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물 가게를 지나야 출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물 가게를 지나야 출구》는 스트리트 아티스트 뱅크시가 감독한 2010년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이 영화는 프랑스 이민자 티에리 구에타가 스트리트 아트에 매료되어 뱅크시를 비롯한 여러 예술가들의 작업 과정을 기록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 구에타는 뱅크시의 제안으로 예술가 '미스터 브레인워시'로 활동하며 전시회를 열지만, 영화의 진정성을 두고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 영화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 후보에 오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위 아 엑스
    《위 아 엑스》는 일본 밴드 X JAPAN의 리더 요시키의 삶을 중심으로 밴드의 결성부터 해체와 재결합, 2014년 매디슨 스퀘어 가든 공연까지의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이다.
  • 영국의 다큐멘터리 영화 - 에이미 (2015년 영화)
    《에이미》는 아시프 카파디아 감독이 2015년에 발표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27세에 사망한 영국 싱어송라이터 에이미 와인하우스의 삶과 음악, 그리고 비극적인 죽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심층적으로 조명한다.
  • 자기언급 영화 - 프리 솔로
    《프리 솔로》는 알렉스 호놀드가 요세미티 엘 캐피탄 프리라이더 루트를 로프나 안전 장비 없이 3시간 56분 만에 등반하는 과정을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로, 아카데미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을 수상하고 흥행에도 성공했다.
  • 자기언급 영화 - 데드풀 (영화)
    2016년 개봉한 팀 밀러 감독의 슈퍼히어로 영화 데드풀은 라이언 레이놀즈가 주연을 맡아 암 치료 실험 후 힐링팩터를 얻은 웨이드 윌슨이 복수를 펼치는 내용으로, 파격적인 유머와 액션, '제4의 벽'을 넘나드는 연출로 인기를 끌며 R등급 슈퍼히어로 영화의 성공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2010년 영화 - 더 트리
    더 트리(The Tree)는 2010년 개봉한 줄리 베르투첼리 감독의 영화로, 남편을 잃은 던 오닐 가족이 거대한 나무와 교감하며 슬픔을 극복하는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 2010년 영화 - 보이 (2010년 영화)
    타이카 와이티티 감독의 영화 《보이》는 1984년 뉴질랜드를 배경으로 마이클 잭슨을 동경하는 소년 보이와 전과자 아버지의 관계를 그린 코미디 드라마로, 뉴질랜드 박스오피스 1위 및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흥행과 비평 모두 성공했다.
선물 가게를 지나야 출구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영화
영화 포스터
감독뱅크시
제작제이미 드크루즈
내레이터리스 이판
출연뱅크시
미스터 브레인워시
셰퍼드 페어리
인베이더
음악제프 배로
편집크리스 킹
톰 풀포드
제작사파라노이드 픽처스
배급사리볼버 엔터테인먼트
개봉일2010년1월 24일 (선댄스)
2010년3월 5일 (영국)
2010년4월 16일 (미국)
2011년7월 16일 (일본)
상영 시간87분
국가영국
언어영어
프랑스어
흥행 수입530만 달러

2. 내용

티에리 구에타는 로스앤젤레스에서 고급 빈티지 의류점을 운영하며 자신의 삶을 촬영하는 프랑스 이민자였다. 1999년 프랑스에서 사촌 인베이더를 알게 된 후 스트리트 아트에 매료되어, 몽시외 앙드레, 제브스, 셰퍼드 페어리 등 여러 예술가들의 작업 장면을 촬영했다. 그러나 그는 촬영만 할 뿐, 영상을 영화로 만들 의향은 전혀 없었다.

구에타는 뱅크시를 촬영하는 데 몰두했지만, 만날 기회를 얻지 못했다. 2006년 봄, 뱅크시가 LA를 방문할 때 셰퍼드 페어리의 추천으로 구에타가 가이드가 된다. 뱅크시는 구에타를 영국으로 초대하여 자신의 작품 제작 과정을 촬영하게 했고, 스트리트 아트를 기록하는 데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다. 이후 뱅크시의 "Barely Legal" 쇼를 위해 구에타는 디즈니랜드에서 관타나모 만 수용소처럼 옷을 입은 풍선 인형을 설치하는 것을 촬영한다.

"Barely Legal"의 성공으로 스트리트 아트 가격이 급상승하자, 뱅크시는 구에타에게 다큐멘터리를 완성하라고 한다. 구에타는 "Life Remote Control"이라는 영화를 만들었지만, 뱅크시는 이를 "볼 수 없는" 영화라고 판단, 직접 영화를 제작하기로 결정하고 구에타에게는 전시회를 열어보라고 제안한다.

미스터 브레인워시라는 이름을 채택한 구에타는 첫 번째 쇼 "Life Is Beautiful"을 위해 대규모 스튜디오 단지를 임대하고, 사업과 집을 담보로 장비를 임대하고, 제작팀을 고용한다. 뱅크시는 상황이 통제 불능 상태가 될까 봐 도움을 줄 전문가들을 보냈고, 이들은 쇼의 실질적인 부분을 처리, 구에타는 홍보에 집중, ''LA 위클리''는 쇼에 대한 표지 기사를 싣는다.

개막 당일, 4,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쇼를 관람했고, 구에타의 작품은 첫 주에 거의 100만달러어치가 판매, 쇼는 두 달 연장되었으며, 그의 작품은 전 세계의 쇼와 갤러리에 포함되었다. 마지막 크레딧에는 구에타가 마돈나의 히트곡 컬렉션 ''Celebration''의 표지 아트를 제작한 것으로 나타난다.

2. 1. 티에리 구에타와 스트리트 아트

티에리 구에타는 로스앤젤레스에서 고급 빈티지 의류 상점을 운영하는 프랑스 이민자로, 자신의 삶을 촬영하는 것을 즐겼다. 1999년 프랑스를 방문했을 때, 사촌이 유명한 스트리트 아트 예술가인 인베이더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에 매료된 구에타는 몽시외 앙드레, 제브스 등 인베이더와 그의 친구들과 함께 밤에 거리 예술을 하는 모험을 따라다니며 모든 것을 기록했다.

몇 달 후, 인베이더가 로스앤젤레스를 방문했을 때 구에타는 셰퍼드 페어리를 만나게 되었다. 구에타는 인베이더가 프랑스로 돌아간 후에도 페어리를 계속 촬영했다. 페어리는 구에타에게 촬영한 영상으로 무엇을 할 것인지 물었고, 구에타는 스트리트 아트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만들 것이라고 답했다. 그는 페어리가 OBEY 자이언트 캠페인을 위해 전 세계를 여행하는 것을 따라다니며, 포스터 보이, 세이저, 넥 페이스, 스위트 투프, 사이클롭스, 론 잉글리시, 닷마스터스, 스우운, 아질, 보프, 버프 몬스터 등 수많은 예술가들의 작업 장면을 촬영했다. 그러나 구에타는 촬영 자체를 즐겼을 뿐, 촬영한 영상을 영화로 만들 생각은 없었고, 테이프를 상자에 넣어둔 채 보지 않았다.

2. 2. 뱅크시와의 만남

티에리 구에타는 로스앤젤레스에서 빈티지 의류 상점을 운영하며 자신의 삶을 촬영하는 프랑스 이민자였다. 1999년 프랑스에서 사촌인 스트리트 아트 예술가 인베이더를 알게 된 후, 스트리트 아트에 매료되어 여러 예술가들의 작업 장면을 촬영한다. 그러나 구에타는 촬영만 할 뿐, 영상을 영화로 만들 의향은 전혀 없었다.

구에타는 뱅크시를 촬영하는 데 몰두했지만, 만날 기회를 얻지 못했다. 2006년 봄, 뱅크시가 LA를 방문하려 할 때 셰퍼드 페어리의 추천으로 구에타가 가이드가 된다. 뱅크시는 구에타를 영국으로 초대하여 자신의 "살해된 전화 부스" 작품 제작 및 설치 과정을 촬영하게 했고, 스트리트 아트를 기록하는 데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다.

뱅크시가 "Barely Legal" 쇼를 위해 LA로 돌아왔을 때, 구에타는 디즈니랜드에서 관타나모 만 수용소처럼 옷을 입은 풍선 인형을 설치하는 것을 촬영한다. 이 사건 이후, 뱅크시는 구에타를 전적으로 신뢰하게 되었다.

"Barely Legal"의 성공으로 스트리트 아트 가격이 급상승하자, 뱅크시는 구에타에게 다큐멘터리를 완성하라고 촉구한다. 구에타는 "Life Remote Control"이라는 영화를 만들었지만, 뱅크시는 이를 "볼 수 없는" 영화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스트리트 아트 영상 자체는 가치 있다고 여겨, 직접 영화를 제작하기로 결정하고 구에타에게는 전시회를 열어보라고 제안한다.

2. 3. 미스터 브레인워시의 탄생과 활동

티에리 구에타는 로스앤젤레스에서 빈티지 의류 상점을 운영하며 자신의 삶을 촬영하던 프랑스 이민자였다. 그는 우연한 기회에 스트리트 아트에 매료되어 인베이더, 셰퍼드 페어리 등 유명 스트리트 아티스트들의 활동을 촬영하기 시작했다. 특히 뱅크시와의 만남은 그의 인생에 큰 전환점이 되었다. 뱅크시는 구에타에게 스트리트 아트를 기록하는 일의 가치를 알려주었고, 구에타는 뱅크시의 작품 활동을 촬영하며 스트리트 아트에 대한 열정을 키워갔다.

뱅크시의 제안으로 구에타는 '미스터 브레인워시'라는 이름으로 예술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그는 자신의 첫 전시회인 "Life Is Beautiful"을 열기 위해 사업과 집을 담보로 잡고, 제작팀을 고용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섰다. 뱅크시셰퍼드 페어리의 도움, 그리고 언론의 관심 덕분에 전시회는 개막 전부터 큰 기대를 모았다.

"Life Is Beautiful" 전시회는 개막일에 4,000명 이상의 관람객이 방문하는 대성공을 거두었다. 구에타의 작품은 첫 주에만 거의 100만달러어치가 판매되었고, 전시회는 두 달이나 연장되었다. 그의 작품은 전 세계의 쇼와 갤러리에 전시되며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뱅크시셰퍼드 페어리는 미스터 브레인워시의 갑작스러운 성공에 혼란스러워하며 그의 예술성을 의심하기도 했다. 그러나 구에타는 자신이 진정한 예술가인지 아닌지는 시간이 말해줄 것이라고 주장하며, 마돈나의 앨범 표지 아트를 제작하는 등 활동을 이어갔다.

3. 출연

원본 소스에 출연자에 대한 정보가 없어,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다.

3. 1. 주요 인물

4. 제작 과정

뱅크시는 영화의 편집 과정에 대해 "나는 1년 동안 [...] 땀을 흘리며 사다리에서 떨어지는 파괴자들의 영상을 보냈다"라고 말했으며, "이 영화는 아주 적은 수의 팀에 의해 만들어졌다. 편집자들이 정신적인 붕괴를 겪지 않았다면 팀은 더 작았을 것이다. 그들은 티에리의 테이프 1만 시간 이상을 검토했고, 그 중에서 사용 가능한 영상은 몇 초에 불과했다."라고 덧붙였다. 제작자 자이미 드 크루즈는 자신의 제작 일지에서 구에타로부터 원본 테이프를 확보하는 것이 특히 복잡했다고 기록했다.

5. 평가 및 반응

이 영화는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영화 리뷰 애그리게이터 웹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서는 116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96%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으며, 평균 평점은 8.10/10이다. 이 사이트의 평론가들은 "지하 예술에 대한 재미있고 몰입감 있는 시선"이라며, "그 대상에 대한 신화와 과대 광고를 무너뜨리면서 즐거움을 선사한다"고 평가했다.[8] 메타크리틱에서는 27명의 평론가를 기반으로 100점 만점에 85점의 가중 산술 평균 점수를 받아 "보편적인 찬사"를 받았다.[9] 프랑스 언론인 마르졸렌 고는 이 영화에 5점 만점에 4점을 주면서, Mr. Brainwash를 제프 쿤스와 연결시키고 티에리 구에타의 작품을 "예술적 휴지 조각"이라고 비판했다.[10]

영화 업계 베테랑인 존 슬로스와 바트 워커는 미국에서 영화를 개봉하기 위해 프로듀서 배급 에이전시(PDA)를 설립하고 독특한 풀뿌리 홍보 캠페인을 활용했다.[5] 그 결과, 이 영화는 미국 박스 오피스에서 329만달러의 수익을 올렸다.[6]

5. 1. 수상 및 후보

제8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 후보에 올랐으며,[11] 뉴욕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는 2010년에 이 영화에 최우수 다큐멘터리상을 수여했다.

부문후보결과
아카데미상장편 다큐멘터리 영화상뱅크시(감독)
Jaimie D'Cruz(제작)
노미네이트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신인상뱅크시(감독)
Jaimie D'Cruz(제작)
노미네이트
영국 인디펜던트 영화상다큐멘터리 영화상-노미네이트
워싱턴 D.C. 영화 비평가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상-수상
방송 영화 비평가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상-노미네이트
인디펜던트 스피릿 어워드다큐멘터리 영화상뱅크시수상
온라인 영화 비평가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상-수상
시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상-수상
유망 영화 제작자상뱅크시노미네이트
사우스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상-차점
샌디에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상-수상
뉴욕 영화 비평가 온라인상다큐멘터리 영화상-수상
오스틴 영화 비평가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상-수상
캔자스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상-수상
유타 영화 비평가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상-노미네이트
오클라호마 영화 비평가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상-수상
인디애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상-수상
미국 영화 편집자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 편집상크리스 킹
톰 풀포드
수상
영화 사운드 편집자 협회상다큐멘터리 영화 사운드상노미네이트


5. 2. 속임수 논란

이 영화가 뱅크시의 정교한 속임수인지 여부는 영화 리뷰에서 일관된 주제였다. 예를 들어, ''뉴욕 타임스''의 재닛 캣설리스는 이 영화가 "새로운 하위 장르가 될 수도 있다: 장난 다큐멘터리"라고 썼고,[12] ''보스턴 글로브''의 타이 버는 이 영화에 별 4개 만점을 주며 꽤 재미있다고 평가했지만, "속임수"라는 생각은 일축했다. 타이 버는 "나는 믿지 않는다. 우선, 이 이야기는 너무 좋고, 너무 이상하게 풍부해서 만들어질 수 없다. 또, 영화의 부드럽고 즐거운 비웃음은 모든 사람에게 향한다."라고 썼다.[13] 로저 이버트는 이 영화에 4개 중 3.5개의 별을 주면서 "『선물 가게를 지나야 출구』가 속임수라는 광범위한 추측은 그 매력을 더할 뿐이다"라고 썼으며, 이 영화가 진짜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14]

프로듀서 제이미 드크루즈(Jaimie D'Cruz)와 편집자 크리스 킹(Chris King)은 SuicideGirls와의 인터뷰에서 이 영화가 속임수라는 것을 부인했고, 그런 추측에 점점 더 좌절감을 느낀다고 표현했다. 킹은 "한동안 우리 모두는 그것이 꽤 재미있다고 생각했지만, 너무 오래 지속되었다. 그것이 사실로 받아들여지면서 모든 것이 어리석은 속임수였다는 것이 조금 실망스러웠다. 나는 그 모든 것이 그런 식으로 무시될 것이라는 것이 정말 유감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우리는 그것이 사실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크루즈는 "심각한 신문에서 이 영화가 모큐멘터리 '라고 읽을 때 화가 난다.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15]

게타(Guetta)는 "이 영화는 100% 진짜다. 뱅크시는 내가 예술가가 되는 모습을 포착했다. 결국, 나는 그의 가장 큰 예술 작품이 되었다."라고 말했다.[16]

5. 3. 저작권 문제

영화 개봉 이후, 미국 사진 작가 글렌 프리드먼은 프리드먼이 촬영한 랩 그룹 런-DMC의 사진을 게타가 사용한 것에 대해 소송을 제기했다.[17] 게타는 원본 이미지를 충분히 변경하여 독창적인 예술 작품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주장했지만, 담당 판사 프레거슨 판사는 프리드먼의 사진이 변형적 공정 사용법에 따라 보호된다고 판결했다. 게타는 또한 스위스 영화 제작자 요아힘 레비로부터 저작권 침해 주장을 받았다. 레비는 게타의 영화 ''선물 가게를 지나야 출구''를 편집하고 제작했는데, 레비는 자신의 작업에 대한 크레딧을 받지 못했지만 게타가 해당 영상을 소유하고 있었고, 뱅크시에게 라이선스가 부여되었기 때문이다.[18]

뱅크시는 우연히 기존 밴드의 이름인 Exit Through the Gift Shop을 선택했다.[19] 그는 당시 20만파운드의 가치가 있던 자신의 작품 Brace Yourself (2010)를 밴드 이름에 대한 권리와 교환하여 선물했다.[20] 2023년, 밴드는 해당 작품을 200만달러가 넘는 가격에 판매했으며, 예술 작품 자체는 60만달러의 가치를 지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수익금의 일부는 음악 업계 종사자들을 돕는 자선 단체인 MusiCares에 기부되었다.[2]

6. 기타

(기타 섹션은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작성하지 않음)

6. 1. 아카이브 영상

영화의 오프닝 몽타주는 다음과 같은 거리 예술 영화의 아카이브 영상을 포함한다.[21]

제목
더티 핸즈: 데이비드 초의 예술과 범죄(Dirty Hands: The Art and Crimes of David Choe)
Infamy
Inside Outside
넥스트 더 무비(Next The Movie)
Open Air
The Lyfe
팝간다: 론 잉글리쉬의 예술과 범죄(Popaganda: The Art and Crimes of Ron English)
래시(Rash)
Restless Debt of the Third World
포스터 보이(Poster Boy)와 시간 보내기
터프 워(Turf War)
Elis G The Life of a Shadow
Memoria Canalla
런던의 C215
뷰티풀 루저스(Beautiful Losers)


참조

[1] 웹사이트 Exit Through The Gift Shop: It's a madhouse, this modern life http://www.ifc.com/b[...] 2010-01-27
[2]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banksy.co[...] 2012-03-27
[3] 뉴스 Drawn from the shadows, wanted man comes out to play https://www.smh.com.[...] 2010-05-29
[4] 웹사이트 Banksy Revealed? http://www.laweekly.[...] 2010-04-08
[5] 웹사이트 '"Exit" Strategy: Bringing Banksy to the Masses' https://www.indiewir[...] 2010-04-07
[6] 웹사이트 Exit Through the Gift Shop https://boxofficemoj[...]
[7] 뉴스 Oscilloscope to Release Banksy DVD https://variety.com/[...] 2010-10-21
[8] 웹사이트 Exit Through the Gift Shop (2010) https://www.rottento[...] Fandango Media 2022-09-30
[9] 웹사이트 Exit Through the Gift Shop Reviews https://www.metacrit[...] Metacritic 2018-04-23
[10] 뉴스 Review of ''Exit Through the Gift Shop'' http://www.ecranlarg[...]
[11] 뉴스 Oscar nominations 2011: Complete list of Academy Award nominees https://www.washingt[...] 2011-01-25
[12] 뉴스 On the Street, at the Corner of Art and Trash https://movies.nytim[...] 2010-04-16
[13] 뉴스 "Exit Through the Gift Shop: Writing's on the wall: In 'Exit,' street art scene becomes a farce" https://www.boston.c[...] 2010-04-23
[14] 웹사이트 Is it a hoax if it's also art? (2010) https://www.rogerebe[...] 2020-11-25
[15] 웹사이트 Jaimie D'Cruz and Chris King: Exit Through the Gift Shop http://suicidegirls.[...] 2011-02-24
[16] 뉴스 Getting at the truth of 'Exit Through the Gift Shop'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11-02-22
[17] 뉴스 Banksy documentary no hoax, Thierry Guetta lawsuit suggests https://www.theguard[...] 2011-06-08
[18] 뉴스 New Doubts for a Film That Has Truth Issues https://www.nytimes.[...] 2011-01-05
[19] 웹사이트 What's in a name? For Simon Duncan's band, a £200,000 Banksy https://www.theguard[...] 2010-04-24
[20] 뉴스 Banksy kept under spare bed to go on display in Salford https://www.bbc.co.u[...] 2022-10-05
[21] 문서 Credits, 'Archival footage', ''Exit Through the Gift Shop''.
[22] 웹사이트 Exit Through the Gift Shop (2010) https://www.boxoffic[...] Box Office Mojo 2011-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