 후 반딧불 도서관으로 개관하였으며, 2012년 5월 24일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16년 5월 19일 개교 100주년 기념실을 개관하였고, 2017년 1월 23일 반디갤러리 및 도담도담 쉼터를 개관하였다. 2019년 2월 15일 제101회 졸업식(111명, 누계 52709명)을 하였고, 2019년 3월 1일 30학급(학습도움반 1학급 포함)을 편성하였다. 2019년 9월 1일 제26대 진용희 교장이 취임하였으며, 2019년 10월 18일 꿈.끼.어울림 종합축제를 실시하였다.
2. 1. 학교 설립 이전
2. 2. 일제강점기
1907년 7월 10일 원흥사(元興寺) 스님과 능인학교 설립 기도를 시작하였다.[1] 1912년 9월 20일 이회광이 설립하고 이능화가 교장을 지낸 능인사립보통학교가 개교하였다.[2][3] 건물은 원흥사의 것을 그대로 사용하였다.[4] 1916년 5월 20일 '''창신공립보통학교'''가 개교하였다.(설립인가 5월 10일)[5] 1938년 4월 1일 '''경성창신공립심상소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고,[6] 1941년 4월 1일 '''경성창신공립국민학교'''로 다시 교명을 변경하였다.[7]2. 3. 광복 이후
1971년 10월 4일 서울명신국민학교로 1969명을 분리하였다.[1] 1972년 11월 14일 도서실을 개관하였고,[1] 1973년 8월 22일에는 일본 이바라키현 이시오카시의 [http://academic4.plala.or.jp/sishioka/ 이시오카소학교](石岡小学校)와 자매결연을 맺었다.[8] 1981년 3월 10일 특수학급을 개설하고,[1] 1989년 5월 20일 교사 5동 개축을 완공하면서 민속자료관을 개관하였다.[1] 1991년 9월 30일 전 교실에 도시가스 난방을 완공하였으며,[1] 1994년 12월 30일 급식당을 완공하고 1995년 2월 6일부터 급식을 실시하였다.[1]1996년 3월 1일 서울창신초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9] 1998년 9월 5일 보육실을 설치하고,[1] 2001년 4월 19일 현 교사 개축에 착공하여[1] 2003년 2월 3일 신관 건물(C동)을 완공하였다. 2005년 12월 26일 민속자료관을 재개관하고, 2008년 11월 25일 종로구 창신 거점 영어 체험센터를 개관하였다. 2010년 9월 13일 도서실 리모델링 후 반딧불 도서관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2012년 5월 24일 병설유치원을 개원하고, 2016년 5월 19일 개교 100주년 기념실을 개관하였다. 2017년 1월 23일 반디갤러리 및 도담도담 쉼터를 개관하였다.
2019년 2월 15일 제101회 졸업식을 통해 111명이 졸업하여 누계 52,709명이 졸업하였다. 2019년 3월 1일 30학급(학습도움반 1학급 포함)을 편성하고, 2019년 9월 1일 제26대 진용희 교장이 취임하였다. 2019년 10월 18일 꿈.끼.어울림 종합축제를 실시하였다.
2. 4. 학교 시설 현대화
1989년 5월 20일 교사 5동 개축이 완공되었고 민속자료관이 개관되었다.[1] 1991년 9월 30일 전 교실에 도시가스 난방이 완공되었다.[1] 1994년 12월 30일에는 급식당이 완공되었고,[1] 이듬해 2월 6일부터 급식이 실시되었다.[1] 2001년 4월 19일 현 교사 개축이 착공되었으며,[1] 2003년 2월 3일 신관 건물(C동)이 완공되었다. 2005년 12월 26일에는 민속자료관이 재개관되었고, 2010년 9월 13일에는 도서실 리모델링 후 반딧불 도서관으로 다시 문을 열었다. 2017년 1월 23일에는 반디갤러리 및 도담도담 쉼터가 개관되었다.3. 학교 상징
교화는 민들레이다. 민들레는 은근과 끈기를 가지고 역경을 이겨내며 큰 꿈을 펼쳐 참된 일꾼으로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상징한다.
느티나무는 어떠한 어려움과 시련에도 굴하지 않는 강인한 정신력과 건강한 몸으로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상징한다.
3. 1. 교화
교화는 민들레이다. 민들레는 은근과 끈기를 가지고 역경을 이겨내며 큰 꿈을 펼쳐 참된 일꾼으로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상징한다.3. 2. 교목
느티나무는 어떠한 어려움과 시련에도 굴하지 않는 강인한 정신력과 건강한 몸으로 자라기를 바라는 마음을 상징한다.4. 동문
분류:서울창신초등학교 동문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참조
[1]
문서
개교 100주년 기념실 게시내용
[2]
잡지
能仁普通學校開學式
http://kiss.kstudy.c[...]
조선불교월보사
1912-10
[3]
서적
국문연구의정안
신구문화사
2006
[4]
harvnb
2014
[5]
harvnb
2014
[6]
법령
칙령 제103호 (제3차 조선교육령)
1938-03-03
[7]
법령
칙령 제148호 (국민학교령)
1941-02-28
[8]
뉴스
昌信國校(창신국교),日(일) 石岡校(석강교)와 결연
http://newslibrary.n[...]
경향신문
1973-08-21
[9]
법령
대통령령 제5069호
1995-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