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멱집합은 집합 X의 모든 부분 집합으로 구성된 집합으로, 𝒫(X) 또는 2X로 표기한다. 멱집합 공리는 임의의 집합 X에 대해 X의 모든 부분 집합을 포함하는 집합 𝒴가 존재한다는 것을 ZFC 공리로 정의하며, 멱집합의 크기는 원래 집합의 크기보다 항상 크다. 멱집합은 포함 관계에 따라 완비 불 대수를 이루며, 합집합, 교집합, 여집합 연산과 함께 불 대수의 전형적인 예로 볼 수 있다. 멱집합과 상은 집합의 범주 위의 함자를 이루며, 멱집합의 크기는 2|X|로 계산된다. 멱집합은 이항 정리와 관련이 있으며, 조합의 수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멱집합은 순서론적 성질과 함자성을 가지며, 제한된 기수를 갖는 부분집합과 멱 대상, 그리고 함자와 수량자와의 관계를 갖는다.
2. 정의
집합 의 '''멱집합''' 또는 는 의 모든 부분 집합들로 구성된 집합이다. 즉,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선택 공리를 추가한 체르멜로-프렝켈 집합론(ZFC)의 '''멱집합 공리'''(axiom of power set영어)는 임의의 집합 에 대하여, 의 모든 부분 집합을 원소로 포함하는 집합 가 존재한다는 명제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 임의의 집합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가 존재한다.
- * 임의의 집합 에 대하여, 만약 (임의의 에 대하여 )라면, 이다.
멱집합 공리는 ZFC의 공리 중 하나이며, 이 공리와 다른 ZFC 공리들을 통해 임의의 집합 의 멱집합의 존재를 증명할 수 있다. 위 조건을 만족시키는 집합 에 대해 분류 공리꼴을 적용하면, 다음과 같은 집합을 정의할 수 있다.
:
이때 는 의 멱집합이 되며, 확장 공리에 따라 임의의 집합의 멱집합은 유일하다.
예를 들어, 집합 의 모든 부분 집합은 다음과 같다.
- (공집합)
따라서 집합 의 멱집합은 다음과 같다.
:
다른 예시는 다음과 같다.
공집합의 멱집합은 공집합을 유일한 원소로 갖는 일원 집합이며, 공집합 자체와는 다르다.
정의에 따라 다음이 성립한다.
:
3. 성질
멱집합은 여러 중요한 수학적 성질을 가진다.
우선, 집합 의 멱집합 의 크기는 항상 원래 집합 의 크기보다 엄격하게 크다. 이를 칸토어 정리라고 하며, 무한 집합의 경우에도 성립한다(칸토어의 대각선 논법). 만약 가 유한 집합이라면, 멱집합의 크기는
이다. (자세한 내용은 크기 참조)
멱집합 는 부분 집합 관계 를 순서 관계로 가질 때 완비 불 대수를 이룬다. 이는 합집합과 교집합 연산을 통해 격자 구조를 형성하며, 특히 최소 원소(공집합 )와 최대 원소(원래 집합 )를 포함하는 유계 격자이다. (자세한 내용은 순서론적 성질 참조)
또한, 멱집합 연산은 집합들의 범주 에서 자기 자신으로 가는 함자를 정의한다. 함수의 상을 이용한 공변 함자와 원상을 이용한 반변 함자가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함자성 참조)
대수적으로, 집합 의 멱집합은 합집합, 교집합, 여집합 연산에 대해 시그마 대수를 형성하며, 불 대수의 대표적인 예시가 된다. 모든 유한 불 대수는 어떤 유한 집합의 멱집합으로 구성된 불 대수와 동형이라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스톤의 표현 정리).
멱집합은 다른 대수 구조도 가진다. 대칭 차이 연산()에 대해서는 아벨 군을 이루는데, 이때 항등원은 공집합 이고 모든 원소(부분집합)는 자기 자신이 역원이다. 또한, 교집합 연산()에 대해서는 가환 모노이드를 이루며, 이때 항등원은 전체 집합 이다. 이 두 연산(대칭 차이와 교집합)을 함께 고려하면, 멱집합은 분배 법칙이 성립하는 불 링 구조를 형성한다.
멱집합 는 집합 에서 두 원소 집합 로 가는 함수들의 집합과 자연스럽게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의 각 부분집합 는 그 지시 함수 (원소가 에 속하면 1, 아니면 0을 반환)와 유일하게 대응된다.[2] 이러한 일대일 대응 관계 때문에 멱집합을 (또는 )로 표기하기도 하며, 이는 멱집합의 크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