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 시제 논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형 시제 논리(LTL)는 미래에 대한 진술을 표현하기 위한 시제 논리의 한 유형이다. LTL은 원자 명제, 논리 연산자, 다음(next, O), 결국(eventually, ⋄), 항상(always, □), 언틸(until, U) 등의 시간 양상 연산자를 사용하여 공식을 구성한다. LTL은 다양한 분야에서 시스템의 속성을 명세하고 검증하는 데 사용되며, 모델 검사 및 형식 검증에 널리 활용된다. LTL 공식은 PSPACE-완전 문제이며, 시스템이 따라야 하는 제약 조건, 사양 또는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간 논리 - 계산 트리 논리
계산 트리 논리(CTL)는 에드먼드 M. 클라크와 E. 앨런 에머슨이 제안한 논리 체계로, 논리 연산자, 경로 연산자(A, E), 상태 연산자(X, G, F, U, W)를 조합하여 시스템 상태 변화를 기술하며 모델 검사에서 효율적인 계산이 가능하다. - 시간 논리 - 크립키 구조
크립키 구조는 가능한 세계의 집합, 세계 간의 접근 관계, 각 세계에서 원자 명제의 진리값을 할당하는 평가 함수로 구성되어 양상 논리의 의미론을 정의하며, 가능성과 필연성과 같은 모달 논리의 핵심 개념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 1977년 도입 - 아타리 2600
아타리 2600은 1977년 출시되어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초반 비디오 게임 시장을 선도했으며, 다양한 게임 카트리지를 지원하고 서드 파티 게임 개발을 가능하게 하여 비디오 게임 위기를 겪었음에도 콘솔 및 비디오 게임의 대명사가 되었다. - 1977년 도입 - 컬러 TV 게임
컬러 TV 게임은 닌텐도가 1977년부터 1980년까지 발매한 전용 게임기 시리즈로, 특정 게임이나 게임 모음집을 내장하고 가정용 TV에 연결하여 즐길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닌텐도가 비디오 게임 시장에 진출하고 저가형 하드웨어 판매 전략을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선형 시제 논리 | |
---|---|
개요 | |
유형 | 모달 논리 |
분야 | 논리학, 컴퓨터 과학 |
기반 | 시제 논리 |
개발자 | 아미르 프누엘리 |
발표일 | 1977년 |
특징 | |
표현력 | 1차 논리와 동일 |
사용 목적 | 컴퓨터 시스템의 행동 양식 검증 |
추가 정보 | |
적용 분야 | 병행 프로그램 |
참고 | 계산 트리 논리 |
2. 통사론
원자 명제의 유한 집합 및 다음과 같은 논리 연산 기호들로부터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 (명제 논리의 기호) , , , 등등
- (다음, next영어)
- (결국, eventually영어)
- (항상, always영어)
- (언틸, until영어)
- (약한 언틸, weak until영어)
- (풀기, release영어)
이들 기호는 다음과 같은 우선순위를 가진다.
- (일항 연산) , , ,
- (명제 논리 밖의 이항 연산) , ,
- (명제 논리의 이항 연산) , ,
이들 기호는 로부터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
이들 기호는 다음과 같이 해석된다.
- : 바로 다음 번에 가 참이다.
- : 결국/언젠가 가 참이다.
- : 항상/언제나 가 참이다.
- : 언젠가부터 영원히 가 참이다.
- : 무한 개의 시점에서 가 참이다.
- : 언젠가 가 참이기 바로 전까지 줄곧 가 참이다.
- : 가 참이기 바로 전까지 줄곧 가 참이다.
- : 가 참일 때까지 줄곧 가 참이다.
2. 1. 기본 연산자
명제 변수 ''AP'', 논리 연산자 ¬ 및 ∨, 그리고 시간 양상 연산자 '''X''' (일부 문헌에서는 '''O''' 또는 '''N'''을 사용)와 '''U'''로 구성된다.[7]'''X'''는 "다음(ne'''x'''t)"으로 읽고, '''U'''는 "언틸('''u'''ntil, ~까지)"로 읽는다.[7]
이러한 기본 연산자 외에도, LTL 공식을 간결하게 작성하기 위해 기본 연산자를 사용하여 정의된 추가 논리 및 시간 연산자가 있다. 추가 논리 연산자는 ∧, →, ↔, '''true''', 그리고 '''false'''이다.
다음은 추가 시간 연산자이다.
- '''G'''는 항상('''g'''lobally)
- '''F'''는 마침내('''f'''inally)
- '''R'''는 릴리즈('''r'''elease)
- '''W'''는 약한 언틸('''w'''eak until)
- '''M'''은 강력한 릴리즈('''m'''ighty release)
처음 3개의 연산자('''N''', '''G''', '''F''')는 단항 연산이다. 가 논리식이라면, '''N''' 도 논리식이다. '''U'''와 '''R''' 연산자는 이항 연산이다. 와 가 논리식이라면, '''U''' 도 논리식이다.
2. 2. 확장 연산자
기본 연산자를 조합하여 추가적인 시간 양상 연산자를 정의할 수 있다.일부 저자는 정지 조건이 발생할 필요가 없는 (release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 ''weak until'' 이진 연산자 '''W'''를 정의한다.[8] '''U'''와 '''R''' 모두 weak until을 사용하여 정의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 ''ψ'' '''W''' ''φ'' ≡ (''ψ'' '''U''' ''φ'') ∨ '''G''' ''ψ'' ≡ ''ψ'' '''U''' (''φ'' ∨ '''G''' ''ψ'') ≡ ''φ'' '''R''' (''φ'' ∨ ''ψ'')
- ''ψ'' '''U''' ''φ'' ≡ '''F'''''φ'' ∧ (''ψ'' '''W''' ''φ'')
- ''ψ'' '''R''' ''φ'' ≡ ''φ'' '''W''' (''φ'' ∧ ''ψ'')
''strong release'' 이진 연산자 '''M'''은 weak until의 이중 연산자이다. until 연산자와 유사하게 정의되어 release 조건이 어떤 시점에 반드시 참이 되도록 한다. 따라서 release 연산자보다 더 강력하다.
- ''ψ'' '''M''' ''φ'' ≡ ¬(¬''ψ'' '''W''' ¬''φ'') ≡ (''ψ'' '''R''' ''φ'') ∧ '''F''' ''ψ'' ≡ ''ψ'' '''R''' (''φ'' ∧ '''F''' ''ψ'') ≡ ''φ'' '''U''' (''ψ'' ∧ ''φ'')
텍스트 | 기호 | 설명 | 다이어그램 |
---|---|---|---|
단항 연산자: | |||
X φ | neXt: 다음 상태에서 φ가 참이어야 한다. | ||
F φ | Finally: φ는 결국 (후속 경로 어딘가에서) 참이어야 한다. | ||
G φ | Globally: φ는 전체 후속 경로에서 참이어야 한다. | ||
이항 연산자: | |||
ψ U φ | Until: φ가 참이 될 때까지 ψ가 참이어야 하며, 이는 현재 또는 미래의 위치에서 참이어야 한다. | ||
ψ R φ | Release: ψ가 처음으로 참이 되는 시점까지, 그리고 그 시점을 포함하여, φ가 참이어야 한다. ψ가 절대 참이 되지 않으면 φ는 영원히 참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 ||
ψ W φ | Weak until: φ가 참이 될 때까지 ψ가 참이어야 한다. φ가 절대 참이 되지 않으면 ψ는 영원히 참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 ||
ψ M φ | Strong release: ψ가 처음으로 참이 되는 시점까지, 그리고 그 시점을 포함하여, φ가 참이어야 하며, 이는 현재 또는 미래의 위치에서 참이어야 한다. |
선형 시제 논리 공식은 '만족' 관계를 통해 의미를 부여받는다. 만족성은 *AP* 내 변수들의 진리값에 대한 무한 시퀀스(ω-단어, 크립키 구조의 경로)를 통해 정의된다.
3. 의미론
원자 명제 집합의 멱집합 위의 무한 열
:
및 선형 시제 논리식 가 주어졌다고 하자.
:
와 같이 쓰자. 그렇다면, 가 를 만족시킨다는 것은 와 같이 표기하며,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물론, (), , , , 의 정의로부터 나머지 정의들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형 시제 논리식 는 의미론적으로 집합
:
에 대응된다.
ω-단어 ''w''가 LTL 공식 를 만족시킨다는 것은, ''w'' ⊨ 를 의미한다.
로 정의된 ω-언어 ''L''()는 {''w'' | ''w'' ⊨ }이며, 이는 를 만족시키는 ω-단어들의 집합이다.
공식 는 ''만족 가능''하다는 것은, ''w'' ⊨ 를 만족하는 ω-단어 ''w''가 존재한다는 의미이다.
공식 가 ''유효''하다는 것은, 알파벳 2''AP''에 대한 모든 ω-단어 ''w''에 대해, ''w'' ⊨ 가 성립한다는 의미이다.
추가적인 논리 연산자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추가적인 시간 연산자 '''R''', '''F''', '''G'''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문자 표기 | 기호 표기 | 설명 | 다이어그램 |
---|---|---|---|
단항 연산자 | |||
N | Next: 는 다음 상태에서 참이다. (X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 ||
G | Globally: 는 앞으로 항상 참이다. | ||
F | Finally: 는 미래의 어느 시점에서 참이 된다. | ||
이항 연산자 | |||
U | Until: 는 현재 또는 미래의 시점에서 참이며, 는 그 시점까지 참이다. 그 시점 이후 는 참이 될 필요는 없다. | ||
R | Release: 가 참이 되는 시점까지 는 참인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에는 참이 될 필요는 없다). 또한, 가 참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는 참인 상태를 유지한다. |
다음의 항등식이 성립하므로, 연산자의 종류를 줄일 수 있다:
- '''F''' = '''true''' '''U'''
- '''G''' = '''false''' '''R''' = '''F'''
- '''R''' = ( '''U''' )
3. 1. 만족 관계 (⊨)
LTL 공식은 크립키 구조의 경로상에 있는 단어(ω-단어)로 만족될 수 있다. ω-단어 *w* = a0,a1,a2,... 와 LTL 공식 ψ에 대해, *w* ⊨ ψ 는 *w*가 ψ를 만족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w*(*i*) = *ai*이고, *w*i = *ai*,*ai+1*,...는 *w*의 접미사이다.만족 관계 ⊨는 다음과 같이 재귀적으로 정의된다.
- *w* ⊨ *p* (만약 *p* ∈ *w*(0) 이면)
- *w* ⊨ ¬ψ (만약 *w* ⊭ ψ 이면)
- *w* ⊨ φ ∨ ψ (만약 *w* ⊨ φ 이거나 *w* ⊨ ψ 이면)
- *w* ⊨ X ψ (만약 *w*1 ⊨ ψ 이면)
- *w* ⊨ φ U ψ (만약 어떤 *i* ≥ 0에 대해 *w**i* ⊨ ψ 이고, 모든 0 ≤ *k* < *i*에 대해 *w**k* ⊨ φ 이면)
ω-단어 *w*가 LTL 공식 ψ를 만족시킨다는 것은 *w* ⊨ ψ임을 의미하며, ψ로 정의된 ω-언어 *L*(ψ)는 {*w* | *w* ⊨ ψ}이며, 이는 ψ를 만족시키는 ω-단어들의 집합이다. 공식 ψ는 *w* ⊨ ψ를 만족하는 ω-단어 *w*가 존재하면 ''만족 가능''하고, 알파벳 2''AP''에 대한 모든 ω-단어 *w*에 대해 *w* ⊨ ψ가 성립하면 ''유효''하다.
추가적인 논리 연산자(∧, →, ↔, true, false)와 시간 연산자 (R, F, G)는 기본 연산자를 통해 정의된 의미와 동치이다.
문자 표기 | 기호 표기 | 설명 | 다이어그램 |
---|---|---|---|
단항 연산자 | |||
N | Next: 는 다음 상태에서 참이다. (X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 ||
G | Globally: 는 앞으로 항상 참이다. | ||
F | Finally: 는 미래의 어느 시점에서 참이 된다. | ||
이항 연산자 | |||
U | Until: 는 현재 또는 미래의 시점에서 참이며, 는 그 시점까지 참이다. 그 시점 이후 는 참이 될 필요는 없다. | ||
R | Release: 가 참이 되는 시점까지 는 참인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에는 참이 될 필요는 없다). 또한, 가 참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는 참인 상태를 유지한다. |
4. 성질
선형 시제 논리식에는 다음과 같은 논리적 동치·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 쌍대 법칙
:* ¬XP ≡ X¬P
:* ¬FP ≡ G¬P
:* ¬GP ≡ F¬P
:* ¬(P U Q) ≡ (P ∧ ¬Q) W (¬P ∧ ¬Q) ≡ ¬P R ¬Q
:* ¬(P W Q) ≡ (P ∧ ¬Q) U (¬P ∧ ¬Q)
:* ¬(P R Q) ≡ (¬P U ¬Q)
- 멱등 법칙
:* F F P ≡ F P
:* G G P ≡ G P
:* P U (P U Q) ≡ P U Q ≡ (P U Q) U Q
:* P W (P W Q) ≡ P W Q ≡ (P W Q) W Q
:* P R (P R Q) ≡ P R Q ≡ (P R Q) R Q
- 흡수 법칙
:* F G F P ≡ G F P
:* G F G P ≡ F G P
- 분배 법칙
:* X(P U Q) ≡ XP U XQ
:* X(P W Q) ≡ XP W XQ
:* X(P R Q) ≡ XP R XQ
:* F(P ∨ Q) ≡ FP ∨ FQ
:* F(P ∧ Q) → FP ∧ FQ
:* G(P ∧ Q) ≡ GP ∧ GQ
:* G(P ∨ Q) ← GP ∨ GQ
- 전개 법칙
:* FP ≡ P ∨ X FP
:* GP ≡ P ∧ X GP
:* P U Q ≡ Q ∨ (P ∧ X(P U Q))
:* P W Q ≡ Q ∨ (P ∧ X(P W Q))
:* P R Q ≡ P ∨ (Q ∧ X(P R Q))
:* (X ← (Q ∨ (P ∧ XX))) → (X ← P U Q)
:* (X → (Q ∨ (P ∧ XX))) → (X → P W Q)
- 기타 법칙
:* GP → X...XP → FP (n ∈ {0, 1, ...})
:* Q R P ∨ P U Q → P W Q
:* P W Q ≡ P U Q ∨ GQ
:* P U Q ≡ P W Q ∧ FQ
:* P W Q ≡ (¬P ∨ Q) R (P ∨ Q)
:* P R Q ≡ (¬P ∧ Q) W (P ∧ Q)
φ, ψ, ρ를 선형 시제 논리 공식이라고 하면, 일반적인 논리 연산자에 대한 표준 동치를 확장하는 유용한 동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분배 법칙 | ||
---|---|---|
X (φ ∨ ψ) ≡ (X φ) ∨ (X ψ) | X (φ ∧ ψ) ≡ (X φ) ∧ (X ψ) | X (φ U ψ)≡ (X φ) U (X ψ) |
F (φ ∨ ψ) ≡ (F φ) ∨ ((F ψ) | G (φ ∧ ψ) ≡ (G φ) ∧ ((G ψ) | |
ρ U (φ ∨ ψ) ≡ (ρ U φ) ∨ (ρ U ψ) | (φ ∧ ψ) U ρ ≡ (φ U ρ) ∧ (ψ U ρ) |
부정 전파 | |||
---|---|---|---|
'X'는 자기 쌍대 | 'F와 G'는 쌍대 | 'U와 R'은 쌍대 | 'W와 M'은 쌍대 |
¬X φ ≡ X ¬φ | ¬F φ ≡ G ¬φ | ¬ (φ U ψ) ≡ (¬φ R ¬ψ) | ¬ (φ W ψ) ≡ (¬φ M ¬ψ) |
¬G φ ≡ F ¬φ | ¬ (φ R ψ) ≡ (¬φ U ¬ψ) | ¬ (φ M ψ) ≡ (¬φ W ¬ψ) |
특수한 시간적 속성 | ||
---|---|---|
F φ ≡ F F φ | G φ ≡ G G φ | φ U ψ ≡ φ U (φ U ψ) |
φ U ψ ≡ ψ ∨ ( φ ∧ X(φ U ψ) ) | φ W ψ ≡ ψ ∨ ( φ ∧ X(φ W ψ) ) | φ R ψ ≡ ψ ∧ (φ ∨ X(φ R ψ) ) |
G φ ≡ φ ∧ X(G φ) | F φ ≡ φ ∨ X(F φ) |
모든 선형 시제 논리 수식은 부정 정규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부정 정규 형식에서는 모든 부정 기호(¬)가 원자 명제 앞에만 나타나고, 다른 논리 연산자 '''참''', '''거짓''', ∧, ∨ 만 나타날 수 있으며, 시간 연산자 '''X''', '''U''', '''R''' 만 나타날 수 있다. 부정 전파에 대한 위의 동치성을 사용하여 정규 형식을 유도할 수 있다. 이 정규 형식은 LTL의 기본적인 연산자가 아닌 '''R''', '''참''', '''거짓''', ∧ 이 수식에 나타나는 것을 허용한다. 부정 정규 형식으로의 변환은 수식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LTL 수식을 뷔치 오토마톤으로 변환하는 데 유용하다.
4. 1. 주요 동치 관계
선형 시제 논리식에는 다음과 같은 논리적 동치·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쌍대 법칙
:* ¬XP ≡ X¬P
:* ¬FP ≡ G¬P
:* ¬GP ≡ F¬P
:* ¬(P U Q) ≡ (P ∧ ¬Q) W (¬P ∧ ¬Q) ≡ ¬P R ¬Q
:* ¬(P W Q) ≡ (P ∧ ¬Q) U (¬P ∧ ¬Q)
:* ¬(P R Q) ≡ (¬P U ¬Q)
- 멱등 법칙
:* F F P ≡ F P
:* G G P ≡ G P
:* P U (P U Q) ≡ P U Q ≡ (P U Q) U Q
:* P W (P W Q) ≡ P W Q ≡ (P W Q) W Q
:* P R (P R Q) ≡ P R Q ≡ (P R Q) R Q
- 흡수 법칙
:* F G F P ≡ G F P
:* G F G P ≡ F G P
- 분배 법칙
:* X(P U Q) ≡ XP U XQ
:* X(P W Q) ≡ XP W XQ
:* X(P R Q) ≡ XP R XQ
:* F(P ∨ Q) ≡ FP ∨ FQ
:* F(P ∧ Q) → FP ∧ FQ
:* G(P ∧ Q) ≡ GP ∧ GQ
:* G(P ∨ Q) ← GP ∨ GQ
- 전개 법칙
:* FP ≡ P ∨ X FP
:* GP ≡ P ∧ X GP
:* P U Q ≡ Q ∨ (P ∧ X(P U Q))
:* P W Q ≡ Q ∨ (P ∧ X(P W Q))
:* P R Q ≡ P ∨ (Q ∧ X(P R Q))
:* (X ← (Q ∨ (P ∧ XX))) → (X ← P U Q)
:* (X → (Q ∨ (P ∧ XX))) → (X → P W Q)
- 기타 법칙
:* GP → X...XP → FP (n ∈ {0, 1, ...})
:* Q R P ∨ P U Q → P W Q
:* P W Q ≡ P U Q ∨ GQ
:* P U Q ≡ P W Q ∧ FQ
:* P W Q ≡ (¬P ∨ Q) R (P ∨ Q)
:* P R Q ≡ (¬P ∧ Q) W (P ∧ Q)
φ, ψ, ρ를 LTL 공식이라고 하면, 일반적인 논리 연산자에 대한 표준 동치를 확장하는 유용한 동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분배 법칙 | ||
---|---|---|
X (φ ∨ ψ) ≡ (X φ) ∨ (X ψ) | X (φ ∧ ψ) ≡ (X φ) ∧ (X ψ) | X (φ U ψ)≡ (X φ) U (X ψ) |
F (φ ∨ ψ) ≡ (F φ) ∨ ((F ψ) | G (φ ∧ ψ) ≡ (G φ) ∧ ((G ψ) | |
ρ U (φ ∨ ψ) ≡ (ρ U φ) ∨ (ρ U ψ) | (φ ∧ ψ) U ρ ≡ (φ U ρ) ∧ (ψ U ρ) |
부정 전파 | |||
---|---|---|---|
'X'는 자기 쌍대 | 'F와 G'는 쌍대 | 'U와 R'은 쌍대 | 'W와 M'은 쌍대 |
¬X φ ≡ X ¬φ | ¬F φ ≡ G ¬φ | ¬ (φ U ψ) ≡ (¬φ R ¬ψ) | ¬ (φ W ψ) ≡ (¬φ M ¬ψ) |
¬G φ ≡ F ¬φ | ¬ (φ R ψ) ≡ (¬φ U ¬ψ) | ¬ (φ M ψ) ≡ (¬φ W ¬ψ) |
특수한 시간적 속성 | ||
---|---|---|
F φ ≡ F F φ | G φ ≡ G G φ | φ U ψ ≡ φ U (φ U ψ) |
φ U ψ ≡ ψ ∨ ( φ ∧ X(φ U ψ) ) | φ W ψ ≡ ψ ∨ ( φ ∧ X(φ W ψ) ) | φ R ψ ≡ ψ ∧ (φ ∨ X(φ R ψ) ) |
G φ ≡ φ ∧ X(G φ) | F φ ≡ φ ∨ X(F φ) |
모든 선형 시제 논리 수식은 부정 정규 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부정 정규 형식에서는 모든 부정 기호(¬)가 원자 명제 앞에만 나타나고, 다른 논리 연산자 '''참''', '''거짓''', ∧, ∨ 만 나타날 수 있으며, 시간 연산자 '''X''', '''U''', '''R''' 만 나타날 수 있다. 부정 전파에 대한 위의 동치성을 사용하여 정규 형식을 유도할 수 있다. 이 정규 형식은 LTL의 기본적인 연산자가 아닌 '''R''', '''참''', '''거짓''', ∧ 이 수식에 나타나는 것을 허용한다. 부정 정규 형식으로의 변환은 수식의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LTL 수식을 뷔치 오토마톤으로 변환하는 데 유용하다.
5. 다른 논리와의 관계
LTL은 단항 1차 논리 FO[<]와 동등하며, 이는 캄프의 정리로 알려져 있다.[9] 또는 별 없는 언어와도 같다.[10] 계산 트리 논리(CTL)와 선형 시제 논리 (LTL)는 모두 CTL*의 하위 집합이지만 서로 비교할 수 없다. CTL 공식으로 LTL 공식 '''F'''('''G''' p)에 의해 정의된 언어를 정의할 수 없고, 반대로 LTL 공식으로 CTL 공식 '''AG'''( p → ('''EX'''q ∧ '''EX'''¬q) ) 또는 '''AG'''('''EF'''(p))에 의해 정의된 언어를 정의할 수 없다. LTL은 후자(successor, 페아노 공리 참조)와 "작다" 관계에 대한 1차 술어 논리 FO[S, <]와 등가이다. 또한, 클레이니 스타가 없는 정규 표현식이나 루프 복잡도가 0인 결정적 유한 오토마톤도 LTL과 등가이다.
6. 계산 복잡도
모델 검사 및 LTL 공식에 대한 만족 가능성은 PSPACE-완전 문제이다. LTL 합성 및 LTL 승리 조건에 대한 게임 검증 문제는 2EXPTIME-완전 문제이다.
7. 응용
LTL 공식은 시스템이 따라야 하는 제약 조건, 사양 또는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2] 모델 검사 분야는 시스템이 주어진 사양을 충족하는지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2] 오토마타 이론 모델 검사의 경우, 관심 있는 시스템과 사양 모두 별도의 유한 상태 기계, 즉 오토마타로 표현된 다음 비교하여 시스템이 지정된 속성을 가질 것이라고 보장되는지 평가한다.[12] 컴퓨터 과학에서 이러한 유형의 모델 검사는 알고리즘이 올바르게 구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무한 시스템 실행에 대한 LTL 사양을 확인하기 위해, 모델과 동일한 (모델인 경우에만 ω-단어를 허용) Büchi 오토마톤과 속성의 부정과 동일한 (부정된 속성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ω-단어를 허용) 오토마톤을 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기법이다(선형 시간 논리에서 Büchi 오토마톤으로).[12] 이 경우, 두 오토마톤에서 허용되는 ω-단어 집합에 중복이 있으면 모델이 원하는 속성을 위반하는 일부 동작을 허용함을 의미한다. 중복이 없으면 모델에서 허용하는 속성 위반 동작이 없다. 공식적으로, 두 비결정적 Büchi 오토마톤의 교집합이 비어 있는 경우에만 모델이 지정된 속성을 만족한다.[12]
선형 시간 논리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속성은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안전''' 속성은 일반적으로 '나쁜 일이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G'''¬''ϕ'')를 나타내는 반면, '''생존성''' 속성은 '좋은 일이 계속 일어난다'('''GF'''''ψ'' 또는 '''G'''(''ϕ'' →'''F'''''ψ''))를 나타낸다.[13] 예를 들어, 안전 속성은 자율 주행 로버가 절벽 위로 운전하지 않거나 소프트웨어 제품이 잘못된 비밀번호로 성공적인 로그인을 허용하지 않도록 요구할 수 있다. 생존성 속성은 로버가 항상 데이터 샘플을 계속 수집하거나 소프트웨어 제품이 텔레메트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안전 속성은 모든 반례에 유한 접두사가 있어, 무한 경로로 확장하더라도 여전히 반례인 속성이다. 반면에 생존성 속성의 경우, 모든 유한 경로는 공식을 만족하는 무한 경로로 확장할 수 있다.
선형 시간 논리의 응용 분야 중 하나는 선호도 기반 계획의 목적으로 계획 도메인 정의 언어에서 선호도를 지정하는 것이다.
7. 1. 모델 검사
LTL 공식은 시스템이 따라야 하는 제약 조건, 사양 또는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모델 검사 분야는 시스템이 주어진 사양을 충족하는지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오토마타 이론 모델 검사의 경우, 관심 있는 시스템과 사양 모두 별도의 유한 상태 기계, 즉 오토마타로 표현된 다음 비교하여 시스템이 지정된 속성을 가질 것이라고 보장되는지 평가한다. 컴퓨터 과학에서 이러한 유형의 모델 검사는 알고리즘이 올바르게 구조화되었는지 확인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12]무한 시스템 실행에 대한 LTL 사양을 확인하기 위해, 모델과 동일한 (모델인 경우에만 ω-단어를 허용) Büchi 오토마톤과 속성의 부정과 동일한 (부정된 속성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ω-단어를 허용) 오토마톤을 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기법이다(선형 시간 논리에서 Büchi 오토마톤으로).[12] 이 경우, 두 오토마톤에서 허용되는 ω-단어 집합에 중복이 있으면 모델이 원하는 속성을 위반하는 일부 동작을 허용함을 의미한다. 중복이 없으면 모델에서 허용하는 속성 위반 동작이 없다. 공식적으로, 두 비결정적 Büchi 오토마톤의 교집합이 비어 있는 경우에만 모델이 지정된 속성을 만족한다.[12]
선형 시간 논리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속성은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안전''' 속성은 일반적으로 '나쁜 일이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G'''¬''ϕ'')를 나타내는 반면, '''생존성''' 속성은 '좋은 일이 계속 일어난다'('''GF'''''ψ'' 또는 '''G'''(''ϕ'' →'''F'''''ψ''))를 나타낸다.[13] 예를 들어, 안전 속성은 자율 주행 로버가 절벽 위로 운전하지 않거나 소프트웨어 제품이 잘못된 비밀번호로 성공적인 로그인을 허용하지 않도록 요구할 수 있다. 생존성 속성은 로버가 항상 데이터 샘플을 계속 수집하거나 소프트웨어 제품이 텔레메트리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전송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안전 속성은 모든 반례에 유한 접두사가 있어, 무한 경로로 확장하더라도 여전히 반례인 속성이다. 반면에 생존성 속성의 경우, 모든 유한 경로는 공식을 만족하는 무한 경로로 확장할 수 있다.
선형 시간 논리의 응용 분야 중 하나는 선호도 기반 계획의 목적으로 계획 도메인 정의 언어에서 선호도를 지정하는 것이다.
7. 2. 형식 검증
LTL 공식은 시스템이 따라야 하는 제약 조건, 사양 또는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2] 모델 검사 분야는 시스템이 주어진 사양을 충족하는지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2] 오토마타 이론 모델 검사의 경우, 관심 있는 시스템과 사양 모두 별도의 유한 상태 기계, 즉 오토마타로 표현된 다음 비교하여 시스템이 지정된 속성을 가질 것이라고 보장되는지 평가한다.[12]무한 시스템 실행에 대한 LTL 사양을 확인하기 위해, 모델과 동일한 (모델인 경우에만 ω-단어를 허용) Büchi 오토마톤과 속성의 부정과 동일한 (부정된 속성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ω-단어를 허용) 오토마톤을 구하는 것이 일반적인 기법이다.[12] 이 경우, 두 오토마톤에서 허용되는 ω-단어 집합에 중복이 있으면 모델이 원하는 속성을 위반하는 일부 동작을 허용함을 의미한다.[12] 중복이 없으면 모델에서 허용하는 속성 위반 동작이 없다.[12] 공식적으로, 두 비결정적 Büchi 오토마톤의 교집합이 비어 있는 경우에만 모델이 지정된 속성을 만족한다.[12]
LTL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속성은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다.[13] '''안전''' 속성은 일반적으로 '나쁜 일이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G'''¬''ϕ'')를 나타내는 반면, '''생존성''' 속성은 '좋은 일이 계속 일어난다'('''GF'''''ψ'' 또는 '''G'''(''ϕ'' →'''F'''''ψ''))를 나타낸다.[13] 안전 속성은 모든 반례에 유한 접두사가 있어, 무한 경로로 확장하더라도 여전히 반례인 속성이다. 반면에 생존성 속성의 경우, 모든 유한 경로는 공식을 만족하는 무한 경로로 확장할 수 있다.
선형 시간 논리의 응용 분야 중 하나는 선호도 기반 계획의 목적으로 계획 도메인 정의 언어에서 선호도를 지정하는 것이다.
7. 3. 기타 응용
선형 시제 논리(LTL)는 선호도 기반 계획에서 계획 도메인 정의 언어의 선호도를 지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12] LTL 공식은 시스템이 따라야 하는 제약 조건, 사양 또는 프로세스를 표현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12] 모델 검사 분야는 시스템이 주어진 사양을 충족하는지 공식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2] 오토마타 이론 모델 검사의 경우, 관심 있는 시스템과 사양 모두 별도의 유한 상태 기계, 즉 오토마타로 표현된 다음 비교하여 시스템이 지정된 속성을 가질 것이라고 보장되는지 평가한다.[12]선형 시간 논리를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는 속성은 크게 '''안전''' 속성과 '''생존성''' 속성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13] 안전 속성은 일반적으로 '나쁜 일이 절대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내고, 생존성 속성은 '좋은 일이 계속 일어난다'는 것을 나타낸다.[13]
참조
[1]
서적
"Logic in Computer Science: Modelling and Reasoning about Systems"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Linear-time Temporal Logic
https://web.archive.[...]
2012-03-19
[3]
서적
Many-dimensional modal logics: theory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Elsevier
[4]
웹사이트
First-order Definable Languages
http://www.lsv.fr/~g[...]
[5]
학위논문
Tense Logic and the Theory of Linear Order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1968
[6]
논문
The temporal logic of programs
[7]
웹사이트
Principles of Model Checking
https://web.archive.[...]
MIT Press
2011-05-17
[8]
문서
Sec. 5.1.5 "Weak Until, Release, and Positive Normal Form" of Principles of Model Checking.
[9]
서적
Automata, Languages and Programming: 37th International Colloquium, ICALP ... - Google Books
https://books.google[...]
2010-06-30
[10]
서적
25 years of model checking: history, achievements, perspectives
http://www.cs.rice.e[...]
Springer
[11]
논문
"On the synthesis of a reactive module"
https://doi.org/10.1[...]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New York, NY, USA
[12]
논문
An Automata-Theoretic Approach to Linear Temporal Logic.
Springer-Verlag
[13]
논문
Defining Liveness
https://doi.org/10.1[...]
[14]
간행물
Parametric LTL on Markov Chains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4
[15]
서적
Many-dimensional modal logics: theory and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Elsevi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