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루살렘 공방전 (109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99년 예루살렘 공방전은 제1차 십자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한 사건이다. 1095년 교황 우르바노 2세의 십자군 호소 이후, 십자군은 안티오키아 공방전을 거쳐 예루살렘으로 진격했다. 십자군은 파티마 왕조의 방어에 맞서 공성전을 벌였고, 공성탑과 사다리를 이용한 공격으로 도시를 함락했다. 공방전 이후 십자군은 무슬림, 유대인, 동방 기독교인 등 많은 주민들을 학살했다. 고드프루아 드 부용은 예루살렘의 통치자가 되었고, 아르눌은 초대 예루살렘 라틴 교회 대주교가 되었다. 예루살렘은 약 1세기 동안 기독교 세력의 지배하에 있었으며, 이 사건은 이후 중동 지역의 종교 간 관계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99년 분쟁 - 아스칼론 전투
    아스칼론 전투는 1099년 제1차 십자군과 파티마 왕조 간에 벌어진 전투로, 십자군이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스칼론은 파티마 왕조의 지배하에 남아 십자군 국가를 위협하는 거점이 되었다.
  • 1099년 아시아 - 아스칼론 전투
    아스칼론 전투는 1099년 제1차 십자군과 파티마 왕조 간에 벌어진 전투로, 십자군이 승리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스칼론은 파티마 왕조의 지배하에 남아 십자군 국가를 위협하는 거점이 되었다.
예루살렘 공방전 (1099년)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1099년 7월 15일, 십자군의 예루살렘 점령
에밀 시뇰의 '1099년 7월 15일, 십자군의 예루살렘 점령'(1847년 캔버스에 유화)
부분제1차 십자군 전쟁
날짜1099년 6월 7일 - 7월 15일
장소예루살렘
결과십자군 승리
영토십자군의 예루살렘 점령
예루살렘 왕국 성립
교전 세력
교전국 1십자군
교전국 2파티마 칼리파국
지휘관 및 지도자
십자군 지휘관고드프루아 드 부용
툴루즈의 레몽 4세
노르망디의 로베르 2세
플랑드르의 로베르 2세
불로뉴의 외스타슈 3세
갈릴래아의 탕크레드
베아른의 가스통 4세
베렝게르 라몬 2세
굴리에모 엠브리아코
파티마朝 지휘관이프티하르 알다울라 (항복)
병력 규모
십자군 병력12,200–13,300명
십자군 보병11,000-12,000명
십자군 기사1,200-1,300명
십자군 공성 장비공성탑 2대, 충차 1대, 투석기 약간
파티마朝 병력총 병력 불명
파티마朝 수비대상당한 규모의 보병 및 궁수 수비대
파티마朝 기병기병 400명
파티마朝 투석기투석기 14대
사상자 규모
십자군 사상자~3,000명
파티마朝 사상자수비대 전멸, 3,000–70,000명의 무슬림 및 유대인 학살

2. 배경

1095년 피아첸차 공의회에서 교황 우르바노 2세는 셀주크 튀르크에게 영토를 빼앗긴 비잔티움 제국 황제 알렉시오스 1세의 요청을 받고 서방 기독교 세계에 도움을 요청했다. 셀주크의 아치즈 이븐 우와크는 1073년 파티마 왕조로부터 예루살렘을 점령하여 순례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고, 1077년에는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했다.[69] 우르바노 2세는 1095년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성지 정복과 예수 성묘 교회를 기독교인들의 손에 되돌리기 위한 군사 요청 연설을 하였다.[70] 그의 호소는 십자군의 막을 열었고, 이 십자군에 참여한 이들에게 천국행을 보장하였다.

1098년 6월 안티오키아 공방전 이후, 십자군은 반 년 이상 안티오키아 주변에서 더 이상 진격하지 못했다. 교황 사절 아데마르는 안티오키아 함락 후 역병으로 사망했고, 제후들 간의 다툼을 막을 자도, 행군을 지휘할 자도 없었다. 타란토 공작 보에몽 1세는 안티오키아를 차지하겠다고 주장했고, 부르그 백작 보두앵 1세는 에데사를 점령한 채 나오지 않았다. 툴루즈 백작 레몽 4세 (레몽 드 생질)는 마아라 공방전에서 마아라트 안 누만을 함락했지만, 가난한 기사, 보병, 비전투원들은 예루살렘으로 향하지 않는 레몽 등을 비난하며, 제후들 없이 행군을 재개하겠다고 위협했다.

2. 1. 이슬람의 레반트 정복

1095년 피아첸차 공의회에서 교황 우르바노 2세는 셀주크 튀르크에게 영토를 빼앗긴 동로마 제국 황제 알렉시오스 1세의 요청을 받고 서방 기독교 세계에 도움을 요청했다. 셀주크의 아치즈 이븐 우와크는 1073년 파티마 왕조로부터 예루살렘을 점령하여 순례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고, 1077년에는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했다.[69] 우르바노 2세는 1095년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성지 정복과 예수 성묘 교회를 기독교인들의 손에 되돌리기 위한 군사 요청 연설을 하였다.[70]

2. 2. 비잔티움 제국의 위기와 십자군 원정 요청

11세기 말, 셀주크 튀르크의 위협으로 비잔티움 제국은 쇠퇴하고 있었다. 1070년 이후 셀주크 튀르크는 비잔티움 제국의 영토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69] 1073년 셀주크의 아치즈 이븐 우와크는 파티마 왕조로부터 예루살렘을 점령하여 예루살렘 순례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고, 1077년에는 예루살렘에서 일어난 반란을 무자비하게 진압하였다.[69] 1095년, 비잔티움 황제 알렉시오스 1세는 서방 교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교황 우르바노 2세는 피아첸차 공의회에서 알렉시오스 1세의 대사를 맞이하였다.[9]

이후 클레르몽 공의회에서 교황 우르바노 2세는 성지 정복과 예루살렘성묘교회를 기독교인들의 손에 되돌리기 위한 열렬한 군사 요청 연설을 하였다.[70] 그의 호소는 신을 위한 신성한 전쟁인 십자군의 막을 열었으며, 그는 이 십자군에 참여한 이들에게 천국행을 보장하였다.[10]

2. 3. 십자군의 진로

1098년 안티오키아 공방전에서 승리한 후, 십자군은 그 해 남은 기간 동안 안티오키아 주변에 머물렀다. 교황 특사였던 르 퓌의 아데마르는 사망했고, 타란토의 보에몽은 안티오키아를 차지했다. 불로뉴의 보두엥은 1098년 초에 점령한 에데사에 머물렀다. 십자군 지도자들 사이에서 앞으로 무엇을 해야 할지에 대한 의견 충돌이 발생했고, 툴루즈의 레몽은 마라 공방전 중 마라트 알누만 요새를 점령하기 위해 안티오키아를 떠났다. 그 해 말, 소수의 기사와 보병들이 주요 귀족들 없이 예루살렘으로 진격할 조짐을 보였다.

1099년 1월 13일, 레몽은 지중해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행진을 시작했고, 노르망디의 로베르와 보에몽의 조카 탕크레드가 그 뒤를 따랐다. 십자군은 이동 중에 아르콰 공성전을 벌였으나 점령하지 못하고 5월 13일에 철수했다. 파티마 왕조는 십자군이 예루살렘으로 진격하지 않겠다는 조건으로 강화를 맺으려 했으나, 이는 무시되었다. 파티마 칼리파의 예루살렘 총독 이프티카르 아드다울라는 십자군의 의도를 알아차리고 예루살렘의 기독교인들을 모두 내쫓았다.[71] 예루살렘으로 향하던 진군 중에는 더 이상의 저항이 없었다.

3. 공성전

1099년 6월 7일, 십자군은 파티마 왕조가 1년 전에 셀주크에게서 빼앗은 예루살렘에 도착했다. 예루살렘은 4km 길이, 3m 두께, 15m 높이의 성벽으로 보호받고 있었으며, 다섯 개의 정문이 있었다.[72] 십자군은 두 부대로 나뉘어 북쪽에서는 부용의 고드프루아, 플랑드르의 로베르, 탕크레드가, 남쪽에서는 툴루즈의 레몽이 공격을 계획했다.

예루살렘 공방전을 묘사한 13세기 세밀화


파티마 왕조는 양면에서 전투를 준비해야 했다. 십자군은 1099년 6월 13일에 첫 공격을 시도했으나, 공성 장비를 만들 나무가 부족했다. 탕크레드가 동굴에서 나무 더미를 발견해 사다리를 만들었지만, 공격은 실패했다. 십자군은 물 부족, 더위, 식량 부족에 시달렸고, 6월 말에는 이집트에서 파티마 왕조 군대가 오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와 십자군은 서둘러야 했다.

3. 1. 파티마 왕조의 준비

예루살렘 총독 이프티카르 아드다울라는 십자군이 도착했다는 소식을 듣고 공성전 준비를 시작하였다. 그는 정예 이집트 기병 400명을 준비시키고, 안티오키아 공방전에서 아르메니아인이 십자군에 협력했던 사례를 의식하여 배신을 우려해 도시에 있는 모든 동방 정교회 신자들을 추방시켰다.[72] 또한, 십자군의 진군을 어렵게 만들기 위해 주변 지역의 모든 우물에 독을 풀고, 예루살렘 외곽의 모든 나무를 베는 초토화 전술을 실시했다.[72]

3. 2. 양면 포위



십자군은 예루살렘을 두 방향에서 포위했다. 부용의 고드프루아, 플랑드르의 로베르, 탕크레드는 북쪽을, 툴루즈의 레몽은 남쪽을 공격했다.[72] 파티마 왕조는 양면 전선에서 싸울 준비를 해야 했다. 십자군은 자리를 잡은 후 1099년 6월 13일에 첫 번째 공격을 시작했지만, 나무가 없어 공성 장비를 만들 수 없었다.[39] 탕크레드가 동굴에 숨겨진 나무 더미를 발견하여 사다리를 만들었지만, 공격은 실패했다.

십자군은 식수 부족, 팔레스타인의 찌는 듯한 여름 더위, 식량 부족 등 여러 어려움을 겪었다. 6월 말에는 파티마 왕조의 군대가 이집트에서 북쪽으로 진격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져 십자군은 신속하게 행동해야 했다.

3. 3. 최종 공세

1099년 6월 17일, 십자군은 야파 항구에 잉글랜드와 제노바의 선박들이 도착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 배들은 공성 장비 제작에 필요한 물품들을 가져왔다. 노르망디의 로베르와 플랑드르의 로베르는 인근 숲에서 목재를 구해왔고, 굴리에모 엠브리아코와 베아른의 가스통의 지휘 아래 십자군은 공성 무기를 만들기 시작했다. 3주 만에 11세기 최고 수준의 공성 장비가 완성되었는데, 여기에는 두 대의 거대한 바퀴 달린 공성탑, 쇠로 덮인 충차, 수많은 사다리와 이동식 욋가지 등이 포함되었다.[72] 이제 십자군은 공격 준비를 마쳤다. 파티마 왕조는 십자군의 준비를 주시하며, 공격이 시작되면 성벽 위에서 망고넬을 발사할 준비를 했다.

1099년 7월 14일, 십자군은 공격을 개시했다. 고드프루아와 그의 동맹군은 예루살렘 북쪽 성벽을 공격했고, 이들의 최우선 목표는 도시 성벽 바깥쪽 방어선을 돌파하는 것이었다. 그날이 끝날 무렵, 이들은 첫 번째 방어선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남쪽에서는 툴루즈의 레몽 군대가 파티마 왕조의 격렬한 저항에 부딪혔다. 7월 15일, 북쪽에서 공격이 재개되었고, 고드프루아와 그의 동맹군이 성공을 거두었다. 십자군 투르네의 루돌프가 가장 먼저 성벽을 넘어섰다. 프랑크군은 재빨리 성벽에 거점을 확보했고, 도시 방어선이 무너지자 파티마 병력에 공포가 확산되었다.[72]

4. 여파

1099년 예루살렘 공방전의 여파로 성전산의 이슬람 성소들이 기독교 성소로 바뀌는 등 여러 변화가 일어났다.[75][76] 이 과정에서 수천 명의 무슬림과 유대인들이 학살당했으며, 당시 기록들은 이 학살이 매우 잔혹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고 전한다.[75][76]

예루살렘 정복


이러한 잔혹 행위는 고대 및 중세 전투에서 흔히 볼 수 있었다.[77] 십자군은 안티오키아 공방전에서, 파티마는 타오르미나, 로메타, 티레에서 이와 비슷한 학살을 자행했다. 그러나 예루살렘에서의 학살은 이전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78][79]

1200년경 영국에서 그려지고 14세기 스페인에서 복사된 필사본 삽화. 상단은 예루살렘의 예수와 성전 파괴, 중단은 주님의 적에 의해 참수당하는 유대인, 하단은 예루살렘을 피바다로 만들어 복수를 하는 십자군.

4. 1. 십자군의 예루살렘 입성

1099년 7월 15일, 십자군은 다윗 탑을 통해 예루살렘으로 진입하여 무슬림과 유대인 주민들을 무차별 학살했다. 파티마의 예루살렘 총독 이프티카르 아드다울라는 가까스로 탈출했다.[73][14] 목격자들의 기록에 따르면, 예루살렘 거리는 피로 가득 찼다고 한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살해당했는가에 대해서는 논쟁 중인데, 이슬람 역사학자 이븐 알 아시르가 제시한 70,000명(1200년경 저술)이라는 수치는 과장된 것으로 여겨진다. 십자군 진군 소식을 우려하며 찾아온 피난민으로 인해 예루살렘의 인구가 늘어났을 것을 고려할 때 40,000명이 유력한 수치이다.[74][15]

4. 2. 학살

1099년 7월 15일, 십자군이 예루살렘에 진입한 후 무슬림과 유대인 주민들에 대한 대량 학살이 벌어졌다. 이프티카르 알다을라 총독은 가까스로 탈출했다.[73] 목격자들의 기록에 따르면 예루살렘 거리는 피로 가득 찼다고 한다. 살해된 사람의 수는 논쟁 중이지만, 이븐 알아티르가 제시한 7만 명은 과장된 것으로 보이며, 4만 명 정도가 실제에 가까울 것으로 추정된다.[74]

공방전의 여파로 수천 명의 무슬림과 유대인이 학살당했으며, 동시대 사료들은 이 학살이 매우 잔혹하고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고 전한다.[75][76] 성전산의 이슬람 성소들은 기독교 성소로 바뀌었다.[75][76]

이러한 잔혹 행위는 고대 및 중세 전투사에서 기독교와 이슬람 양측 모두에게 일반적인 것이었다.[77] 십자군은 안티오키아에서 이미 그러한 행위를 했었고, 파티마 측도 타오르미나, 로메타, 티레에서 마찬가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루살렘에서의 학살은 이전의 사례들을 뛰어넘는 수준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78][79]

무슬림 시민 대부분은 알 아크사 모스크, 바위 돔, 성전산 등으로 피신했다. 《게스타 프랑코룸》은 성전산 주변에서의 학살 모습을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아길레르의 레몽도 성전산 주변에 대해 언급하며, "솔로몬 성전에서도 솔로몬 현관에서도 기마병은 무릎이나 고삐까지 피에 잠겨 걸었다."라고 썼다. 이는 요한 계시록 14장 20절의 인용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43] 샤르트르의 푸셰는 당시 보두앵과 함께 에데사에 있었지만, 성전산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 "성전에서는 1만 명이 살해되었다. … 그들 중 누구도 살아남지 못했다. 여자도 아이도 용서받지 못했다."라고 기록했다.[44]

다마스쿠스의 연대기 작가 이븐 알-칼라니시(1070년-1160년)에 따르면, 유대인 수비대와 시민들은 회당으로 도망쳤지만, 십자군(프랑크인)이 건물째 불을 질러 안에 있던 모든 사람을 태워 죽였다고 한다.[50][51] 어떤 목격자는 십자군이 불타는 회당을 둘러싸고 "그리스도여, 당신을 찬양합니다. 당신은 우리의 빛, 우리의 인도, 우리의 사랑입니다"라고 노래했다고 한다.[52]

4. 2. 1. 무슬림

알아크사 모스크, 바위의 돔성전산 지역으로 많은 무슬림들이 피신했다.[80] 그러나 십자군은 이들을 학살했다. ''게스타 프랑코룸''은 "...[우리 군인들은] 솔로몬 성전까지 죽이고 살육했으며, 그곳의 살육이 너무 심해 우리 군인들이 발목까지 피에 잠겼다..."라고 묘사했다.[80] 아길레르의 레몽은 "성전과 솔로몬의 현관에서 사람들은 무릎과 고삐까지 피 속에서 말을 탔다."라고 기록했다.[80] 당시 보두앵과 함께 에데사에 있었던 샤르트르의 풀처는 "이 성전에서 10,000명이 죽었다...그들 중 아무도 살아남지 못했고, 여자도 아이도 살아남지 못했다."라고 전한다.[80]

하지만 ''게스타 프랑코룸''의 익명 저자는 일부 무슬림들이 살아남았다고 기록했다. 그는 "이교도들이 정복되었을 때, 우리 군인들은 원할 때 남자와 여자 모두를 붙잡아 죽이거나 포로로 잡았다."라고 썼다.[81] 또한, "[우리 지도자들은] 모든 사라센 시체를 밖으로 내다 버리라고 명령했는데...살아있는 사라센인들은 죽은 자들을 성문 밖으로 끌고 나와...피라미드같이 장례 더미를 만들었고...그들의 수를 아는 사람은 오직 신뿐이다."라고 덧붙였다.[81]

아길레르의 레몽 역시 일부 무슬림들이 다윗 탑으로 피신하여 레몽 백작에게 항복하고 목숨을 건졌다고 기록했다.[82] 이들은 파티마 총독과 함께 아스칼론으로 떠났다.[83] 이븐 알아시르도 "한 무리의 무슬림들이 다윗의 기도실(미흐랍 다우드)에 바리케이드를 치고 며칠 동안 싸웠다. 그들은 항복하는 대가로 목숨을 부지했다. 프랑크족은 그들의 약속을 지켰고 그 그룹은 밤에 아스칼론으로 떠났다."라고 기록했다.[84]

탕크레드는 성전 구역을 자신의 것이라 주장하고 그곳의 일부 무슬림에게 보호를 제공했지만, 동료 십자군들의 손에 그들이 죽는 것을 막을 수는 없었다.[86]

4. 2. 2. 유대인

유대인들은 무슬림 병사들과 함께 예루살렘을 방어하기 위해 싸웠다.[90][31] 십자군이 외벽을 돌파하자, 예루살렘의 유대인들은 '죽음을 준비'하기 위해 시나고그(회당)로 물러났다.[90][31] 이븐 알콸라니시에 의하면, "유대인들은 시나고그에 모였고, 프랑크인(십자군)들은 이에 불을 질러 태워버렸다."[91][32] 다마스쿠스의 연대기 작가 이븐 알-칼라니시(1070년-1160년)는 유대인 수비대와 시민들이 회당으로 도망쳤지만, 프랑크인(서양인)이 건물째 불을 질러 안에 있던 모든 사람을 태워 죽였다고 기록했다.[50][51] 어떤 목격자는 십자군이 불타는 회당을 둘러싸고 "그리스도여, 당신을 찬양합니다. 당신은 우리의 빛, 우리의 인도, 우리의 사랑입니다"라고 노래했다고 전한다.[52]

1975년, 역사학자 쉘로모 도브 고이타인이 카이로 게니자에서 발견한 동시대 유대인의 전언은 예루살렘 시나고그 파괴를 확인해주었다.[92][93][33][34] 그러나 이 문서에는 시나고그가 불에 탔을 당시 유대인들이 그 안에 있었는지는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다.[92][33] 역사가들은 이 전언이 공성전이 끝나고 겨우 2주 뒤에 쓰였을 것이라고 추정하며, 이 문서를 '예루살렘 공방전에 대해 어느 언어보다도 초기의 기록물'이라고 평가한다.[93][34]

카이로 게니자에서 발견된 아스칼론의 카라이트 유대교 문서에 따르면, 십자군에게 붙잡힌 일부 유력한 유대인 인사들은 아스칼론의 카라이트 유대인 지역사회가 몸값을 지불하여 풀려났다.[93] 카이로 게니자의 고문서에는 예루살렘을 탈출하는 것을 허가받은 유대인이 보낸 원조 요청 편지가 있어, 유대인 모두가 학살당했다고 단정할 수는 없지만, 같은 편지에는 십자군의 포위전 당시 유대인에 대한 학살이 있었다는 것을 전하고 있다.[53]

4. 2. 3. 동방 기독교인

십자군이 예루살렘에 있던 동방 교회 신도를 학살했다는 현장 기록은 없으며, 초기 동방 교회 사료들(에데사의 마테보스, 안나 콤네나, 시리아인 미카엘 등)에서도 그러한 주장은 발견되지 않는다. 시리아 정교회 연대기에 따르면, 십자군이 도착하기 전부터 모든 기독교인들은 예루살렘에서 추방된 상태였다.[94] 이는 기독교인들이 십자군과 공모하는 것을 막기 위해 파티마 총독이 내린 조치로 보인다.[95]

게스타 프랑코룸에 따르면, 공방전이 끝난 지 2주 반 후인 8월 9일 수요일, 은자 피에르는 모든 '그리스 및 라틴 사제들과 성직자들'에게 성묘 교회로 감사의 행진을 할 것을 요청했다.[96] 이는 일부 동방 기독교 성직자들이 공방전 기간 동안 예루살렘이나 그 근방에 있었음을 시사한다. 1100년 11월, 샤르트르의 풀처는 보두앵 1세와 함께 예루살렘을 방문했을 때 그리스 및 시리아 교회 성직자들과 평신도들의 환대를 받았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1년 후에도 예루살렘에 동방 교회의 존재를 나타낸다.

예루살렘 함락 후, 성묘 교회에 있던 정교회를 비롯한 동방 교회 각 파(그루지야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콥트 정교회, 시리아 정교회)의 주교들은 모두 추방되었다. 이들은 무슬림 지배하에서는 공존이 허용되었으나, 동방 교회는 십자군에 대한 반발이 강했고, 성십자가("진정한 십자가") 등의 성유물의 행방을 밝히지 않는 등 저항했다. 그러나 십자군에 의한 정교도 고문 끝에 진정한 십자가는 십자군에게 빼앗겨 그들의 관리하에 놓이게 되었다.[54]

목격자들의 증언 중에는 십자군이 예루살렘에서 정교도를 학살했다는 내용은 찾아볼 수 없으며, 정교도들이 쓴 연대기(예를 들어 에데사의 마튜, 안나 콤네나, 시리아의 미카엘 등)에도 비슷한 기록은 없다. 시리아의 연대기에는 십자군에 의한 포위 전에 기독교도가 예루살렘에서 추방되었다는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55] 게스타 프랑코룸에는 예루살렘 함락 2주 반 후인 8월 9일 수요일, 은자 피에르가 그리스와 라틴의 모든 성직자들에게 성묘 교회에서 감사의 행진을 하도록 요청했다는 내용이 있다.[56] 1100년 11월, 샤르트르의 풀셰가 보두앵과 함께 예루살렘을 방문했을 때, 그리스 정교회와 시리아 정교회 양쪽 성직자로부터 환대를 받았다는 기록도 있다.[57]

5. 새로운 통치자

1099년 7월 22일, 부용의 고드프루아는 예루살렘 정복에 중대한 역할을 한 인물로, "아드보카투스 상크티 세풀크리"(성묘 수호자)라는 칭호를 받았다.[97] 그는 그리스도가 죽은 도시에서 왕으로 임명되기를 거절하며, 그리스도가 가시면류관을 썼던 도시에서 황금으로 된 왕관을 쓰는 것을 거부한다고 밝혔다.[38]

레몽은 어떠한 직위도 받는 것을 거부했고, 고드프루아는 그를 설득하여 다윗 탑을 포기하게 했다. 이후 레몽은 순례를 떠났고, 그가 없는 사이 쇼크의 아르뉠프가 8월 1일 초대 예루살렘 라틴 교회 대주교로 선출되었다. 이는 레몽이 피에르 바르텔미를 지지했기 때문에 반대했던 인물이었다. (예루살렘 동방 정교회 대주교의 권리는 무시되었다).[97] 8월 5일에는 아르뉠프가 예루살렘의 생존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성십자가를 발견했다.[97]

6. 결론

제1차 십자군은 목표를 달성하여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예루살렘 왕국을 세웠다. 교황 우르바노 2세클레르몽 공의회에서 성전을 촉구했고, 다양한 동기를 가진 많은 십자군이 참전했다. 예루살렘은 1187년 하틴 전투에서 살라딘에게 패배하고, 3개월 뒤 십자군이 축출될 때까지 거의 한 세기 동안 기독교 세력의 지배하에 있었다.[70] 이 사건은 이후 예루살렘 지역의 다양한 종교 간 관계에 큰 영향을 주었다.[10]

1099년 7월 22일, 고드프루아 드 부용은 "성묘 수호자" 칭호를 받았는데, 그는 그리스도가 죽은 곳에서 왕이 되기를 거부하며 이 칭호를 택했다. 8월 1일에는 아르눌이 최초의 가톨릭 계열 예루살렘 총대주교가 되었다. 8월 12일, 고드프루아 드 부용아스칼론 전투에서 파티마 왕조 군대를 격파했다.

이후 십자군 대다수는 고향으로 돌아갔지만, 소수의 기사들이 남아 예루살렘 왕국을 비롯한 십자군 국가들을 레반트에 세웠다.

한편, 다마스쿠스의 카디였던 아부 사아드 알-하라위 등은 난민들을 이끌고 바그다드로 가서 십자군의 만행을 알렸으나, 아바스 왕조 칼리프 무스타즈히르와 셀주크 제국 술탄 바르키야루크는 내분으로 인해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레반트에 남은 소수의 십자군은 십자군 국가의 기반을 다져나갔다.[58]

예루살렘 공방전은 서양에서 곧 전설이 되었고, 12세기 초에는 무훈시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문서 The massacre at the sack of Jerusalem has become a commonplace motive in popular depictions, however the exact historical events are difficult to reconstruct with any certainty. Arab sources give figures of between 3,000 and 70,000 casualties (in Abu Bakr ibn al-Arabi, and in Ali ibn al-Athir|Ibn al-Athir, respectively). The latter figure is rejected as unrealistic as it is very unlikely that the city at the time had a total population of this order; medieval chroniclers tend to substantially exaggerate both troop strength and casualty figures; they cannot be taken at face value naively, and it is less than straightforward to arrive at realistic estimates based on them. For a further study of the Arab accounts see Hirschler, Konrad (2014). The Jerusalem Conquest of 492/1099 in the Medieval Arabic Historiography of the Crusades: From Regional Plurality to Islamic Narrative.
[9] 서적 Jerusalem Besieged: From Ancient Canaan to Modern Israel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0]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crusades http://worldcat.org/[...]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1] 서적 The New Concise History of the Crusades Rowman & Littlefield Pub., Inc.
[12] 웹사이트 The first crusade : a new history : the roots of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http://worldcat.org/[...] Oxford University Press
[13] 웹사이트 Jerusalem in the Crusader Period https://www2.biu.ac.[...] 2023-05-12
[14] 웹사이트 The First Crusade : a new history : the roots of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http://worldcat.org/[...] Oxford University Press
[15] 웹사이트 The Siege of Jerusalem https://www.worldcat[...] Continuum
[16] 웹사이트 The First Crusade: The Accounts of Eyewitnesses and Participants https://sourcebooks.[...] Princeton Univ. 2019-06-14
[17] 웹사이트 The First Crusade: The Accounts of Eyewitnesses and Participants https://sourcebooks.[...] Princeton Univ. 2019-06-14
[18] 학술지 The Jerusalem Conquest of 492/1099 in the Medieval Arabic Historiography of the Crusades: From Regional Plurality to Islamic Narrative
[19] 서적 The Medieval Siege The Boydell
[20] 서적 Jerusalem : the Biography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21] 서적 Gesta Francorum Jerusalem Expugnantium [The Deeds of the Franks Who Attacked Jerusalem] http://www.fordham.e[...] Harper & Brothers 2019-06-14
[22]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s://sourcebooks.[...]
[23] 웹사이트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s://sourcebooks.[...]
[24] 웹사이트 Crusaders, Greeks, and Muslims by Sanderson Beck https://san.beck.org[...]
[25] 서적 Arab Historians of the Crusad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6] 서적 The First Crusa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7] 학술지 The Crusader Rebranding of Jerusalem's Temple Mount
[28] 서적 History of the Journey to Jerusalem Ashgate Publishing Limited
[29] 서적 New Concise History
[30] 웹사이트 Muir's historical atlas : mediæval & modern http://worldcat.org/[...] G. Philip
[31] 웹사이트 CROSS PURPOSES: The Crusades https://web.archive.[...] Hoover Institute
[32] 서적 The Damascus Chronicle of the Crusades: Extracted and Translated from the Chronicle of Ibn Al-Qalanisi Dover Publications
[33] 서적 The Jerusalem Massacre of July 1099 in the Western Historiography of the Crusad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34] 서적
[35] 학술지 The First and Second Crusades from an Anonymous Syriac Chronicle
[36]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Crusades 1999
[37] 서적 Gesta Francorum London 1962
[38] 서적 The Latin Church in the Crusader States Variorum Publications 1980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The Jerusalem Massacre of July 1099 in the Western Historiography of the Crusades Ashgate Publishing Limited 2004
[44] 웹사이트 The Siege of the City of Jerusalem http://www.fordham.e[...]
[45]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Gesta Francorum http://www.fordham.e[...]
[46]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Gesta Francorum http://www.fordham.e[...]
[47] 웹사이트 Medieval Sourcebook: Raymond of Aguilers http://www.fordham.e[...]
[48] 웹사이트 Crusaders, Greeks, and Muslims http://san.beck.org/[...]
[49] 서적 The First Crusa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98
[50] 서적 The Damascus Chronicle of the Crusades: Extracted and Translated from the Chronicle of Ibn Al-Qalanisi Dover Publications 2003
[51] 서적
[52] 서적 Legacy of Hatred: Why Christians Must Not Forget the Holocaust Baker Pub Group 1990
[53] 서적 The First Crusade University of Pennsylvania 1998
[54] 서적
[55] 간행물 The First and Second Crusades from an Anonymous Syriac Chronicle 1933
[56] 서적 Gesta Francorum London 1962
[57] 서적 Book II
[58] 서적
[59] 서적 Geschichte der Kreuzzüge https://archive.org/[...] Regensburg 1867
[60] 서적 1994
[61] 서적 2004
[62] 서적 1994
[63] 서적 1994
[64] 서적 2004
[65] 서적 2011
[66] 서적 1994
[67] 문서 예루살렘 약탈 당시 '학살'
[68] 서적 Jerusalem, Siege of (1099)
[69] 서적 Jerusalem Besieged: From Ancient Canaan to Modern Israel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07
[70]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crusades http://worldcat.org/[...] 2017-05-04
[71] 서적 The New Concise History of the Crusades Rowman & Littlefield Pub., Inc. 2005
[72] 서적 The first crusade : a new history : the roots of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http://worldcat.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73] 서적 The First Crusade : a new history : the roots of conflict between Christianity and Islam http://worldcat.org/[...]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74] 서적 The Siege of Jerusalem https://www.worldcat[...] Continuum 2009
[75] 서적 The First Crusade: The Accounts of Eyewitnesses and Participants https://sourcebooks.[...] Princeton Univ. 2019-06-14
[76] 서적 The First Crusade: The Accounts of Eyewitnesses and Participants https://sourcebooks.[...] Princeton Univ. 2019-06-14
[77] 저널 The Jerusalem Conquest of 492/1099 in the Medieval Arabic Historiography of the Crusades: From Regional Plurality to Islamic Narrative 2014
[78] 서적 The Medieval Siege The Boydell 1992
[79] 서적 Jerusalem : the Biography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2012
[80] 서적 Parallel Source Problems in Medieval History http://www.fordham.e[...] Harper & Brothers 2019-06-14
[81] 웹인용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s://sourcebooks.[...]
[82] 웹인용 Internet History Sourcebooks Project https://sourcebooks.[...]
[83] 웹인용 Crusaders, Greeks, and Muslims by Sanderson Beck https://san.beck.org[...]
[84] 서적 Arab Historians of the Crusades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85] 서적 The First Crusad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98
[86] 저널 The Crusader Rebranding of Jerusalem's Temple Mount 2013
[87] 서적 History of the Journey to Jerusalem Ashgate Publishing Limited 2013
[88] 서적 New Concise History
[89] 서적 Muir's historical atlas : mediæval & modern http://worldcat.org/[...] G. Philip 1959
[90] 웹사이트 CROSS PURPOSES: The Crusades https://web.archive.[...] 2007
[91] 서적 The Damascus Chronicle of the Crusades: Extracted and Translated from the Chronicle of Ibn Al-Qalanisi Dover Publications 2003
[92] 서적 The Jerusalem Massacre of July 1099 in the Western Historiography of the Crusades 2004
[93] 서적 The Jerusalem Massacre of July 1099 in the Western Historiography of the Crusades
[94] 저널 The First and Second Crusades from an Anonymous Syriac Chronicle 1933
[95] 서적 A Concise History of the Crusades 1999
[96] 서적 Gesta Francorum London 1962
[97] 서적 The Latin Church in the Crusader States https://archive.org/[...] Variorum Publications 198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