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 브릭시오 축일의 학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 브릭시오 축일의 학살은 1002년 잉글랜드 왕 에설레드 2세가 잉글랜드에 거주하는 덴마크인들을 살해하라고 명령한 사건이다. 덴마크의 잦은 침략과 덴마크인들의 배신에 대한 두려움이 학살의 배경으로 추정된다. 옥스퍼드에서 학살된 덴마크인들의 유해가 발견되었으며, 역사학자들은 학살이 특정 지역에 국한되었고, 덴마크 용병이나 침략군을 겨냥한 것으로 추정한다. 학살은 덴마크 국왕 스벤 포크비어드의 잉글랜드 침공을 유발하여 잉글랜드가 크누트 대왕의 지배를 받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평가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세기 학살 - 예루살렘 공방전 (1099년)
    1099년 예루살렘 공방전은 제1차 십자군 전쟁 중 십자군이 파티마 왕조로부터 예루살렘을 탈환하기 위해 벌인 공성전으로, 도시 점령 후 대규모 학살과 예루살렘 왕국 건설의 발판을 마련한 십자군 전쟁의 중요한 전환점이다.
  • 11세기 학살 - 안티오키아 공방전
    1097년부터 1098년까지 제1차 십자군 전쟁 중 십자군이 안티오키아를 점령하기 위해 벌인 안티오키아 공방전은 십자군의 승리였으나 소유권 분쟁과 질병으로 진군이 지연되었다.
성 브릭시오 축일의 학살
사건 개요
사건명성 브리스티아누스 축일 학살
발생일1002년 11월 13일
장소잉글랜드 왕국
원인잉글랜드 왕 에텔레드 2세의 데인족에 대한 의심과 위협 인식
잉글랜드 내 데인족 정착민에 대한 반감
목표잉글랜드에 거주하는 모든 데인족 남성
방법대량 학살
결과상당수의 데인족 남성, 여성, 어린이 사망
잉글랜드와 덴마크 간의 관계 악화
덴마크의 스벤 1세의 잉글랜드 침공의 간접적 원인
관련 인물에텔레드 2세 (잉글랜드 왕)
스벤 1세 (덴마크 왕)
배경
당시 상황잉글랜드는 오랫동안 바이킹의 침략 대상이었으며, 특히 데인족의 침략이 잦았음.
잉글랜드 왕 에텔레드 2세는 데인족과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데인족에 대한 의심과 위협감을 떨치지 못했음.
잉글랜드 내에는 데인족 정착민들이 증가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잉글랜드인들의 반감이 존재했음.
학살
학살 명령1002년 성 브리스티아누스 축일에 에텔레드 2세는 잉글랜드에 거주하는 모든 데인족 남성을 살해하라는 명령을 내림.
학살의 진행1002년 11월 13일, 잉글랜드 전역에서 데인족에 대한 학살이 자행됨.
학살은 매우 잔혹하게 이루어졌으며, 많은 수의 데인족 남성, 여성, 어린이가 사망함.
옥스퍼드에서는 일부 데인족들이 세인트 프라이데스위드 교회로 피신했으나, 잉글랜드인들은 교회에 불을 질러 그들을 몰살시킴.
희생자 수정확한 희생자 수는 알 수 없으나, 상당수에 달할 것으로 추정됨.
여파
잉글랜드-덴마크 관계 악화성 브리스티아누스 축일 학살은 잉글랜드와 덴마크 간의 관계를 크게 악화시킴.
덴마크 왕 스벤 1세는 자신의 여동생 군힐드를 포함한 많은 데인족이 학살당했다는 소식을 듣고 잉글랜드에 대한 복수를 다짐함.
스벤 1세의 잉글랜드 침공스벤 1세는 1003년부터 잉글랜드를 침공하기 시작했으며, 이후 1013년에는 잉글랜드 전체를 정복함.
성 브리스티아누스 축일 학살은 스벤 1세의 잉글랜드 침공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었지만, 중요한 배경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함.
유해 발견2008년 옥스퍼드 세인트 존스 칼리지에서 대량 무덤이 발견되었으며, 2011년 분석 결과 이 유해는 성 브리스티아누스 축일 학살의 희생자들로 밝혀짐.
역사적 논쟁
학살의 규모와 범위성 브리스티아누스 축일 학살의 정확한 규모와 범위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음. 일부 학자들은 학살이 잉글랜드 전역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학살이 특정 지역에 국한되었다고 주장함.
에텔레드 2세의 책임에텔레드 2세가 학살을 명령한 것은 분명하지만, 그의 정확한 의도와 동기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음. 일부 학자들은 에텔레드 2세가 잉글랜드에 대한 데인족의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 학살을 계획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다른 학자들은 그가 단순히 공포에 질려 과민 반응을 보였다고 주장함.

2. 역사적 배경

Danemordet, Massakren på Sankt Brictiusdagda는 5세기 투르의 성 브리스 주교를 가리키는 것으로, 그의 축일은 11월 13일이다. 수십 년간 비교적 평화로운 시기가 지난 후, 980년대에 잉글랜드 영토에 대한 덴마크의 습격이 다시 시작되었고, 990년대 초에 더욱 심각해졌다. 991년 맬던 전투 이후, 에설레드는 덴마크 왕에게 데네겔트를 지불했다.[3][4] 1002년, 에설레드는 노르망디의 리처드 1세의 딸인 노르망디의 엠마와 결혼했는데, 그녀의 어머니는 군노르라는 이름의 덴마크인이었고, 그들의 아들은 참회왕 에드워드가 되었다. 일부 덴마크인들은 상인으로 도착하여 앵글로색슨인과 결혼했고, 일부는 웨섹스에 정착하여 농부가 되었으며 앵글로색슨인이 지배하는 잉글랜드 지역에서 가족을 부양했다.[5][6]

한편, 에설레드의 왕국은 997년부터 1001년까지 매년 덴마크의 습격으로 황폐해졌고, 1001년에는 덴마크 군대가 잉글랜드 남부를 휩쓸며 많은 마을을 무차별적으로 불태웠고, 이에 대항하기 위해 소집된 앵글로색슨 군에게 일련의 패배를 안겼다.[1]

3. 학살의 전개

1002년, 애설레드는 자신의 영토에 있는 덴마크인들이 자신을 배신하고 목숨을 빼앗은 뒤 왕국을 차지할 것이라는 정보를 들었다.[7][8][1] 이에 국왕은 잉글랜드에 거주하는 모든 덴마크인들을 죽이라는 명령을 내렸다.[1]

역사학자들은 이 명령이 잉글랜드의 모든 덴마크인들을 무차별 학살하라는 것이 아니라, 덴마크 군대, 최근 정착민, 애설레드 자신의 용병 부대 등 특정 집단을 겨냥한 것으로 추정한다. 이들 중 일부는 덴마크 침략자에게 합류하여 변덕스럽고 불충실한 모습을 보였다.[9][10][11]

역사학자들은 상당한 인명 피해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구체적인 증거는 부족하다. 스벤 포크비어드의 누이 군힐드가 남편 팔리 토케센과 함께 희생되었다는 기록이 있는데,[11] 그는 남부 해안 습격에 참여했었다.[13]

3. 1. 옥스퍼드 학살

옥스퍼드에서는 학살의 증거가 발견되었다. 1004년 국왕 칙서에는 옥스퍼드에 정착한 덴마크인들에 대한 "가장 정당한 멸절"이 언급되어 있다. 성 프라이데스와이드 교회(현 크라이스트 처치 대성당)가 덴마크인들에 의해 불탔다가 재건되었다는 기록이 있다.[14]

애설레드영어 국왕은 칙서에서 "내 지도자들과 고위 인사들의 조언에 따라 이 섬에 싹튼 모든 데인족을 밀밭 속 독보리처럼 가장 정당한 멸절로 파괴하라는 칙령을 내가 내렸다는 것이 이 나라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고 언급했다. 칙령은 죽음에 이르기까지 시행되어야 했다. 옥스퍼드에 거주하는 덴마크인들은 죽음을 피하려고 성 프라이데스와이드 교회로 피신했지만, 마을 사람들에 의해 교회가 불태워지면서 살해되었다.[14]

2008년 세인트 존스 칼리지, 옥스퍼드에서 학살된 것으로 추정되는 37구의 유해가 발견되었다. 유해는 대부분 16세에서 25세 사이의 젊은 남성이었으며, 바이킹으로 추정된다. 이들은 다양한 무기에 의해 잔혹하게 살해되었으며, 등에 상처가 있는 것으로 보아 도망치다 살해된 것으로 보인다.[5][15][16][17]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결과 매장 연대는 서기 960년에서 1020년 사이로 추정되며, 뼈의 탄화는 교회가 불탔다는 역사적 기록과 일치한다.[18] 웨이머스, 도싯 근처의 리드웨이 힐 바이킹 매장 구덩이에서도 54구의 참수된 스칸디나비아 남성 유해가 발견되어 학살과의 연관성이 제기된다.[14]

4. 학살의 원인과 결과

이 학살은 프랭크 스톤턴과 같은 일부 역사가들에게 정치적 행위로 평가받았다. 스톤턴은 이 학살이 1003년 스벤의 침공을 유발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고 보았다.[19] 오드리 맥도날드는 1016년 크누트 대왕의 즉위가 이 학살의 결과라고 주장했다.[13] 레비 로치는 "이 숙청은 중요한 시기에 의심과 분열을 낳았고, 결국 [애설레드]의 죽음은 덴마크 통치자 크누트 대왕의 잉글랜드 정복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20]

반면, 다른 역사가들은 애설레드에게 동정적이다. 사이먼 케인스는 옥스퍼드 온라인 ''DNB''에 실린 애설레드 관련 기사에서, 이 사건을 용병을 통해 반복된 덴마크의 공격으로 고통받던 백성들이 고용주를 배신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묘사했다.[21] 이안 하워드는 애설레드 용병 군대의 배신에 대한 대응으로 학살이 벌어졌다고 보았고,[10] 바바라 요크는 "바이킹 시대에 필요한 강력한 대응"이었다고 묘사했다.[22]

애설레드의 전기 작가 라이언 라벨은 학살이 옥스퍼드와 같은 국경 마을, 브리스톨, 글로스터, 런던 등 덴마크인 공동체가 적었던 애설레드의 통제하에 있던 더 큰 도시들에 국한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하며, 옥스퍼드 헌장에 나타난 민족적 증오와 밀레니엄주의를 이용한 무자비함을 지적한다.[7] 학살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점은 분명하다. 많은 역사가들은 잉글랜드 전역에서 광범위한 몰살은 불가능했을 뿐만 아니라, 대량 학살에 대한 고고학적, 역사적 증거도 극히 제한적이라는 데 동의한다.[8][9][10][12] 옥스퍼드에서의 살해는 거의 군사 연령의 남성만을 대상으로 했다.[9] 역사학자 레비 로치는 옥스퍼드의 집단 매장지와 다른 지역의 집단 매장지를 성 브릭시오 축일과 결정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이 시기 잉글랜드 전역에서 정기적인 종파 폭력이 있었다고 덧붙였다.[12] 데인로가 애설레드의 패권 아래 평온하고 만족스럽게 유지되었다는 사실은 살해가 특정 지역에 국한되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로 여겨졌다.[10] 앤 윌리엄스는 "말할 필요도 없이, 그 법령은 동부 샤이어에 살고 있는 스칸디나비아계 잉글랜드인을 겨냥한 것이 아니었다"라고 썼다.[11] 학살 후 불과 몇 년 만에 애설레드는 옥스퍼드 외곽의 토티라는 덴마크인에게 토지를 하사했고, 많은 스칸디나비아 인물들이 그의 궁정에 남아 있었는데, 이는 성 브릭시오 축일 칙령이 일반적인 몰살 명령이 아니었음을 보여준다.[12][9]

5. 역사학자들의 평가

역사학자들은 이 학살에 대해 다양한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 학살이 1003년 스벤의 침공을 유발하는 데 일조한 정치적 행위로 보았다.[19] 오드리 맥도날드는 이 학살이 결국 1016년 크누트 대왕의 즉위로 이어졌다고 말한다.[13] 레비 로치는 "이러한 숙청은 중요한 시기에 의심과 분열을 낳았고, 결국 [애설레드]의 죽음은 덴마크 통치자 크누트 대왕의 잉글랜드 정복으로 이어졌다."라고 말한다.[20]

다른 역사학자들은 애설레드에게 더 동정적이다. 사이먼 케인스는 옥스퍼드 온라인 ''DNB''에 실린 애설레드에 대한 기사에서 이 사건을 용병을 통해 반복된 덴마크의 공격으로 고통받은 백성들이 고용주를 배신한 것에 대한 반응으로 묘사했다.[21] 이안 하워드는 이 학살이 애설레드의 용병 군대의 배신에 대한 대응으로 저질러졌다고 믿고,[10] 바바라 요크는 이를 "바이킹이 살았던 세상에서 필요한 강력한 대응"으로 묘사한다.[22]

학살의 범위와 대상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라이언 라벨은 이 학살이 옥스퍼드와 같은 국경 마을, 그리고 브리스톨, 글로스터, 런던과 같이 덴마크인 공동체가 적었던 애설레드의 통제 하에 있는 더 큰 도시들에 국한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한다.[7] 많은 역사가들은 잉글랜드 전역에서 광범위한 몰살 캠페인이 있을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대량 학살에 대한 고고학적 또는 역사적 증거가 극히 제한적이라는 데 동의한다.[8][9][10][12] 옥스퍼드에서의 살해는 거의 전적으로 군사 연령의 남성을 대상으로 했다.[9] 레비 로치는 또한 옥스퍼드의 집단 매장지와 다른 지역의 집단 매장지를 성 브릭시오 축일과 결정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언급하며, 이 시기 잉글랜드 전역에서 정기적인 종파 폭력이 있었다고 덧붙였다.[12]

참조

[1] 웹사이트 The Anglo-Saxon Chronicle https://www.gutenber[...] 2024-08-29
[2] 웹사이트 Mass grave of murdered Vikings sheds light on King Aethelred's doomed reign https://museumofoxfo[...] 2024-11-13
[3] 웹사이트 The 13th of November 1002 AD, St Brice's Day Massacre http://www.informati[...] 2021-06-10
[4] 간행물 The St Brice's Day Massacre http://www.historyto[...] 2002-11
[5] 웹사이트 Vengeance on the Vikings https://www.archaeol[...] Institute of America 2022-05-19
[6] 웹사이트 Experts reveal brutal Viking massacre https://www.oxfordma[...] 2010-11-05
[7] 서적 Aethelred II: King of the English The History Press 2008-11-01
[8] 웹사이트 Oxford Reference https://www.oxfordre[...] 2022-05-22
[9] 서적 Æthelred the Unready: The Failed King Allen Lane 2018
[10] 서적 The Reign of Æthelred II: King of the English, Emperor of all the Peoples of Britain, 978-1016 http://dx.doi.org/10[...]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10
[11] 서적 Æthelred the Unready: the ill-counselled king https://www.worldcat[...] Hambledon and London : distributed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exclusively by Palgrave Macillan 2003
[12] 서적 Æthelred the Unready Yale University Press
[13] 서적 St Brice's Day Massacre http://www.oxfordref[...] Ox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Massacre at St Frideswide's http://www.oxfordtod[...]
[15] 뉴스 Skeletons reveal Viking massacre https://www.bbc.com/[...] 2011-08-12
[16] 웹사이트 Burial Pit, ca. 960–1020, St. John's College, Oxford https://www.archaeol[...] Archaeological Institute of America 2022-05-22
[17] 뉴스 Skeletons of Viking men to be reunited in Danish exhibition https://www.theguard[...] 2021-06-09
[18] 뉴스 Skeletons found at mass burial site in Oxford could be 10th-century Viking raiders https://www.scienced[...] 2012-05-01
[19] 서적 Anglo-Saxon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20] 웹사이트 The St. Brice's Day Massacre: Then and Now https://yalebooks.ya[...] 2016-11-11
[21] ODNB Æthelred II [Ethelred; known as Ethelred the Unready] https://doi.org/10.1[...] 2004-09-23
[22] 서적 Wessex in the Early Middle Ages Leicester University Press
[23] 문서 Anglo-Saxon Chronicle
[24] 웹인용 Experts reveal brutal Viking massacre https://www.oxfordma[...]
[25] 웹인용 Skeletons reveal Viking massacre https://www.bbc.com/[...] 2011-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